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부성과관리 품질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중앙행정기관 성과관리를 중심으로
구자군,이정욱 한국정책학회 2023 한국정책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0
본 연구는 목표의 명확한 설정, 결과 중심의 관리, 성과정보의 활용 등 성과관리 운영이 우수한 수준을 ‘성과관리 품질(performance management quality, PMQ)’로 정의하고, 중앙행정기관마다 PMQ 수준이 차이가 나는 이유를 정치적 요인, 관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여 성과관리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정책적·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1990년대 현대적 성과관리제도가 시행되고, 한국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범정부 차원의 통합적 성과관리제도인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을 제정하여 15년 이상 시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정 운영의 책무성 확보라는 성과관리의 목적이 달성되었는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국무조정실이 매년 중앙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성과관리·자체평가 「주요정책부문」운영실태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성과관리 운영행태와 운영수준은 기관별로 편차가 존재하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동일한 성과관리제도에도 불구하고 기관이나 조직별로 성과관리 운영이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을 성과관리 품질(PMQ)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한국의 중앙행정기관 PMQ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치적, 관리적 측면에서 실증 분석하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성과관리제도 고도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공한다.
구자군,양휘주,차용길,유상석 한국자동차공학회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Vol.23 No.6
In designing the heat exchanger model, the existing epsilon-number of transfer units (NTU) method cannot reflect factors inside the heat exchanger, such as the local flow rate changes.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apply a three-dimensional model to a one-dimensional analysis since high computational power is required. In contrast, a pseudo-three-dimensional heat exchanger model which has higher accuracy than the existing epsilon-NTU method and has faster speed for application in one-dimensional analysis. However, pseudo-three-dimensional model has still improvements in the simulation time as the mesh counts increase. In this study, the improved pseudo-three-dimensional heat exchanger model was developed and integrated within a one-dimensional analysis loop capable of simulating vehicle driving and the cooling system. The integrated model calculated the change in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entire cooling system with the change in the aspect ratio of the heat exchanger. Also, the optimal operation strategy of the cooling system, which incorporated a 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controller of the three-way valve, was determined to reduce the parasitic losses. As a result, parasitic loss of the cooling system decreased by 14.1 % as aspect ratio increased by 46 % under FTP-72 (UDDS) driving schedule and simulation time was reduced 90.1 % while accuracy degrades only 2.7 %.
정부성과관리활동 품질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중앙행정기관 성과관리를 중심으로
구자군 한국정책학회 2023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
한국의 성과관리제도인 「정부업무평가기본법」이 2006년 제정되어 시행이 된 지 15년 이상이 지난 현재, 정부기관마다 성과관리를 운영하는 수준에 격차가 존재한다는 점이 국무 조정실에서 발표하는 ‘성과관리 및 자체평가 「주요정책부문」운영실태 점검(운영실태 점 검)’과 그 보고서들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본 연구는 명확한 목표 설정, 결과 중심의 성과 측정, 성과정보의 활용 등 현대 정부 및 공공부문 성과관리의 핵심적인 활동들이 우수한 정도를 정부의 ‘성과관리활동의 품질 (performance management acitivity quality, PMAQ)’로 정의하고, 기관마다 PMAQ가 차이가 나는 이유를 외부 정치 환경 요인과 관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2017, 2019, 2020, 2021년의 한국 중앙행정기관으로, 국무조정실 운영실태 점검 결과를 활용하여 기관의 PMAQ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외부 정치 환경의 영향력이 강할수록, 대통령과 국회의 정치적 영향력이 강할수록 기관의 PMAQ는 낮아지며, 구조적 보호 수준이 높을수록, 성과관리 역량과 학습 역량이 높을수록 성과관리활동의 품질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나아가 구조적 보호 수준이 높은 조직은 대통령의 정치적 영향력이 기관의 PMAQ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결과를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의 성과관리 고도화를 위한 관리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보험설계사의 코칭역량과 일터환경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구자군,도미향 한국코칭학회 2022 코칭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보험설계사의 코칭역량과 일터환경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보험설계사를 대상으로 총 521부의 구글 설문을 수집하였고, SPSS와 AMOS를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험설계사의 코칭역량과 조직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보험설계사의 코칭역량이 높으면조직성과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둘째, 보험설계사의 대인관계와 조직성과, 코칭역량과 대인관계, 일터환경특성과 대인관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측정 변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험설계사의 코칭역량과 일터환경특성은 조직성과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대인관계의 매개를 통해서도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되어, 대인관계는 코칭역량과 조직성과, 일터환경특성과 조직성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보험설계사가 상담 시 사용하는 상담스킬이 코칭에서 사용되는 코칭역량과 대단히 유사함을 규명하는 연구들이 더 진행되기를 제안한다.
공무원 이직의도의 영향요인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X 세대와 MZ 세대 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구자군,이정욱 한국조직학회 2024 한국조직학회보 Vol.21 No.3
This study examines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among civil servants, comparing Generation X and the MZ generation, and suggests solutions for recent turnover issues in the public sector. It identifies organizational fa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uperiors, satisfaction with pay, work and life balance(WLB)) and job-related factors (job satisfaction,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role ambiguity) as key influences. Using 2022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study analyzes their relationships with turnover intention. the study finds that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negatively impacts turnover intention only for the MZ generation, while PSM positively influences turnover intention only for Generation X. Role ambiguity increases turnover intention in both generations, but this effect is stronger for Generation X. Satisfaction with compensation and job satisfaction both negatively impact turnover intention for both generations, with no significant generational difference.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tailored approaches to address turnover and proposes management strategies accordingly.
노점상 문제의 해결, 왜 실패를 반복하는가?:상황론적 정책관리의 관점을 적용한 사례 분석
구자군,이정욱 한국지방정부학회 2023 지방정부연구 Vol.27 No.2
The street vending problems are related to passage, hygiene, safety, and tax fairness, etc. The “majority” of residents facing inconvenience demand solutions from local authorities, but organized “minority” vendors, perceived as socially disadvantaged, resist. In this context, the policies of the local government to ease resident discomfort and address the problems often have temporary and limited effects, resulting in a cycle of unresolved conflicts reemerging after a latent period. This research explains the causes from the perspective of situational policy management. According to Matland (1995), policy implementation strategy selection should consider the level of conflict and policy goal's ambiguity. In the case of street vending problems, where means are clear but conflicts among key stakeholders are high, successful resolution requires 'political implementation,' emphasizing support and acceptance from stakeholders like residents and street vendors. However, local government strategies have been perceived as distant from effective political implementation, leading to execution limitations. This study utilizes Moore's (1995) concept of political management as an analytical framework, analyzing the case of street vending problems and addressing the issue in Dobong-gu, Seoul, and offering managerial insights necessary for dealing with street vending problems.
성과관리 활동 품질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한국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구자군,이정욱 한국행정학회 2024 한국행정학보 Vol.58 No.1
Improving performance, ensuring government accountability, and enhancing public trust through performance management depend importantly on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series of activities, including goal setting, performance measurement, and the utilization of performance information. This study defines the level of excellence in the implementation of performance management activities as “Performance Management Activity Quality (PMAQ).” Addressing the significant deviation in PMAQ among government organizations, we empirically analyze influencing factors. Focusing on external political environmental and managerial factors, we provide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impact factors of PMAQ and conduc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diverse archival sources.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influence of external political factors, such as the presid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has a negative impact on PMAQ, while performance management expertise and institutional memory have a positive impact. Structural insulation, meanwhile, exhibits a positive impact on PMAQ and partially mitigates the negative impact of external political influence on PMAQ. The study offer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nsights into successful performance management reform.
구자군,도미향 한국코칭학회 2018 코칭연구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코칭프로그램 현황과 코칭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향후 코칭프로그램의 운영 및 개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코칭프로그램 현황에 대한 파악을 위하여 국내에서 공식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인증 프로그램을 분석하였고, 코칭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경향분석은 2000년 1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연구된 논문을 대상으로 ‘코칭프로그램’을 키워드로 검색된 학술지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코칭프로그램 현황을 살펴본바 국내에서 공식적으로 인증 받은 코칭프로그램은 총 106개이며, 60개의 코칭기관에서 1개의 인증코칭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이 65.0%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코칭프로그램의 운영과정을 보면 54.2%의 코칭기관이 기본과정의 코칭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심화과정은 23.3%, 역량과정은 22.5%를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국내의 코칭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는 최근 19년 동안 학술지 99편, 학위논문 34편으로 최근 5년 이내에 급증하고 있었다. 연구 대상의 경우 성인을 위한 코칭프로그램 연구가 학술지 50편, 학위논문 20편으로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고, 코칭프로그램 관련 연구 주제는 16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그 중 역량강화, 학습코칭, 진로 코칭 등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코칭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서 코칭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돕고 코칭프로그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urrent trends and trends of coaching programs in Korea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coaching program research in the future. The analysis period was from January, 2000 to July, 2018, and it was searched by 'coaching program'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99 journals and 34 dissertat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 Coach Association has a total of 106 certified coaching programs and 60 registered coaching organizations. Of the 60 coaching organizations, 65.0% had one certified coaching program. To spread the concept of coaching, 54.2%, 23.3% and 22.5% of the coaching institutions operated basic deeper learning and competency learning coaching programs respectively. Second, in the last 15 years, research on domestic coaching programs have been surging, with 99 journals and 34 dissertations published within the past 5 years. In the case of study subjects, 50 studies of adults and 20 theses accounted for 50% or more of the total. This means that adult coaching programs are the most developed among the coaching programs. Research topics related to coaching program research were classified into 16 categories, and competency enhancement, learning coaching and career coaching were mainly researc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