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안전한 앱 개발을 위한 보안 정책 연구

        권만준(Man-Jun Kwon),이원호(Won-Ho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환경에서 앱을 개발할 때 고려될 수 있는 주요 보안 요소들에 대한 정책적 접 근은 나름대로의 의미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연관된 보안 문제와 정책 문제들을 고찰하였다. 스마트 환경에서 개발되는 앱 프로그램에 요구되는 보안 고려사항을 살펴보고, 안전한 앱 개발을 위한 보안정 책 문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PDA를 이용한 실시간 얼굴인식 시스템 구현

        권만준(Man-Jun Kwon),양동화(Dong Hwa Yang),고현주(Hyoun-Joo Go),김진환(Jin Whan Kim),전명근(Myung-Geun Chu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5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5 No.5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 기반에서의 온라인 얼굴인식 시스템 구현을 기술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CMOS 카메라를 장착한 PDA를 이용하여 얼굴영상을 획득하고 이 영상을 무선랜을 이용하여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로부터 인증된 결과를 받도록 하였다. 먼저 클라이언트 측인 PDA에서는 등록과 인증을 확인할 수 있도록 업베디드 비주얼 프로그램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고, 서버 영역에서는 얼굴인식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이는 PCA와 LDA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PDA로부터 전송받은 얼굴 데이터를 학습하고 인식한 결과를 재전송하는 부분이 구현되었다. 시스템 구현에서 실시간성을 확보하기 위해 PDA에서는 영상에 웨이블렛을 이용하여 압축한 뒤 압축률 효과가 좋은 JPG 형식의 데이터로 서버에 전송 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은 학습과정에서 미리 구한 고유값을 이용하여 테스트 얼굴영상을 같은 공간에 투영시켜 서로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도록 하여 얼굴인식 속도 및 성능을 개선하였다. In this paper, we describe an implementation of real-time face recognition system unde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First, face image is captured by PDA with CMOS camera and then this image with user ill and name is transmitted via WLAN(Wireless LAN) to the server and finally PDA receives verification result from the server.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server and client parts. Server uses PCA and LDA algorithm which calculates eigenvector and eigenvalue matrices using the face images from the PDA at enrollment process. And then, it sends recognition result using Euclidean distance at verification process. Here, captured image is first compressed by the wavelet transform and sent as JPG format for real-time processing. Implemented system makes an improvement of the speed and performance by comparing Euclidean distance with previously calculated eigenvector and eignevalue matrices in the learning process.

      • KCI등재

        교통 표지판 자동 인식에 관한 연구

        권만준(Kwon, Mann-J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9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사용되는 전자지도 제작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오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내비게이션 정보의 요소로 다루어지는 교통 표지판에 대한 오프라인 자동 인식에 대해 제안하였다. 컴퓨터 비전 과 패턴 인식 응용 분야로 2차원 얼굴 인식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주성분분석기법(PCA)과 선형판별분석기법(LDA)을 이용하여 교통표지판을 인식하고자 한다. 먼저 PCA를 이용하여 높은 차원의 2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저차원의 특징 벡터 영역으로 투영을 시킨다. PCA로부터 구해진 저차원의 특징 벡터를 이용하여 LDA로 분산 매트릭스들 간에 최대가 되고 하 고, 분산 매트릭스 내에서는 최소가 되도록 하였다. 실제 도로 환경에서 추출된 교통 신호판의 대부분을 제안된 알고리즘에 의해서 특징 벡터를 40개 이상 사용하였을 경우 92.3%이상의 높은 인식률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Because there are some mistakes by hand in processing electronic maps using a navigation terminal, this paper proposes an automatic offline recognition for traffic signs, which are considered ingredient navigation informati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LDA), which have been used widely in the field of 2D face recognition as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applications, was used to recognize traffic signs. First, using PCA, a high-dimensional 2D image data was projected to a low-dimensional feature vector. The LDA maximized the between scatter matrix and minimized the within scatter matrix using the low-dimensional feature vector obtained from PCA. The extracted traffic signs under a real-world road environment were recognized successfully with a 92.3% recognition rate using the 40 feature vectors created by the proposed algorithm.

      • 안전한 상거래를 위한 가상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권만준(Kwon, Man-Jun),이원호(Lee Won-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원천 비밀정보의 직접적인 유출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자, 사용자 스스로가 원천 비밀정보를 이용해 일회성의 가상 비밀정보를 생성, 키보드입력 및 화면 훔쳐보기와 리플레이 공격, 그리고 피싱 등의 공격으로부터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가상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을 제안한다.

      • 차량 급제동 표시를 위한 스마트 모듈 개발

        권만준(Mann-Jun Kwon),고광호(Kwang-Ho Ko),최성철(Seong-Cheol Choi),이원호(Won-Ho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연구에서는 1차 차량 충돌시 발생하는 급제동 현상을 이용하여 후미에 따르는 다른 차량에게 2차 추돌 방지를 위한 장치를 개발하였다. 1차 충돌시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의 파손에 대비한 태양 충전 판넬을 사용하여 독립적인 배터리 전원을 채택하였으며, 야간에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고휘도 LED를 장착하여 운전자의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경광등과 같은 붉은색과 푸른색이 점멸하도록 하였고, 급제 동을 판단하기 위해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를 활용하였다. 이 장치를 활용한다면 1차 추돌시 운전 자의 의지에 관계없이 자동으로 점멸하여 2차 충돌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DFT와 웨이블렛을 이용한 유도전동기 고장진단

        권만준(Mann-Jun Kwon),이대종(Dae-Jong Lee),박성무(Sung-Moo Park),전명근(Myung-Geun Chu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7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7 No.6

        본 논문에서는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과 웨이블렛을 이용한 고장진단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주파수 기반의 DFT에 의한 고장패턴의 추출방법과 시간-주파수 기반의 웨이블렛을 이용한 고장패턴의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특징점을 추출하였으며, 유도전동기의 최종진단은 DFT와 웨이블렛에 의해 추출된 특징값들을 효과적으로 융합할 수 있는 융합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한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다양한 실측 데이터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보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ult diagnosis algorithm of induction motors by DFT and wavelet. We extract a feature vector using a fault pattern extraction method by DFT in frequency domain and wavelet transform in time-frequency domain. And then we deal with a fusion algorithm for the feature vectors extracted from DFT and wavelet to classify the faults of induction motors. Finally, we provide an experimental results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successfully applied to classify the several fault signals acquired from induction motors.

      • KCI등재

        Fuzzy Elastic Bunch Graph Matching 방법을 이용한 얼굴인식

        권만준(Mann-Jun Kwon),고현주(Hyoun-Joo Go),전명근(Myung-Geun Chu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5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5 No.6

        본 논문은 EBGM(Elastic Bunch Graph Matching)기법을 이용한 얼굴인식에 대해 다룬다. 대용량 영상 정보에 대해 차원 축소를 이용한 얼굴인식 기법인 주성분기법이나 선형판별기법에서는 얼굴 영상 전체의 정보를 이용하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얼굴의 눈, 코, 입 등과 같은 얼굴 특징점에 대해 주파수와 방향각이 다른 여러 개의 가버 커널과 영상 이미지의 컨볼루션(Convolution)의 계수의 집합(Jets)을 이용한 특징 데이터를 이용한다. 하나의 얼굴 영상에 대해서 모든 영상이 같은 크기의 특징 데이터로 표현되는 Face Graph가 생성되며, 얼굴인식 과정에서는 추출된 제트의 집합에 대해서 상호 유사도 (Similarity)의 크기를 비교하여 얼굴인식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EBGM방법의 Face Graph 생성 과정을 보다 간략화한 방법을 이용하여 얼굴인식 과정에서 계산량을 줄여 속도를 개선하였으며, 퍼지 매칭법을 이용한 유사도 계산을 하였다. In this paper, we describe a face recognition using EBGM(Elastic Bunch Graph Matching) method. Usally, the PCA and LDA based face recognition method with the low-dimensional subspace representation use holistic image of faces, but this study uses local features such as a set of convolution coefficients for Gabor kernels of different orientations and frequencies at fiducial points including the eyes, nose and mouth. At pre-recognition step, all images are represented with same size face graphs and they are used to recognize a face comparing with each similarity for all images. The proposed algorithm has less computation time due to simplified face graph than conventional EBGM method and the fuzzy matching method for calculating the similarity of face graphs renders more face recognition results.

      • 서명기반의 유비쿼터스 생체인식시스템 구현

        권만준 ( Man-jun Kwon ),양동화 ( Dong-hwa Yang ),전명근 ( Myung-geun Chu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2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 기반에서의 서명인식 시스템 구현을 기술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PDA와 전자 서명입력기를 이용하여 서명데이터를 획득하고 이 데이터를 유비쿼터스 환경인 무선랜을 이용하여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로부터 인증된 결과를 받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의 구성은 터치 스크린을 통한 서명입력이 가능한 PDA와 전자서명입력기를 장착한 무선단말기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부분과 서명을 검증하는 서버 부분으로 나누어 구현 하였다. 본 논문에서 인식알고리즘으로는 서명영상을 구간분할한 후 PCA와 LDA를 사용하여 특징값을 추출한다. 학습과정에서 미리 구한 고유값을 이용하여 서명입력기로부터 획득한 서명데이터를 같은 공간에 투영시켜 서로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도록 하여 서명인식 속도 및 성능을 개선하였다.

      • PDA를 이용한 실시간 얼굴인식 시스템 구현

        권만준(Man-Jun Kwon),양동화(Dong-Hwa Yang),고현주(Hyoun-Jo Go),전명근(Myung-Geun Chu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5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5 No.1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 기반에서의 온라인 얼굴인식 시스템 구현을 기술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CMOS 카메라를 장착한 PDA를 이용하여 얼굴영상을 획득하고 이 영상을 무선 랜을 이용하여 인증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로부터 인증된 결과를 받도록 하였다. 먼저 클라이언트 측인 PDA에서는 등록과 인증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임베디드 비주얼 프로그램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서버 영역에서는 얼굴인식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이는 PCA 와 LDA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PDA로부터 전송받은 얼굴 데이터를 학습하고 인식한 결과를 재전송하는 부분이 구현되었다. 시스템 구현에서 실시간성을 확보하기 위해 PDA에서는 영상을 압축률 효과가 좋은 JPG 형식의 데이터로 서버에 전송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은 학습과정에서 미리 구한 고유값을 이용하여 테스트 얼굴영상을 같은 공간에 투영시켜 서로간의 유사도를 비교하도록 하여 얼굴인식 속도 및 성능을 개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