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절식이 흰쥐의 간과 신장의 Thiobarbituric Acid - Reactive Substance량 및 항산화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박평심(Pyoung-Sim Park),고춘남(Choon-Nam Koh),박재윤(Jae-Yoon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8 No.2

        단기적인 완전절식에 의한 산화적 세포손상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Sprague-Dawley 종 흰쥐를 물을 제외한 일체의 음식을 완전절식시킨 후 간 및 신장의 SOD, catalase, GSHPx 활성과 TBARS량을 측정한 결과, TBARS량은 신장에서 절식 후 감소되어 6일째에는 절식 전에 비하여 21% 감소하였고, 간에서도 절식 시작 후 4일 째에는 절식 전에 비하여 23% 감소되었다. SOD 활성도는 신장에서 절식 후 증가되어 5일째에는 절식 전에 비하여 31% 증가하였고, 간에서도 절식 후 증가되어 4일째에는 절식 전 효소 활성도에 비하여 20%가 증가되었다. Catalase 활성도는 신장에서 절식 후 6일째에는 절식 전에 비하여 27% 감소되었고, 간에서는 효소 활성도 변화가 없었으며, GSHPx 활성도는 신장과 간 모두에서 절식에 의한 효소 활성도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서 완전절식에 의해서 TBARS량은 감소되고, 항산화효소 활성도의 변화는 효소의 종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완전절식에 의한 TBARS량의 감소요인은 부분절식에 의한 요인과는 다른 것으로 추측된다. The effects of total dietary restriction(100% restriction of energy intake) on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TBARS) contents and intracellular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in the liver and kidney of young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studied. The TBARS contents were reduced in both liver and kidney, up to 77% and 79% of the control rats, fed ad libitum, respectively at 7 days after dietary restriction. Superoxide dismutase(SOD) activities in the liver and kidney of rat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y total dietary restriction. However, the activity of catalase in kidney was decreased 27% at 6 days after dietary restriction, but this enzyme activity did not change in liver. The changes of glutathione peroxidae(GSHPx) and catalase activities in the liver and kidney of rats with dietary restriction were not significant. These result suggested that dietary restriction reduce the free radical induced by tissue damage, as determined by TBARS content, in both the liver and kidney but the changes of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may not be a contributory factor in reducing oxidative damage to tissue.

      • SCOPUSKCI등재

        흰쥐 인슐린종세포에서 고농도 포도당의 Alloxan 독성 증강 효과

        이병래(Byoung-Rai Lee),차종희(Jong-Hee Cha),박재윤(Jae-Yoon Park),고춘남(Choon-Nam Koh),박평심(Pyoung-Sim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5

        고농도 포도당은 산화적 세포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본 실험에서는 RINm5F 세포에서 고농도 포도당의 노출시간에 따른 SOD 동종효소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고농도 포도당에 3일간 배양한 세포에서 total SOD 활성도는 대조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CuZn-SOD 활성도가 25%가 감소되었고, Mn-SOD 활성도는 56%가 증가되었고, 21일간 배양한 RINm5F 세포에서는 total SOD 활성도는 34%, CuZn-SOD는 26%, Mn-SOD는 49%의 효소 활성도가 각각 증가되었다. 비변성 폴리아크릴아마이드겔 전기영동을 시행하여 효소활성도을 염색한 결과도 고농도의 당에서 3일간 배양한 세포의 CuZn-SOD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저하되었으나, Mn-SOD의 활성은 증가되었고, 21일간 배양한 세포의 CuZn-SOD와 Mn-SOD 활성은 모두 증가되었다. RT-PCR을 시행한 결과 고농도 포도당에서 3일간 배양한 세포의 CuZn-SOD mRNA 량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고, Mn-SOD mRNA량은 증가되었으며, 21일간 배양한 세포에서는 CuZn-SOD와 Mn-SOD mRNA 모두 대조군보다 증가되었다. 고농도 포도당에서 3일간 배양한 RINm5F 세포는 alloxan에 대한 감수성이 더 증가되고, CuZn-SOD 억제제인 DDC도 alloxan의 독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농도 포도당에 RINm5F 세포를 단기간 배양하면 CuZn-SOD 활성이 감소되는데, 이는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감수성이 더 증가되는 요인이 될 것이며, 장기간 배양하면 항산화효소의 생성량이 증가되어 효소 활성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Reactive oxygen species are produced under diabetic conditions and possibly cause various forms of tissue damage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igh glucose on the alloxan-induced beta cell injury. The insulinoma (RINm5F) cells were cultured either with high glucose (22.2 mM) or normoglucose (5.6 mM) in RPMI 1640 media for 3 days. The SOD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nitroblue tetrazolium (NBT) stain. The effects of high glucose on the cytotoxicity of alloxan were also investigated in RINm5F cells and the cells viability were determined by 3-(4,5-dimethylthiazol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methods. Results showed that the CuZn-SOD activity was decreased but Mn-SOD activity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RINm5F cells cultured with high glucose (22.2 mM) media. The cytotoxicity of alloxan was increased by high glucose compared with normoglucose in RINm5F cells. Diethyl-dithiocar- barmate (DDC), as inhibitor of CuZn-SOD, also potentiate the alloxan-induced cytotoxocity in RINm5F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RINm5F cells, short term culture with high glucose media decreases CuZn-SOD activity and the decreased activity of CuZn-SOD may be one of the causative factors of beta-cell injury induced by high glucose.

      • SCOPUSKCI등재

        식이 제한 급여가 OLETF 흰쥐의 혈청 지질량에 미치는 영향

        이병래(Byoung-Rai Lee),차종희(Jong-Hee Cha),박재윤(Jae-Yoon Park),배학연(Hack-Yeon Bae),고춘남(Choon-Nam Koh),박평심(Pyoung-Sim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6

        본 실험은 식이 제한 급여에 따른 비만형 당뇨병 환자의 체중 및 혈중 지질량의 변화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사람의 비만형 당뇨병과 유사한 병리소견을 나타내는 OLETF 흰쥐를 이용하여 자유급식군, 식이 급여량 20% 제한군과 식이 급여량 40% 제한군으로 나누어 12주간 사육한 후 체중과 혈당, 혈청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량을 측정하여 식이 제한 급여에 따른 혈청 지질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LETO 흰쥐에서 자유급식군은 12주 후 체중이 41% 증가되었으나 식이 급여량 20% 제한군은 22%, 식이 급여량 40% 제한군은 10%의 체중 증가를 나타냈고, OLETF 흰쥐에서 자유급식군은 24%, 식이 급여량 20% 제한군은 10%, 식이 급여량 40% 제한군은 -2%의 체중 증가를 나타냈다. 혈당량은 LETO 흰쥐에서 식이 급여량 20% 제한군은 혈당량이 감소되지 않았으나, 식이 급여량 40% 제한군은 12% 감소되고, OLETF 흰쥐 혈당량은 식이 급여량 20% 제한군은 15%, 식이 급여량 40% 제한군은 20%가 감소되었다. 혈청 중성지질량은 LETO 흰쥐에서 식이 급여량 20% 제한군은 24%, 식이 급여량 40% 제한군은 27%가 감소되었고, OLETF 흰쥐에서는 식이 급여량 20% 제한군은 32%, 식이 급여량 40% 제한군은 37% 정도가 각각 감소되었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량은 LETO 흰쥐에서는 자유급식군, 식이 급여량 20% 제한군과 식이 급여량 40% 제한군에서 모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OLETF 흰쥐에서는 식이 급여량 20% 제한군은 15%, 식이 급여량 40% 제한군은 23% 정도가 감소되었다. HDL-콜레스테롤량은 LETO 흰쥐에서 식이 급여량 20% 제한군은 34%, 식이 급여량 40% 제한군은 43%가 증가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서 식이 제한 급여에 의한 체중, 혈당, 혈청 지질량의 변화가 OLETF 흰쥐에서 LETO 흰쥐에서 보다 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서, 식이제한 급여에 의한 혈청 중성지질량과 혈청 총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량의 변화는 당뇨병에서 더 큰 변화가 유발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restriction on obese type 2 diabetes we measured body weight,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level in dietary restricted Otsuka Long Evans Tokushima Fatty (OLETF) rats. OLETF rats (obese diabetic rats) and LETO rats (control rats) were grouped into 3 groups; control (free feed) group, 20% dietary restricted (20% DR) group and 40% dietary restricted (40% DR) group. Body weight of rats was measured every weeks and the level of glucose, triglyceride (TG), total cholesterol (TC) and HDL-cholesterol in blood of rats were also determined at 12 weeks after dietary restriction. Body weight of control, 20% DR and 40% DR groups were increased by 41%, 20% and 10%, respectively in LETO rats and by 24%, 10% and -2%, respectively in OLETF rats. Blood glucose level of LETO rats were decreased by 12% on 40% DR compared to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s between control group and 20% DR group was not observed. The blood glucose level of OLETF rats were decreased by 20% in 40% DR group and by 15% in 20% DR group. The levels of blood triglyceride in 20% DR and 40% DR group were decreased by 20%, 15% in LETO rats and by 37%, 32% in OLETF rats, respectively. Total cholesterol level was not changed by dietary restriction in LETO rats, but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OLETF rats by both 20% and 40% dietary restriction. HDL-cholesterol levels were also increased by dietary restriction in both LETO and OLETF ra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ody weight and blood glucose, serum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decreased by dietary restriction and these changes are more susceptive in diabetic rats than non-diabetic animals.

      • The Effects of Glutathione Depletion on Paraquat Toxicity in Mice

        Jung, Mi-Sook,Kim, Geun-Hyung,Yang, Seong-Hun,Chung, Ji-Sook,Koh, Choon-Nam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1993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18 No.1

        Glutathione 저하가 paraquat 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위해, buthionine sulfoximine(500㎎/㎏)을 복강내로 투여하고, 18시간 후 paraquat (40㎎/㎏)를 투여한 생쥐를 24시간이 경과 한 후 도살하여 간, 신장 및 폐에서 glucose 6-phosphate dehydrogenase, SOD, glutathione peroxidase 및 catal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폐에서 효소활성의 감소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가강 크게 나타났다. 또한 paraquat 투여에 의한 생쥐 사망율이 buthionine sulfoximine의 전처치로 현저히 증가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미루어 paraquat의 독성이 glutathione 저하로 증가됨을 알수 있으며, glutathione은 paraquat로 인한 세포손상을 억제하는 중요한 방어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