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永言』의 특성

        권순회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6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newly discovered Gajip Youngeon to academia and to grasp its characteristics. Youngeon is currently in the National Hangeul Museum. It is a small Gajip that adopts thematic classification method. The total number of recorded words is 118(including Appendix 2). Two of these numbers were duplicated and actually 116 were recorded. Among them, four works are new. A total of 17 manuscripts(excluding cover). Recently confucian Choi, Man-Hee, who lived in Samcheok, Gangwon Province, were in possession. There is his book stamp on it. The cover was later revised by him. Youngeon is written at the beginning of the text. There are two more Gajip with the same title.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distinguish them from the National Hangeul Museum. Instead of singing theory or preface, 12 heading lists are written in red. Lyrics are composed of Korean and classical Chinese, and they are written in Gagok 's five – section display in sentence form. And the marking of the artist was omitted. The main word is marked in the margin at the top of the lyrics. The main word is marked in the margin at the top of the lyrics. This part writes down a letter. The lyrics are remarkable with the Gajips compiled in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ies. Youngeon was also edited during this period. Therefore, the year of handwriting was identified as Year of Imsul(壬戌) 1862. The compiler estimated that he was a person who loved Gagok for the rest of his life in Samcheok, Gangwon Province. Youngeon (National Hangeul Museum) is particularly noteworthy in that it is a full-scale subject classification Gajip, but also shows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lyric is composed of 'filial duty[孝]', 'loyalty[忠]', 'peaceful[太平]', 'lament the world[歎世]', 'lament old[歎老]', 'worry[愁]', 'entertain an idea[懷]', ‘obtain[求]’, ‘right and wrong [是非]’, ‘pure and free[淸閑]’, ‘love[相思]’, and ‘long(弄)’. Among them, ‘long’ was confirmed as a music title such as ‘Manhoengcheongnyu(蔓橫淸流)’, not a main word. It has the same composition as Gogeumgagok, but the classification stratum is somewhat more comprehensive than Gogeumgagok(古今歌曲). However, if you look closely, you can see how various interests are projected and transformed. The lyrics are recorded in ‘pure and free’ and ‘love’ and the aspect of transformation of lyrics shows its focus. This is a reflection of the taste of Gagok by an individual or a group of friends, and a reflection of Gagok enjoyment and culture of taste for the arts in Samcheok. 본고의 목적은 새로 발굴한 가집 『永言』을 학계에 소개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영언』은 현재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주제 분류 방식을 취하고 있는 작은 가집이다. 수록된 노랫말은 총 118수(추록 2수 포함)이다. 이 가운데 2 수가 중복되어 실제는 116수가 수록되었다. 이 가운데 신출작은 4수이다. 『영언』(국립한글박물관본)은 필사본 1책 총 17장(표지 제외) 분량이다. 근년에 강원도 삼척에 거주하던 儒生 崔晩熙라는 사람이 소장했던 것으로 그의 장서인이 찍혀 있다. 표지는 그가 개장한 것이다. 제명은 “永言”으로 본문 시작 부분에 적혀 있다. 같은 제명을 가진 가집이 2종이 더 있다. 본고에서는 국립한글박물관본 『永言』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권두에는 가창 이론이나 서발문 대신에 주제어 목록 12개를 붉은 글씨로 적어 놓았다. 노랫말은 국한문을 혼용하여 줄글 형태로 가곡의 5장 구분 표시를 하여 수록하고 작자 표기는 생략했다. 주제어는 노랫말 상단에 표기되어 있는데 이 부분은 노랫말을 한 글자 내려 썼다. 노랫말들은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전반에 편찬된 가집들과의 공출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확인되는데, 『영언』(국립한글박물관본)도 이와 비슷한 시기에 편집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필사기의 壬戌年은 1862년으로 파악했다. 편자는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강호적 삶을 영위하며 평생 가곡을 애호하던 풍류인으로 파악했다. 『영언』(국립한글박물관본)은 전면적인 주제 분류 가집이면서도 지역적 특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특별히 주목된다. 노랫말은 ‘孝’, ‘忠’, ‘太平’, ‘歎世’, ‘歎老’, ‘愁’, ‘懷’, ‘求’, ‘是非’, ‘淸閑’, ‘相思’, ‘弄’ 등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 가운데 ‘弄’은 주제어가 아니라 ‘蔓橫淸流’와 같은 악곡명으로 확인되었다. 『고금가곡』과 유사한 편제를 갖추고 있지만 분류 층위는 『고금가곡』에 비해 다소 포괄적이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양한 관심들이 투영되고 변주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청한’이나 ‘상사’에 노랫말이 집중된 것이나 노랫말의 변용 양상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는 편자 개인이나 동류 집단의 가곡에 대한 취향이나 향유의 기억을 생생하게 담아내는 동시에 삼척 지역의 가곡 향유와 풍류 문화의 일단이 반영된 결과라 하겠다.

      • KCI등재

        19세기 말 外衙前이 편찬한 가집 『東方諸賢歌譜』의 특성

        권순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4 民族文化硏究 Vol.10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jo anthology Dongbangjehyeongabo, compiled by lower level officials at local government offices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its compilation. Dongbangjehyeongabo is a newly discovered material. In Chapter 2,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Dongbangjehyeongabo is one manuscript volume. There is no damage or wear, and the cover is as it was at the time of editing. 378 poems of sijo were included. It was found to have been transcribed by a lower level official in Seonsanbu, Gyeongsang Province at the Dalseong Inn in Daegu in January 1888. In Chapter 3, we looked at the organization of the Sijo anthology. Dongbangjehyeongabo is a Sijo anthology that is a re-edited version of the mid-18th century Sijo anthology Gajobyeolram(歌調別覽). Unlike the original Gajobyeolram, the only musical compositions are Isakdaeyeop(二數大葉) and Samsakdaeyeop(三數大葉). Of the 378 works, 374 were arranged in Isakdaeyeop, and only 4 works were included in Samsakdaeyeop. The works included in the author’s name is known section are copied directly from the original work, Gajobyeollam. On the other hand, the author’s name is unknown section contains greatly abbreviated works with unknown authors listed below. From this, Dongbangjehyeongabo can be said to be a Sijo anthology edited with a focus on the Isakdaeyeop author’s name is known section. Chapter 4 analyze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versions. In addition to Gajobyeolram, other versions of Dongbangjehyeongabo include Siga(詩歌, Park’s version), and Gasa(歌詞, Kwon Soonhoi version A). These were all re-copied in the late 19th century, but each had a different editing direction. Gajobyeolram is a faithful copy of the original compiled in the mid-18th century. In contrast, Siga(Park’s version) faithfully copied the original but re-edited it to reflect the editor’s various interests. Gasa(Kwon Soonhoi version A) is a case in which the original text was abbreviated and the Gagokchang anthology was modified according to the editor’s musical taste. According to the Sijochang format, 70.4% of works omit the last foot of the last lines. Dongbangjehyeongabo is a Sijo anthology that was re-edited focusing on the Isakdaeyeop author’s name is known section, excluding all musical information. In Chapter 5, the context of compilation was identified instead of a conclusion. The context in which the 18th century Sijo anthology was recall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lower level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 offices and insignificant noblemen regarded the 18th century Sijo anthology as the canon of Sijo. The reason is, above all, that the 18th century Sijo anthology included many works by famous artists that they regarded as their signature. This is the reason why the Sijo anthology was re-edited with the author’s name is known section at the center and given a new title including phrases such as Dongbangjehyeon(東方諸賢) or Dongguk myeonghyeon(東國名賢). They compiled the Sijo anthology by using the 18th century anthology as a model, re-editing it, adding their own interests or tastes, or writing new works and including them together. 이 글의 목적은 19세기 말 外衙前이 편찬한 가집 『東方諸賢歌譜』의 특성을 분석하고 편찬 맥락을 파악하는 데 있다. 『동방제현가보』는 신발굴 자료이다. 2장에서는 서지적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동방제현가보』는 필사본 1책이다. 낙장되거나 마모된 곳이 없고 표지도 편집 당시의 그대로다. 시조 378수가 수록되었다. 1888년 1월에 대구 달성여관에서 경상도 선산부의 衙前이 필사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3장에서는 가집의 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동방제현가보』는 18세기 중반 가집 『歌調別覽』을 재편집한 가집이다. 저본인 『가조별람』과 달리 악곡 편제는 이삭대엽과 삼삭대엽뿐이다. 378수 가운데 374수가 이삭대엽에 배열되었고 삼삭대엽에는 단 4수만 수록되었다. 이 가운데 이삭대엽 유명씨 수록 작품은 『가조별람』을 그대로 필사하였다. 반면에 무명씨 항목에는 이삭대엽 무명씨 이하 작가를 알 수 없는 작품을 축약해서 실었다. 이로 보아 『동방제현가보』는 이삭대엽 유명씨 대목에 초점을 두고 편집된 가집이라 할 수 있다. 4장에서는 이본 관계를 분석하였다. 『동방제현가보』의 이본은 『가조별람』 이외에도 『詩歌』(박씨본), 『歌詞』(권순회본A)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19세기 후반에 재필사되었는데 편집 방향이 각기 다르다. 『가조별람』은 18세기 중반에 편찬된 원본을 충실하게 필사했다. 이와 달리 『시가』(박씨본)는 원본을 충실하게 필사하면서도 편자의 다양한 관심을 반영하여 재편집했다. 『가사』(권순회본A)는 원본을 축약하고 편자의 음악적 취향에 따라 가곡창 가집을 변개한 경우이다. 시조창 형식에 따라 종장 말음보를 생략한 작품이 70.4%나 된다. 『동방제현가보』는 일체의 악곡 정보를 배제하고 이삭대엽 유명씨 중심으로 재편집된 가집이다. 5장에서는 결론을 대신하여 편찬 맥락을 파악했다. 『동방제현가보』와 『가조별람』은 外衙前들이 편찬한 가집이다. 이처럼 19세기 말에 18세기 가집이 다시 소환되는 맥락은 외아전들이 18세기 가집을 고시조의 正典으로 여긴 데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사례는 지방의 한미한 사족들에게서도 포착된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 18세기 가집에 그들이 사표로 여기는 名賢들의 작품이 다수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유명씨 대목을 중심에 놓고 재편집한 후 가집의 제목을 “東方諸賢”이나 “東國名賢”과 같은 문구를 포함해서 새로 부여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들은 18세기 가집을 전범으로 삼아 이를 재편집한 바탕에 자신의 관심이나 취향을 더하거나 새로운 작품을 지어 함께 수록하는 방식으로 가집을 편찬했던 것이다.

      • KCI등재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律譜』의 특성과 계보

        권순회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9 고전과 해석 Vol.29 No.-

        본고에서는 신발굴 자료인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律譜』를 학계에 소개하고 그 특성과 계보를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서지적 특성을 파악했다. 『율보』는 필사본 1책, 총 22장(표지 제외 44면) 규모의 가집이다. 금보와 함께 시조 99수, 가사 8편이 수록되었다. 필사 시기와 편자는 알 수 없다. 1면 에 ‘墨緣’, ‘杏農’이라는 붉은색 장서인 보이는데 底本에 찍혀 있던 것을 그대로 모사한 것이다. 이를 통해 『율보』는 재필사한 가집이고, 저본의 편자는 ‘杏農’이라는 사실이 드러난다. ‘墨緣’이 秋史 金正喜(1786~1856) 주변 인물들 사이에서 자주 쓰이던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杏農’은 추사의 지인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율보』는 19세기 전반에 처음 편집되었고 1890년대 후반에 현재의 형태로 재필사 된 것으로 보인다. 앞뒤 표지 안쪽 배접지에 “陰竹郡印”이라는 方印이 포착되는 데 재필사한 후 찍은 것이다. 1895년 陰竹縣이 陰竹郡으로 재편된 사실에 주목하면 『율보』의 재필사 시기는 1895년 이후, 대략 1890년대 후반으로 판단된다. 3장에서는 『율보』의 편제와 가곡 한바탕의 악곡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율보』는 금보 및 가곡장단도, 남녀창 가곡 한바탕, 가사, 시조, 남창 부조로 구성되었다. 가곡 한바탕에는 남창 19곡, 여창 9곡이 수록되었다. 무엇보다 ‘代受酙’, ‘衰玉’, ‘夜數大葉’, ‘庭花數葉’, ‘回樂’ 등 독특한 악곡명이 등장한다. 19세기 전반 가곡 한바탕의 분화 과정에서 새롭게 파생된 악곡들은 명목을 얻기 이전에는 여러 이름으로 불렸던 바 이들도 그러한 과도기적 사례이다. 가곡 한바탕의 편제는 남녀창 모두 ‘반엽’이 등장하고 우계면 체제가 분명할 뿐만 아니라 ‘두거’를 ‘삼삭대엽’ 뒤에 배치했다. 이는 『율보』가 19세기 중엽의 산물임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계소용’도 보인다. 여창에서는 ‘回樂’이라는 이름으로 ‘환계락’이 등장한다. ‘臺’가 ‘庭花數葉’이라는 이름으로 남창에만 배치되었다. 『율보』의 편찬 당시에는 ‘臺’의 기능이 다소 유동적이었고 명목도 얻지 못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4장에서는 가곡 한바탕의 노랫말 특성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남창 57수, 여창 22수 도합 79수가 수록되었다. 10수를 수록한 남창 계면 ‘이삭대엽’을 제외하고 악곡당 1~5수 내외를 배치하였다. 당대에 가곡 연행 현장에서 실제로 널리 불리던 노랫말 가운데 대표곡 위주로 수록한 결과이다. 『율보』가 연행 현장에서 소용되던 연창 대본이었음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5장에서는 『율보』의 이본인 『歌詞』(羅孫本), 『時調音律』과 특성을 비교하고 그 계보를 탐색하였다. 이들은 모두 19세기 전반에 편집된 가집을 재필사한 것들로, 『가사』(나손본)가 가장 먼저 편집된 것으로 드러났다. 남녀창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독특한 악곡명이 쓰이고 있는 것은 가곡 한바탕이 막 분화되기 시작한 시기의 특성이다. 이에 비해 『율보』는 『가사』(나손본)와 악곡명은 공유하고 있지만 보다 안정된 한바탕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시조음율』에서는 『가사』(나손본)나 『율보』와 다르게 독특한 악곡명은 쓰이지 않는다. 이들이 한바탕 내에서 명목을 획득했기 때문이다. 체제도 『율보』보다 정비되어 있다. 이로써 이들 사이의 파생 경로는 ‘『가사』(나손본) → 『율보』 → 『시조음율』’로 파악된다. 이들은 19세기 전 ... This paper introduces the newly discovered Gajip, Gagok song book 『Yulbo(律譜)』, owned the National Museum, to the academic community and examines its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Chapter 2 identified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Yulbo』 is a collection of one manuscript, a total of 22 sheets(44 pages excluding the cover page). Along with the Geomungo(Korean musical instrument with six strings) score, 99 Sijo and eight Gasa lyrics were included. The timing of the manuscript and the editor are unknown. On the front page, you can see the red ownership stamp "Mukyeon(墨緣)" and "Hangnong(杏農)", which is a copy of the original script. This reveals that 『yulbo』 is recopied Gajip, and that the original scripted editor is "Hangnong". Considering that "Mukyeon" was frequently used among figures around Chusa Kim Jung-hee(金正喜, 1786~1856), "Hangnong" is believed to be a friend of Chusa’s. Then, it seems that 『yulbo』 was first edited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copied again in its current form in the late 1890s. A square of "Eumjukgun(陰竹郡)" stamp is visible on the backing paper inside the front and back cover,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taken after being recopied. Noting that "Eumjukhyun(陰竹縣)" was reorganized as "Eumjukgun" in 1895, it is believed that the period of the being recopied of the 『Yulbo』 was after 1895 and in the late 1890s In Chapter 3, the organization of 『Yulbo』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pieces of Gagok Hanbatang were discussed. The 『Yulbo』 was composed of Geomungo score and the picture of Gagok rhythm, song of men and women's Gagok, Gasa, Sijo, Nanchang(男唱) Bujo(浮調), In the song of Gagok Hanbatang, there are 19 men’s and 9 women's Gagok musical pieces, Above all, a unique musical name is found. That is 'Daesujim(代受酙)', ​'Jonsudaeyeop(죤數大葉)', 'Seook(衰玉)', 'Yadaeyeop(夜數大葉)', 'Jeonghwasuyeop(庭花數葉)' and 'Heorak(回樂)'. Newly derived musical pieces in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were called by various names that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pieces before they were nominal, and they are regarded as such transitional cases. The organization of Gagok Hanbatang shows that 'Banyeop(半葉)' appears in both men and women's song and the 'Wujo(羽調)' and 'Gyemyeonjo(界面調)' system is clear. In both men and women song, 'Dugeo(頭擧)' is located behind 'Samsakdaeyeop(三數大葉)', which shows that 『Yulbo』 is a product 'Dugeo' was derived and 'Gunggeo(中擧)' and 'Pyeonggeo(平擧)' did not appear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Gyesoyong(界騷聳)' is also visible. In Yeochang(women's song), ‘Hwangeirak(還界樂)’ appears in the name of 'Heorak'. ‘Hwangeirak’ is Called by many names, it appears to have been nominal in the late 19th century. ‘Dae(臺)’, ending song, appears only in the Nanchang(mes’s song) the name of 'Jeonghwasuyeop'. This shows that at the time of the compilation of the 『Yulbo』, the function of 'Dae' was somewhat fluid and yet nominal. In chapter 4, we discussed the lyrics of the Gagok Hanbatang. A total of 79 pieces, Namchang 57, pieces, Yeochang 22 pieces were recorded. 1~5 numbers per music were arranged. It is the result of the representative song, which was actually widely used at the stage of performing Gagok. It is a passage showing that 『Yulbo』 was a singing script used at the performance site. In Chapter 5,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Yulbo』, 『Gasa(歌詞)』(Collection of Nason) and 『Sijoeumryul(時調音律)』 and explored the genealogy. They were all recopied of Gajip edited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ith 『Gasa』(Collection of Nason) being the first to be edit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Namchang and Yeochang is not clear and the use of a unique musical name clearly shows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Gagok Hanbatang was diversed. On the other hand,...

      • KCI등재

        필사본 『流行雜歌』의 특성과 활자본 잡가집의 생성 경로

        권순회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5 No.-

        본고에서는 새로 발굴한 필사본 『流行雜歌』의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활자본 잡가집의 생성 경로를 파악하였다. 2장에서는 필사본 『유행잡가』의 서지와 편제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필사본 『유행잡가』의 필사 시기는 1910년으로 활자본 잡가집에 선행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수록 작품은 총 25편으로 잡가, 단가, 시조, 가사 등으로 당대에 널리 불리던 노래들이다. 이 가운데 잡가가 15편이나 수록되어 이 가집이 잡가 위주로 편집된 사실을 말해준다. 3장에서는 필사본 『유행잡가』와 활자본 『新舊流行雜歌』의 관계에 대해 고찰했다. 논의 결과 필사본 『유행잡가』와 활자본 『신구유행잡가』는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필사본 『유행잡가』에 수록된 작품들이 모두 활자본 『신구유행잡가』에 수록되었을 뿐만 아니라 작품의 수록 순서가 완전히 일치한다. 이것은 『신구유행잡가』가 필사본 『유행잡가』를 그대로 수용한 바탕 위에 당시에 인기를 끌던 새로운 노래들을 추가해서 편집했다는 것을 말해준다. 4장에서는 1914년 이후 등장한 활자본 잡가집의 생성 경로에 대한 논의를 전개했다. 활자본 잡가집의 저자들은 대부분 출판업자들로 이들은 필사본 잡가집을 저본으로 삼고 여기에다 당대에 인기를 끌던 레퍼토리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활자본 잡가집을 간행했다. 본고에서 살펴본 필사본 『유행잡가』와 활자본 『신구유행잡가』가 바로 그러한 경우이다. 이러한 편집 과정을 거쳐 마련된 초기의 활자본 잡가집은 이후에는 이들을 복제하거나 새로 인기를 얻은 레퍼토리를 추가해서 수정․증보하는 방식으로 확대․재생산된 사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가곡 연창 방식에서 중대엽(中大葉) 한바탕의 가능성

        권순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6 民族文化硏究 Vol.44 No.-

        이 논문은 실체가 명확하게 구명되지 않았던 중대엽 악곡과 唱詞에 대한 탐구를 통해 가곡 연창 방식에 있어서 中大葉 한바탕(篇歌)의 가능성을 제기함으로써 시조사의 추이를 보다 입체적으로 조망하려는 의도에서 기획되었다. 논의 결과 우리는 중대엽은 17-18세기에 우리가 이해하던 것보다 훨씬 체계적인 연창의 틀을 확립하고 있었다는 여러 사실을 확인하였다. 17세기 초중반에 중대엽은 네 개의 악조로 분화되고 체계적인 연창의 틀을 갖추어 나갔다. 하지만 아직 다양한 악곡으로 분화되는 단계는 아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중대엽의 악곡 분화는 17세기 후반부터 확인된다. 17세기 후반 4개 악조×3악곡=12악곡으로 구성되는 중대엽 악곡의 틀이 확립된다. 18세기 초에는 중대엽 각 악곡을 대표할 수 있는 노래말이 고정된다. 악곡의 분화가 완료되고 노랫말이 고정되면서 이 시기에 중대엽 한바탕이 확립된다. 이런 점에서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는 중대엽의 전성기라고 볼 수 있다. 그동안 우리는 18세기 초중반에 간행된 가집들을 통해 이 시기 중대엽이 초삭대엽과 함께 거의 가창되지 않은 결과로 인식했었다. 하지만 금보나 시조 한역 자료 등을 통해 중대엽이 18세기 중반 무렵까지도 활발하게 연창된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고는 중대엽 한바탕의 존재를 한바탕을 마무리하는 노래인 '臺'를 통해 구명하였다. 중대엽 한바탕은 악조와 악곡을 고려할 때 연행 상황에 따라 최대 12곡의 노래로 구성할 수 있고 한바탕을 마무리하는 대받침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파악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y of Sijo suggesting the potential of Joongdaeyeop (midium tempo) Hanbatang in the singsing method through examining the musical pieces of Joongdaeyeop and lyrics of those songs. The findings show evidences of the Joongdaeyeop forming it's fundamental structures during 17-18th centuries, which is better established structure than today's common understanding. In the early and middle of the 17th century, Joongdaeyeop was subdivided into four musical tones. However, it was yet to be subdivided into various musical pieces. The subdivided music pieces of Joongdaeyeop started to appear in the late 17th century. In the late 17 century, the structure of Joongdaeyeop which consisted of 4 tones × 3 pieces to make 12 pieces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18C, the words to represent each piece of Joongdaeyeop is fixed. After the division of pieces and fixation of the words, the Joongdaeyeop Hanbatang is established. In this line, the time between the late 17 century and the early 18C can be seen as the peak time for Joongdaeyeop. It has been believed through song books published in the middle of 18 century that Joongdaeyeop along with Mandaeyeop(slow tempo) were not sang during those times. However, reviewing resources of Sijo interpreted into Korean and of musical notes for traditional Korean stringed instrument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Joongdaeyeop was sang in many occasion upto the middle of 18th century. This study found the existence of Joongdaeyeop Hanbatang through the song 'Dae(臺)' which is closing song of the Hanbatang. It is also found that, given the musical tones and pieces in it, Joongdaeyeop Hanbatang can consist of 12 pieces of song at maximum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that there was Dae support song to close Hanbatang.

      • KCI등재후보

        朝鮮後期 時調唱의 形成과 展開의 方向

        권순회 한국시가학회 2003 韓國 詩歌硏究 Vol.14 No.-

        본고는 조선후기 시조창 형성과 전개의 방향을 고찰하였다. 주지하는 바 시조창은 가곡창과 함께 19세기 이후의 시조사의 흐름을 주도한 중요한 창곡적 특질로 주목되었다. 먼저 2장에서는 시조창 형성의 미학에 대해 고찰하였다. 시조창은 18세기 중반에서 과히 멀지 않은 시기에 서울이라는 대도시의 음악적 요구와 실험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형성기 시조창은 '잡聲'이나 '잡曲' 등으로 인식되는 가운데 가곡과 변별되는 미적 특질을 만들어 갔다. 형성기 시조창의 미적 특질은 '惻惻', '悽양', '蕩'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 바 이러한 특질들은 가곡창이 줄 수 없는 시조창만의 울림의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같은 시조 텍스트를 대상으로 노래하지만 시조창은 가곡창에 비해 부르기 쉽고 섬세한 내면의 감정을 담아낼 수 있었고, 이 점은 시조창이 여항에서 대중적으로 확산될 수 있었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파악했다. 3장에서는 시조창 전개의 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시조창은 19세기초에 악보로 정착하고 중반이후 악곡이 파생되며 연창방식이 확립된다. 또한 향제가 분화되고, 『남훈태평가』 등 시조창을 위한 가집이 출현한다. 그 전개의 방향은 가곡과 밀접한 관련하에서 악곡 등이 파생되는 한편, 끊임없이 향제 등 가곡과는 변별되는 미의식을 만들어 간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formation of sijo song and its development in the late Chosun. As it is well known, Sijo-Chang and Gagok-Chong(歌曲唱) have drawn scholars' interest due to its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led the main tendency of sijo after 19th century. In Chapter 2, this article attempts to answer the question what the aesthetics of Sijo-Chang in its initial stage is. Sijo-Chang began to be sung with the experimental spirit n music which was energized by the demand from the big city. Seoul. Sijo-Chang in the formative period were recognized as a type of popular song(‘????’ or ‘????’), and created their own uniqueness different from Gagok-Chang. The aesthetical feature of the Sijo-Chang in the stage can be described with the words sorrow('????'), grief("????") and vast-and-vacuous('??'). These are the unique feelings that come from Sijo-Chang, but not from Gagok-Changs. A Sijo-Chang is easier to sing and is a more efficient tool to express out delicate emotion than a Gagok-Chang is, provided the both are composed with the same text. I believe that Sijo-Chang were more popular among the people because of this. In Chapter 3,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of Sijo-Chang. Sijo-Changs were recorded in musical books in the beginning of 19th century, developed into a piece of music in the middle of 19th century, and used to be sung together with Gagok-Changs. At this time local style Sijo-Changs developed, and collections of Sijo-Changs were published.

      • KCI등재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set 구현 방안

        권순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set의 Data Scheme 설계 및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데이터 세트는 다양한 주제와 형태로 구축된 데이터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기초적인 틀이라 할 수 있다. DB의 소통성과 재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표준에 근거한 Data Scheme이 반드시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설정한 목표에 맞게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도 통일된 지침과 설계를 기술한 Data Scheme이 매우 중요하다. II장에서는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B 구성에 대해 소개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데이터베이스는 크게 1)GIS DB, 2)주제별 DB, 3)참조 DB로 구성된다. GIS DB는 Base-map과 주제별 DB의 내용을 Base map에 표현한 주제도로 구성된다. III장에서는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 Scheme을 정의하였다. 주제별 DB의 Data Scheme은 ‘Header(ID, Index), Data, Link, Comment’의 이 4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참조DB에 주제별 DB에서 원전이나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때 활용할 목적으로 구축되는데, 원전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인명DB, 지명DB (Gazeteer)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실제 전자문화지도 구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세밀한 표준적 지침을 제시하였다. IV장에서는 메타데이터(Metadata) 작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혹은 ‘전자 자원을 기술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요소’로서 자원의 위치 파악과 획득에 필요한 데이터 요소의 집합이다. 정보의 공유체계를 확보하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메타데이터 작성이 필요하다. 먼저 ECAI(Eletronic Culture Altras Initiative)가 메타데이터의 표준적 방안으로 채택한 Doublin Core에 대해 검토하고, ECAI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들만으로는 조선시대 문화적 특성을 포괄할 수 없다고 보고 조선시대 문화의 다양한 주제 영역과 존재 양태를 포괄하면서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호환성과 국제적 소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향에서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설계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메타데이터 표준안은 더블린코어와 ECAI 표준안을 근간으로, ‘조선시대 문화 분류 체계’, 사부분류법(四部分類法)’, ‘조선시대 행정구역의 군현 코드표’ 등을 반영함으로써 조선시대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도록 하였다. In this paper, I proposed plan to materialize the dataset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I also presented a design for the data scheme and its materialization plan. The dataset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would be the most fundamental frame to organically combine and utilize diverse electric data, which are differently arranged by diverse subjects and forms. To circulate and utilize a DB actively, there must be a standard data scheme. A data scheme having unified principle and design is required to meet this need. In chapter II, I introduced the DB’s structure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e atlas is composed of three parts of the DB: the GIS DB,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and the reference DB. The GIS DB is again composed of two parts: the Base-map and the several maps of subjects which are drawing the contents of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on the Base-map. In chapter III, I made a definition for the data scheme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e data scheme of cultural subject parts’ DB is composed of four parts: the header including ID and index, data, links, and the comments. This scheme is made for the use of finding more concrete facts or original sources in the reference DB beside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thus it includes the original texts, Image, moving pictures, sounds, and the DB of personal names and the gazetter. I presented detailed standards to utilize the electric culture altras practically. Chapter IV is about making metadata. Metadata means the data about data. It is the data needed for describing electric sources, thus metadata is the collection of data necessary to find the location of the sources. Making metadata is necessary to confirm the information communizing system and to actively utilize the system. In chapter Ⅳ, I examined the Doublin Core which ECAI, the Electronic Culture Altras Initiative, takes as its standard program of metadata, and I investigated the standard devices of metadata of ECAI.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osun Dynasty Culture cannot be comprehensively captured only by the standard devices of metadata of ECAI, thus I designed a new device of metadata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is new devise can interact throughout the network effectively and accomplish international interaction. The new devise also can comprehensively capture diverse facts and various subject parts of Chosun Dynasty Culture. The standard devise of metadata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is based on the Doublin Core and the standard devise of ECAI. On the basis of it. The new devise includes classification system of Chosun Dynasty Culture, four-parts-assorting-methods(四部分類法), and the code list of the administrative regions Chosun Dynasty(조선시대 행정구역 코드표), thus the devise is expected to fit better for the characteristics of Chosun Dynasty Culture.

      • KCI등재

        조선 후기 가집의 여항인 항목에 대한 재검토

        권순회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5

        In this paper, an attempt was made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Yeohang-in item’, which contains the works of artist Yeohang-in in the late Joseon songbook. Among the songbooks that appeared before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Yeohang-in item were investigated for the songbooks in which Yeohang-in appeared in the part where the author of Isaacdaeyeop(二數大葉) was known. As a result of examining a total of 23 songbooks, 441 works by 38 Yeohang-in were confirmed. The Yeohang-in item was first set under the name of ‘Yeohang-yukin(閭巷六人)’ in Cheongguyoungeon(靑丘永言) by Kim Cheon-taek(金天澤) in the early 18th century.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artist's name was maintained, ‘Yeohang-yukin’ became the core of Yeohang-in item, showing a tendency to become canonized. Among these, the Yeohang-in item of the songbook that appeared after Cheongguyoungeon(edited by Kim Cheon-taek)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deliberately excluded Kim Cheon-taek and included Park In-ro(朴仁老), a Sadaebu(士大夫), instead. In the new Yeohang-in, only one person, Jo Eung-hyun(趙應顯), was added. On the other hand, in the songbook of the series Haedonggayo(海東歌謠) that appeared later, Kim Soo-jang(金壽長) restores the traces of Kim Cheon-taek and establishes the orthodox context of Yeohang-in. At the same time, the works of 11 Yeohang-in who were active during the Kim Su-jang era are separately recorded in Cheonggugayo(靑邱歌謠) to expand the scope of the Yeohang-in item. After the late 18th century, Yeohang-in items were differentiated in various ways. Writers who appeared in ‘Yeohang-yukin’ and Cheonggugayo are integrated into one, and a new Yeohang-in is added here. A total of 18 new Yeohang-ins have appeared. The format of the Yeohang-in items is also different. There are not many cases where Yeohang-in is mixed with Sadaebu, and the name of the item is not given, except for some songbooks. In the midst of this,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composition of the songbook is converted into a comprehensive piece of music and the lyrics are rearranged accordingly, the scale is greatly reduced and the Yeohang-in item gradually disappears. 본고에서는 조선 후기 가집에서 여항인 작가의 작품을 수록한 ‘여항인 항목’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19세기 전반 이전에 출현한 가집 가운데 이삭대엽 유명씨부에 여항인 작가가 등장하는 가집을 대상으로 여항인 항목의 특성을 살폈다. 총 23종의 가집을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여항인 38인의 작품 411수를 확인하였다. 여항인 항목은 18세기 초 김천택에 의해 『청구영언』(김천택 편)에 ‘여항육인’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정되었다. ‘여항육인’은 작가명 표기가 유지되는 19세기 전반까지 여항인 항목의 핵심으로 자리하면서 정전화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가운데 18세기 중반 『청구영언』(김천택 편) 다음에 등장한 가집의 여항인 항목에서는 의도적으로 김천택을 배제하고 대신에 사대부인 박인로를 포함했다. 새로운 여항인은 조응현 단 1인이 추가되었을 뿐이다. 반면에 김수장은 이후 등장한 『해동가요』 계열 가집에서 김천택의 흔적을 되살리며 여항가객의 정통적 맥락을 다시 확립한다. 동시에 김수장 시대에 활동했던 여항인 11인의 작품을 『청구가요』에 별도로 수록하여 여항인 항목의 외연을 확장한다. 18세기 후반 이후에는 여항인 항목이 다양하게 분화된다. ‘여항육인’과 『청구가요』에 등장했던 작가들이 통합되고 여기에 새로운 여항가객들이 더해진다. 총 20인의 여항가객이 새로 출현하였다. 여항인 항목의 수록 형태도 달라진다. 여항인들이 사대부와 뒤섞여 분산 수록되는가 하면, 항목명을 별도로 부여하지 않은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러한 가운데 가집의 편제가 전면적인 악곡 편제로 전환되고 노랫말이 악곡별로 재배치되는 19세기 전반에 오면 그 규모는 대폭 축소되고 여항인 항목은 점차 자취를 감춘다.

      • KCI등재

        鐵筆 油印本 가집 『歌曲集』의 특성

        권순회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9 고전과 해석 Vol.28 No.-

        본고에서는 새로 발굴된 가곡창 가집 『歌曲集』을 소개하고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가곡집』은 乾, 坤 1책의 鐵筆 油印本 가집이다. 건편에는 남창, 곤편에는 여창 가곡 한바탕이 실려 있다. 별권이었던 건편과 곤편이 현재는 1책으로 합철된 상태이다. 底本과 정확한 간행 시기는 파악할 수 없다. 옛한글 표기가 적지 않게 사용된 점, 20세기 들어 가곡 한바탕 목록에 처음 등장하는 악곡들을 갖추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저본은 20세기 초반 무렵에 필사본 형태로 편집되었고, 대략 1930년대 전후에 이를 다시 유인본으로 간행한 것으로 파악된다. 편집자에 관한 정보도 전혀 없다. 다만 수록 작품이 당대에 연창되던 가곡의 대표곡들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전문 가창자이거나 가곡에 밝은 인물로 판단된다. 가창 대본이나 교본 등이 다수 필요하자 자신이 편집했거나 혹은 소장한 가집을 이와 같이 유인본 형태로 다시 인쇄한 것으로 짐작된다. 남녀창 한바탕은 모두 20세기 초반에 등장한 파생곡까지 고스란히 수렴하고 있다. 이는 현행 전창(傳唱) 가곡과 그대로 일치한다. 건편에는 남창 23곡이 수록되어 있다. 명목 갖추기로 『가곡원류』 계열에 등장했던 중대엽 계열의 악곡은 연창의 실질에 맞추어 수록하지 않았다. ‘편삭대엽’ 뒤의 ‘言樂’은 ‘言編’의 誤記이다. ‘롱’의 파생곡 명칭도 현행과 같이 ‘언롱’과 ‘평롱’이 쓰이고 있다. 또한 20세기 들어 남창 가곡 한바탕에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계면 소용’을 갖추고 있다. 곤편에는 여창 14곡과 ‘臺歌’ <태평가>가 수록되어 있다. 우조와 계면조에 ‘초삭대엽’이 등장하는데 이것의 실질은 ‘이삭대엽’으로 여창 첫 곡이라는 의미로 쓰인 것이다. 또한 19세기 말에 파생되어 20세기 초 여창 가곡에 널리 쓰인 ‘환계락’이 수렴되어 있다. 노랫말은 남창 114수, 여창 84수, 대가 1수, 도합 199수가 수록되었다. 노랫말 이외에 연음표나 변조 표시 등의 악보 정보는 기록하지 않았다. 차이는 있지만 악곡별로 대략 5수 내외가 수록되었다. 20세기 들어 악곡별로 가곡 한바탕의 대표곡이 고정되는 경향이 나타나는데, 『가곡집』도 이러한 흐름에 따라 악곡별 대표곡 위주로 편집되었다는 증좌이다. 작자 표기를 하지 않고 신출 작품도 전혀 발견되지 않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In this article, we introduced the newly-excavated collections of sijo called Gagokjip(歌曲集) and discussed its characteristics. Gakgokjip is a collections of sijo, printed mimeograph. Part of Gun(乾) is Namcang(men's songs), Part of Gon(坤) is Yeochang(women's songs) Gagok Hanbatnag. Separated Gun and Gon, which are now in one book. The original text and the exact timing of publication are not know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old Korean alphabet system was used, and that the original text was edited in the form of a manuscript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at the paper used in the hand-written book suggests that it was printed mimeograph around the 1930s.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editor at all.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works are representative songs of the Gagok of the time, it is believed that they are professional singers or people who are well versed in the Gagok. As many copies of the lyrics or teaching materials were needed, it is assumed that the collections of sijo he edited or owned was reprinted in the form mimeograph. All the Namcang and Yeochang Gagok Hanbatang are converging on the derivative works that appea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is is exactly the same as the current singing Gagok. The Gun has 23 musics of Namchang Gagok Hanbatang. The Jungdaeyeop(中大葉) was not included in the list to match. The Peonsakdaeyeop(編數大葉) after Eonnak(言樂) is writing incorrectly Eeonpeon(言編). The names of the derived songs of Long(弄) are also used, as are the current names of Eonlong(言弄) and Pyeonglong(平弄). It also has the Geomeon(界面) Soyong(搔聳) that appears in earnest in Hanbatang of Namchang Gagok in the 20th century. The part of Gon han 14 musics of Yeongchang Gagok Hanbatang and a ending song, Taepyeonga(태평가(太平歌). In the Oujo(羽調) and Gyeonsangjo(界面調) Chosakdaeyeop(初數大葉) appears, and its real meaning is Isaengdaeyeop(二數大葉), which is the first song of the Yeogchang Gagok Hanbatang. There is also a convergence of Hwangeorak(還界樂) deriv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widely used in Yeochang Gagok Hanbatang in the early 20th century. Lyrics included 114 pieces in Gun, 85 pieces in Gon, total 199 pieces. In addition to the words, sheet music information such as Yeon-eum(連音) notes and tamper marks was not recorded.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about five songs were recorded for each music. In the twentieth century, Gagok Hanbatang tends to fix the representative songs by music, which is the essence of the compilation of the song collections. This is why no writings are written and no new works are found at 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