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어불안과 교실상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권유진,남상은,김영주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classroom climate on learning achievement in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study employs two questionnaires and one evaluation test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Two questionnaires are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and classroom environment scale. Participants are 96 students who study Korean with academic purpose in Korean language program in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achievement, especially‚ between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productive skill such as speaking and writing. The different kinds of foreign language anxiety have different effects on achievement. More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anxiety ha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peaking and writing‚ and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ha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listening. However, it was found neither a correlation between classroom climate and achievement nor the effect of classroom climate on each achievement in listening,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할 때 느끼는 외국어불안과 교실상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96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외국어불안과 교실상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외국어불안은 학업성취도와 부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특히 표현 기능 영역의 학업성취도와 높은 부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외국어불안의 네 가지 종류에 따라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도 각각 다른데 의사소통불안은 말하기, 쓰기와 부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부정적 평가 불안은 듣기와 부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교실상황과 학업성취도는 서로 어떠한 상관관계도 보이지 않았다.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외국어 불안과 모험 시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권유진,김영주 이중언어학회 2011 이중언어학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risk-taking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achievement. The study employs two questionnaires for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risk-taking, and one evaluation test for achievement. In this study‚ There are 179 participants who study Korean with academic purpo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are specific aspects of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risk-taking on the learners' variables and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achievement, especially‚ between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productive skills such as speaking and writing. On the other hand‚ it was only fou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risk-taking and achievement on the advanced-level. And there isn't any correlation between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risk-taking.

      • KCI등재

        미시적 열섬현상 저감을 위한 도시 가로수 식재 시나리오별 분석 - 서울시를 대상으로 -

        권유진,이동근,안새결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9 환경영향평가 Vol.28 No.1

        Global warming becomes a serious issue that poses subsidiary issues like a sea level rise or a capricious climate over the world. Because of severe heat-wave of the summer in Korea in 2016, a big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urban heatisland since then. Notjust about heat-wave itself,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centrated on how to adapt in this trendy warming climate and weatherin a small scope. A big part of existing studies is mitigating “Urban Heat Island effect” and that is because of huge impervious surface in urban area where highly populated areas do diverse activities. It is a serious problem thatthis thermal context has a high possibility causing mortality by heat vulnerability.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articles of a green infrastructures’ cooling impact in summer.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measure cooling effect of a street planting considering urban canyon and type of green infrastructures in neighborhood scale. This quantitative approach was proceeded by ENVI-met simulation with a spatial scope of a commercial block in Seoul, Korea. We found the dense double-row planting is more sensitive to change in temperature than that of the single-row. Among the double-row planting scenarios, shrubs which have narrow space between the plant and the land surface were found to store heat inside during the daytime and prevent emitting heat so as to have a highertemperature at night. The quantifying an amount of vegetated spaces’ cooling effect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study of the cost and benefit for the planting scenarios’ assessment in the future. 지구온난화는 해수면 상승이나 전 세계의 변덕스러운 기후와 같은 심각하면서 부차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2015년 여름에 심각한 폭염이 있은 이래로, 도시열섬에 대한 큰 관심이 모아졌다. 폭염 자체에 대한 연구뿐만이 아니라, 많은 연구가 온난화된 기후와 미시 기후에 적응하는 방법에 중점을 둔다. 기존 연구들의 상당부분은 도시열섬 효과를 완화하는 것인데, 이는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인구가 많은 도시 지역에 거대한 불침투성 표면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열 환경이 열 취약성에 의한 사망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다. 여름철 그린인프라의 냉각효과에 대한 논문이 많이 있어왔지만, 본연구는 도시 협곡과 인접한 그린인프라 유형을 고려하여 가로수의 냉각 효과를 측정하는 데에 집중했다. 이 정량적 접근은 ENVI-met 시뮬레이션을 통해 서울의 상업지역 블록에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로 밀도가 높은 2열 식재가 단열식재보다 온도 변화에 더 민감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2열 식재 시나리오 중 가로수와 지표면 사이의 공간이 좁은 관목은 주간에 열을 저장하여 야간에 저장열 방출을 막아 더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식생 공간의 냉각 효과를 정량화하면 미래의 비용 및 편익 평가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What Does the Classic Style of Clothing Actually Mean to Consumers?

        권유진 한국복식학회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Vol.17 No.1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consumer meanings of wearing classic style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dopted, and 16 participants in the United States were interviewed and asked to define a classic fashion or style and why they wear one. Grounded theory was used for the research. The findings revealed three themes: (1) A classic style represents conservatism in style; (2) Style pragmatism refers to the positive attributes of wearing a classic style; and (3) consumers expect to continue to wear that classic style in the future. Those who are fashion-forward also expect to wear classic clothing in the future as they grow older. For people who do not follow fashion, classic is also a safe choice.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Autophagy Is Pro-Senescence When Seen in Close-Up, but Anti-Senescence in Long-Shot

        권유진,김지욱,정조애,김미성,강찬희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17 Molecules and cells Vol.40 No.9

        When mammalian cells and animals face a variety of internal or external stresses, they need to make homeostatic changes so as to cope with various stresses. To this end, mammalian cells are equipped with two critical stress responses, autophagy and cellular senescence. Autophagy and cellular senescence share a number of stimuli including telomere shortening, DNA damage, oncogenic stress and oxidative stress, suggesting their intimate relationship. Autophagy is originally thought to suppress cellular senescence by removing damaged macromolecules or organelles, yet recent studies also indicated that autophagy promotes cellular senescence by facilitating the synthesis of senescence-associated secretory proteins. These seemingly opposite roles of autophagy may reflect a complex picture of autophagic regulation on cellular senescence, including different types of autophagy or a unique spatiotemporal activation of autophagy. Thus, a better understanding of autophagy process will lead us to not only elucidate the conundrum how autophagy plays dual roles in the regulation of cellular senescence but also helps the devel-opment of new therapeutic strategies for many human diseases associated with cellular senescence. We address the pro-senescence and anti-senescence roles of autophagy while focusing on the potential mechanistic aspects of this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autophagy and cellular senescence.

      • KCI등재

        교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관점에 근거한 실과(기술·가정) 교과서 평가기준 방향 탐색

        권유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5 No.3

        Developing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is as important as textbook development in education. Home economics subject has been involved in textbook evaluation since 1995, at which the first home economics textbook was under the national authorization system in South Korea.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home economics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even though there were more studies using textbook analysi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reason why subject perspectives were reflected on the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spectives presented by national curriculum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and the future direction for developing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So this study was related to analyze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and the meaning of subject perspectives in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to drive perspectives consistently presented by the 2007 revised and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spectives in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and to provide the future direction for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development.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provides subject perspectives for developing textbook, delivers the core concepts and unique values of our subject, and provides the direction for teach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both national curriculum, the perspectives such as management competency, life competency, practical experience, integrative competency for understanding individual and family, career and life planning, and life problem-solving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would be needed to develop the factors of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based on the perspective presented by national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평가기준에 반영된 교과 관점의 중요성을 탐색하고, 현재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관점과 교과서 평가기준과의 관련성과 더불어 향후 교과서 평가기준을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은 실과(기술․가정) 교과서 평가기준을 분석하고, 교과서 평가기준에서의 교과 관점의 의미를 탐색하며, 2007 개정 교육과정 및 2011 개정 교육과정에 지속적으로 제시된 교과 관점을 도출하고, 교육과정과 교과서 평가기준에서 강조하고 있는 관점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향후 교과서 평가기준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교과서 평가기준은 교과서 개발을 위한 교과 관점을 제공하고, 교과의 주요 개념과 가치를 전달하며,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도출된 교과 관점들은 관리역량, 생활역량, 실천적 경험, 개인과 가족을 이해하기 위한 통합역량, 생활문제해결, 그리고 진로 및 생애설계이다. 향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과 관점들에 터하여 교과서 평가기준의 항목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 자료 평가기준뿐만 아니라, 교수․학습 방법, 교사 활동 평가 등 다양한 평가 틀에 교과 관점들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미술교육현장에 기초한 역량 개념 탐색: 질적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권유진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51

        본 연구는 통계나 전문가 분석을 통해 이상적인 역량요소를 도출했던 기존의 역량연구에서 벗어나 질적 연구방법으로 미술교육현장에서 역량의 속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지식과 실재 는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구성주의적 관점과 자료화된 미술교육현장을 연구자의 시 각으로 해석한 해석주의적 관점을 토대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 및 분석은 연구 참 여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개별 면담, 수업 관찰, 서신교환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 결과 도출된 역량요소는 교육의 보편적 특성을 지니는 동시에 미술과 고유의 특성이 있으며, 미술교사의 교육철학, 미술의 본질적 목표, 미술교육을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 학생의 태도가 반영되어 있었다. 전문가 토론(FGI)을 통해 ‘성취감’, ‘성의’, ‘참신함’, ‘일상화’의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역량요소를 분석하였다. 역량은 맥락성, 상대적 위계성, 유기적 연계성과 같은 속성을 띄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특징을 종합하여 3차원 입체 역량모형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장과 이론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미술교육현장에 대한 심층적, 총체적 이해를 바탕 으로 역량을 개념화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역량에 대한 시각을 확장하고 다양한 맥락의 현 장중심 역량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바란다. The paper has been tried to find out the attribute of competence in art education by the qualitative approach. In order to explore the essence of competence in real experience, the paper investigates the qualitative approach in art education with constructivism and interpretive paradigm as methodological position in research. Data has been collected and interpreted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a document analysis. As a result, core competencies-centric of ‘Accomplishment’, ‘Sincerity’, ‘Novelty’ and ‘Routineness’ has drawn by FGI(Focus Group Interviewing). The elements of competence reflect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the essential goal of art, social identity, and student’s attitude in art education. Analyzing elements based on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art education in school, competence’s attributes have determined as contextuality, organic connectivity, relative hierarchy. These attributes are visualized as a three-dimensional model. The paper has implicated for competence research based on the in-depth general understanding of art education. Therefore, I believe changing the vision of value in competence and focusing on the field research can narrow the gap of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

        봉사활동의 의의 및 실과 교육과의 교육적 관련성에 대한 개념적 연구

        권유진,전세경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2

        Original meaning of community service has been come from 'volunteering‘. Since it has been used in educational field, the meaning would be expanded, including 'sharing' or 'reciprocal'. Community service includes function of field experience or advising in education, but current school system has considered community service as required credits or one of qualification factors for graduation. The purpose of thisce udy was to explore characteristics, meaning, and m chodology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o integ gre community service into curriculum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reaching the goals of thisce udy, the first step was to review the concepts and perspectives of community service in for gl. The next step was to examine meaning of community service in aspects of child development, elementary school objective, subject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 chod. Based rric quainve examination, thisce udy providedic qudire curricuview usf commmmunity servic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pay attention to community servic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봉사활동은 처음에는 ‘자선’ 혹은 ‘베품’의 의미를 지니며 ‘자원봉사’로서 시작되었으나 교육적으로 활용되면서 ‘나눔’ 또는 ‘호혜성’의 의미로 그 관점이 확장되어 봉사활동에 대한 개념에도 변화가 있어왔다. 봉사활동은 그 구현방법에서 ‘현장체험’과 같은 ‘교육적 지도’의 의미를 포함하기도 하지만, 최근 학교교육에서는 봉사활동을 ‘학점’이나 ‘자격’ 등의 필수과정으로 여기기도 하여 학교교육에서의 봉사활동은 훨씬 적극성을 띠게 되었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에서 봉사활동이 교과외의 활동뿐만 아니라, 교과와도 어떻게 관련성을 가질 수 있는가의 관점에서 특히 실과 교과가 갖고 있는 성격과 철학, 방법적 접근을 토대로 그 관련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봉사활동의 개념, 특징, 관점 등을 살펴보고 봉사활동의 교육적 의의를 아동 발달적 측면, 초등교육 목표 측면, 교육과정의 측면, 학습의 측면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실과 교과와의 관련성을 목표, 교육내용,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위의 내용고찰을 통하여 실과 교육에서의 봉사활동 활용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기초로 하여 향후 실과 교육 분야에서의 봉사활동 관련 연구가 지속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