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탐색적 연구

        구혜경(Koo, Hye Gyoung),나종연(Rha, Jong Yo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2 소비문화연구 Vol.15 No.3

        소비자와 기업은 시장경제의 동등한 두 주체로서 이미 상생과 협력의 관계로 들어섰다. 200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소비자와 기업은 가치를 공동창출할 수 있는 관계로 규정되고 여러 가지 시장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가치공동창출활동을 당연히 추구해야 하는 개념으로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을 어떻게 하는 것이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바람직한지를 제시하는 연구는 없었다. 구혜경과 나종연(2012)은 실제 시장에서 소비자와 기업의 관계를 두고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의 개념을 선순환적이고 장기적인 관계로 정의한 바 있으며, 이를 실증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을 활성화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치공동창출활동 관련 분야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인터뷰하였으며, 그 결과 가치공동창출활동을 저해하는 소비자와 기업 측면에서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소비자측면에서는 적극적 소비자의 활동의 부적절한 가치공동창출활동, 평균적 소비자가 창출하는 가치내용 수준의 한계, 침묵하는 소비자의 무임승차 경향이 저해요인이었다. 기업 측면의 저해요인은 소비자창출가치를 반영하는 실무 부서의 업무 우선 순, 위 문제기업 내에서 CS부서의 위상이 낮은 문제, 최고경영자의 소비자창출가치에 대한 인식의 부족, 가치공동창출 활동의 성공사례 부족으로 인해 기업이 가치공동창출활동에 더욱 집중하기 힘든 문제 등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컨텐츠 차원과 시스템 차원으로 구분하여 모색해보았다. 우선 가치공동창출활동 자체의 중요성과 소비자와 기업이이를 수행해야 하는 당위성을 강조하는 것의 컨텐츠 측면과 소비자와 기업의 가치공동창출활동의 실행력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체계를 갖추는 시스템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The concept of consumer-business collaboration is gaining importance in information society in which the notion of coexistence is critical. Several reasons could be behind the shift in paradigm from that of competition to that of collaboration between consumers and businesses. First driving force of such change can be found on consumer side. In the information age, consumers could access information that were not available to them before and they are able to modify, produce and share information with other consumers, and such informed consumers become empowered in the market. From business perspective, collaboration is essential element in business success and sustainability. In order to succeed and cope with fast changing market conditions, it is important for businesses to form partnership with consumers and feel the needs of consumers and respond to them in an appropriate and timely manner. This study suggest that is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n advanced research, I’ve already defined the concept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and developed the scale for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On this study achieves expert panel interview for understanding the blocking of co-creation of value. This study found three aspects of hindrance of co-creation of value: consumer, business, and the others. First of all, consumer aspects result are as followings. First, there are so many passive consumer who do not co-create the value. Even though product or service is unsatisfied, passive consumer do not express their opinion. As a result they did not contribute to new product that is reflected consumer’s value. Secondly, Consumer creation value are very personal or impromptu, so business devaluate of the consumer proposal value. Thirdly, pro-active consumers for value co-creation manipulate the value by business’ money reward system. Nextly, business aspect’s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Marketing and sales are the core department for product developing. Through marketing and sales departments have to focus on consumer value, the priority oder for them is not consumer value but a suitable time launching or sales revenue. Secondly, Consumer satisfaction department that managed consumer opinion have lower hierarchy in business organization. Thirdly, CEO emphasize consumer value but it’s very abstract. They do not have a system for company worker’s co-creation of value activities. Fourthly, there are not enough successful case of co-creation of value. The last, the other aspect’s result are as followings. In market, there are some business categories to support business, for example PR agency or research firm. Despite their role is not only understand but also deliver consumers’ true needs and wants based on consumer’ behavior, those agencies often take advantage of such situation. When advertisers made an arbitrary decision, sometimes they gave a tacit for continuous good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se surveys, To revitalize co-creation of value activities, we will consider two sides. One is consumer’s value creation “Contents” aspect and the other is the “Systems” aspects. The meaning of the contents is education source for co-creation of value activities of consumer and business. And the meaning of the system is the comprehensive conditions of business surroundings for example, information system, employee evaluation system, organization system, business managing system and so on. This study contributes to field of consumer’s sovereignty by conceptualization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and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for business also, because the meaning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s for win-win of both sides in market. Through performing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activities, business can accomplish their profit seeking and existence.

      • KCI등재

        어떤 사람이 보험을 필요로 하는가? - 보험 인식 및 사회경제적 가치관을 중심으로 -

        구혜경(Hye-Gyoung Ko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8

        본 연구는 최근 1년 이내 생명보험을 가입한 경험이 있는 25-54세 성인소비자 1,500명을 보험 필요성 인식수준에 따라 필요성 인식 상위, 중위, 하위의 3개 집단으로 유형화하고, 유형별로 보험 및 금융에 대한 인식 및 사회경제적 가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보험 및 금융관련 전반적 인식요인, 보유 보험 개수, 보험 만족도 이외에 사회경제적 가치인식 요인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보험 및 금융관련 전반적 인식 요인은 ‘보험을 전문관리 및 재테크 수단으로 인식’, ‘자기주도적 보험 설계 및 가입’, ‘보험에 대한 경제적 부담 인식’으로 구분되었고 사회경제적 가치 인식 요인은 ‘사회경제적 자족감’, ‘워라밸 가치추구’, ‘경제적 가치추구’로 구분되었다. 보험 필요성 인식 상위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필요성을 보다 높게 인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특히 중위집단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험을 전문관리 재테크 상품으로 인식하는 것이었으며, 상위집단은 워라밸 가치추구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두 집단 모두 자기주도적 보험 설계 및 가입 요인이었다. 향후 보험 가입율 증진을 위해 워라밸 가치 추구를 위해 보험이 필수적인 상품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교육, 소통해야 하며 소비자들이 스스로 정보를 탐색하고 상품을 비교할 수 있는 정보탐색 여건의 지속적인 개선이 보험시장 활성화를 위해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The study identified 1,500 adult consumers aged 25–54 years with life insurance within the last year as three groups, top, middle and bottom of need recognition, and demonstrated differences in insurance and finance perception and socioeconomic value perception. In particular,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value recognition factors in addition to overall recognition factors related to insurance and finance, the number of insurance held and insurance satisfaction. Overall recognition factors related to insurance and finance were classified as ‘recognition of insurance as a means of professional management and finance’, ‘self-directed insurance design and contract’ and ‘recognition of economic burden on insurance’. Socioeconomic value recognition factors were divided into ‘socioeconomic self-sufficiency’, ‘work-life value pursuit’ and ‘economic value pursuit’. We identified factors that affect the recognition of a higher need for insurance needs as a higher recognition of need for insurance needs. In particular,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the median group was the recognition of insurance as a professional management asset-tech product, and the upper group was found to be a work-life balance factor. The second influential factor was self-directed insurance design and contract factors for both groups. In order to increase the rate of insurance subscription in the future, insurance should be recognized as an essential product to pursue work-life value, and continuous improvement in information exploration conditions for consumers to explore information and compare products will be important to revitalize the insurance market.

      • KCI등재후보

        소비자의 금융상품 정보에 대한 인식 분석 - 금융상품 구매 시 경험하는 어려움을 중심으로 -

        구혜경 ( Koo Hye-gyoung ),나종연 ( Rha Jong-youn ) 한국금융소비자학회 2018 금융소비자연구 Vol.8 No.2

        세계적인 금융 위기 이후 금융소비자보호가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사전적 보호 차원에서 금융소비자정보 제공 관련 논의가 활발하다. 그 결과 소비자지향적인 용어의 변경 및 스토리텔링 상품 설명서 등이 적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은 여전히 금융상품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는 소비자가 금융상품을 구입하는데 있어서 심적인 부담을 느끼게 하는 요소일 뿐만 아니라, 구매 후 금융소비자의 문제발생과 직결되는 잠재적인 요인이 되기도 한다. 금융소비자 문제는 다른 소비자문제와 달리 금전적인 손실과 직결될 수 있으며, 문제가 상품 구매 직후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소비자들이 문제의 심각성을 더 크게 인식할 수 있다. 이에 근본적으로 소비자들이 금융상품을 구입, 보유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실질적인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금융소비자보호를 위해 잠재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금융상품을 보유하고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해당 상품을 구입하고 보유하는 과정에서 경험하였던 ‘어려움’을 주관식으로 제한 없이 적도록 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가 금융상품을 구입, 보유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소비자 자체의 문제, 금융 상품 자체의 문제, 상품 소비과정과 관련하여 구매시, 상품보유과정, 환급 및 해지과정에서의 문제점, 판매기업 관련 문제점, 상품 비교의 문제점으로 분석되었고, 특히 상품 자체의 문제점으로 금융상품의 용어가 어렵고, 상품의 구조 자체를 이해하는 것이 어렵다는 의견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결국 소비자는 금융상품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채 구입하고 있으며, 판매 접점에서의 효율적인 정보제공방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금융소비자보호를 위하여 근본적으로 금융소비자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 역시 중요한 요소임을 반증하는 결과이다. 이에 금융정보정책의 수립 시, 금융상품에 대한 소비자 이해도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정보제공 방안 및 형태에 대한 논의가 요구되며, 금융상품의 특성 상 대인판매가 활성화되고 있기 때문에 금융상품 판매원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적 관심도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ovision of financial information seek for consumer-centric method that use easy word and story telling probing. This is important consumers to understand financial products’ features. Korea does have a disclosure policy that mandates certain information to be disclosed but its effectiveness in terms of consumers’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being disclosed is questionable. The focus of this paper is analysis the real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financial products consumption process. the financial products information is included the boundary of technical information. Technical information means the basic nature of the goods, the method for product usage, special skill for production and so on. Consumers feel uncomfortable and difficult to technical information due to the professional contents. It means that consumers have some fear for financial products, and they have difficulties for information search. These would be able to be potential consumer problems of financial area. We gathered 318 consumer opinions for financial difficulties in financial product consumption and analyzed these data using the contents analysis methods. To analyze this data, four experts in consumer science participated and classified the data repeatedly to make accordance between experts’ analysis. Our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five main categorizations that are consumer self problems, financial products feature related problems, financial products maintained process related problems, the seller related problems and financial products information comparison problems. Most severe problem is a difficult financial terminology. Many consumers feel the difficulty of the term and it could be barrier not to effort to more search for financial information. The second problem is the ambiguity of the financial performance. In the case of investment goods, although there is not principal guarantee, many consumers expect the principal guarantee and more performance. It means that they didn't understand the basic features of investment goods when they had searched the financial information and sometimes the sellers just emphasized the probability of the investment performances. And the other big difficulty is the seller related problems that are excessive marketing activity to exaggerate the performance and to recommend seller oriented products. This situation would lead consumers recognition error for financial products consumption. To provide consumer-centric financial information, plain language have to be used consumers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easily. And the sellers have to be qualified to provide the right information and to have the professional sales ability.

      • KCI등재

        소비자의 개인정보 제공 동의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구혜경(Koo, Hye-Gyoung),나종연(Rha, Jong-Yo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4 소비문화연구 Vol.17 No.2

        This study focus on the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usage. In the modern society, many consumers give consent to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by some firms or government branches. Although the right to consent is not only the basic human right but also the property right, many consumers don't pay enough attention to the consent process and the terms of privacy policy. Therefore this study had to focus the behavior and perception of consumers' related with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depth interview methodology. As a results, many consumers don't read the terms of privacy policy, and the behaviors could be differentiated with situation giving consent such as online-offline context and they think there are no right to choice giving consent or not. Futhermore, consumers recognized there are three parts of problems, those are consumer cognition problem, structural problem at giving consent context, and the form related problem. At first, consumer's cognitive problem is related with consumer's perception when consumers give consent, for example, they don't want to read the terms of privacy policy or they can't understand the contents of privacy policy because of the jargon of the terms. Secondly, there are structural problem at consumers' giving consent context. Most users of personal information don't effort to develop the level of consumer's understanding, actually at the consent situation, consumers can't have real right to choose consent or not. Thirdly, there are formation problem of the privacy policy documents. There are so many contents, the character is very small, finally the legibility is very bad so that the documents made consumers not to read the terms. And another issue is the perception of the main concept of privacy policy jargon such as "the third party provision" or "sensitive information of individuals". We can find the gap between consumer's perception and the real meaning of the terms of privacy policy. Last issue is the thought of the responsibility abou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nsumers judge the responsibility subject to business part, government part, and consumer-self part. Business part is the very subject to get real benefit through using individual information, so consumers want business part to play role to develop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rea. Futhermore consumers need to more powerful regulation to arrange the market's role and to correct the wrong behavior of business part. And lastly, consumers know self-problem of gap between the recognition of personal information value and the level of giving consent behavior. This study could check various opinion abou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ssues, and to suggest better way to reflect personal information policy, we held the experts conference that is composed of personal information scholars, administrators, businessman of global firm. They discussed various issues those are the results of consumer's depth interviews and they suggest the ideas to develop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in Korea. Firstly many consumers think that they couldn't haver real right to consent, the experts analyzed the reason that there are too many consent contents including indispensible information such as name, address to deliver commodity or services of information users. Therefore, the essential information to give users have to be noticed consumers to understand intuitionally, the optional information for more services have been disclosed consumers to choose giving personal information or not. For this, it is needed to standardize the privacy policy and consent documents for informed consent by consumers. Secondly, Privacy Protection Act guarantee the right to redress. If consumers give consent to user personal information at online, it will have to be possible to redress or change the level of personal information usage of users at online easily. But practically consumers have to go to the office of persona 소비자의 개인정보는 그 동안 프라이버시, 인권의 측면에서 논의되었으나, 현대사회에서는 재산권으로서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점이 변화될 필요가 있다. 다수의 소비자가 개인정보가 중요함을 인식하나, 개인정보제공 동의에 있어서는 매우 형식적인 과정으로 인식하여 동의서 내용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는 경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이미 현대사회에서는 개인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방법으로는 보호할 수는 없는 상황이며,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이다. 따라서 개인정보 제공 동의시, 얼마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고 동의하였는지의 여부가 개인정보의 자기결정권에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법률상에서 사업자가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하기 위해 소비자에게 고지해야 하는 주요 내용을 확인하고, 이에 관한 소비자 인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소비자의 개인정보제공 동의행동에 대한 확인 및 개인정보제공 동의상황의 문제점을 다각도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정보정책의 수립에 있어서는 다양한 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정책의 수립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개인정보제공 동의 문제는 소비자의 인지적 문제와 동의상황의 구조적 문제(Solove 2013)로 구분되며, 본 연구의 결과는 이 틀에 근거하여 해석하였다. 개인정보 제공 동의에 대한 인식확인을 위해 20~50대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탐색하였으며, 결과를 정책반영하는데 있어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 회의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정보제공동의과정에서의 문제점은 내용의 어려움, 과다한 내용, 소비자의 휴리스틱적 의사결정 등 소비자의 인지적 문제와 실제로 동의거부권이 없는 것으로 여겨지는 동의사황, 개인 소비자가 다수의 사업자와 거래를 형성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협상력이 적어지는 등의 구조적 문제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인지적 문제와 구조적 문제는 상호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의존적으로 악순환인 상황으로 보인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산업권별로 개인정보보호를 관장하는 법률과 관리감독 기구가 달라 구조적인 문제의 해결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개인정보제공에 있어 중요한 내용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차이가 매우 큰 현 상황에서 소비자가 제대로 내용을 인식하고 동의할 수 있도록 동의서식의 표준화 및 동의서 내용의 개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정보내용을 이해하고 동의할 수 있도록(informed consent)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정보의 자기결정권 혹은 동의권이라는 기본 권리 실현의 가장 기본 전제를 충족시키는 과정으로서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의 개념화 및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구혜경 ( Hye Gyoung Koo ),나종연 ( Jong Youn Rha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1

        소비자와 기업의 관계는 부단히 진화하고 있다. 급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소비자의 위상은 과거에 비해 높아졌고, 기업은 존속을 위하여 소비자지향적인 경영활동을 강화하는 추세이며, 소비자와 기업의 관계는 대립에서 상생의 관계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비자학은 소비자가 기업의 동반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개별 소비자들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계를 가능하게 하는 개념으로서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을 살펴보았고, 이를 소비자 가치창출활동과 기업 가치창출활동이 상품을 매개로 접목되고 선순환적으로 발전하는 전체적이고 유기적인 과정으로 확장하여 개념화 하였다. 또한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의 수준을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향후 소비자와 기업의 가치공동창출활동 수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기업 가치공동창출활동의 척도는 개념화에 근거하여 내용과 수행방식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고 각각 35개 항목과 12개 항목을 최종 개발하여 검증하였다. 내용 척도의 경우 상품속성가치와 상품소비과정가치로 구분하였으며, 수행 방식은 소비자가 주도하는 소비자 Push 방식, 기업이 주도하는 기업 Pull 방식, 소비자간에 정보 공유를 주도하는 소비자 상호작용 방식으로 구분하였다. The concept of consumer-business collaboration is gaining importance in information society in which the notion of coexistence is critical. Several reasons could be behind the shift in paradigm from that of competition to that of collaboration between consumers and businesses. First driving force of such change can be found on consumer side. In the information age, consumers could access information that were not available to them before and they are able to modify, produce and share information with other consumers, and such informed consumers become empowered in the market. From business perspective, collaboration is essential element in business success and sustainability. In order to succeed and cope with fast changing market conditions, it is important for businesses to form partnership with consumers and feel the needs of consumers and respond to them in an appropriate and timely manner. What is the specific action plan for consumer-business collaboration? This study suggest that is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s useful not only to businesses but also to consumers in the sense it ultimately contributes to the realization of consumer sovereignty in the market. More specifically, where as the concept of dollar vote, a traditionally discussed means of realizing consumer sovereignty, has been criticized as being a remedial approach to what is already offered in the market, the potential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lies in the possibility that consumers` needs and preferences can be communicated to businesses before the actual production happens, and thus making the distribution of social resources more ideal and effective by consumers. This paper propose to do the followings. First, I proposed to conceptualize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from consumer study`s point of view. Secondly, I proposed to develope the scale for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 suggested the scale for co-creation value contents and the other being performance. In order to define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t may be useful to take study the previous studies of co-creation into consideration. Great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question of co-creation of value since 1979. However no one conceptualized the definition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Just Wikstrom(1996), Prahalad and Ramaswamy(2000, 2004), Vargo and Lusche(2004, 2006, 2008). Payne et al. (2008) had a comprehensive survey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from both consumer and business perspectives. From these previous studies. I have extracted several ideas in order to conceptualize the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They are consumer value creation process, business value creation process, the value to be able to co-create. In the Following, I tried to show the definition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with regard to its significance to consumer, business, and market.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e" can be explained through three processes. First, through experience, consumers discover new or additional values they desire in products. Then, business selectively choose and study certain values discovered by consumers in order to improve their products. Once the business proposes improved products which reflect the consumer`s ideas, consumers will likely choose to consume those products. Within this three-step process, consumer-business co-operate, and eventually exercise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activities. The fact that consumer sovereignty can realize before dollar-vote in the market is meaningful to consumer. From Business perspective, they can continue to exist through consumer dollar-vote. Last, if this process should happen everyday, the distribution of social resources will make more ideal. I focused more closely on developing the scale for measuring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and to examining the real condition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n Korea with respect to ongoing activity and perceived importance.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can be measured two sides with one being value contents and the other being performance. The final value contents is composed of product attribute value, buying value, usage value, AS value, disposing value and can be dimensionalized by consumer`s problem solving level Consumer offer an opportunity to business to study their experience process. consumer identified problem of product through using process. Next dimension is problem solution suggestion by consumer, and last dimension is new idea suggestion. Performance Method is dimensionalized by two major axes,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performance. They were named by consumer pushing way, consumers` interaction way, business pulling way. In order to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activity, the final Questionnaire with 35 Questions for value contents and 12 Questions for performance method. After the conceptualizing and developing the scales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 conducted the survey to measure the real conditions of consumer-business co-creation of value in Korea and I perform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validate the scales of measurement.

      • KCI등재

        주거가치에 기반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주거선호 연 -주택 구입 예정자를 중심으로-

        구혜경 ( Hye Gyoung Koo ),조희경 ( Hee Kyoung Cho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2

        소비자의 관점에서 아파트는 자산 가치와 사용가치 모두를 제공하는 가장 비싼 내구재이자 상품과 서비스의 총체이다. 최근 수도권의 구매수요 감소, 미분양의 증가 등 아파트 시장의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미래의 주택시장은 현행 획일적인 공급의 틀에서 벗어나 소비자들의 주거가치에 기반을 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니즈를 반영한 상품개발을 통해 공급의 다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는 침체된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적 접근 외에 주택업계의 적극적인 노력이 모색되어야 하는 영역이다. 보다 구체적인 주거선호를 파악하기 위해 향후 5년 이내 아파트 구매의향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구매상황을 가정함으로써 구체적인 주거선호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선호와 요구가 소비자의 유형별로 어떻게 다른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아파트는 개인과 가족의 삶의 터전이므로 아파트 특성뿐 아니라 가족의 여가활동, 인테리어, 웰니스에 대한 태도, 주거가치 등 라이프스타일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소비자의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요구에 부합하는 아파트 공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거가치에 기반한 라이프스타일’ 척도를 개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통하여 척도를 검증하였으며, 5년 이내 아파트를 구입할 계획이 있는 서울시 아파트 거주자 1,700명을 대상으로 주거가치 기반의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실속ㆍ합리형, 보편적 중산층, 품질ㆍ안전 지향형, 고급ㆍ쾌적 지향형의 4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주거선호를 파악하기 위해, 미래의 아파트 구매상황을 가정할 때 선호하는 아파트 형태와 구매 시 중요하게 고려할 주거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인 미래 주거선호를 보면, 채소재배가 가능한 전원형 아파트를 가장 선호했으며 스포츠/레저시설 있는 아파트, 수도권 외곽 세컨드 하우스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구매 시 가장 선호하는 주거특성은 입지특성이고 다음이 브랜드특성, 내부특성, 단지특성의 순이었다. 연구결과, 주거가치에 기반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아파트의 형태와 주거특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실속ㆍ합리형은 미래 아파트 유형별 선호도가 낮았고, 보편적 중산층은 세컨드아파트, 스포츠/레져, 보안시설 적용 아파트를 선호했으나 전반적으로 두드러지는 특징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품질ㆍ안전형은 레저/스포츠시설, 세컨드하우스를 선호했고, 고급ㆍ쾌적 지향형의 경우는 채소재배가 가능한 전원형 아파트, 세컨드하우스, 스포츠ㆍ레저시설 아파트, 단 독형 아파트 등에 대한 선호가 높아 여유로운 삶을 즐기고자 하는 성향이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아파트는 다양한 삶의 요소를 반영하여 설계되고 공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주택업체들에게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관점에서 주거가치에 기반한 라이프스타일 지표를 개발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생활자로서의 소비자를 연구하는데 다양한 개념의 융합을 통해 소비자의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Apartment house is the totality of the most expensive durable product and service that provides both asset values and usage values. Recently, the apartment house market is depressed because of decrease in purchase demand and increasing in unsold apartment houses. Accordingly, it is time for future housing market to diversify its supply by developing products reflected consumers’ needs for various lifestyle types based upon their housing values beyond the current uniform frame of supply. This is a realm for housing companies in the market, they have to be concerned consumers’ need to apartment house and their lifestyle related with housing to get over housing market depress. To find out more specific housing preferences, it is necessary to check specific housing preferences by assuming purchase situations targeting consumers wanting to purchase an apartment house within coming 5 years, and it is important to know how these preferences and requests differ by consumer types. Especially, since an apartment house is the base for an individual and family life, lifestyles such as family pastime activities, interior, attitude towards wellness, housing values and etc along with its features should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to classify consumer types and supply them with apartment houses meeting the needs for each type. In such a background, this study developed housing value-based lifestyle criteria, verified them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ategorized housing value-based lifestyles targeting 1,700 apartment house residents in Seoul who intend to purchase an apartment house within 5 years. As a result, four types of economicalㆍreasonable, general mid-class, ‘quality and safetyoriented’ and luxuryㆍcomfort were drawn out. Preferred apartment house types and housing features to consider at time to purchase on the condition of future apartment purchase were analyzed to find out housing preferences by lifestyle type. With regard to an overall future housing preference, farming house type where growing vegetables is possible were the most preferred, followed by those with sportsㆍleisure facilities, and second houses at the outskirts of the capital area. Housing features the most preferred at time of purchase are locations followed by brands, interior, and apartment complex. Result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red apartment house types and housing features according to housing value-based lifestyle types. ‘Economical and reasonable type’ had low preference in future apartment types, ‘General mid-class type’ preferred second apartments or those with sports, leisure and safety facilities but not with conspicious features. ‘Quality and safety-oriented type’ preferred those with leisure/sports facilities or second houses, and ‘Luxury and comfort type’ preferred farming type apartment houses where they can grow vegetables, second houses, those with sports/leisure facilities, independent apartments, clearly showing their trend to enjoy leisurely life. Apartments should be designed, and supplied with various life factors reflected in them. In this light, the this study can provide housing companies with important implications and has its meaning in that it can enhance understanding of consumers as livers by developing and empirically verifying housing value-based lifestyle indices from consumer``s perspective.

      • KCI등재

        소비자중심적 금융상품 정보에 대한 평가: 변액보험 상품리플렛을 대상으로

        구혜경 ( Hye Gyoung Koo ),나종연 ( Jong Youn Rha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2

        우리나라에서는 금융상품별 주요 정보 공시제도를 실시하여 소비자에게 필수적인 정보가 제공되도록 법제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가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현실을 살펴보면, 문서화된 경우 작은 글씨이거나, 홈쇼핑 및 광고 방송의 경우 매우 빠른 속도로 정보가 전달되는 등 소비자의 이해를 돕는 방식이라기 보다는 기업의 정보제공의 무 소홀에 대한 책임 회피를 위해서 일방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는 정보정책에 있어 “정보 내용”에만 초점을 맞춘 결과라고 본다. 반면 미국, 영국, 캐나다 등 해외에서 금융정보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정보의 내용을 소비자가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전달방식 및 형태(format)를 강조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개선된 금융정보의 형태 및 내용을 소비자가 직접 평가하고 그 결과를 정책에 반영하는 것이 매우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변액보험의 상품리플렛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주요 정보 내용의 전달 형태를 변경한 수정안을 제작하고, 표적집단면접을 통하여 소비자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Garrison et al.(2012)가 제안한 수정시안 제작과정의 단계를 따르고, 학계와 금융업계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협의회를 통하여 수정시안을 완성하였다. 변액 보험은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상품으로 투자상품과 보험상품의 특징을 모두 지닌 복합적 상품이므로 소비자가 이해해야 하는 정보가 더 어렵고 복잡할 수 있다. 상품리플렛의 경우 가시적으로 문서화된 정보로 구매의사결정 초기단계의 주요 정보원이나(나종연 외, 2012) 광고물로 분류되어 실제 금융당국의 감독 대상에서는 제외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작한 수정안은 해외의 우수한 금융상품정보 제공 사례 및 국내외 정보 전달 형태의 벤치마킹 사례를 참고하여 제작하였으며, 상품의 주요 정보와 전달 형태를 모두 고려하여 반영하였다. 특히 정보 내용을 상품의 기본 정보와 소비자보호정보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해 세부적인 내용을 제시하였다. 기본적인 형태는 표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수정안은 금융상품 거래의 비용 관련 정보와 소비자 보호를 위한 기본 사항, 그리고 소비자의 의무사항을 더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해외 사례와 차별화된다. 기존에 면책을 위해 일방적으로 제공된 정보들에 대해 소비자의 이해를 돕고, 소비자 보호의 원칙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전달형태를 대폭 개선하고 강화하였기 때문이다. 그 결과 기존안과 개선안은 실제로 유시한 정보내용으로 구성되어있음에도, 개선안에 대한 가독성, 이해도, 그리고 판매자에 대한 신뢰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정보전달형태의 변형은 온라인-오프라인의 정보 제공 형태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상품 리플렛이나 핵심상품설명서에도 적용될 수 있어 구체적인 금융정책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rovision of financial information to consumers more effectively has become one of the key issues in financial consumer policy recently globally. Korea does have a disclosure policy that mandates certain information to be disclosed but its effectiveness in terms of consumers’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being disclosed is questionable. This is due to the fact our disclosure policy focused on ‘what’ needs to be dislosed frompolicy maker and provider’s perspective rather than what information is needed by consumers and in which format.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form U.S., U.K., and Canada provided ample evidences that the shift in the focus in financial information policy towards the effectiveness of delivery of information to consumers, and also towards evidence based policy where consumer testing plays key role in policy decision making. The focus of this paper is investigating a more effective way of delivering financial information from consumers’ perspective. Specifically, we designed an improved version of consumer information leaflet for insurance products from the format being used currently, and tested whether or not the suggested version is better received by consumers using focus groups interviews. The suggested version included both benefits and costs (such as service fee and risks) as product information and also included transaction information which included information related to redress processes. Also, a table format with subheadings and explanation using examples were suggested as more consumer friendly format of information provision. Our results showed that format of information provision affected consumers’ readibility and level of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and also consumers’ attitude toward products and service providers. We argue that the content structure and format of information organization can be more generally used in other financial products, and establishing more standardized framework for financial information disclosure and provision is an essential step for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polic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