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콩 작부체계용 조숙 대립 품종 ‘한올’

        고종민,백인열,한원영,이영훈,이병원,강범규,김현태,문중경,하태정,신상욱,오기원,이석기,서민정,강달순,최규환,김용덕 한국육종학회 2016 한국육종학회지 Vol.48 No.4

        Early maturity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an important character for double cultivating system with winter crops such as onion or garlic in southern area of Korea. Soybean cultivars released in the past, especially ‘Keunolkong’ was widely cultivated but it was weak at abiotic stress and low yield potential because of too short growing period and short stem height. ‘Hanol’, a new early maturing cultivar showing better abiotic stress tolerant and higher yield potential,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S91408 and ‘Hwaeomputkong’, and released in 2009. ‘Hanol’ is, compared to ‘Keunolkong’, Hanol’s growing period is five days longer and its height is 5cm higher. In addition, it showed better excess-water tolerant and 26.5g 100-seed weight. At regional adaptation yield trials (RYT) in six regions from 2007 to 2009, ‘Hanol’ showed 2.04 tons of seed per hectare, 14% higher than ‘Keunolkong’ (1.80ton/ha). ‘Hanol’ is promising for double cropping system with higher yield.

      • KCI등재

        이모작 적응 조숙 대립 다수성 콩 품종 ‘참올’

        고종민,김현태,한원영,백인열,윤홍태,이영훈,이병원,정찬식,하태정,신상욱,박장환,김홍식,서정현,강범규,서민정,최규환,신정호,곽도연 한국육종학회 2018 한국육종학회지 Vol.50 No.4

        A soybean cultivar “Chamol” for double cropping for use as soy-paste and tofu was developed using a pedigree method in 2011 as a cross between “Shinpaldal2” and “Keunol.” A promising line, SS99502-2B-89-1-3-4-1-1, was selected and designated as “Milyang210”. It was promising and showed good results from regional yield trials (RYTs) for 3 years from 2009 to 2011 and released with the name “Chamol.” It has a determinate growth habit, white flowers, gray pubescence, yellow seed coat, yellow hilum, spherical seed shape, and large seeds (27.7 g per 100 seeds). The maturity date of “Chamol” was September 18 (100 day growing period) in RYT and it is suitable for double cropping with winter crops such as onion. “Chamol” was resistant to bacterial pustule and soybean mosaic virus and tolerant to lodging in fields. Furthermore, the average yield of “Chamol” was 2.51 ton/ha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conducted for 3 years from 2009 to 2011.

      • KCI등재

        풋콩용 조숙 다수성 신품종 “상원”

        고종민,백인열,한원영,김현태,오기원,신상욱,박금룡,하태정,신두철,정명근,윤홍태,오영진,이종형,손창기,김용덕 한국육종학회 2010 한국육종학회지 Vol.42 No.6

        풋콩용 신품종 ‘상원’은 1997년 황색 대립이고 극조숙인 큰 올콩을 모본으로 하고 일본에서 도입된 Oshimamidori가 교배된 조합이다. 1998년부터 2002년도에 걸쳐 F1 - F5세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전개하여 풋콩 특성이 유망하여 선발된 YS1309- 2B-4-1-1 계통으로 생산력검정시험에서 수확시기가 빠르고 도복에 강한 대립 풋콩 다수성 계통으로 유망하여 선발된 밀양154호이다. ‘상원’의 그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유한신육형이며 ‘Sangwon’, a new cultivar for vegetable soybean,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Keunolkong’ and ‘Oshimamidori’, and was released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in 2007. The goal to develop a vegetable soybean cultivar with green pod, early maturity, large seed size, high yield, lodging tolerance, and resistance to disease such as soybean mosaic virus (SMV). ‘Sangwon’ has light green pod, early maturity, large seed, short plant height, and lodging tolerance. ‘Sangwon’ has determinate growth habit, white flower, gray pubescence, and oval leaf shape. The matured seeds have a yellow seed coat with light brown hilum, and a yellow cotyledon. ‘Sangwon’ has 5.8 cm fresh pod length, 13.2mm fresh pod width, 69.5 g seed weight per 100 green seeds, 44.0% green seed protein content, and 14.8% green seed oil content. At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for vegetable soybean from 2005 to 2007, ‘Sangwon’ shows strong resistance to soybean mosaic virus (SMV) and tolerance to lodging in fields. Fresh pods of ‘Sangwon’ were harvested at the beginning of August. In the same tests, fresh pod of ‘Sangwon’ (10.39ton/ha) yielded 5% higher than ‘Hwaeomputkong’ (9.90ton/ha).

      • KCI등재

        청소년의 또래에 대한 애착 및 사회적 기술이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고종민,명향란,안권순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또래에 대한 애착이 사회적 기술과 인터넷 게임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들의 또래에 대한 애착 및 사회적 기술이 인터넷게임중독의 정도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이다. 연구 대상자는 S시 및 T군에 거주하는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61명(중학생, 162명, 고등학생 199명)이었고, 조사도구는 IPPA(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청소년용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 Ⅱ(K-SSRS:중고생용Ⅱ) 및 인터넷 게임중독의 진단척도를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한국형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검사(K-척도), 사회적지지 척도, 자기조절 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 및 분석을 위하여 상관분석, t-검증,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에게 사회적 기술인 감정, 긍정, 원조의 기술을 높여주면 인터넷 사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해준다. 둘째, 또래에 대한 애착이 낮을수록 인터넷 게임중독으로 연결되고 사회적 기술이 낮을수록 학업태도 저하와 부정적 행동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또래에 대한 애착과 사회적 기술을 통한 인터넷의 사용에 대한 적절한 지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에게 인터넷 사용에 대한 적절한 기술과 또래와의 상호작용 능력을 길러준다면 청소년들의 건전한 인터넷 사용과 문제행동 및 인터넷 중독을 예방하는데 효율적이라는 시사점을 얻었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adolescents peer attachment and social skill on internet addiction. To fulfill this purpose, this study sets following questions. The difference between adolescent’s peer attachment and the difference and sex, grade, and parents and peer attachment by self-control ability. This study investigates 361 students(162 middle and 199 high school students) by investigate of IPPA(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adoleschent’s social support scale II (k-SSRS) and diagnostic sclae of internet addiction. For measurement, this study uses Korean version of internet addiction self-test scale(k-scale) social support scale and self regulation test. Then the collected data are gone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This study comes up with following conclusion. First, adolescents can effectively manage the internet use when they get a chance to enhance their social skills such as emotion, positiveness and aid. Second, internet addiction can be appeared the lower peer attachment and the effect of bad study and bad act the lower social skill. Third, adolescents need appropriate instruction on internet use by promoting their self-control ability and social skil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would be efficient to foster healthy internet use and prevent internet addiction when adolescents get appropriate and peer attachment.

      • KCI등재

        하상 미지형에 따른 N2O 발생량 변화 효과에 대한 탄소 가용성의 영향

        고종민,김영선,지운,강호정 한국수자원학회 2019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2 No.11

        Denitrification in streams is of great importance because it is essential for amelioration of water quality and accurate estimation of N2O budgets. Denitrification is a major biological source or sink of N2O, an important greenhouse gas, which is a multi-step respiratory process that converts nitrate (NO3-) to gaseous forms of nitrogen (N2 or N2O). In aquatic ecosystems, the complex interactions of water flooding condition, substrate supply, hydrodynamic and biogeochemical properties modulate the extent of multi-step reactions required for N2O flux. Although water flow in streambed and residence time affect reaction output, effects of a complex interaction of hydrodynamic, geomorphology and biogeochemical controls on the magnitude of denitrification in streams are still illusive. In this work, we built a two-dimensional water flow channel and measured N2O flux from channel sediment with different bed geomorphology by using static closed chambers. Two independ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identical flume and geomorphology but sediment with differences in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The experiment flume was a circulation channel through which the effluent flows back, and the size of it was 37 m x 1.2 m x 1 m. Five days before the experiment began, urea fertilizer (46% N) was added to sediment with the rate of 0.5 kg N/m2. A sand dune (1 m length and 0.15 m height) was made at the middle of channel to simulate variations in microtopography. In high- DOC experiment, N2O flux increases in the direction of flow, while the highest flux (14.6 ± 8.40μg N2O-N/m2 hr) was measured in the slope on the back side of the sand dune. followed by decreases afterward. In contrast, low DOC sediment did not show the geomorphological variations. We found that even though topographic variation influenced N2O flux and chemical properties, this effect is highly constrained by carbon availability. 하천의 탈질은 수질 개선과 정확한 아산화질소(N2O) 발생량 추정에 관련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탈질과정은 질소 산화물(NO3-)을 다수의 단계를 걸쳐 기체 질소(N2 또는 N2O)로 변화시키는 호흡과정으로, 강력한 온난화기체인 N2O의 주요한 생물학적 배출 또는 흡수 과정이다. 수생태계에서는, 물의 범람, 기질 공급과 유체역학적, 생지화학적 특성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탈질 과정과 다단계 반응의 정도에 따라 중간산물인 N2O 발생량(flux)을 조절한다. 이처럼 기질의 농도뿐만 아니라 하상의 물 흐름과 체류시간이 반응 산물에 영향을 미치지만, 하천에서 탈질 정도를 조절하는 유체역학적 특성과 지형학적, 생지화학적 인자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결과는 아직 제한적이다. 본 실험은 미세지형 변화의 영향을 모의하기 위해서 2차원 실험 수로에 사구를 형성하여 하상 지형에 따라, 정지상태의 폐쇄형 챔버를 이용해 N2O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질과의 미세지형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두 독립된 실험은 같은 수로와 지형 구조를 가지지만 다른 용존 유기탄소(DOC) 농도로 설계하였다. 또한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Random Forest 모델을 활용하여 N2O 발생량과 조절인자를 추정하였다. 높은 DOC 농도 실험에선, N2O 발생량이 흐름 방향을 따라 증가하다 사구 뒤쪽 경사에서 가장 높은 발생량(14.6 ± 8.40 μg N2O-N/m2 hr)이 측정되며, 그 이후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사구 뒤쪽 경사에서 암모늄 농도가 31.0 ± 6.24 μg-N/g dry soil로 가장 높으며 N2O 발생량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낸다. 반면에, 낮은 DOC 토양은 지형학적 변화에 따른 N2O 발생량과 암모늄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발생량과 농도 또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 비록 지형적 변화는 N2O 발생량과 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쳤지만, 그 효과는 탄소 가용성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