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교회 평신도의 해외 선교 역량에 관한 조사 연구

        구성모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9 복음과 선교 Vol.46 No.-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is problem in the reality that the missionary resources of the Korean church and the actual missionary support are decreasing, and to propos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investigating the overseas mission capacity of the laymen to continue the Korean church to participate in missions. To do this, first, it is knowledge of mission. This is a basic knowledge of laity’s mission knowledge, a reason for their interest in laity’s missions, a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mission in church and the proportion of laity feelings, and a deep study of the mission knowledge of laity. Second, mission mobilization and participation Abstract A Study on the Competency for Oversea Mission of Laity in Korean Church Ku, Seong Mo (Sungkyul University, Missiology) 구성모, 한국 교회 평신도의 해외 선교 역량에 관한 조사 연구 l 83 are the will to participate in the mission of the members of the church, the trust of the church’s mission policy. Third, a survey on the future development for missions shows that there is a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a missionary organization in the church, the necessity of a mission agency in the church, and the planning and preparation agency for short-term missions.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a mobile phone, and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program 25,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lack of understanding and depth in the understanding of mission. Second, there was a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missionaries and laity for missions. There is also a research project that laity have to solve for the development of missions. ① It is clear that laity should be engaged in missions, but the actual participation rate is different. Why? ② Laity need to see more accurately about the extent and depth of the mission. ③ When we look at the practice of lait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ought and practice. It is still necessary to study whether missions are expanding to Korean churches. ④ Why can’t we identify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laity on missions by region? ⑤ Missionaries need to share and activate the knowledge, information, and strategies they gain from the mission field.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the direction of configuring the network for this purpose. 본고는 한국 교회의 선교사 자원과 실제 선교사 지원이 줄어들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 극복하고 한국 교회가 선교에 계속적으로참여하도록 평신도를 대상으로 해외 선교 역량을 조사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조사한 분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선교에 대한 지식이다. 이는 평신도들의 선교 지식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의 정도, 평신도들의 선교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 선교가 교회에서 차지하는 비중과성도들이 직접 느끼는 비중의 차이, 성도들이 가지고 있는 선교에대한 지식의 깊이 조사이다. 둘째로 선교 동원 및 동참이다. 이는소속 교회의 상황 분석 평신도들의 선교 참여에 대한 의지, 교회의선교 정책에 대한 신뢰 등이다. 셋째로 선교를 위한 미래적 발전에대하여 설문조사다. 이는 출석하는 교회의 선교 기관 설립에 대한『복음과 선교』제46집 43-84 http://dx.doi.org/10.20326/KEMS.46.2.43 한국 교회 평신도의해외 선교 역량에 관한 조사 연구구성모(성결대학교, 선교학) 44 l 복음과 선교 제46집교회의 계획 유무, 교회내 선교 담당 기관의 필요성, 단기 선교의기획 및 준비 기관 등이다. 설문 방법은 모바일 폰을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 17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평신도들의 선교에 대한 이해도는 부분적으로만 인지하고깊이가 부족하였다. 둘째로 선교를 위한 선교사와 평신도 간에 소통이 부족하였다. 또한 평신도들이 선교의 발전을 위하여 풀어야할 연구 과제도 발견되었는데 그것은 ① 평신도들은 선교를 해야한다는 점은 분명히 알지만 실제적으로 동참하는 비율이 다르다. 그 이유가 무엇인가? ② 평신도들이 실제적으로 선교에 대한 범위와 깊이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③ 평신도들이 선교를 실천하는 것을 보면, 생각과 차이가 생긴다. 이는 아직 선교가 한국 교회에 저변화 되고 있는가를 연구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④ 지역별로 선교에 대한 평신도들의 인식 차이를 확인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⑤ 선교사들이 선교 현장에서 얻는 지식, 정보, 및 전략들을 공유하고 활성화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 KCI등재

        선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영성훈련 고찰

        구성모 한국개혁신학회 2015 한국개혁신학 Vol.47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a spiritual discipline method for missionarie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and their spiritualities. To accomplish this, I discuss the importance of a missionary’s spirituality, the perception Korean missionaries have of spirituality, and the types of spiritualities. I also investigate the concept of personality, the personality types, and the MBTI(Mayers-Briggs Type Indicator) theory. Based on this research, I propose a spirituality training method for missionarie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and spirituality type. Whenever the foundation is weak, the structure that sits on it collapses and is entirely discarded. What is the foundational basis of missions? It is the spirituality of a missionary. All missions need fully equipped and prepared missionaries. Therefore, even if the number of missionaries we send is fewer, we need spiritually well trained missionaries. In particular, we must focus on the efficient preaching of the gospel in the training process. It is crucial that we constantly seek to send spiritually healthy missionaries. However, the reality for Korean missionaries is that their spiritual training is executed without any differentiation between individuals; there is no consideration for their personality type. In response to this issue, this article has come up with the following solution. Firstly, the different ways one can spiritually experience God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Secondly, a person’s personality type is classified in a system of sixteen patterns. If these two are put together, they divide into four types. Thirdly,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spiritual and personality type, they can be combined. Fourthly, if a missionary received spiritual training based on personality type, they may obtain healthier spirituality. However, the human personality cannot be categorized in 16 patterns. Also, the ways of an individual’s experience and relationship with God can number over the four types of spirituality. Furthermore, personality types may not match up with spirituality types. Yet, if personality and spirituality types can be classified more specifically, a more personal spiritual training can be found. 본 논문의 목적은 선교사의 개인별 성격유형과 영성유형에 따른 영성훈련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교사에게 영성의 중요성, 한국 선교사들의 영성 인식을 논하고, 영성유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성격의 개념과 성격유형, MBTI(Mayers-Briggs Type Indicator) 이론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성격유형과 영성유형을 연결하여 개인의 성격유형에 따른 선교사의 영성훈련 방법의 조합을 제안하였다. 어느 분야나 기초가 부실하면 전체가 순식간에 허물어져 버리고 만다. 선교의 기초는 무엇인가? 그것은 선교사의 영성이다. 선교지는 준비된 선교사를 원한다. 그러므로 많은 선교사 보다 소수일지라도 영적으로 잘 훈련된 선교사가 필요하다. 특히 좋은 선교사를 보내기 위한 훈련과정은 선교의 효율성과 깊은 관계가 있다. 따라서 더 건강한 영성을 가진 선교사를 보내기 위한 방안은 지속적으로 모색될 필요성이 크다. 그러나 한국 선교사를 위한 영성훈련은 각 개인의 성향과 상관없이 획일적인 스타일로 영성훈련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제기에 본 논문은 다음의 해답을 발견하였다. 첫째로 하나님을 경험하는 영성유형은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둘째로 사람의 성격유형은 16개의 선호 패턴으로 분류된다. 이를 묶으면 네 가지 선호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셋째로 영성유형과 성격유형은 유사성에 따라 조합될 수 있다. 넷째로 선교사가 자신의 성격유형에 따라 영성훈련을 하게 되면 더 건강한 영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다만 모든 인간의 성격유형은 16개의 선호 패턴에 따라 분류될 수는 없다. 그리고 사람이 하나님을 경험하고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영성유형도 네 가지의 선호유형 보다 더 다양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성격유형과 영성유형이 모두 일치한다고 볼 수도 없다. 그러나 성격유형과 영성유형을 더 세분화를 할 수 있다면, 보다 개인에게 적합한 유형의 영성훈련 방법을 찾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베트남의 문화적 배경과 선교전략 고찰 - 장요나 선교사를 중심으로

        구성모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0 복음과 선교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cultural background of Vietnam, to examine the mission strategies using the culture, and to present mission tasks from a cultural perspective. Especially, it was examined by Jang Yo-Na, the first Korean missionary to Vietnam. For this purpose, the cultural background of Vietnam was first examined focusing on the consciousness structure formed in Vietnam’s history, Vietnamese culture influenced by China and India, diversity and unity which are the foundation of Vietnamese culture, and Vietnamese life culture. Next, mission strategies that Jang Yo-Na used Vietnamese culture critically were divided into mission, church that established local leadership, pastoral leadership administration that transferred personnel rights, seminary that applied various local churches and TEE, and church building by Jonah construction method using local culture. Finally, the mission of Vietnam was critically presented in terms of culture. First, among the communities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living in each region of Vietnam, it is necessary to find the subjects whose gospel has not yet been spread and accelerate their national adop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Self-theologizing with critical situation of Vietnam’s unique culture.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ducational area of Viracamy Theological Seminary to the whole Vietnam area and develop various field TEE types. Fourth, the mission of Vietnam is required to go on the evangelization of culture with depth rather than width.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leadership of local people along with the next generation mission mobilization, and to achieve missions that can continue with critical situation by collecting and analyzing mission information as well as cultural data through mission area network. 본고는 베트남의 문화적 배경을 논한 후 그 문화를 활용한 선교전략을 고찰하고 문화적 관점에서 선교 과제를 제시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베트남에 한국인 선교사로서는 처음으로 파송된 장요나 선교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먼저 베트남의 문화적 배경은 베트남의 역사에서 형성된 의식구조, 중국과 인도의 영향을 받은 베트남 문화, 베트남 문화의 근간인 다양성과 통일성, 베트남의 생활 문화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장요나 선교사가 베트남 문화를 비판적으로 활용한 선교전략은 성육신적으로 선교, 현지인 지도력을 세우는 교회, 인사권을 이양한 목회 지도력 행정, 다양한 지역의 교회설립과 TEE를 응용한 신학교, 현지 문화를 활용한 요나 공법으로 교회 건축으로 구분하여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측면에서 베트남의 선교를 비판적으로 과제를 제시하였다. 그것은 첫째로 베트남 각 지역에 거주하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공동체 중에 아직 복음이 전파되지 않은 대상자를 발굴하고 그들의 민족입양을 가속화가 요청된다. 둘째로 베트남의 독특한 문화를 비판적 상황화로 지속적인 자신학화가 필요하다. 셋째로 비라카미신학교의 교육지역을 베트남 전지역으로 확장하고, 다양한 현장형 TEE 유형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로 베트남 선교는 넓이보다 깊이를 가진 문화의 복음화 작업이 요청된다. 이러한 과제를 위하여 차세대 선교동원과 함께 현지인 리더십을 견고히 하여 선교지역 네트워크로 선교 정보는 물론 문화 자료를 모으고 분석하여 비판적 상황화로 지속할 수 있는 선교를 이루어가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공유적 실천을 활용한 중도입국 청소년의 통합 교실 모형 연구

        구성모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9 다문화와 평화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shared praxis of Thomas H. Groom to present the mission method using the integrated classroom of Middle-aged Adolescents and Korean you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shared practice” of Thomas H. Groom to present an integrated classroom model for Middle-aged Adolescents and Korean youth. To this, we first looked at the actual situation of Middle-aged Adolescents based on educational aspects, analyz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Groom’s shared praxis theory, and designed an integrated classroom model. This integrated classroom model is applied to ‘after school’ and ‘church school’, providing the motive of psychological stability of Middle-aged Adolescents and dialogue of shared praxis of mutual benefit for the next generation. In addition, the Middle-aged Adolescents proposed the following for the liberation from seffering. First, the criteria for identifying the actual situation of the government departments for Middle-aged Adolescents should be integrated. Second, the government needs various welfare policies, bu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work should be preceded so that it can live as a subject of personality. Third, a variety of integrated classrooms are needed for socialization as a citizen of a democratic society. Finally, the church needs to intentionally start an integrated classroom to make its peers a good Samaritan of Middle-aged Adolescents. In particular, integrated classrooms that apply ‘shared praxis’ based on the Bible need to be applied in various types. 본 연구는 토마스 그룸(Thomas H. Groom)의 공유적 실천을 응용하여 중도입국 청소년과 한국 청소년의 통합 교실 모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중도입국 청소년의 실태를 교육적인 면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룸의 공유적 실천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한 뒤, 통합 교실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 통합 교실 모형은 방과 후 학교와 교회학교에 적용함으로써 중도입국 청소년의 심리적 안정과 다음 세대를 위한 상생의 실천적 공유의 대화라는 모티브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중도입국 청소년이 고통에서 해방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는 중도입국 청소년에 대한 정부의 부처별 실태 파악을 위한 기준이 통합되어야 한다. 둘째로 정부의 다양한 복지성 정책보다 인격의 주체로 살아갈 수 있도록 심리적정서적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로 중도입국 청소년이 민주사회의 시민으로서 사회화를 위한 다양한 유형의 통합 교실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회는 또래 집단들에게 중도입국 청소년의 선한 사마리아인이 되도록 의도적으로 통합 교실 프로그램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 특히 성서를 바탕으로 공유적 실천을 적용하는 통합 교실은 다양한 유형으로 응용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Analysis of Dielectric Coated Electromagnetically Coupled Coaxial Dipole Array (ECCDA) Antenna

        구성모,양우석,이창원,Koo Sung-Mo,Yiug Woo-Suk,Lee Chang-Won The Korea Institute of Signal Processing and Syste 2004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5 No.4

        전자기 결합된 동축 다이폴 안테나를 이론적으로 해석하였다. 방사도파관 모드와 퓨리어 변환을 이용하여 적분 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적분 방정식에 포함된 적분들을 빠르게 계산하기 위하여 실수축을 따른 적분을 브랜치 컷 (branch cut)을 따른 적분 경로로 변환하여 계산하였다. 방사 특성에 미치는 슬롯과 다이폴 그리고 단락면의 길이 그리고 유전체 코팅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시특성 또한 연구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기존에 발표된 방법으로 계산한 안테나의 방향성 이득과 비교하였고 또한 전력 보존 법칙을 만족시키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계산된 결과를 전자파 상용 시뮬레이터의 결과와 비교하여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Electromagnetically coupled coaxial dipole (ECCD) array antenna with and without short-ended termination is investigated theoretically. The integral equations are derived for the structure by use of the Fourier transform and mode expansion of radial waveguide. The integrals appearing in the integral equations are evaluated along the branch cut instead of real axis for a faster convergent integral. The effects of slots and dipoles, short-ended termination length, and dielectric coating on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are presented. Radiation pattern of the structure is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method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mmercial EM simulator and good agreement is found.

      • GA-PSO 진화 뉴랄 네트워크를 이용한 태양광 우주선 경로 최적화 연구

        구성모,방효충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11

        저추력 우주선을 이용한 행성간 미션 최적경로 설계는 일반적으로 많은 계산량이 요구되는 문제로 알려져 있다. 여러 수치적 방법 중 진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확률적 방법은 다른 직접 방법(Direct method)보다 적은 계산량으로 전역 최적해를 찾을 수 있으나 역시 세대(Generation) 수나 경로의 길이에 의존적으로 알고리즘 실행 시간이 길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뉴랄 네트워크와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이용한 저추력 최적경로 설계 연구에서 GA-PSO 진화 알고리즘을 적용한 새로운 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은 세대 수에 대하여 더 빠른 수렴 속도를 보이며 이를 지구-수성 태양광 우주선 경로 최적화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한다. Interplanetary trajectory optimization for low-thrust spacecraft is known to be a hard problem that has large computational load. A stochastic method using evolutionary algorithm is generally able to find a global optimum with shorter computational time, but it is also takes long computational time dependent on generation number and trajectory size. In this research, a new approach that uses GA-PSO as evolutionary algorithm is proposed for previous research that uses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genetic algorithm to find low-thrust optimum trajectory.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rapid convergence along generation, and we compare them in the simulation of solar sail Earth-Mercury trajectory optimization.

      • KCI등재

        NiCoCrAlY 및 NiAl bond coat를 사용한 Thermal Barrier Coating의 고온안정성에 미치는 Pt의 영향

        구성모,김길무,Ku Seongmo,Kim Gil Moo 한국재료학회 2005 한국재료학회지 Vol.15 No.6

        High temperature oxidation behavior of thermal barrier coating (TBC) system (IN738 substrate + NiCoCrAlY or NiAl bond coat with or without Pt + yttria stabilized zirconia) prepared by air plasma spray (APS) process has been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Pt addition to bond coat on the stability of TBC system. Specimens were oxidized in thermal cycling and isothermal oxidation test at $1100^{\circ}C$. The Pt addition in TBC system with NiCoCrAlY bond coat showed a longer life time compared to that without addition of Pt. Pt addition to TBC system is believed to help the formation of more stable thermally grown oxide, $Al_2O_3$, at the TBC/bond coat interface, leading to a longer lifetime of TBC system.

      • SCOPUSKCI등재

        당뇨병 백서의 대동맥에서 열 자극이 혈관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

        구성모,이순희,한정훈,정기영,김인겸,김정국,하승우,김보완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5 No.5

        연구배경:열자극은 열자극 단백질의 생성을 유도하여 유해한 자극에 대한 세포내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열자극 단백질은 여러 조직에서 발현되며 일부 열자극 단백질은 산화 스트레스에 대해 세포를 보호하는 기능을 나타내기도 한다. 최근 보고에 의하면, 일부 열자극 단백질은 혈관운동성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당뇨병은 수축물질에 대한 과다한 수축과 이완물질에 대한 이완능의 저하를 특징으로 하는 혈관 운동성의 장애를 초래하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이런 혈관운동성의 장애는 당뇨병성 혈관병증의 병인에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고혈당의 조건에서 혈관 운동성에 대한 열자극의 효과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그 기전에 대해서도 밝혀진 것이 없다. 이에 스트렙토조토신으로 당뇨병을 유발한 백서 대동맥에서 열자극이 혈과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법:당뇨병 백서 대동맥을 적출하여 대동맥환을 준비하고 장치한 후 42도에서 45분간 열자극을 가한군과 열자극을 가하지 않은 군사이의 혈관 수축물질에 대한 수축반응과 이와물질에 대한 이완반응을 측정하였다. 혈관반응을 측정한 후 대동맥환을 얼리고 열자극단백질 HSP 70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결과:당뇨병 백서와 정상 대조군 백서의 대동맥에서 KCI과 phenyephrine에 대한 혈관 수축반등은 열자극을 준 군에서 주지 않은 군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열자극은 당뇨병과 정상 대조군의 대동맥에서 혈관수축반응의 증가 뿐만 아니라 HSP 70의 발현을 의미있게 증가시켰다. 정상 대조군의 대동맥에서 아세틸콜린에 대한 이완반응은 열자극을 준 군과 주지 않은 군사이에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반면에 당뇨병 백서의 대동맥에서는 열자극을 준 군이 주지않은 군에 비해 아세틸콜린에 대한 이완반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이상의 결과는 당뇨병과 정상쥐에서 열자극에 대한 혈관 수축반응의 증가는 HSP 70의 발현을 유도하여 일어날 수 있음을 시사하여 당뇨병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열자극에 대한 이완반응이 감소하는 기전은 많은 연구가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Heat shock has been known to change cellular response to noxious stimuli by inducing heat shock proteins(HSP). HSP are expressed in many tissues, and increased expression of some HSP enhances the survival of cells exposed to oxidative stress. Recently, Some HSP are known to associate with vascular reactivity. Under diabetic conditions, there is a abnormal vascular reactivity to relaxing or contracting factors. Abnormal vascular response to some stimuli i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However, the effects of heat shock on the vascular reactivity in diabetic condition is unclear. Therefore, we investigated effects of heat shock on the vascular reactivity in isolated aorta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Methods: After mounced in organ bath, aortic ring preparations were exposed to 42℃ for 45 minutes followed by being subjected to contraction and relaxation in 4 hours. Tissues were frozen for measurement of HSP 70 and phosphorylation of myosin light chain after functional study. Results: Heat shock not only increased expression of HSP70 in rat aorta but also augmented contraction to KCI and phenylephrine in the aorta of control and diabetic rats(p<0.05). Relaxation responses to acetylcholine (Ach) were not changed in the aorta of control rats with and without heat shock for 45 minutes. However, heat shock for 45 minutes decreased relaxative responses to Ach in the aorta of diabetic rats compared to those in the aorta of control rats.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heat shock increases vascular contractility in the aorta of diabetic and control rats through the induction of HSP70 while heat shock seems to decrease relaxative response in the aorta of diabetic rats compared to control rats(p<0.05). Whether heat shock impaired relaxative response in the aorta of diabetic rats deserves additional studies (J Kor Diabetes Asso 25:343~353, 2001).

      • Keloid 세포의 Fibronectin 합성에 대한 Transforming growth factor-β의 영향

        구성모,김인산,박낭운,손건영,조준승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5 慶北醫大誌 Vol.36 No.1

        목적 : 이 연구는 keloid가 상처의 치유과정에 발생하는 비후성인 반흔의 일종으로서 결합 조직이 국소적으로 과도하게 축적된 것이 특징이나 원래 부위에만 국한되지 않고 주위조직으로 침범해 가는 특성을 가진데 관점을 두어 환부와 그 인접부 그리고 정상조직에서 얻은 배양 세포에서 결합조직의 한 성분인 fibronection의 합성능을 조사하여 상호 비교하고 또 이 합성에 대한 transforming grown factor-β (TGF-β)의 영향을 조사해 보기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Keloid 병변부 8예, keloid 인접부 4예, 정상조직 4예에서 조직을 채취·배양해서 얻은 섬유아세포를 사용하여 fibronectin 합성능을 조사했다. 또 이에 대한 TGF-β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세포를 24시간 동안 TGF-β로 처리하였다. Fibronectin의 합성능 측정은 면역침전법에 의하였다. 결과 : Fibronectin의 합성은 병변부 세포에서 정상부위 세포보다 약 1.6배로 많았으며, 인접부위세포에서는 병변부 세포보다 약 1.7배, 정상부위 세포보다 약 2.7배로 많았다. 그리고 TGF-β를 처리한 후의 fibronectin 합성은 처리하지 않았는 대조군에 비하여 정상부위 세포에서는 약 1.8배, 병변부세포에선 약 1.4배로 증가되었으나 인접부위 세포에서는 별로 증가되지 않았다. 결론 : Keloid의 환부는 정상부위에 비하여 세포의 matrix 성분의 하나인 fibronectin의 합성이 활발하며 특히 병변부 주위에서 더욱 활발하였다. Fibronectin의 합성은 TGF-β에 의해 분명히 증가되나 keloid 인접부위에서는 이에 무감작할 정도였다. 이 부위는 여러 인자에 의해 그 합성이 활발하다고 하겠다. Keloids are fibrous, hypertrophic scar reaction that occur secondary to skin injury and tend to recur after excision. Histopathologically there is an overabundace of various connective tissue components such as collagen and fibronectin. Characteristically keloids spread to invade surrounding normal skin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original wound. In this study focusing on this invasion behavior, fibronectin synthesis in the four keloid adjacent fibroblasts as well as in the three normal and eight keloid cells, were determined. The effect of transforming grown factor-β (TGF-β), which is well known as increasing the synthesis of collagen and fibronectin, on the fibronectin synthesis of the above cells was also investigated. Fibronectin was synthesized in keloid cells about 1.6 fold more than in the normal cells, and the fibronectin synthesis in the keloid adjacent cells was about 1.7, and 2.7 folds more than in the keloid and normal cells respectively. Twenty-four hour TGF-β treatment increased fibronectin synthesis in normal cells by about 1.8 fold and in keloid cells by about 1.4 fold. In contrast, adjacent cells showed little response to TGF-β. Above results suggest that adjacent cells are locally under active TGF-β stimulation and thus synthesize more fibronectin than normal or keloid cells and additional stimulation of TGF-β, however, has little effect on adjacent ce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