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영재의 뇌 활용 성향과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 분석

        권민정,조선희 韓國英才學會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6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n=159)를 대상으로 뇌 활용 성향과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뇌 활용 성향은 좌상뇌, 좌하뇌, 우하뇌, 우상뇌로 구분되었으며,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타당성, 과학성, 정교성, 독창성, 유창성의 하부점수로 구분이 되었다. 분석 결과 과학영재집단은 네 가지의 뇌 유형 중에서 좌상뇌의 점수가 가장 높고 빈도수도 높게 나타나 좌상뇌의 특성인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하는 성향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점수에 따라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여 두 집단 간에 뇌 활용 성향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창성 점수가 더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서 우상뇌의 활용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p<0.05). 뇌 활용 성향과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상관도를 분석한 결과, 우상뇌 활용 성향과 유창성 및 독창성 점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도를 보였다(p<0.05). 이러한 결과는 상상력이 풍부하고 도전적인 우상뇌의 활용 성향이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에 있어 많은 아이이어와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데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in Dominance and the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utilizing propensity to target Science-Gifted Student (n=159). Brain dominance is divided into left upper brain (LUB), left lower brain (LLB), right lower brain (RLB), and right upper brain (RUB).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 in science included validity, scientific characteristics, sophistication, originality, and fluency.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high frequency among the four types of the brain dominance is the highest score of LUB in science gifted group. This point was found that the tendency of the analytical and critical thinking that is characteristic of the LUB is strong scientific gifted group. When total sample was divided into high and low groups by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scores, in the analysis of the brain dominance sco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f students who take advantage of the results of score RUB is compared to the high fluency group score higher than the low group found (p<0.05).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brain dominance and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showed that originality and fluenc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UB propensity score (p<0.05).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imaginative and challenging RUB propensity may be related to produce many and original ideas in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 KCI등재

        산삼 공생 미생물 Weizmannia ginsengihumi LGHNH의 특징 및 배양물의 항노화 효능

        권민정,이혜진,이소영,진무현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22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50 No.3

        In this study, we isolated Weizmannia ginsengihumi LGHNH (KCTC 14462BP) from 30-year-old wild Panax ginseng C.A. Meyer and elucid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d bacterium and its industrial potential as an anti-aging material. W. ginsengihumi LGHNH was investigated to produce indole-3-acetic acid (IAA), a plant growth-promoting hormone (1.38 μg/ml to 2.22 μg/ml). We also confirmed the existence of bioconversion activity via the comparison of the ginsenoside content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As for the converted minor ginsenoside, Rg2(R), Rg4, Rg6, Rg3(S), Rg3(R), Rk1, Rg5, Rh1(R), Rk3 and Rh4 are known to have high bioavailability and various skin effects. We measure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d ATP biosynthesis to elucidate W. ginsengihumi LGHNH cultured product (WCP) as an anti-aging material. As a result, th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in HaCaT cells with UVB decreased to 39.3% compared to the unirradiated group, but was recovered to 57.3% and 58.1% by 0.001% (v/v) and 0.01% (v/v) WCP, respectively. In addition, we measured mitochondrial ATP biosynthesis. It decreased to 94.3% compared to the unirradiated group with UVB, but was recovered to 105.3% and 105.7% by 0.001% (v/v) and 0.01% (v/v) WCP. 식물 공생 미생물은 기주 식물과 함께 공생하는 미생물로생장 촉진, 면역력 증진, 대사체 생성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식물 발달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를 통해 30년근 산삼에서분리 동정한 미생물인 W. ginsengihumi LGHNH (KCTC 14462BP)은 식물 생장 촉진 호르몬인 indole-3-acetic acid (IAA)을 1.38 μg/ml에서 2.22 μg/ml 수준으로 분비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효 전, 후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비교를 통해진세노사이드 전환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환된 저분자 진세노사이드인 Rg2(R), Rg4, Rg6, Rg3(S), Rg3(R), Rk1, Rg5, Rh1(R), Rk3, Rh4 등은 생체 이용률이 높고 다양한 피부 효능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배양물로 제조한 W. ginsengihumi LGHNH (W. ginsengihumi LGHNH Cultured product, WCP)의 항노화 소재로서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미토콘드리아의 막전위와 ATP 생합성량을 측정하여 기능저하 억제 여부를 확인하였다. 노화를 발생시키는 인자인UVB를 조사한 HaCaT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값을측정한 결과, 미조사군 대비 39.3%로 감소하나 WCP 0.001% (v/v), 0.01% (v/v)에 의해 각각 57.3%, 58.1% 수준까지 회복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토콘드리아의 ATP 생합성량 측정결과, UVB 조사에 의해 미조사군 대비 94.3% 수준으로 감소하나 WCP를 0.001% (v/v), 0.01% (v/v) 처리한 군에서 각각 105.3%, 105.7%로 증가하여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정상으로 회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연구를 통해 확보한 30년근 산삼의 공생 미생물은 항노화 관련 생물 자원으로서 산업적 활용 가능성이 높다.

      • KCI등재

        고등학교 체육심화반의 편성 및 운영 실태와 개선 방향

        권민정,김경숙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formulating a plan that can contribute to assuring the posi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on advanced athletics classes that were organized with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at provides students choice of subject selection and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class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carrying out a survey for students, and for teachers. Both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subjects were sixty-f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wo hundred and fifteen teachers, and three hundred and twenty-eight students, who are in twelve high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Kyunggi Province and they have organized advanced athletics classe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the data from the in-depth interviews were inductively categorized and analyzed. For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advanced athletics classes, the results showed a lot of positive aspects related to students' position, such as respect of students' choice and early career decision making. Students' learning attitude and false accretions to 'physical education' were shown a lot as negative aspects. For the improvement, most teachers and students were in favor of advanced athletics classes, and conducting systematic counseling and career guidance, providing information o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in college, and a high rate of college admission were chosen as the factors for the improvement and activation of advanced athletics classes. These classes can be helpful to have a grasp of the current condition of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that provides students choice of subject selection. Thus it can be also provide basic data for formulating alternatives in the future and for discu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시행으로 편성된 ‘체육심화반’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여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과 체육심화반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서 체육 교과에서의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적용과 체육심화반에 대한 논의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 자료수집은 학생의 경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교사의 경우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병행하였으며, 이를 위한 연구 대상으로는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중 체육심화반이 편성되어 있는 12개 학교의 체육교사 65명, 일반교사215명, 그리고 학생 328명이었다. 자료분석은 설문지의 경우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심층면담의 경우 귀납적 범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편성 및 운영 실태에서는 학생의 선택권 존중 및 조기 진로결정 등과 같이 학생 측면에서 긍정적인 면이 많이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학습태도와 ‘체육’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부정적인 면으로 많이 나타났다. 개선방향에서는 대부분의 교사와 학생이 체육심화반을 찬성하고 있었으며, 체계적인 상담과 진로지도, 체육관련 학과의 정보제공, 높은 대학진학률 등이 개선방안과 활성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선택중심교육과정과 체육심화반의 적용실태 파악, 그리고 이를 통한 미래의 개선방안 수립 및 논의를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경사진 안창이 보행시 하지관절에 미치는 영향

        권민정,최화순,정민근,나석희,Kwon, Min-Jeong,Choi, Hwa-Soon,Chung, Min-K.,Na, Seok-Hee 대한인간공학회 2007 大韓人間工學會誌 Vol.26 No.1

        Despite the widespread use of laterally wedged insoles for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and medially wedged insoles for controlling rearfoot pronation, an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wedged insoles was limited and sometimes controversia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wedged insoles on the kinematics and kinetics of normal gait. Ten male subjects without history of lower limb disorders were recruited. Each subject performed four gait cycles under each of seven conditions; shod with 5$^{\circ}$, 8$^{\circ}$ and 15$^{\circ}$, 8$^{\circ}$ and 15$^{\circ}$ laterally wedged insoles. In order to determine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seven conditions, the measured temporal spatial variables, angular displacements, joint moments, and ground reaction forces were compared with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ome significant changes induced by wedged insoles were apparent in joint moments and ground reaction forces. The medially wedged insole increased the laterally directed ground reaction force and varus moments at the ankle force and varus moments at the ankle and the kne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