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들에서 pyramidal molar 유병률의 분석

        권우진,최형준,이제호,송제선 대한소아치과학회 202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7 No.4

        A pyramidal molar is which has completely fused roots with a solitary enlarged canal.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assess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pyramidal molars among adolescent. A total of 1,612 patients’ panoramic radiographs were screened. A total of 12,896 first and second molars were evaluated. The relative incidence and the correlations regarding the location of pyramidal molar (maxillary versus mandibular) and gender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The overall incidence of patients with pyramidal molars was 1.49%. 24 patients were found to have a pyramidal molar and it was more prevalent in women (18 women and 6 men). The prevalence of pyramidal molars from all first and second molars examined was 0.31%. 88 percent of pyramidal molars occurred in maxilla. All pyramidal molars were second molar. Pyramidal molar has a relatively poor periodontal prognosis compared with common multi-rooted teeth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root canal during pulp treatment. Clinicians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anatomical properties of pyramidal molar and apply it to treatment and prognostic evaluation. Pyramidal molar는 완전히 융합된 하나의 치근과 근관을 갖는 대구치를 의미한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에서 Pyramidal molar의 유병률과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만 13세에서 16세 사이의 1,612명의 파노라마가 분석되었고 총 12,896 개의 대구치(제1,2대구치)가 평가되었다. Pyramidal molar의 발생 위치와 성별에 대한 상대적인 유병률을 계산하였고 카이제곱 검정을사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Pyramidal molar의 유병률은 1.49%였으며 Pyramidal molar가 발견된 24명의 환자 중 남성이 6명, 여성이 18명으로 여성에서 호발하였다. 전체 대구치(제3대구치 제외)에서 Pyramidal molar는 0.31%를 차지하였다. Pyramidal molar 중 88%가 상악에서 발견되었고모든 Pyramidal molar는 제2대구치에서 나타났다. Pyramidal molar는 일반적인 다근치에 비해 치주적인 예후가 좋지 못하며 치수치료시 구조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임상가들은 pyramidal molar의 해부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치료 및 예후 평가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V2V 통신을 이용한 상대 차량 상태 추정 알고리즘 개발

        권우진,조아라,이경수 사단법인 한국자동차안전학회 2022 자동차안전학회지 Vol.14 No.2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target vehicle state estimation algorithm using vehicle-to-vehicle (V2V) communication. Perceiving the state of the target vehicle has great importance for successful autonomous driving and has been studied using various sensors and methods for many years. V2V communication has advantage of not being constrained by surrounding circumstances relative to other sensors. In this paper, we adopt the V2V signal for estimating the target vehicle state. Since applying only the V2V signal is improper by its low frequency and latency, the signal is used as additional measured data to improve the estimation accuracy. We estimate the target vehicle state using Extended Kalman filter (EKF); a point mass model was utilized in process update to predict the state of next step. The process update is followed by measurement update when ego vehicle receives V2V information. The proposed study evaluated state estimation by comparing input V2V information in an experiment where the ego vehicle follows the target vehicle behind it.

      • 비전 트랜스포머 기반 전이학습을 활용한 봉제 불량 검출 모델 연구

        권우진,류석현,정우균,김형중 대한산업공학회 2024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24 No.5

        최근 딥러닝 모델, 비전 센서와 사물 인터넷 등의 정보통신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다양한 분야 속 이미지 인식 및 분류 모델의 활용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최신 동향과 달리 의류 제조업은 여전히 작업자의 노동력에 의존적이며, 봉제선 불량과 같은 미세한 불량은 원단 불량 검출과 달리 적합한 검출 시스템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봉제 불량 이미지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는 ViT(Vision Transformer) 기반 전이학습 모델을 연구하였다. ViT 는 최근 컴퓨터 언어 분야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트랜스포머 기반 모델을 이미지 분석에 적용한 모델로 , 이미지를 여러 개의 패치로 나누어 각 패치를 단어 토큰으로 취급하여 시퀀스 데이터 처리에 최적화된 트랜스포머 아키텍처를 활용한다. 우선 Tensorflow 기반 ViT사전학습 모델을 구성하고, 전이학습을 통해 ViT 를 봉제선 불량 이미지 데이터셋을 분류할 수 있도록 학습하였다. 이를 통해, 구축된 ViT 기반 전이학습 모델로 10 종의 봉제선 불량 유형을 식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정확도는 96%를 달성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맛에 대한 언어 표현 연구

        권우진 한국언어문화학회 2020 한국언어문화 Vol.0 No.72

        This study focused on the various expression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eating food. This study specifically looked at how people describe the taste of food in language, including vocabulary such as taste and mouthfeel. Thus, food-related advertisements, blog posts that introduce dishes and restaurant foods, including examples of corpus data, and various broadcast program(public broadcasts and Internet broadcast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vocabulary of various tastes and textures are used lexically, and a lot of symbolic words such as ‘jjolgitjjolgit’ and ‘jjilgitjjilgit’ are observed. In the process of delicately conveying the taste and texture, various vocabulary changes such as liquid repeat(asakasak), consonant replacement (kotulkotul/kkotulkkotul), vowel replacement(phakphakhata/ phekphekhata), syllable replacement(saykhomtalkhom) was observed. In addition, general speakers tended to actively and productively combine such as ‘talkhomccontuk(달콤쫀득), ccontukkoso(쫀득고소), ccontukmallangtal khom(쫀득말랑달콤)’. As the saying, “Eat food first with your eyes,” people did not eat food right away, but looked at it with their eyes before eating and observed food and expected taste. And when explaining the taste after actually eating the food, the expected contents were used as the main explanation criteria. The impression of chewing food for the first time and the feeling of chewing food in succession have become a major factor in explaining taste. Every sense responds to ‘difference’. It was interestingly mentioned that various food ingredients stimulate the taste of the food at the same time or sequentially even when eating food. Judgment on taste is influenced not only by the senses, but also by information on how to understand the food. Therefore, when referring to the taste of food, people often mention information about the source of the ingredients, distribution process, nutrients, and cooking method.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aste is not limited to the taste vocabulary but is transmitted in various linguistic expressions in more detail. 본 연구에서는 식생활과 관련한 생활 수준의 발달에 부응하여 음식을 먹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표현에 주목하였다. 언어학계에서 오랜 연구 주제가 되었던 미각어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식감어를 다루었으며, 그러한 어휘 단위를 넘어서서 음식의 맛을 어떻게 언어적으로 설명하고 구체화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기존의 사전에 등장하는 미각어, 식감어와 관련한 예문들을 포함하여 만두, 라면 등의 음식 관련 광고, 요리와 식당의 음식을 소개하는 블로그 글, 다양한 먹방(지상파 방송과 인터넷 방송) 등의 컨텐츠를 수집, 전사,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어휘적으로는 다양한 미각어와 식감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쫄깃쫄깃, 찔깃찔깃’과 같은 상징어가 관찰되었다. 이들 어휘는 맛과 식감을 섬세하게 전달하기 위해 유음반복(아삭아삭), 자음교체(고들고들/꼬들꼬들), 모음교체(팍팍하다/퍽퍽하다), 음절교체(새콤달콤) 등의 다양한 어휘 변화가 주요한 특징으로 관찰되었다. 또 ‘달콤쫀득, 쫀득고소, 쫀득말랑달콤’ 등 일반 화자들이 활발하게 생산적으로 조합하는 경향이 있었다. 음식은 ‘먼저 눈으로 먹는다’는 말처럼 음식을 바로 먹지 않고 먹기 전에 눈으로 보면서 음식을 관찰하고 맛을 예상하는 발화가 반복적으로 관찰되었으며, 실제로 먹어본 후 맛을 설명할 때는 예상한 내용을 주요한 설명 기준으로 삼았다. 첫 번째 저작(咀嚼)에 대한 인상, 음식물을 연속으로 씹을 때의 느낌도 맛을 설명하는 주요 요소가 되었다. 모든 감각은 ‘차이’에 반응하기 마련인데 음식을 먹을 때에 다양한 식재료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입맛을 자극하는 것이 흥미롭게 언급되었다. 맛에 대한 판단은 감각만이 아니라 음식에 대한 정보에 영향받는 까닭에 식재료의 출처, 유통 과정, 영양소, 요리 방법 등에 대한 정보가 유용하게 언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맛은 미각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언어적 표현으로 전달되는 것을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식감형용사 어휘목록 개발 연

        권우진 한국언어문화학회 2022 한국언어문화 Vol.- No.78

        본고는 감각형용사 가운데 미각에 대한 연구가 ‘달다, 짜다, 쓰다, 시다’ 등의 맛 표현에 한정되어 이루어졌다는 점을 반성하고, 식감에 대한 감각형용사를 다룸으로써 맛을 형용하는 언어 표현에 대한 연구 지평을 넓히고자 하였다. 이에 식감의 의미를 돌아보고, 음식물이 입안에서 어떠한 성질을 드러내는지에 대하여 좀 더 과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식품공학 분야의 분석 방식을 도입하여 어휘를 분류하였다. 그래서 식품의 물성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기하학적 특성, 기계적 특성 등에 기초하여 식감 형용사를 분류하였다. 이러한 의미 분류 기준에 따라 어휘 분류 태깅을 마련하고 국립국어원에서 편찬된 <표준국어대사전>의 전체 표제어(423,161개, 2019.8.통계)를 대상으로 식감 관련 형용사를 검토하여 식감형용사 어휘 목록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식감형용사 전체 어휘 수는 505개로 집계되었으며 어휘의 의미 분포는 ‘표면, 견고성, 탄력, 점성, 습윤성, 열성, 떫음, 산뜻함(담백, 느끼함, 비림)’ 전반에 걸쳐 고루 발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감형용사의 조어적 특징으로는 ‘-하다’ 결합형이 다수를 차지하고(전체 어휘의 88.6%), 고유어가 대부분이고(92.07%), 자음교체와 모음교체에 따른 음성적 상징을 나타내는 어휘가 많았다.

      • KCI등재

        Calibration of Saturation Absorption Imaging of Ultracold Atom Clouds

        권우진,최재윤,신용일 한국물리학회 2012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1 No.12

        We describe an experimental method to calibrate an absorption imaging system for ultracold atom clouds. Optical density profiles of an atom cloud are obtained for various probe beam intensities and are analyzed to determine the correction factor for the effective probe beam intensity directly from saturation effects. We find that the temporal shape of the probe-beam pulse needs to be taken into account for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optical density measured in saturation absorption imaging. We show that this pulse-shape effect can lead to distortion of the density profile due to its nonlinear dependence on the optical depth.

      • KCI등재

        중등학교에서 사용 가능한 미세먼지 포집 장치 제작을 통한 대기 중 중금속 및 미생물 분석

        권우진,김영재,변정호 한국지구과학회 2015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sample particulate matter and analyze its elements and microorganisms for secondary school science project. The particulate matter was sampled on the rooftop a four-store building at a university in Chungju province. A simplified capturing system was developed with the parts, motor-pump, innet, 1.0㎛ teflon filter, filter-holder, etc. Using the system, this study had sampled particulate matter during Dec., 2013∼Jun., 2014. Then, this study analyzed the elements and microorganisms of the sampled particulate matter. Results have been shown that the particulate matter derived China urban area is mainly consisted of the artificial pollutant, such as Cu, Zn, Cd, Ni, Pb. In addition, this study has been shown that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fungi, are included in the particulate matte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new systemic investigation and monitoring about the particulate matter, specially originated from China. Also, this study provides a sample for secondary school science experiment. 이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미세먼지 포집 장치를 직접 설계 및 제작하고 이를 통해 미세먼지에 포함된 중금속 및 미생물을 분석하는 활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탐색하고자 한다. 중등학교 현장의 과학 탐구활동을 위해 청주지역에서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방법과 그 속에 포함된 중금속 및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미세먼지의 포집장소는 청주지역 대학교의 4층 건물 옥상에서 포집하였다. 모터 펌프, 인넷, 지름 1.0㎛ 테프론필터, 필터 홀더 등을 이용하여 포집장치를 제작하였다. 이 포집장치를 이용한 미세먼지 포집은 2013년 12월~2014년 6월까지 진행하였다. 포집한 미세먼지의 중금속 성분과 미생물 포함 여부를 분석하였다. 중국에서 날아온 미세먼지 속에는 Cu, Zn, Cd, Ni, Pb 등인위적인 오염물질로 판단되는 중금속 성분이 국내 기원 미세먼지 보다 많았다. 더 나아가, 미세먼지 속에는 중금속 뿐만 아니라, 곰팡이나 세균 같은 미생물도 다량 포함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미세먼지가 중금속 뿐만아니라 미생물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중등학교 과학실험의 사례로 제공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