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동용 도박중독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권선중,김교헌 충남대학교 혁신인력개발원 2007 學生生活硏究 Vol.32 No.-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5, 6학년) 학생들의 장래 도박의도를 설명하는 도박관련 위험 요인들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참고하여 아동용 도박 중독 예방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야 할 심리적 요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려 하였다. 도박 문제와 관련된 위험 요인으로 도박성 게임 행동, 지각된 주위 도박 행동, 비합리적 도박신념 및 우울을 선정하였고, 대전광역시 소재 모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5, 6학년 학생들 35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의 장래 도박 의도와 모든 위험 요인들이 정적 상관을 보였고, 중다회귀분석 결과 도박성 게임 행동, 비합리적 도박 신념 및 우울이 장래 도박 의도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Prochaska와 DiClemente(2002)의 초이론 모형(Transtheorical Model)에 따른 행동 변화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아동용 도박중독 예방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안하였고, 그 다음으로 Dadds(2002)의 초기 중재(Early Intervention) 접근을 참고한 아동용 도박중독 예방 프로그램의 절차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K-GQ-6)의신뢰도 및 타당도

        권선중,김교헌,이홍석 한국건강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reliable and valid korean version of the Gratitude Questionnaire(GQ-6/ McCullough, Emmons, & Tsang, 2002). GQ-6 is a short, self-report measure of the disposition to experience gratitude. First, the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item property are analyzed for 269 university students. Second, criterion-related evidence of validity and incremental validity are investigated for 328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version of the Gratitude Questionnaire, in a similar way as the original version, displays a stable one factor structure and high internal consistency, showing good convergent, discriminant, and incremental validity.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positive psychology. 본 연구에서는 McCullough, Emmons, 및 Tsang(2002)가 개발한 감사 성향 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심리측정적 속성을 분석했다. 먼저 대학생 269명을 대상으로 요인구조와 문항의 속성을 분석하고 내적 일관성 계수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과 검사-재검사 신뢰도 분석을 실시했다. 다음으로 대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척도의 타당도에 관한 준거관련 증거를 평가했다.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는 미국판의 선행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안정적인 1요인 구조를 보였고 내적 합치도가 높았으며 적절한 준거관련 타당도와 증분 타당도를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긍정 심리학과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판 도박 증상 척도(KG-SAS)의 신뢰도와 타당도

        권선중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ambling Symptom Assessment Scale(G-SAS; Kim, Grant, Adson, & Shin, 2001) in various types of gamblers. The G-SAS consisted of 12 items designed to assess gambling symptom severity and change during treatment. The factor structure, item property, reliabil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were estimated using responses of 502 adults. The Korean version of G-SAS(KG-SAS) showed one factor structure and high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84∼.92; test-retest reliability=.74) with adequate criterion-reliability validity(level of gambling addiction r=.48∼.54, frequency of gambling behaviors r=.29∼.51, compulsive gambling passion r=.57, irrational gambling belief r=.28, ps<.01). Findings demonstrated that KG-SAS is reliable and valid in assessing changes in symptoms during a treatment.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directions to counseling on gambling addiction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도박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Kim, Grant, Adson, 및 Shin(2001)이 개발한 ‘도박 증상 척도(Gambling Symptom Assessment Scale)’ 한국판(KG-SAS)의 심리측정적 속성을 분석했다. G-SAS는 도박에 대한 지난 1주일간의 갈망과 그로 인한 피해를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된 12문항의 자기-보고식 측정도구로, 정신과 치료 과정의 증상 변화를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도박 경험이 있는 성인 남․여 502명을 대상으로 요인구조와 문항 속성을 분석하고, 내적 일관성 계수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과 검사-재검사(3주) 신뢰도 분석을 실시했으며 척도의 준거 관련 타당도를 평가했다. 한국판 도박 증상 척도는 원판과 유사하게 안정적인 1요인 구조를 보였고 신뢰도 또한 높았으며(Cronbach’s α=.84∼.92; 검사-재검사 r=.74), 관련 특성들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도박 중독 수준 r=.48∼.54, 도박행동 빈도 r=.29∼.51, 강박적 도박 열정 r=.57, 비합리적 도박신념 r=.28, ps<.01). 이는 KG-SAS가, 도박 관련 문제 증상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도박 중독 상담에 본 척도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논의하였다.

      • KCI등재

        게임 중독 청소년의 하위 유형 연구

        권선중 한국건강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1 No.1

        Mental health problems including addiction present a high heterogeneity of major symptoms or characteristics of targets. Hence, refinement of the targets is important for effective intervention. 'Severity' of the game addiction is widely regarded as a criterion for target classification. Previously, research related to the path of triggering game addiction problems, the sub-classification by characteristics of each triggering factor, or relevant intervention strategies has not been conducted. Research on the subtypes is requir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ustomized strategic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ame addicts.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three hypothetical subtypes including conditioned behavior, emotionally vulnerable type, and impulsive type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gambling addiction, and determined whether adolescents addicted to games exhibit the subtypes stably. Short-term prospective data were collected twice at 10-month intervals. The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ree hypothetical subtype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observations, and evaluate the stability level of subtypes for juvenile participants in each class by calculating the degree of consistency between two observations. In addition, the validity of classification of three hypothetical subtypes was verified by examining whether the major values measured at the first observation showed an effect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ree subtypes when determining the type of groups at the second observation. For example, depression at the first observation should appear as a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 for classifying participants into 'Type I' and 'Type II' at the second observation. The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e three hypothetical types at the first and second observations. Major characteristics of types at the first observation were valid in discriminating types at the second observation. 중독을 포함한 정신건강 문제는 주요 증상이나 대상자 특성의 이질성이 높기 때문에 효과적인 개입을 위해서는 서비스 대상을 구체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서비스 대상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언급되고 있는 것은 게임 중독 문제의 ‘심각성 수준’ 이 대부분이다. 문제가 발생한 경로나 촉발 요인의 특성별 하위유형 구분과 그에 따른 전략은 게임 중독 영역에서 연구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박중독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3개의 가설적 하위유형(행동 조건화 유형, 정서 취약성 유형, 반항/충동적 유형)을 설정하고, 게임에 중독된 청소년들에게서 이러한 유형이 안정적으로 관찰되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10개월 간격으로 2차에 걸친 단기조망 자료를 수집하여 1차 시점과 2차 시점 자료 각각에서 가설적으로 제안한 3유형이 관찰되는지를 탐색하고, 각 유형에 포함된 청소년 참여자들의 시점별 일치도를 계산하여 하위유형의 안정성 수준을 평가했다. 더하여 1차 시점의 주요 측정치들이 2차 시점의 유형을 결정짓는데 ‘가설적으로 제안한 3유형의 특성’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그 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여 유형분류의 타당성을 추가로 검토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가설과 유사하게 1차와 2차 시점에 3유형이 반복 관찰되었고 1차 시점의 주요 유형 특성들이 2차 시점의 유형을 변별하는데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The Predictor of Adverse outcomes in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by Acinetobacter baumannii in the Intensive Care Unit

        권선중,이민혁,권오정,김대성,정인범,손지웅,나문준,유은형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5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0 No.-

        The parameter of the response to treatment was not known previously in patient with VAP by A.baumannii (AB) in the ICU.We evaluate clinical outcomes and the predictor of adverse outcomes. 72 VAP patien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early predictor associating 28-day mortality was analyz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carbapenem-resistance, APACHE-2 score at ICU admission and VAP episode, cause of MV, hospital days, ICU stay and duration of MV according survival. Non-survivors had old age > 65 years old, high Charlson cormorbidity score, medical patients, high SOFA score at ICU admission and high body temperature(BT) at VAP episode.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appropriate empirical/definitive antimicrobials and administration of colistin in both groups. Survivors had a lower CPIS, lower BT, improvement of P/F ratio and lower SOFA score at 7days or end of therapy of antimicrobials in univariate analysis. The lack of improvement of P/F ratio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28-day mortality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R;15.33,95% CI;3.10-75.82,p<0.01). The improvement of P/F ratio was presented early at day 3 after starting empirical antimicrobials in survivor group (259.2±99.5vs199.1±94.9 mmHg,p=0.02). The SOFA score after receiving antimicrobials was declined at 7days in non-survivor group (9.4±4.3vs6.3±3.5t,p<0.01) .The lack of improvement of P/F ratio at day 7 could predict 28-day mortality in patients with VAP by AB. Survivors had the improvement of P/F ratio and the decline of SOFA score.

      • 스트레스와 침투적 재경험이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권선중 전국대학교학생생활상담센터협의회 2013 대학생활연구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고 그 증상 중 일부인 침투적 재경험이 정신건강 문제 발생에 기여하는지 살펴보고, 이 과정을 행동억제경향성이 매개하는지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의 상대적 우수성을 평가하기 위해 조절모형을 경쟁모형으로 설정하고 적합도를 비교했다. 최근 5년 사이에 높은 강도의 스트레스 경험이 있는 대학생 23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을 검증했다. 분석 결과, 기존 연구에서 조절모형으로 개념화 했던 행동억제경향성의 취약성 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매개효과의 경우 정신건강 문제 모두에서 유의했고, 모형의 적합도 또한 모두 만족스러운 수준이었다. 끝으로 도박 중독 상담에 본 척도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논의하였다.

      • KCI등재

        도박 관련 신념과 문제성 도박의 관계에 대한 재탐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단기 종단 연구

        권선중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4

        This research is aimed at applying a prospective study to the details of 'gambling-related beliefs' and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pective details and gambling problems. Through this study, beliefs, which function as preceding factors, are specifically listed. And relevant information is used to increase the efficacy and effectiveness of the preventive education for youths gambling addiction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hrough an Internet panel survey, 320 persons who gamble regularly were analyzed by using a gambling-related belief assessment scale and a gambling behavior and problematic symptom assessment scale. In this short-term longitudinal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ee times (1st, 5th and 10th month) and then were analyzed by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ing. The results showed gambling-related beliefs, gambling behaviors and problematic symptoms decreased linearly over time. Based on each construct,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intercept and slop was verified. The slope of gambling-related beliefs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only with problematic symptoms. Accordingly, gambling-related beliefs, which show significant results, were analyzed specifically for respective details (items). In this study, how to use detailed beliefs for the prevention of youths gambling addiction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as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단기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도박 관련 비합리적 신념과 도박 문제 간의 인과적 관계를 탐색하고, 청소년 도박중독 예방교육이나 상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신념 목록을 개발하고자 했다. 인터넷 패널을 활용하여 총 320명의 정기적인 도박 이용자를 표집 했고, 기존에 개발된 비합리적 도박 신념 척도와 도박 문제 증상 척도를 활용하여 3차(1, 5, 10개월)에 걸친 단기 종단자료를 수집한 후,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했다. 먼저 기초모형을 살펴보면 연구에 사용된 도박 신념과 문제 증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각의 구성개념을 기준으로 초기치와 변화율 간에 선형적 관계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도박 관련 신념은 도박 문제 증상과 유의한 인과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던 신념을 구체적인 내용(문항) 단위로 재분석하여 그 목록을 제시했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구체적인 신념 목록을 청소년 도박중독 예방 및 상담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논의했다.

      • KCI등재

        아동의 성인도박 인식실태와 도박성 게임행동 예측요인

        권선중,김교헌,최지욱 한국건강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성인도박 인식실태와 도박성 게임 행동 예측요인을 살펴보았다. 먼저,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1,115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성인도박(로또, 카지노, 경마, 경륜, 경정, 소싸움)에 대한 “인지도” 및 “관심수준”을 살펴보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검증해 보았다. 둘째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282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성인도박에 대한 관심”, “지각된 주위도박”, “비합리적 도박신념”, “행동활성화체계(BAS)” 및 “각 요인들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로 “도박성 게임 행동”을 예측해보았다. 첫 번째로 성인 도박에 대한 아동들의 인지도와 관심수준을 살펴본 결과 “로또”가 가장 높았으며, 남자 아동, 가정 경제수준 및 용돈 수준이 높은 아동, 6학년 아동이 상대적으로 높은 관심수준을 보였다. 두 번째로 “지각된 주위도박”, “성인도박 관심” 및 “비합리적 도박신념” 수준이 높아질수록 “도박성 게임 행동”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 아동들의 “성인도박 관심”이 “도박성 게임 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남자 아동들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의 시사점들을, 장래 연구와 실용적 측면을 고려하여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resent trends in adult gambling and gambling behavior prediction variables of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sample of 1,115 elementary school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interest level" on for adult gambling (lotto, casino, horse racing, cycling race, boat racing, bullfighting) separately, testing the difference in demographic quality. Second, sample of 282 elementary school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using regression analysis, "interest on for adult gambling", "perceived family gambling", "irrational gambling belief", "behavior activating system(BAS)" and "the interaction effects of factors and sex" predicted "gambling behavior".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nto children's awareness of adult gambling, i.e. "lotto", the affirmation rate(77.7%) for the response "I know" was very high, "lotto" showed the highest rate among children for awareness of adult gambling. These results showed that male children, with a high domestic income level and children whose pocket money level was high, and sixth grade children had a high interest level relatively. Second, these results showed that as "perceived gambling", "interest in adult gambling",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s" were higher, and "gambling behavior" increases. The implications gleaned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considerations for future study and practical aspect.

      • KCI등재

        합법 인터넷 도박의 역기능: 병적 도박 위험성과 불법 도박 확산 가능성 탐색

        권선중,이충기,김교헌,김석원 한국건강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5 No.2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isk of pathological gambling of legalized Internet gamblers and their possibilities of spread to illegal gambling. In addition, we hoped to shed light on understanding the dysfunction of increasing Internet gambling. To explore the risk of pathological gambling,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requency of gambling behavior and level of problem gambling using a sample of 177 panel members who were selected from an online Internet survey firm. The sample consisted of 108 panel members who participated in legalized Internet gambling and 69 panel members who participated in illegal gambl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s between frequency of gambling behavior of the legalized Internet gambling group and the level of problem gambling based on DSM-Ⅳ(APA, 1994) were insignificant(r=.061, p>.05), but these relationships in the illegal gambling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r=.326, p<.01). Furthermore, the index representing symptoms of urge to gamble indicate that both Internet gambling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egalized gambling: r=.234, p<.05; illegalized gambling: r=.339, p<.01). In addition,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gamblers’ spread to illegal gambling,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requencies of both legal and illegal Internet gambling behavior by both types of Internet gambling groups and the results indicated insignificance(r=-.004, p>.05). Differences in starting age of gambling between legal and illegal Internet gambling groups were also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lso indicated insignificance(t=-.257, p>.05). Thus, it is concluded that the two types of gambling behavior(legal and illegal) were independent of each other. Finally, we discussed the findings from the results associated with risk management of Internet gambling.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합법 인터넷 도박 이용자들의 병적 도박 위험성과 불법 도박 확산 가능성을탐색하여, 머지않은 시점에 증가하게 될 인터넷 도박의 역기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했다. 먼저 병적 도박 위험성 탐색을 위해, 온라인 조사 업체의 패널을 대상으로, 다른 도박은 비정기적으로 하면서 합법 및 불법 인터넷 도박 각각을 ‘1개월에 1회 이상’ 정기적으로 하는 177명(합법 108명, 불법 69명)을 선별하여 도박행동 빈도와 병적 도박 관련 증상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합법 인터넷 도박행동 빈도와 DSM-Ⅳ(APA, 1994) 기준의 병적 도박 수준 간의 용량-반응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r=.061, p>.05), 불법 도박행동에서는 그 관계가 유의했고(r=.326, p<.01), 도박에대한 갈망을 주 증상으로 하는 지표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합법 r=.234,p<.05/ 불법 r=.339, p<.01). 다음으로 불법 도박 확산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인터넷 도박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1,815명을 대상으로 합법 및 불법 인터넷 도박행동 빈도 간의 관계와 해당 도박의 시작 연령 차이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합법 및 불법 인터넷 도박행동 빈도 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고(r=-.004, p>.05), 시작 연령 간 차이도 유의하지 않아(t=-.257, p>.05) 두 종류의 도박행동은 상호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인터넷 도박의 위험 관리와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