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옛글 수업을 어떻게 할까

        고용우(Ko, Yong-woo)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9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3 No.2

        고전 수업의 현실은 학습목표와 거리가 멀게 진행될 가능성이 많다. 선인들의 정서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을 고전 수업의 주요 목표로 제시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그렇지 못한 것이다. 고전의 내용을 원문으로 수록하거나 한자어 위주로 번역한 것을 교과서에 실을 경우, 내용을 현대어로 풀이하는 데 대부분의 시간을 투자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학습목표에 해당하는 내용은 교사가 정리해서 암기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것은 학생들의 언어 능력 신장 측면에서 본다면 별로 교육적 효과가 없다고 봐야 할 것이다. 그 결과 학생들은 고전을 고리타분하고, 공부할 거리가 많고, 무엇보다 어려운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려면 학생들의 정서에 부합하도록 현대어로 옮긴 것을 교과서에 실어야하고, 다양한 제재와 주제를 담은 글을 제시해야 한다. 학생들이 옛글에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해야 학습 목표에 부합하는 다양한 학습활동을 전개할 수 있을 것이다. In actually, Korean classical literature classes can be far removed from their purposes. It is suggested as a main object to understand our predecessors' feeling and culture, but actually we have difficulty in achieving the purpose of study. In the case the original of the classics or its Sino-Korean-word-oriented translation is put into the textbook, most of the classes are required to be centered on interpreting the passage of the original or translation by using present-day Korean. So, the teacher in question summarizes additionally the related parts to the purpose and has his or her students memorize them. This is not an efficient method of teaching from an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students' linguistic competence. As a result, many of students tend to treat classis as more threadbare, having a lot of things to do, and difficult than any oth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required to put both the present-day Korean translation, which corresponds to those students' feeling, into the textbook and to provide student with various materials and topics of texts in class. To let students familiar to Korean classical language is prerequisite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activities suitable to attain the purpose of study.

      • KCI등재후보

        소설 교육 왜 실천하기 어려운가?

        고용우(Ko, Yong-woo),제갈현소(토론)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6 No.2

        서사문학의 범위는 넓지만 특히 중‧고등학교 국어과에서는 현대소설이 압도적인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장 교사들은 여전히 소설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해 한다. 현장 교사들이 소설 교육을 어려워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먼저 교육과정의 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 교육과정에서 문학 영역의‘성격’에서는 ‘작품을 찾아 읽고 해석하며, 문학작품을 생산’하는 과목이라고 했으나 ‘교수‧학습 운용’에서는 ‘작품을 학습자의 삶과 관련지어 봄’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다 보니 상대적으로 ‘찾아 읽고 해석’하는 과정을 소홀히 할 수밖에 없다. 이런 탓에 ‘성취 기준’을 제시했으나 그 수준이 모호하고, 제시된 작품의 범위와 수준도 지나치게 추상적이다. 이와 같은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제작된 교교과서들은 대체로 ‘활동 중심’이라는 평을 듣는다. 그러나 ‘활동 중심’이 학습자의 활동 중심 수업이 되지 못하고 활동만 요란할 뿐 남는 것이 없다고 비판을 받기도 한다. 소설 한 편을 두고 많은 활동을 배치했지만 그 활동들이 소설을 깊이 이해하고 삶을 성찰하도록 이끌고 있다는 느낌이 별로 들지 않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교과 교육이 각종 시험에 지나치게 종속되고 있는 측면이 강하다. 그런데 학생들이 치러야 하는 대부분의 시험은 5지선다형 시험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일부 서술형 평가를 실시하기도 하지만 평가의 공정성 등을 의식해서 거의 단답형 문제에 가까울 뿐이다. 이런 평가 방식으로는 학생들이 소설 한 편을 온전하게 읽고 의미를 해석하고, 나름의 감상을 하고 있는지 평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런 시험의 형식을 거쳐서 산출된 성적이 학생의 문학 능력과 긴밀하게 연관되었다고 보기 어려울 수 있는 것이다. 학생들이 소설을 읽고, 스스로 해석하고, 의미를 재구성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기초적인 비평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교과서를 바람직하게 구성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각종 시험의 기본 틀을 전환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The range of narrative literature is extensive but modern fiction is dominantly handled in the subject Korean language especially in Middle and High School. However, on-the-field teachers are still at a loss as to how to provide fictional education. Then what is the reason behind the difficulty faced by on-the-field teachers in regards to fictional education? First, we can consider the problems within the educational process. The ‘characteristics’ in the domain of literature in the educational process defines it as a subject which “searches and interprets literary work and produces literature”, however the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focuses mainly on ‘relating the literary work to the learner’s life’. Accordingly, the process of ‘searching, reading, and interpreting’ can only be relatively neglected. As such, an ‘achievement standard’ was proposed, however, its standards are ambiguous and the range and level of the proposed work are excessively abstract. Textbooks produced based on such educational procedure generally receive the assessment that they are ‘activity-oriented.’ However, such ‘activity orientation’ sometimes receives the criticism that it is unable to become the activity oriented class of the learner and such activity is only clamorous without much substance. This is because although many activities are arranged surrounding one fictional novel, in many cases, such activities fail to understand the fictional novel in depth and induce introspection of life. Curriculum based education tends to excessively dependant on various exams. However, most of the exams that students need to take are in form of 5 multiple choice questions. Some exams include essay or written style evaluation, however, most of the exams are close to short-answer questions due to fairness issues regarding evaluation. Such evaluation method will make it difficult to assess whether students are soundly reading the fictional novel, interpreting its significance, and making their own opinions or impressions. As such, it will be difficult to state that the calculated exam results which pass through the aforementioned exam form are closely related to the student’s literary skills. In order to become a class which promotes students to read fictional novels and interpret the significance on their own, a class which enhances the student’s ability to reconstitute its meaning and provide criticism, the educational process and textbooks should be appropriately and desirably constructed. Furthermore, efforts in converting the basic stereotype of various exams will also be necessary.

      • 새 문학 교육과정 검토

        고용우(Ko Yong-woo)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

          개정된 문학 교육과정은 7차에 비해 틀이 체계를 갖춘 것 같다. 그러나 내용상 큰 변화는 없다. 여전히 ‘문학 지식’이 중심에 있는 것 같고, 무엇을 해야 할지 가늠하기가 어렵다.<BR>  국어과의 문학 영역을 심화시키는 것이 ‘문학’ 과목의 성격이라고 했으나 그 심화가 문학 지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는 것 같다. 물론 문학 지식의 심화도 필요하겠지만 문학 지식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문제인 것이다. 구체적인 문학 활동을 통하여 그 문학 지식을 심화시킨다고 했으나 아무래도 초점이 문학 지식에 놓이게 되고 그렇게 된다면 문학 작품은 즐겁게 향유할 대상이 되기는 어려울 것이다.<BR>  한 편의 문학 작품을 수용하는 과정이 국어 과목 속에서 문학 작품을 읽을 때와 문학 과목 속에서 작품을 읽을 때 어떻게 다를까. 작품의 수준이 달라질 것이고, 작품을 읽은 뒤에 할 수 있는 표현 활동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물론 수용하고 표현하는 과정에 작동하는 배경 지식의 넓이와 깊이도 달라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문학 교육과정에서는 ‘작품을 선정할 때 학습자의 상황을 고려한다’ 와 같이 국어와 달라진 바가 없다.<BR>  생산 활동의 수준도 달라져야 할 것이다. 소설의 경우를 놓고 생각해 본다면 작품을 읽고 작품의 줄거리를 정리하는 낮은 수준에서 인물의 성격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파악하는 좀 더 높은 수준으로, 그리고 공간이나 시간적 배경까지 파악하는 좀 더 높은 수준, 이런 요소들을 망라한 비평글 쓰기와 같은 높은 단계, 하나의 분명한 관점을 가지고 비평문을 쓰는 단계 등과 같은 수준의 변화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줄거리가 있는 이야기 쓰기, 인물의 성격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이야기 쓰기, 주어진 상황의 분위기가 드러나게 이야기 쓰기, 인물의 성격을 창조하는 이야기 쓰기, 갈등이 드러나는 이야기 쓰기와 같이 갈래별 쓰기 활동도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BR>  그런데 교육과정에서는 그런 수준보다는 단지 학습자의 관심이나 심리적 요구 등만을 제시했기 때문에 현실적인 적용에서는 별 의미를 갖지 못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실제 내용도 구체적이지 않아서 교육과정을 알기 전과 알고 난 후에 문학 교육에 대한 생각이 달라질 아무런 요소가 없다.<BR>  심화 과정의 문학 과목을 이수했다면 알아야 할 문학 지식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그 문학 지식의 수준은 문학 작품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이치와 같은 것이어서 글을 읽고 쓰는 활동에 자연스럽게 작동할 수 있어야 의미가 있는 것이다. 문학 지식이 아무리 풍부해도 다양한 작품으로 전이해서 적용할 수 없다면 그것은 별 가치가 없을 것이다. 암기된 문학 지식은 결코 그런 수준을 벗어날 수가 없다.<BR>  문학 교육과정은 아무래도 욕심을 줄이는 일이 가장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문학 교육의 현실은 매우 초보적인 수준에 있어서 작품 꼼꼼하게 읽기부터 시작해야 할 형편인데 교육과정은 너무 많은 것들을 너무 추상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더구나 이 많은 것들이 작품을 제대로 수용하고 생산하는 활동을 돕기 위한 것이라면 환영해야 할 일이나 대체로 그 목표들은 그런 수준에 있지 않다. 오히려 작품을 수단으로 해서 뭔가를 하려고 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인간을 만들거나 공동체에 기여하는 인간을 만들고자 하는 목표가 더 강하게 드러나 있는 것이다. 이런 목적이 강하게 드러나면 작품 읽기는 소홀해지고 목표를 중심으로 한 수업을 하게 된다.<BR>  좀 더 구체적인 교육과정이 제시되어야 교육과정만으로도 수업의 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The new curriculum for literature education seems to be more systematic than the 7th revision of the curriculum however there is not much change in its contents. The "Literary Knowledge" is still placed in the center and it is not clear what to do with it.<BR>  It stated that the characteristic of "literature" subject is to intensify the literary province of Korean language course but it seems such an "intensification" is being understood as the literary knowledge. The intensification of literary knowledge is indeed necessary however it becomes problematic when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is centered on literary knowledge. It stated that it would intensify the literary knowledge through substantial literary activities, but if that is the case, the focus has to be laid on the literary knowledge and the literary works can hardly become subjects to enjoy.<BR>  How i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 literary work different when reading it in the Korean language course and when reading it in the literature course? The level of the literary work will change and the activities of expression after reading the literary work must change. The depth and breadth of the background knowledge which influence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the literary work will also change. However the curriculum for literature is not different from the Korean language course as it stated, "Consider circumstances of students when selecting literary work."<BR>  The level of productive activities must also change. Take novels for instance, there can be a change from the low level where students read the literary work and summarize the synopsis of the work up to the high level where students understand the story centering on the personalities of characters and even the time and space backgrounds, or up to the level where students comment on a work regarding all those literary elements or write a review on a work with a distinct viewpoint. Various writing activities can also change according to the level of study such as the writing stories with a plot, stories where the personalities of characters stand out, stories that reflect the ambience of the given situation, stories that create the personalities of characters and stories that show the conflicts between characters.<BR>  However, the curriculum only suggested the interest or psychological demand of students rather than reflecting the level of studies and failed to have significance in the application in the field.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lso is not concrete that there is no element which would change the ideas about the literature education after examining the curriculum.<BR>  There can be the literary knowledge that a student must have if the student completed the intense literature course. However, the level of literary knowledge is like the principle in understanding and producing literary works and it would be meaningful only when it is naturally incorporated into the activities of reading and writing. No matter how extensive literary knowledge one has, if she or he cannot transfer it into various works, then it would have not much value. The "memorized" literary knowledge will never overcome that level.<BR>  Reducing ambition must precede all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curriculum for literature course. The level of literature education in reality is in the very beginning stage where it should start from reading literary works carefully however the curriculum wants to achieve so many things so abstractively. More over, if those activities out of such an ambition in current curriculum are helping students understand literary works correctly and produce their own works however they are not in the level. They are rather trying to do something by using literary works as a tool. The goal of cultivating wholesome people or the people who contr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