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매체 시대, 한국의 소비자는 누구일까? : 한국의 소비자 유형과 광고매체 효과 비교

        권예지(Yeji Kwon),신의경(Euikyung Shin),윤성인(Sungin Yun)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광고연구 Vol.0 No.126

        이 연구는 개별 소비자 중심의 마케팅이 필수적인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분석을 세대론에 기대어 살펴보는 현상에 문제를 제기하며, 한국 소비자들의 1) 라이프스타일과 소비가치 요인분석, 2) 한국 소비자 군집분석 및 특성 파악, 3) 한국 소비자 집단, 매체별 광고 효과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거주자, TV․유튜브, 네이버/다음 중 2개 이상 시청한 자 7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얻었다. 연구결과, 한국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은 DIY, 종교적 삶, 트렌디함의 3가지 유형, 소비가치는 실용안전, 저가, 쾌락, 심미, 혁신, 공동체, 자율성의 7가지 유형으로 나왔다. 한국의 소비자 집단은 비지슈머(일에 치여 바쁜 직장인), 무소슈머(무색무취의 소극적 소비자), 모스트슈머(모험적인 스마트 트렌드세터), 유틸슈머(전방위적 실용 소비자)로 구성됐다. 마지막으로 광고 효과는 소비문화를 이끄는 모스트슈머 집단이 TV, 유튜브, 포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OTT(over-the-top) 등의 모든 매체에서 다양한 광고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유틸슈머도 새로움을 지향하고 보다 좋은 물건을 구입하는데 관심이 많아 모스트슈머 다음으로 광고 효과가 높은 편이었다. 무소슈머는 온라인 매체의 광고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비지슈머는 구매의도는 낮았으나 추천의도는 높은 편이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라이프스타일과 소비가치에 기반을 둔 소비자 집단 도출과 광고 효과의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를 논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and profile Korean consumers based on lifestyle and consumption values instead of cohort or generation, and to investigate advertising effects across several media channels. In this context, we explored 1) subfactors of lifestyle and consumption values in the Korean context, 2) cluster groups of Korean consumers based on those subfactors and 3) differences of advertising effects among those cluster group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700 Seoul residents who reported viewing similar advertisements on at least two of the following types of media: television (TV), YouTube, and/or Naver/Daum portal websites. As a result, we identified three lifestyle subfactors: DIY, religious life, and trendy styles. We also identified seven consumption value subfactors: practical, safety, low-cost, pleasure, aesthetics, innovation, community, and autonomy. Using the identified subfactors, we divided the respondents into four groups: Busy-sumers (workaholics who lack the time to shop), Muso-sumers (tasteless and passive consumers), Most-sumers (adventurous and smart trendsetters), and Utility-sumers (practical and catch-all consumers). Lastly, when we compared advertising effects on the four consumer groups across various media, such as TV, YouTube, portals, Facebook, Instagram and streaming services, the Most-sumer group was the most affected by the advertisements, followed by the Utility-sumers, who were interested in exploring and purchasing new or better products and services. Muso-sumers showed a relatively low advertising effect through online media, while Busy-sumers ironically showed both low purchase intention and high recommendation inten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TV광고와 디지털 광고가 만났을 때: 크로스 미디어 광고 효과와 다중매체 이용도에 따른 광고 효과

        권예,이희준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광고연구 Vol.0 No.12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of different media type (digital media vs. TV) based on consumers' multi-media usage. 800 respondents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ur advertisement groups according to the media typesand the number of ads they watc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tends to be higher when consumers are exposed to TV and digital advertisements simultaneously. Only the group difference between group 1 and group 2, 3, 4 was found in the post-hoc analysis. In the execution of cross-media by traditional media and digital media, "multimedia usage" has beenfound to be a key factor of word-of-mouth intention and in building a favorable attitude towardsadvertisements. These finding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target mutimedia users and make anadvertisement production and media planning strategy reflecting the platform characteristics ratherthan the One Source Multi Use strategy of advertisement. 이 연구는 다중매체 환경과 소비자의 다중매체 이용에 집중하여 TV와 디지털 매체 및 광고 유형별 광고 효과, 소비자의 다중매체 이용도에 따른 매체․광고 유형별 광고 효과 차이를 탐색해보고자 했다. 광고 매체와 광고 유형 노출에 따라 집단 4개(집단 1: TV 가상광고, 집단 2: TV 가상광고+TV 영상광고, 집단 3: TV 가상광고+TV 영상광고+디지털 영상광고, 집단 4: TV 가상광고+TV 영상광고+디지털 영상광고+디지털 배너광고)로 구성했다. 응답자들은 임의적으로 한 집단에 배정되어 광고에 노출된 뒤 광고 효과 문항에 응답했다. 그 결과, TV와 디지털의 다양한 광고 유형을 동시 집행했을 때 전반적으로 광고 효과가 긍정적이었으나, 사후 분석에서 집단 1과 집단 2, 3, 4 간의 차이만 나타났다. 전통매체와 디지털 미디어의 크로스미디어 집행에서 ‘다중매체 이용도’는 광고 효과 중 ‘광고 태도’와 ‘구전의도’에 핵심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분석결과들을 바탕으로 광고의 원 소스 멀티 유즈(one source multi use) 전략보다 플랫폼 특징을 살린 광고 제작과 매체 전략, 다중매체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광고 전략의 필요성을 논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마인드셋 변화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

        권예지(Yeji Kwon),이은주(Eunju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0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마인드셋 변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마인드셋 변화 프로그램은 1회 40분씩 총 6차시로 구성되었으며, 차시별로 교육용 영상자료와 워크북을 제공하여 체계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초등학교 4, 5, 6학년 별 각각 2학급씩 총 6학급에 재학 중인 125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학년당 1개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마인드셋(성장 마인드셋과 고정 마인드셋), 성취목표지향성(숙달접근목표와 수행회피목표), 수업참여를 비교한 결과 마인드셋 변화 프로그램을 통하여 실험집단의 성장 마인드셋과 숙달접근목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고정 마인드셋은 감소하였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향상된 성장 마인드셋은 숙달접근목표의 증진을 매개로 수업참여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본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낮아진 고정 마인드셋은 수업참여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indset change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mindset change program consisted of 6 sessions at 40 minutes each. Educational video materials and workbooks were provided for systematic learning.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125 4-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One class per grade was assign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mindsets(growth mindset and fixed mindse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mastery approach goal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and class engagemen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compared. The growth mindset and mastery approach goal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by participating the mindset change program while the fixed mindset decreased. The improved growth mindset by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in class participation through the increase of the mastery approach goal. Finall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 초등영어 학습도구로서 자기평가의 제작 방향 : 평가 문항 형태를 중심으로

        권예,이완기 한국영어평가학회 2016 영어평가 Vol.11 No.1

        Self-assessment has been introduced in primary English education in line with growing interest in learner-centered language teaching and Assessment as Learning. Despite the widespread adoption in textbooks, self-assessment item format seems to have limited context and information for students to diagnose and reflect on their learn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guidelines on self-assessment in terms of item format construction. Two item formats(specific / abstract) were administered to 4th grad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comprised of 11 student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represent the validity of self-diagnosis compared with teacher's. Levels of reflection were also examin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responses. Findings suggest that specific form provided students of all levels clear standard for objective diagnosis. Abstract form, however, led to subjective grading with intervention of learner variables. As for reflection, specific format was particularly significant for low level learners' reflection who lacked learning strategies. On the basis of results, reexamination and further revision of item formats are required to promote self-assessment as learning.

      • 전주 대표 채소 애호박을 활용한 ‘사랑愛호박 고로케’ 개발

        권예,권예,전효준,신형훤,성지혜,김태완,이승환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21 No.10

        ‘전주 한옥마을 먹킷리스트’를 검색해 보면 고로케가 눈에 쉽게 띈다. 떡갈비, 전주비빔밥 등 전주를 떠올리게 하는 고로케는 많지만 전주지역의 특산물을 사용한 고로케는 없다. 전주 대표 채소 애호박을 사용하여 ‘사랑愛호박 고로케’를 개발했다. 애호박은 섬유소와 당질, 비타민(A, C)가 함유되어 있어 소화 흡수에 좋다. 고로케 특성상 기름에 튀겨 섭취하는 식품이기 때문에 이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애호박은 특정한 맛이 강하지 않고 약간의 단맛과 감칠맛을 지니고 있어 다른 재료와의 조합이 용이하다. 그렇기에 우리는 애호박과 잘게 자른 새우와 소고기를 활용한 한국적인 고로케를 개발했다. 또한 한입에 넣기 좋은 핑거푸드 사이즈로 만들어 간편하게 음식을 먹을 수 있게 하였다. 코로나 19로 인해 가정간편식(HMR) 시장이 커지면서 가정용 에어프라이어의 대중화가 성장세를 견인했다. 이에 따라 냉동식품, 에어 프라이어 전용 제품 시장이 급증하였다. 바쁜 현대인들에게 손쉽게 먹을 수 있도록 편리함을 주고자 애호박 고로케를 HMR 제품으로 개발했다. 전주 한옥마을 대표 길거리 음식인 고로케를 한국형으로 개선하여 대량으로 HMR로 유통할 것이다. 본 개발을 통해 행해진 사랑愛호박 고로케는 전주 한옥마을에 걸맞은 맛스러운 HMR 제품, 전주가 세계적인 식도락 기행의 명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이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진 여대생의 신체상 불만족, 신체 수치심, 자기존중감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권예,김정호,김미리혜 대한스트레스학회 2018 스트레스硏究 Vol.26 No.4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elf-Compassion Program on body satisfaction, body shame,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negative body image.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the top 35%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negative body image. The 25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treatment group (n=13) or a control group (n=12). The treatment group participated in weekly, 60-minute Self-Compassion Program sessions in a group format over a 6-week period. Results: Reports of body dissatisfaction and body shame decreased significantly more in the treatm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expected life satisfaction scores increased significantly more in the treatm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between groups at post treatment. The one-month follow-up results showed that the beneficial improvements were maintained. Conclusions: The findings support the efficacy of the Self-Compassion Program on body dissatisfaction, body shame and self-esteem.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이 부정적인 신체상을 지닌 여대생의 신체상 만족도, 신체 수치심, 자기존중감 및 주관적 웰빙에도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서울 소재 여자 대학에 재학중 인 여대생 229명 중 신체상 불만족 점수가 상위 35%에 해당하는 대상자를 처치집단(N=13) 및 통제집 단(N=12)에 무선할당 하였다. 처치집단에 주 1회, 회당 60분 이내, 총 6회기의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 램을 실시했다. 사전검사, 사후검사 및 1개월 후 추후검사 분석 결과 처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신체 상 불만족, 신체 수치심이 유의하게 감소했고, 자기존중감, 삶의 만족 및 삶의 만족 예상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추후 검사에서도 유의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긍정정서와 부정정서는 처치 전-후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