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열의가 구성원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권나영,김민수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5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5 No.3

        일열의란 헌신, 몰두로 특징지을 수 있는 긍정적이고 만족스러운 마음의 상태를 의미하는 개인의 긍정적 정서 상태를 뜻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열의의 보다 폭넓은 이해를 위해 개인내 수준과 개인간 수준을 함께 살펴보는 통합적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열의의 선행요인으로 개인의 주도적 행동인 직무개선과의 관계를 살펴봤으며, 일열의의 결과 구성원의 안녕감이 높아질 것으로 보았다. 일열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직무요구-자원 모델과 관련하여 직무 자원을 늘리는 성격적 변수인 자기 효능감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즉, 자기 효능감이 높을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직무개선과 일열의의 정적효과 가 강화될 것이라 예측하였다. 국내 기업의 구성원으로부터 총 10일간의 설문조사 결과 전체 인원 119명, 총 1190일을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다수준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결과 개인내 수준에서 직무개선과 일열의는 정적인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개인간 수준에서 직무개선, 일열의, 안녕감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 효능감은 개인내 수준에서 직무개선과 일열의의 정적효과를 강화시키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 KCI등재

        Rapid Subtyping and Pathotyping of Avian Influenza Virus using Chip-based RT-PCR

        권나영,안정진,김지훈,김설영,이지호,권정훈,송창선,황승용 한국바이오칩학회 2019 BioChip Journal Vol.13 No.4

        Frequent outbreaks of avian influenza viruses (AIV), which are influenza A viruses, result in heavy economic and national damages. However, current diagnostic methods require about 5-7 days for AIV to be confirmed, which allows enough time for the widespread dissemination of the viru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apid and accurate diagnosis of AIV. Here, we developed a diagnostic method using chip- based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qPCR) for the rapid identification of the major subtypes H5, H7, and H9 of AIV that influence the pathogenicity of the virus. Specific primer pairs and probes were designed to target the highly conserved Matrix (M) gene regions in influenza A viruses. Specific primer pairs and probes for subtyping were developed by targeting the conserved sequences in the haemagglutinin (HA) gene specific to each subtype. For pathotyping, specific primer pairs and probes for the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viruses (HPAIV) were generated by targeting the HA cleavage site, which is highly related to the pathogenicity of the virus. Using the primer pairs and probe sets, we synthesized the major sequence of each type and constructed a standard curve to confirm their detection limit. In addition, we used a chip-based RT-qPCR method to test the samples collected from the faeces of wild birds, cloacal and oropharyngeal swab samples of infected chicken, and allantoic fluids samples incubated with inoculated eggs. As a result, AIV was accurately detected in all samples. Our study shows that by using a single DNA chip in a portable chip- based RT-qPCR device and specific primer pairs and probes, rapid and accurate AIV detection and subtyping and pathotyping is possible, which will reduce the spread of the virus, thereby reducing the economic and national damages.

      • KCI등재

        가중 합치도 H<sub>ω</sub>와 κ의 새로운 역설

        권나영,김진곤,박용규,Kwon, Na-Young,Kim, Jin-Gon,Park, Yong-Gyu 한국통계학회 2009 응용통계연구 Vol.22 No.5

        두 평정자가 R개의 순서형 반응 범주로 각 개체를 분류한 $R{\times}R$ 분할표에 대해, 불합치의 정도를 가중치로 부여한 가중 합치도 $H_{\omega}$를 제안하고, 최대 우도추정량 및 분산을 유도하였다. 또한 $2{\times}2$ 분할표에서 Feinstein과 Cicchetti(1990)가 제기한 마지막 역설을 새롭게 정의하고 증명하였으며, ${\kappa}$의 새로운 역설을 제기하고, ${\kappa}$와 주변분포의 전반적인 관계를 정리하였다. For ordinal categorical $R{\times}R$ tables, a weighted measure of association, $H_{\omega}$, was proposed and its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and asymptotic variance were drived. We redefined the last paradox of ${\kappa}$ and proved its relation to marginal distributions. We also introduced the new paradox of ${\kappa}$ and summaried the general relationships between ${\kappa}$ and marginal distributions.

      • KCI등재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사회적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권나영,권영주,김연희,김초희,김형남,김규진 한국무용학회 2023 한국무용학회지 Vol.23 No.2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odern dance. 182 college students from the dance department of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across the country were surveyed and the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18.0. Principal component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variables. After tha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rough variable calculation, and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eacher’s support of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sub-variabl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variables of teacher’s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regulation abilit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upport and information collec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it is essential that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establish a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ollowed by the emphasis on an enhanced additional research on resilience. 본 연구는 현대무용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국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현대무용 전공자 18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18.0 활용하여 자료 처리하였다. 변수들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주성분 및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변수계산을 거쳐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의 교사지지가 진로준비행동의 모든 하위변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모든 변인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이 부분매개, 교사지지와 정보수집행동의 관계에서 긍정성이 부분매개, 교사지지와 정보수집행동, 목표달성행동의 관계에서 대인관계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교사와 학생 간 소통 창구를 위한 대학 당국 차원의 시스템마련, 회복탄력성 관련 연구의 확대를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도출한다.

      • KCI등재

        중등학교 수학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 조사

        권나영,오서영 한국수학교육학회 2020 수학교육 Vol.59 No.4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perceptions of middle and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on assessment. For the purpose, we developed and used a survey consisting of two parts(importance/performance on assessment and general opinion on process-based assessment). We gathered data from 188 middle school and 125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in Incheon area.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As results,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showed higher perception on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almost all area on assessment than high school teachers. In addition, research results based on teaching experience indicated that mathematics teachers having more teaching experience seemed to perceive high importance-high performance and low importance-low performance tasks more than mathematics teachers having less experience. In particular, middle school teachers recognized many low importance-high performance tasks according to their teaching experience. The IPA gave us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school size. The larger the school, the more diverse opinions appeared tasks in low importance-high performance. From the general opinion on process-based assessment,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also seemed to have more positive perspectives and to be more active in assessment than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Finally, we discuss implications for future polic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n process-based assessment. 본 연구는 중등학교 수학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에근무하는 중학교 188명, 고등학교 125명의 수학교사로부터 평가에 관한 6가지 영역과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일반적인인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는 중요도-수행도 분석기법(IPA)을 사용하여 학교급별, 경력별, 학교규모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 대부분의 영역에서 중학교 수학교사들이 고등학교에 비해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경력별로는 경력이 높을수록 높은 중요도-높은 수행도, 낮은 중요도-낮은 수행도가 많이 나타나고. 학교규모가 클수록 낮은 중요도-높은 수행도에 다양한 의견이 나타났다.

      • 김홍도 마당극에 나타난 풍속화의 연극적 형상화 양상

        권나영,김진형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2

        그동안 김홍도 관련 문화콘텐츠들은 출판콘텐츠와 전시콘텐츠를 통한 평면적 이해에 머물렀다. 그런데 마당극이라는 공연콘텐츠를 통해 김홍도의 삶과 역사 그리고 풍속화를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2018안산김홍도축제의 <김홍도 마당극>은 연극적 형상화를 통해 풍속화 속 사건을 재현 및 설명했다. 1부와 2부는 사건재현으로, 3부와 4부, 5부와 7부는 사건설명으로 형상화되었다. 관객은 <김홍도 마당극>을 통해 김홍도의 삶과 역사뿐만 아니라, 풍속화의 예술적 가치를 알 수 있다. 또한, 축제에서 마당극은 설명을 통해 역사적 사실을 효율적으로 전달했다는 맥락에서 교육적 기능을, 김홍도 마을 과 더불어 축제의 양대 축으로서 김홍도 축제의 주제를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핵심콘텐츠적 기능을 했다. 마당극의 각 부는 각각의 풍속화가 중심인 옴니버스 서사를 통해 관객들이 풍속화를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베르톨트 브레히트가 말하는 서사극의 소격효과 를 통해 관객과 배우를 분리, 의도적으로 묘사할 대상인 풍속화에 사람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마당극의 옴니버스 구조와 소격효과, 그리고 풍속화의 연극적 형상화가 결합해 마당극의 주요 목적인 ‘풍속화를 중심으로 한 김홍도의 예술적 혼 조명’을 효과적으로 관객에게 전달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레지스터 전달 수준 설계단계에서 사전 클럭트리합성 가능여부 판단을 위한 경량화된 클럭트리 재구성 방법

        권나영,박대진,Kwon, Nayoung,Park, Daejin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6 No.10

        When designing chip, it considers design specification, timing problem, and clock synchronization on place & route (P&R) process. P&R process is complicated because of considering various factors. Chip uses clock tree synthesis (CTS) to reduce clock path del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hallow-CTS algorithm for checking clock tree synthesizable. Using open source Parser-Verilog, register transfer level (RTL) synthesizable Verilog file is parsed and it uses Pre-CTS and Post-CTS process that is included shallow-CTS. Based on longest clock path in the Pre-CTS and Post-CTS stages, the standard deviation before and after buffer insertion is compared and analyzed for the accuracy of CTS. In this paper, It is expected that the cost and time problem could be reduced by providing a pre-clock tree synthesis verification method at the RTL level without confirming the CTS result using the time-consuming licensed EDA tool.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및 system on chip (SoC) 설계 시 디지털 회로는 클럭에 동기화되어 작동한다. 칩 설계 시, place & route (P&R)에서 설계 조건과 타이밍 조건, 클럭의 동기화 여부 등을 고려한다. P&R에서 클럭 경로에 대한 delay를 줄이기 위해, clock tree synthesis (CTS) 기법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전 클럭트리 합성 가능 여부 판단을 위한 shallow-CTS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오픈 소스 Parser-Verilog를 사용하여 register transfer level (RTL) 합성가능한 Verilog를 파싱하여, Pre-CTS와 Post-CTS 단계를 진행하고, 가장 긴 clock path와 버퍼 삽입 전후의 표준편차를 비교하여 CTS의 정확도에 대해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 시간 투입이 많이 되는 licensed EDA tool을 사용하여 CTS 결과를 확인하지 않고, RTL 수준에서 사전 클럭 트리 합성 검증 방법을 제공하여 비용 및 시간문제를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