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감성지능이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권오혁(Kwon, Oh Hyeok),신영식(Sheen, Young See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는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감성지능과 고객지향성과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미용서비스 산업에 종사하는 330명을 대상으로 2018년 2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표본으로 활용할 수 없는 6부를 제외한 324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그리고 3단계 매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사자의 감성지능은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성지능과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은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지능이 높은 종사자들은 자신의 직무에 대해서 유쾌하고 흥미, 성취감, 만족감 등을 찾는 직무만족이 높으며, 이러한 직무만족은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종사자의 경향인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하여 감성지능의 향상과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병행하여 제시한다면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능동적인 사고와 행동을 보일 것이며 또한 고객과의 장기적인 유대관계를 형성하여 조직의 경영성과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감성지능과 직무만족은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용서비스 산업의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in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ustomer orientation among cosmetology worker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mong a total of 330 beauty salon employees in Seoul and the capital region from February 1 to 28, 2018. Excluding six poorly answered questionnaires, 324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y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hroug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3-step medi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employees’ emotional intelligence reveale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Second, in an emotional intelligence-customer orientation relationship, job satisfaction showed an indirectly positive effect. Those with high emotional intelligence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showing strong interest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Such satisfaction revealed a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orientation among the employees who work hard to meet diverse customer needs. If there is a plan to enhance such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for efficient personnel management, therefore, the employees may show active thinking and behavior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They would also form a solid relationship with customers and make a large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performances.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are major variables having an influence on customer orientation. In addition, the study results can b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fficient personnel management plan in the cosmetology industr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A Direction of Building Local Governance in the Economic Region of Dongnam, Korea

        Kwon O-Hyeok(권오혁),Lee Woo-Bae(이우배),Kim Jae-Hong(김재홍) 한국지방정부학회 2007 지방정부연구 Vol.11 No.3

          오늘날 동남권의 주요 도시들은 기계 · 금속산업을 중심으로 거대 규모의 산업클러스터로 성장하였을 뿐 아니라, 상호 긴밀히 연계된 네트워크 도시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서로 연계된 산업도시들 간의 보다 높은 수준의 협력을 필요로 하며, 나아가 행정구역 경계를 넘어선 광역적 거버넌스를 요구한다.<BR>  이 연구는 동남권 지역경제에 대한 조사와 국내외 유사 사례에 대한 검토를 통해 동남경제권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와 민간 부문이 주도하고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형태의 광역적 거버넌스를 구축할 것을 제안한다. 광역적 거버넌스의 공간적 범위는 부산, 울산, 경남을 일차적 대상으로 하고, 점진적으로 대구와 경북 지방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거버넌스 조직의 핵심 기능으로는 광역적 경제통계 작성, 경제발전의 중장기 계획 등을 제시하였고, 또한 동남권 지역에 취약한 국제적 금융, 무역, 법률서비스 확충 및 공항과 도시철도 같은 광역인프라 구축을 포함한다. 중앙정부는 행 · 재정적 지원을 통해 이러한 거버넌스를 강화하고 지방자치단체 간의 협력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Dongnam region has grown as the most prominent cluster of mechanical engineering and metal industry in Korea since the late 1970s. Accompanying this growth in the Dongnam region, a problem has risen from geographic mismatches between the metropolitan-wide industrial cluster and its administrative boundary. Since the industrial cluster has no specific administrative boundary, adequate government support for developing the industrial cluster has not been provided. This article is aimed to find a more successful way to build metropolitan-wide governance for enhancing the industrial cluster in the Dongnam region. We begin our research with reviewing a current study of the regional cluster and its governance. Next, the current situation of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 cluster in the Dongnam region is examined to suggest policy for more competitiveness. At the end, this paper provides some implications to planners and policy makers.

      • KCI등재

        동남권신공항의 입지에 대한 검토

        권오혁(Kwon, O Hyeok) 한국공간환경학회 2011 공간과 사회 Vol.21 No.2

        동남권신공항의 건설 및 입지와 관련하여 정부 측의 최종 발표가 있었으나 해당 지역의 불만과 반발이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부산은 독자적으로라도 가덕도 신공항을 추진하겠다고 밝혔고 영남권의 여타 시·도들은 차기 대선 등을 활용하여 밀양에 신공항을 건설하려는 의지를 천명하였다. 그러나 동남권신공항의 입지문제는 지역 정서나 정치적 이해득실을 넘어서 지역의 장래에 진정으로 도움이 되는 객관적인 해법을 찾아야 한다. 이런 점에서 이 논문은 국내외의 공항 개발 및 운영 사례에 대한 조사 등을 바탕으로 동남권신공항의 필요성과 입지적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대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 commission in Korean central government stated that two new airport plans in south-east area was not competent. But local governments and people in south-east area have repulsed toward the statement intensely. They insist to build the airports even individually. The location and building of new airport in south-east area need not the political consideration but the objective solution to help the future of the reg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cational competence of two proposed sites critically with location theories of airport and the examination of various airports in the world.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경제특구 제도 비교 - 한국의 경제자유구역과 중국의 경제기술개발구를 중심으로

        권오혁(Kwon O-Hyeok) 한국지방정부학회 2007 지방정부연구 Vol.10 No.4

          경제특구 제도는 다종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세계 각국들로 확산되고 있다. 이 연구는 매우 혼란되어 있는 경제특구의 개념을 정리하고, 한국의 경제자유구역과 중국의 경제기술개발구에 대해 그 설립목적, 거버넌스, 기업유치 등 다양한 측면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중국의 경제기술개발구는 이미 상당한 성과를 거둔 바 있거니와 중국 경제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데 반해 한국의 경제자유구역 개발 사업은 여전히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데는 여러 상황적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겠지만, 이 연구에서는 두 경제특구에 있어서 제도 및 전략적 차이에 주목하여 그러한 성과의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핵심적 요인으로서, 유치 산업의 선정, 거버넌스의 적정성, 기업유치 수단의 효과성 등 세 가지를 지적한다.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concept of the special economic zone (SEZ). SEZ is variously defined according to different nations or regions. Generally speaking, it is aimed at making the national or regionaleconomies more active by upgrading infrastructure, providing a better business and living environment, and attracting multinational corporations. We also analyze the SEZ development projects in Korea and China comparatively. Chinese SEZs have attracted a lot of manufacturing companies and have given the country large economic gains. By comparison, Korean free economic zones have not made such significant gains. Korean economic bureaucrats, who thought that a service industry could become another source of Korean economic growth, regarded FEZ as an indirect means to this end. However the contents of the FEZ project were not only unrealistic but also ineffective as means to this end.

      • KCI등재

        참여정부의 신지역주의적 산업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권오혁(Kwon, O-hyeok) 한국지역개발학회 2005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gional economic policies of Korean govemment critically and analyse the problems. The present Korean govemment has been trying to accomplish two goals,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with new regionalistic industrial policies. But the outcome of the policies is not still satisfied and the criticism for the policies h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se problems are caused from the theoretical confusion and the policy mistakes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model to policy‘ Especially, the policy mixing of the industrial cluster theory and regional innovation system is regarded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have made such a failure of policy.

      • KCI등재
      • KCI등재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심리적 자본이 역할 내 행동에 미치는 영향

        권오혁(Kwon, Oh Hyeok),신영식(Sheen, Young See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는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심리적 자본과 역할내 행동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미용서비스 산업에 종사하는 4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5월 2일부터 6월 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표본으로 활용할 수 없는 8부를 제외한 392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그리고 3단계 매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사자의 심리적 자본은 내재적 동기와 역할 내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자본과 역할 내 행동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는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자본이 높은 종사자들은 자신의 직무에서 가치 지향적 사고와 즐거움 및 만족감을 찾는 내재적 동기를 가지며, 이러한 내재적 동기는 직무에 대한 능동적 사고를 유발하며 성취욕을 강화시켜 개인의 직무성과의 향상과 조직의 성과에도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하여 심리적 자본의 향상과 내재적 동기부여를 강화하는 방안을 병행하여 제시한다면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진취적이고 능동적인 역할 내 행동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심리적 자본과 내재적 동기는 역할 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용서비스 산업의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방안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is study looked at deter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in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in-role behavior among cosmetology worker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a total of 400 beauty salon employees in Seoul and the capital region from May 2 to June 1, 2018. Except for eight poorly answered questionnaires, 392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y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hroug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3-step medi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employees’ psychological capital revealed a positive influence on intrinsic motivation and in-role behavior. Second, in a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in-role behavior, intrinsic motivation showed an indirectly positive effect. Those with high psychological capital tended to have intrinsic motivation to seek value-oriented thinking, pleasure and satisfaction at their work. Such intrinsic motiv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personal job performanc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by inducing active thinking regarding their job and strengthening the desire to accomplish. If there is a plan to enhance such psychological capital and strengthen intrinsic motivation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beauty salon employees, therefore, aggressive and active in-hole behavior targeted to increas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are expected.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capital and intrinsic motivation are major variables having an influence on in-role behavior. In addition, the study results can b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fficient personnel management plan in the cosmetology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