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리듬액션 게임을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 감상수업에서의 학습 평가, 학습 몰입, 학습 만족 연구

        곽소정,길태숙 한국게임학회 2012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음악게임을 활용한 음악 감상 교육의 효과 및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G초등학교 4학년 남녀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음악 게임을 활용한 수업이 음악 감상을 한 수업보다 학습평가와 학습몰입도에 있어서 높게 나타났고, 특히 만족도에서는 확연히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학습몰입도와 학습만족도는 학습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스마트 기기를 학교 정규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 콘텐츠 설계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effect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 of Music Appreciation by utilizing music game. In order to come up with the result, the study has conducted an experimental comparison using 107 male and female 4th grade students at G-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As a result, the class that teaches with the game has relatively higher learning assessment, study involvement and in particular, has a significantly increased satisfaction level than the class that only uses music appreciation. In addition, it analyzes that study involvement and satisfaction has an effect on learning assessme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deemed to contribute direction of planning on learning contents by applying Smart Devices in regular school classes.

      • KCI등재

        에니어그램을 통한 게임 캐릭터의 성격 연구- 메이플 스토리를 중심으로 -

        곽소정,권용만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9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8 No.3

        Game characters appearing in online games express the features of the game externally and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game as an avatar representing the player. Game characters have their own roles and are endowed with personalities and traits in the game. This study analyzes the personality traits through visual elements of game characters. To this end, we explo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nneagram and visual elements, and then conducted a questionnaire for classifying game character personality types through Enneagram for users of maple story, a popular Korean game. After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the character prototype model of the maple story was implemented, and then the visual elem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the character adjective image scale model. Finally, character prototype model and character image scale model were integrated to analyze the features and personalities of the game. 온라인 게임에서 나타나는 게임 캐릭터는 게임의 성격을 외적으로 표현하고, 플레이어를 대변하는 아바타로서 게임 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게임 캐릭터는 독자적인 역할을 가지고 게임 안에서 성격적 특성과 인성을 부여받는데, 본 연구는 게임 캐릭터의 시각적인 요소를 통한 성격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에니어그램과 시각적 요소에 대하여 이론적인 배경에 대하여 탐구한 후, 국내의 대중적인 게임인 메이플 스토리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에니어그램을 통한 게임캐릭터 성격 유형 분류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메이플 스토리의 캐릭터 원형 모형을 구현한 후 시각적 요소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캐릭터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 모형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캐릭터 원형 모형과 캐릭터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 모형을 통합하여 게임 내 캐릭터의 특징과 성격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부부상담사로서 발달 초기 단계에 있는 비혼 여성상담사의 부부상담 경험

        곽소정,류인찬,윤양은,백미현,서미아 한국가족치료학회 2019 가족과 가족치료 Vol.27 No.3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the marital counseling experience of unmarried women counselors in the early stages of their development as marital counselors. The participants include seven counselors who have experience in personal counseling of more than five years and marital counseling of fewer than 10 ca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ultiple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participant between March and July 2019. Data analysis, conducted applying the analytical phenomenological method derived from Van Manen, includes experience meaning composition and reflective writing.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erived from four topics: “Strange area for counseling”; “Cynical view of unmarried counselor”; ”Efforts to be professional”; and “Experience and Impression after counseling”, as well as from fifteen subtopics.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 support for couple counseling experience at the beginning of unmarried woman counselors’ careers, further allowing for better understanding of improvement processes for couple counselors. 본 연구는 부부상담사로서 발달 초기 단계에 있는 비혼 여성상담사의 부부상담 경험을 탐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상담 경력이 5년 이상이면서 부부상담 경험이 10사례 미만인 7명의 비혼 여성 상담사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3월부터 7월까지이며 참여자당 총 2회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탐구 및 반성적 글쓰기를 하였다. 연구 결과 4개의 주제와 15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4개의 주제는 <낯선 상담영역에서의 경험들>, <비혼 상담사에 대한 차가운 시선>,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노력들>, <부부상담 후의 경험과 소회>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부부상담사로서 발달 초기 단계에 있는 비혼 상담사의 부부상담 경험을 드러냄으로써 부부상담사로서의 상담자 발달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메이커 스페이스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 가이드 라인

        곽소정,백윤철,권지은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guidelines for service design for efficient operation of Maker Space due to the proliferation of Maker Movement. First, we investigate the literature survey and prior research on the definition and status of Maker space. Second, we performed video ethnograph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on maker space service by qualitative survey method. Third, we analyze the surveyed contents and present guidelines such as Persona or Blueprint for maker space. We classify Maker space into general lab and professional lab, derive Persona from each Maker space, and establish Blueprint to provide guidelines for design and oper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Maker space service design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to help the service improvement of the existing Maker space and the planning, design and operation of the new Maker space. 본 연구는 메이커 운동의 확산으로 증가하고 있는 메이커 스페이스의 효과적인 운영 및 내실화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첫째, 메이커 스페이스의 정의 및 현황 등에 관해 문헌 조사 및 선행 연구를 조사한다. 둘째, 정성조사 방법으로 메이커 스페이스 서비스에 대한 비디오 에스노그라피, 참여관찰 및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셋째, 조사한 내용을 분석하여 메이커 스페이스에 대한 퍼소나, 블루프린트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메이커 스페이스를 일반랩과 전문랩으로 분류하고, 메이커 스페이스에서 나타나는 4가지 형태의 퍼소나를 도출하고 체계화를 위한 블루프린트를 구축하여 설계 및 운영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서비스 디자인의 퍼소나와 블루프린트는 기존 메이커 스페이스의 서비스 개선과 신규 메이커 스페이스의 설계, 콘텐츠 구성 및 운영의 내실화에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 KCI등재

        The use of acetylation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hyaluronic acid-based dermal filler

        곽소정,Lee Yu Bin,Lee Eun Joo,박경환,Kang Sun-Woong,Huh Kang Moo 한국화학공학회 2023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40 No.8

        Injectable dermal fillers, which are used for various plastic surgery purposes, are experiencing explosive market growth due to increasing interest in appearance management. Hyaluronic acid (HA) hydrogels have been considered an ideal material for fillers due to their high-water retention, biodegradability, and biocompatibility. However, their application is limited by shortcomings in durability and persistence caused by rapid enzymatic degrad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roduce acetylated hyaluronic acid-divinyl sulfone (AcHA-DVS) hydrogels for a novel approach for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and gel retention time of HA. The AcHA-DVS hydrogels showed significant advantages in terms of longevity and performance as dermal fillers compared to HA-DVS hydroge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ur new AcHA-DVS hydrogel is a promising biomaterial as an injectable filler or scaffold for tissue engineering.

      • KCI등재

        영상 저작도구 애플리케이션의 UI 디자인

        곽소정,권지은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0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4

        Recently, utilizing smart phone like using lots of contents as well as video is constantly increased by many users and various applications of video authorizing are presented. Especially, it is time to study authoring tool for more simple video editing. It is necessary due to the inflow of non-professionals who are interested in video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user-centered interface design by the analysis of existing user interface design of the application for video authoring tool. First, we study the trend of video authoring tool and UI design elements through documentary survey including publications, papers and thesis. Secondly, nine popular applications which are used in smart phone are analyzed by design elements drawn by documentary survey. Finally, the utilization plan and consideration for effective design based on analyzed contents shall be suggested. 현재 많은 사용자들이 스마트 폰을 활용해 동영상을 비롯한 많은 콘텐츠를 이용하는 시간이 꾸준히 늘고 있으며 다양한 동영상 제작 애플리케이션들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비전문가들의 유입은 더욱 단순한 영상 편집을 위한 저작도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기존의 영상 저작도구 애플리케이션의 UI(User Interface) 디자인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적용되어야 할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설계에 대한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단행본, 출판물, 논문을 포함한 문헌 조사를 통해 영상 저작도구의 동향 및 트랜드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의 UI 디자인 요소를 연구한다. 둘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디자인 요소를 기존 영상 제작 애플리케이션 9개를 대상으로 UI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디자인을 위한 활용 방안과 고려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지도 기반 웹 서비스 UI 디자인 분석

        곽소정,권기윤,권지은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9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0 No.61

        Recently, web servic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satellite position systems are emerging with the increase of location-based digital services,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mprovement of computers. Unlike general web contents that provide text, image, and video information, a map-based web service uses interface design suitable for characteristics such as map positioning, map screen adjustment, and searc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n effective map-based web interface by analyzing a web-based user interface design based on maps. To do this, first, we study map-based web services and design element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cluding papers, articles, and books. Second, base on the design elements derived from the literature studies, the user interface is analyzed for nine sites that provide web services including maps.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s of the visual elements for the web-based map service UI design. 최근 위치 기반 디지털 서비스가 증가하고 정보 기술의 발전과 컴퓨터의 고성능화에 따라 지리정보시스템, 위성위치 확인 시스템 등을 적용한 웹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텍스트나 이미지,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웹 콘텐츠와는 다르게 지도를 기반으로 하는 웹 서비스는 지도 위치 파악, 지도 화면 조정, 검색 등의 그 특징에 맞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지도를 기반으로 한 웹 서비스 UI(User Interface) 디자인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지도 기반 웹 인터페이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논문, 기사, 단행본을 포함한 문헌조사를 통해 지도 기반 웹 서비스와 디자인 요소를 연구한다. 둘째,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한 디자인 요소를 바탕으로 지도 형태를 포함한 웹 서비스를 하고 있는 사이트 9개를 대상으로 UI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분석한 내용을 통하여 현재 서비스하고 있는 웹 기반 지도 서비스 UI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에 대한 특징과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