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적 정서 상태 차원에 근거한 캐릭터 표정생성 프로그램 구현

        고혜영,이재식,김재호,Ko, Hae-Young,Lee, Jae-Sik,Kim, Jae-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3

        In this study, we propose a automatic facial expression generation tool which can generate various facial expressions efficiently for animation characters expressing various emotion. For this purpose, 9 types of facial expressions were defined by adopting Russell's pleasure-displeasure and arousal-sleep coordinate values of infernal states. And by rendering specific coordinate values consisted of the two basic dimensions of emotion(i.e., dimensions of pleasure-displeasure and arousal-sleep) and their combination, the proposed automatic facial expression generation tool could yield various facial expressions which reflected subtle changes in characters' emotion. It is expected that the tool could provide useful method of generating character face with various emotion. 본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표정 연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정서 상태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고 주어진 상황에 부합하는 표정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표정생성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Russell의 내적 정서 상태의 차원 모형을 근거로 쾌-불쾌, 각성-비각성의 내적 정서 상태 정보를 포함한 9가지 표정을 정의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표정에 대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표정생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차원의 중앙에 위치하는 무표정 자극을 8가지의 가능한 표정 변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정서 차원에서의 미묘한 위치 변화에 따라서도 다양한 표정 생성이 구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러한 프로그램은 복잡한 정서를 가진 표정을 쉽고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표정 자동생성 시스템 설계의 기초적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안전한 그룹통신을 위한 상호 인증 기법

        고혜영,도인실,채기준,Ko, Hye-Young,Doh, In-Shil,Chae, Ki-Jo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7 No.6

        센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다양한 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를 감지하며 감지된 데이터를 응용서비스 서버와 연동하는 기술로 최근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는 센서 노드 자체의 제약점 때문에 메모리와 처리 능력, 에너지 수명에 제한을 가지며 그럼으로써 센서 네트워크 자체에 보안상의 취약점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센서 네트워크의 기술에 있어서 보안에 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며 센서의 계산 능력 또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특징을 반영하여 일반 센서 노드들과 충분한 저장 공간과 계산 능력을 갖는 노드인 클러스터 헤더가 있는 이종의 센서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키 관리 기법 중 하나인 PCGR(Predistribution and local Collaboration-based Group Rekeying) 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안전한 그룹 통신을 위한 그룹키 갱신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센서 노드 측에서 클러스터 헤더로부터 받은 새로운 키 정보를 인증하도록 하여 오염된 키 정보로 인해 네트워크의 안전성이 위협받는 상황을 최소화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그룹키를 갱신할 때, 클러스터 헤더는 노드가 보내주는 노드의 부분 정보를 검증함으로써 노드의 무결성을 확인하고 그룹키를 갱신하며 갱신된 그룹키는 다시 노드들에게 보내져서 노드들에 의해 재검증됨으로써 클러스터 헤더가 공격받았는지 아닌지에 대한 여부를 검사한 후 안전하게 그룹키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QualNet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이 네트워크의 보안성을 높임은 물론 오버헤드 및 에너지 소모량이 기존의 그룹키 관리 기법보다 효율적임을 보인다. Recently, a lot of interest is increased in sensor network which gathers various data through many sensor nodes deployed in wired and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However, because of the limitation in memory, computation, and energy of the sensor nodes, security problem is very important issue. In sensor network, not only the security problem, but also computing power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In this paper,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we make the sensor network consist of normal sensor nodes and clusterheaders with enough space and computing power, and propose a group key rekeying scheme adopting PCGR(Predistribution and local Collaborationbased Group Rekeying) for secure group communication. In our proposal, we enhance the security by minimizing the risk to safety of the entire network through verifying the new key value from clusterheader by sensor nodes. That is, to update the group keys, clusterheaders confirm sensor nodes through verifying the information from sensor nodes and send the new group keys back to authentic member nodes. The group keys sent back by the clusterheaders are verified again by sensor nodes. Through this mutual authentication, we can check if clusterheaders are compromised or not. Qualnet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our scheme not only guarantees secure group key rekeying but also decreasesstorage and communication overhead.

      • KCI등재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을 위한 모션인포그래픽 연출 연구

        고혜영(Hyeyoung Ko)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6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1 No.-

        본 연구에서는 모션 인포그래픽에서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을 위한 연출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모션인포그래픽의 특성과 연출 기법에 대한 사전 연구를 하였고, 사례연구를 위해 모션인포그래픽의 대표적인 사례를 수집하였다. 사례를 기반으로 스토리텔링을 위한 연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4가지 측면의 연출 특징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른 상황의 스토리를 평행하기 연결하기 위해서 이펙트를 활용한 화면 전환, 다이나믹한 카메라 움직임을 통한 공간 이동 그리고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통한 공간의 재구성 등의 방법이 활용되었다. 둘째, 스토리에 대한 몰입을 높이기 위해 기존의 영상, 애니메이션에서 많이 활용되는 카메라 기법이 활용되었다. 셋째, 통일감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화면 변화를 위해서 일정한 조형요소를 기준으로 내용만 변화를 주는 방법이 활용되었다. 넷째, 복잡하거나 어려운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텍스트가 선택적으로 활용되었다. 다섯째, 시청자들의 시선을 효과적으로 집중시키고 이동시키기 위해서 움직이는 매개체를 활용하였다. In this research,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ion for effective storytelling with motion infographic.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ion infographic and the method of visual storytelling, Then we gathered representative cases of motion infographic for case studies.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storytelling based on the cases. As a result, we derived the following four aspects of the visual storytelling on motion infographic. First, in order to connect stories in other situations in parallel, switching screens using effects, using spatial movement and reconstruction of space through movement of dynamic objects through dynamic camera movements were used. Second, in order to enhance the immersion of the story, the techniques of cameras that are widely used in existing video and animation were utilized. Third, while maintaining a sense of unity, a method of changing only the contents based on certain shaping factors for various screen changes was utilized. Fourth, texts were selectively utilized to aid understanding of complicated or difficult contents. Fifth, we used a moving medium to concentrate and move viewers" eyes effectively.

      • KCI등재

        제주국제관악제의 지역경제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고혜영(Hye-young Ko),양정철(Jeong-Cheol Yang),임정현(Jung-Hyun Lim),황경수(Kyung-Soo Hw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국제관악제에 대한 지역경제파급효과를 측정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3년 제주지역 투입산출표’에 기반 한 두 지역(제주-전국) 산업연관모형을 활용하여 제주국제관악제 개최로 인한 지역경제에 파급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또한 지역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7년과 2018년 비교를 통하여 제주국제관악제가 얼마나 성장하고 지역경제에 어떠한 효과를 주는지 비교해보았다. 제주국제관악제 개최에 투입된 투자 지출액을 분석한 지역 내 유발된 산업의 생산, 부가가치 효과분석 결과를 비교해보면 생산유발효과는 2017년 9,056,430천원이고 2018년 18,709,179천원으로 2.1배가 증가하였다. 부가가치유발효과는 2017년 4,229,480천원이고 2018년 9,199,030천원 으로 2.2배 증가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제주국제관악제는 지역주민의 소득증대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관악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주지역 문화와 관광지를 연결하는 정책들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effects on the regional economy from the Jeju International Wind Ensemble Festival. In order to examine the economic ripple effects of the festival, we examine its impact on the local economy using two regional (Jeju-National) industry-related models based on the 2013 Jeju Region Input and Output Table. We also compare how the Jeju International Wind Ensemble Festival is growing and affecting the regional economy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2017 and 2018. Comparing the results of a production-inducing and value added-effect analysis of the induced industries from investment expenditures for the Jeju International Wind Ensemble Festival,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s increased by 2.1 times-from 9.05 billion won in 2017 to 18.7 billion won in 2018. The value-added effect increased by 2.2 times, from nearly 4.3 billion won in 2017 to nearly 9.2 billion won in 2018. The analysis shows that the Jeju International Wind Ensemble Festival contributes greatly to an income increase for local resident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s of the Jeju International Wind Ensemble Festival, it is necessary to use policies that link culture and tourism in Jeju.

      • KCI등재

        제주지역 공연장 접근 형평성 평가와 입지선정 방향 연구

        고혜영(Hye-Young Ko),고태호(Tae-Ho Ko),황경수(Kyung-Soo Hw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

        제주도민은 문화예술 활동의 이용 내용에는 만족 비율이 높은 반면, 이용 환경의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제주특별자치도가 공연장 접근성이 낮아 문화소외지역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에 활용하기 위해 2019년 제주특별자치도의 자료를 바탕으로 제주도 내의 공연장 중 공공기관이면서 문화예술회관, 종합공연장, 일반공연장인 경우를 선정하였으며 9개의 공연장이 이에 부합하였다. 이후 GIS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선정된 공연장의 입지 현황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상대적으로 공연장 접근성이 취약한 제주 서부지역, 동부지역의 입지선정방향을 제안하였다. 입지선정방향은 이론, 선행연구, 제주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거주밀집지역의 제외, 접근성 취약지역의 우선, 접근성 취약지역 내 접근성 양호지점, 제주시와 서귀포시 동권역과의 원거리 지점, 자연경관 친화, 대중교통접근성을 선정하였다. 제안한 입지 방향에 맞는 2020년 현재 공연장 건립가능 지역으로 성산일출봉, 새별오름, 표선해수욕장, 송악산 등 4곳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입지선정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제주를 ‘문화의 섬’으로 만드는 문화마케팅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Jeju has many out-of-town cultural areas owing to its low accessibility to concert halls. Based on data from Jeju in 2019, this study selected possible sites for concert halls and examined the location status of existing concert halls in Jeju by utilizing GIS analysis. As a result, directions on location selection are proposed for the western and eastern parts of Jeju, where accessibility to concert halls is relatively difficult. Considering the theory, prior research,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Jeju, the directions for location selection exclude residential areas and areas with little accessibility. They also list good points for accessibility within areas that have little of it, that are distant from administrative dong areas in Jeju-si and Seogwipo-si, that have friendly natural scenery, and that already have accessible public transportation. Accordingly, four places were proposed as possible areas for construction of a concert hall in 2020.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ultural marketing that makes the Jeju area a Cultural Island.

      • KCI등재

        정책 리터러시가 신뢰와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원자력 에너지를 중심으로

        고혜영(Hyeyoung Ko),김주경(Jukyong Kim) 경인행정학회 2020 한국정책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수용성 확보 요인이 무엇인가를 정책 리터러시와 신뢰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요 독립변수인 정책 리터러시 요인은 일반적으로 수용성 연구에서 활용하고 있는 지식수준에 대한 측정을 좀 더 확장하여,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포함한 개념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정책 리터러시를 전통적 리터러시, 기능적 리터러시, 비판적 리터러시로 구분하고, 신뢰 및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정책 리터러시 중 전통적 리터러시와 기능적 리터러시는 신뢰와 수용성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비판적 리터러시의 경우 신뢰와 수용성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중요한 함의점은 일반국민들의 경우 단순히 원자력에 대해 지식을 얻는 것보다 원자력에 대해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이 확보될 때 원자력에 대한 신뢰와 수용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 empirical analysis focusing on policy literacy and trust factors for nuclear energy.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were policy literacy, and the components included traditional literacy, function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factors. Particularly, we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s of traditional literacy, function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on acceptance and the effect of trust as a mediating factor,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document evidence that the public display greater acceptance to nuclear energy when they are provided with more critical literacy. On the other hand, we found that traditional and functional literacy did not affect public acceptance. Importantly, we find that this factor also have an indirect effect on acceptance through trust. Based on the findings, we develop some policy suggestions to secure acceptance of the public nuclear energy.

      • KCI등재

        제주지역 문화행정과 예술경영의 영역설정과 체계정립에 관한 연구

        고혜영(Hye-Young Ko),황경수(Kyung-Soo Hw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행정과 예술경영 두 분야의 영역이 중복 적용되는 현장에서 그 추구하는 가치와 역할체계의 정립을 전문가조사를 통하여 시도하고, 공공부문과 민간경영부문에서 두 영역이 맥락의 차이를 이해하게 하며 예술의 발전에 기여할 방향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두 분야의 공통점과 차이점,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7개의 가치를 선정하고 각 가치의 하위지표를 정하였다. 이를 제주지역 전문가를 대상을 설문조사를 하여 AHP 기법을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가치 간 우선순위로 영역의 범위를 설정하고, 하위지표 간 우선순위로 체계를 정립하였다. 문화행정은 공공성, 형평성, 투명성의 영역을 기본으로 하며 예술경영은 생산성, 공공성, 대응성을 기본영역으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문화행정은 지역문화의 보존과 활용, 문화의 공진화, 문화예술교육의 확대에 대한 체계에 집중할 필요가 있으며, 예술경영은 목표달성의 정도, 투입대비 산출의 정도, 지역문화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체계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주지역에서는 문화의 공진화와 지역문화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공통적인 지향점을 갖고 체계를 정립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s of cultural administration and art management, their context, and elements that each concept pursues, and to establish the domains and systems of cultural administration and art management in Jeju. Seven values were select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nd previous studies, and sub-indicators of each value were determined. Factors were analyzed using the AHP method. Cultural administration is based on the areas of publicity, equity, and transparency, while art management is based on productivity, publicity, and responsiveness. Cultural administration needs to focus on a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local culture, co-evolution of culture, and expans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rt management needs to focus on the level of achievement of goals, the level of output versus input, and the system for preserving and utilizing local cultur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system in Jeju with a common aim of the co-evolution of culture and preservation and the utilization of local culture.

      • KCI등재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3 Approaches of Prosocial Game Design’ 제안; 한국사회 고독사 문제 해결을 위한 ‘Dear the Forgotten’ 게임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고혜영(Hyeyoung Ko),김희수(Huisu Kim),류효정(Hyo-Jeong Ryoo),박윤서(Yoon-Seo Park),방지은(Ji-Eun Bang),정유림(Yulim Jeong)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24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7 No.2

        In this study, we propose 3-Approaches for Prosocial Game Design to effectively design prosocial games. Additionally, to address the emerging social issue of lonely deaths in our society, we developed a prosocial game called Dear the Forgotten, applying the design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Through experiments with players, we verified that the applied design method had the intended effect within the game.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showed that players were able to deeply empathize with the social problem of loneliness, leading to changes in prosocial behavior.

      • KCI등재SCOPUS
      • KCI등재후보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자연스러운 얼굴 연기를 위한 의미/기능 표현방법 연구

        고혜영(Hye-Young K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5 No.2

        애니메이션에서 캐릭터의 의사소통을 위한 제스쳐 연출 중 얼굴표현을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보고 고개짓, 시선, 표정 요소들의 결함으로 표현되는 얼굴표현방법을 연구하였다. 캐릭터의 자연스러운 연기로 주목받은 〈슈렉1〉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여 등장하는 캐릭터들의 얼굴자료를 수집 후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얼굴표현방법을 분석하였다. 첫째, 캐릭터들의 다양한 얼굴표현을 시나리오 흐름을 기반으로 의미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둘째, 앞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얼굴표현에 활용된 요소들의 조합과 표현내용간의 타당한 연결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슈렉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어진 얼굴표현을 크게 의미표현과 기능표현으로 나누었고, 의미 표현 19가지와 기능 표현 8가지를 제안하였다. 이는 캐릭터의 자연스러운 얼굴 연출을 위한 의미 있는 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Face Gesturing Method for animation character’s communications, that is the combination of factors as head movement, gazing, facial expressions. Research materials-character images- are collected from 〈Shrekl〉 that is widely considered one of the natural acting animation. First, characteristics of face gesturing are analyzed considering narratives Second, combination between the face gesturing factors and expressing meanings are analyzed. Finally, 19 kinds of Expressing Meaning Methods and 8 kinds of Function Methods on face are suggested from 〈Shrekl〉. This study will be a good standard of directing on animation character’s natural ac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