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페트라 콜린스의 이미지와 여성주의

        고예지 ( Ko Ye Zy ),주보림 ( Joo Bo R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3

        밀레니얼 제트 세대 출신으로, 서구의 제4세대 페미니즘을 주도하는 여성주의 포토그래퍼 페트라 콜린스가 주목받는 것은 그녀의 여성에 대한 주체적 시선을 담은 사진 아카이빙 때문이다. 이 연구는 그녀의 사진 작품에 내재한 여성 서사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찾는 것에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은 여성주의 관점으로 페트라 콜린스의 시각 작업을 조사하기 위해 여성주의와 이미지에 관한 서술의 기본 개념과 관점을 설립하고, 콜린스의 이미지와 서술에 대한 분석의 배경이 되는 작품들을 수집한다. 주요 연구 대상은 콜린스가 ‘여성’을 주제로, 다수의 여성 작가들과 이끄는 온라인 아트 갤러리와 그녀의 공식 홈페이지 그리고 3권의 사진집을 중심으로 자료를 분석한다. 이 연구는 여성주의 이미지를 토대로 전달하는 이미지의 특성을 찾고 그것이 가지는 의의를 관찰한다. 여성주의 관점으로 페트라 콜린스의 이미지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자신의 여성주의 성향을 표현하는 데 있어, 이미지를 구성하는 언어들로 연결한다. 그 특징적 요소는 주체적 시선과 수평적 구도, 핑크 색상 및 파스텔 색조의 활용, 패션과 몸을 오브제로 활용이다. 이 같은 사진 언어를 취하는 콜린스가 전개하는 이미지의 의의는 여성 주제적 사고와 실재적 시선, 능동적 섹슈얼리티와 오토에로티시즘 그리고 소녀성의 수용과 같은 세 가지 범주에서 정의될 수 있다. 타자에 의해 규정되고 대상화된 여성에 대한 시선이 범지구적인 논제로 부상하고 있는 시점에서, 페트라 콜린스가 생산하는 이미지는 그 자체로 이 시대의 여성주의를 반영한다. 서구권에서 제4세대 페미니즘을 대표할 작가로 주목받고 있는 콜린스의 작업은 지속적으로 동시대적 여성주의 방향을 설립하는 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 기대한다. In order to examine the visual work of Petra Collins through a feminist perspective, the following study establishes the fundamental notions and perspectives of both feminist and visual narratives, and gathers different works to analyze Collins’s visual narrative. The main objects of study are the online art gallery, run by Collins and many other women photographers on the subject of ‘women’, her official web site and three photo books. The following research explores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her feminist imagery and studies their significations. Through a feminist perspective, the analysis of Petra Collins’s visual characteristics illustrates how her feminist inclination is incorporated in the construction of her visual language. The characteristic elements include subjective viewpoints, horizontal composition, usage of pink and pastel tones, as well as usage of fashion and bodies as objects. Through these kinds of visual elements, the significations attributed by Collins can be found within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women’s subjectivity and actual perception, active sexuality and auto eroticism, and affirmation of girlishness. Today’s feminism is reflected in the images generated by Petra Collins, especially in aperiod where the perceptions on women, that have been defined and objectified by others, are emerging as a global issue. She is becoming known as a major artist who is expected to represent fourth-wave feminism in the Western world, with a lasting influence in the establishment of contemporary feminism.

      • KCI등재

        뎀나 바잘리아의 아방가르드 정신에 내재한 패션의 의미

        고예지 ( Ko Ye Zy ),주보림 ( Joo Bo Rim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1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뎀나 바잘리아의 시각적 결과물에 의존한 외적인 분석을 넘어 아방가르드 예술 운동과 정신에 부합하는 개념에 근거한 학자들의 이론적 고찰에 초점을 맞추어 디자이너와 그의 작품을 분석하는 관점을 취했다. 21세기 가장 강력한 패션 아이콘이자 시대정신을 내포한 인물로 부상한 바잘리아에 대한 평가와 분석은 단시간 내 범람했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그와 관련된 연구들은 그의 시각적 결과물에 초점을 맞추거나 마틴 마르지엘라의 산물이라는 평가 또는 그가 추구하는 해체주의 면모와 유사한 분석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자는 바잘리아의 인터뷰와 그가 표현하는 패션 전반의 활동을 통해 20세기 가장 중요한 예술운동 중 하나인 아방가르드 예술을 설명하는 개념에 상응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역사적 아방가르드 정신의 개념적 접근과 근본적 고찰을 시도했고, 이를 근거로 룩북, 캠페인 등을 통해 발현되는 아방가르드 정신을 관찰하였다. 아방가르드 예술 운동의 근본적인 정신을 전제로 바잘리아의 패션을 관찰한 결과, 바잘리아는 패션에 굳어진 시스템을 변화시키기 위한 저항정신을 토대로 반미학적, 반부르주아적 가치관에 부합하는 이념을 지닌다. 패션의 일상성을 강조하며 삶과 유리된 예술의 무의미성을 강조했던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의 특징에 상응하는 면모를 보이며, 동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디자이너로서의 시대적 사명감을 토대로 자신의 패션디자인에 사회적, 정치적 관심을 반영하며 사회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하고자 했던 아방가르드 예술가들과 유사한 수행자의 면모 또한 드러내고 있다. 바잘리아는 인터뷰를 포함한 패션 행위를 수단으로 자신의 정치적 편향성을 표출하는 동시에 사회적 가치의 실천적 수행자로서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고 있다. 이는 자신의 세계관과 이념을 공격적이고 공공연하게 선언함으로 활동을 시작한 아방가르드주의자들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귀결됐다. 바잘리아는 자신의 패션에 저항적, 정치적, 휴머니즘적인 사회적 가치의 관점을 표출하고 이를 실행하는 실천적 자세를 취한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의 용어로부터 기인한 아방가르드의 개념을 되짚고 패션에 대한 연구 관점을 사회학 그리고 미학적 접근에 기여한 논제를 시사하고자 하는 데에 연구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designers and their works by focusing on the theoretical contemplation by scholars based on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avant-garde movement and spirit, beyond the external analysis relying on the visual achievements of Demna Gvasalia. Assessments and analyses poured out in a short time, as he emerged as the most powerful fashion icon of the 21<sup>st</sup> century and a person who reflects the spirit of the age. Until now the studies regarding him focused on his visual achievements or evaluated him as the product of Martin Margiela, assessing him based on the aspect of deconstructivism. In regard with Gvasalia’s interviews and his overall fashion activities, this study identifies that Gvasalia corresponds to the concept that explains the avant-garde movement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t movements of the 20<sup>th</sup> century. This study attempts a conceptual approach and fundamental consideration of the historical avant-garde spirit, while observing the avant-garde spirit expressed through showcases, lookbooks, and campaigns. As a result of observing Gvasalia’s fashion on the premise of the fundamental spirit of the avant-garde movement, Gvasalia expresses an ideology that conforms to anti-aesthetic and anti-bourgeois values based on the spirit of resistance to change the system that was solidified in fashion. He displays the characteristics of avant-garde artists who emphasized the everydayness of fashion and the insignificance of art isolated from life, and also shows disciplinant characteristics of avant-garde artists in reflecting social and political interests in his fashion with the intend to make society better based on the sense of duty as a contemporary artist. Gvasalia expresses his political bias by means of fashion, including interviews, and at the same time expresses his opinion as a practical performer for social values. This results in an aggressive and open declaration of his view of the world similar to that of the avant-garde artists. Gvasalia expresses the perspective of defiant, political, and humanistic social values in his fashion and takes a practical attitude to implement them.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concept of avant-garde derived from the terminology of culture and arts, and to suggest a thesis that contributes to sociological and aesthetic approaches on fashion.

      • KCI등재

        젠더 프리 시대와 밀레니얼 핑크 : 젠더 프리 시대 속 변화된 핑크의 활용을 통해 본 상징적 의미 고찰

        고예지 ( Ko¸ Ye Zy ),주보림 ( Joo¸ Bo R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5

        성의 구분에 따른 핑크 활용의 논란으로부터 출발한 본 연구는 현재적 시점에서 변하고 있는 분홍색의 활용 사례를 정리함으로써 핑크 활용의 변화와 오늘날 밀레니얼 핑크로 총칭되는 변화된 분홍색의 상징적 의미가 무엇인지 규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우선 젠더 프리 시대와 밀레니얼 핑크라는 이슈에 대한 기본 개념과 방향을 수립하였고, 이를 근거로 논의 현황 등을 살펴보며 연구사례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연구대상으로 분홍색의 활용에 대한 평가와 논란이 포함된 기사를 수집하여 구체적인 항목 분류와 함께 이를 둘러싼 논쟁 또한 조사 분석하며 문제점을 인식했다. 연구 범위는 사회, 예술 및 디자인, 미디어 분야로 분류하여 핑크색 활용을 살펴보았다. 분홍색의 활용은 성 평등과 다양성에 대한 이슈의 부상과 함께 동시에 이를 표현하는 수단적 색상으로 자리 잡고 있었는데, 연구 결과 역사의 흐름 속에서 핑크색은 유독 다른 색채와 달리 젠더 관점에서 사회화 양상이 두드러졌으며, 그 상징적 기능은 단순히 지시적 색채를 넘어 사회와 소통하는 면모를 보이고 있었다. 젠더 프리 시대에 영향을 받은 핑크는 밀레니얼 핑크라고 불린다. 밀레니얼 핑크의 상징적 의미가 갖는 대표적 경향은 사회적 클리셰 탈피, 여성적 힘의 대두 그리고 색상 본연의 상징적 기호의 확장 등으로 보인다. 색채는 인간의 의식과 심리 그리고 무의식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인간의 기호로서 색채는 이미지화되며 다양한 연상 작용을 일으킨다. 색이 주는 효과는 사회 문화적 방향과 힘을 제시한다. 이러한 맥락과 함께 밀레니얼 제트 세대의 중요한 가치인 ‘젠더 이슈’는 성의 이원론을 가장 뚜렷하게 보여주는 핑크색을 통해 드러나기 시작했다. 젠더 프리 시대를 맞이한 현재, 색채에 부여된 성 고정관념은 지속해서 시대를 반영하는 이슈를 생산하며 젠더 이슈에 대한 담론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The increase in sensitivity to gender issues, a recent social phenomenon, has become one of the heated debates in modern society. As Millennials, in particular, have emerged as the generation who now shapes the society’s economy, the concept of gender equality, one of the values that they emphasize, has become closely tied to the problem of gender role that has been occurring in various fields. Such problems have been clearly taking place through the color pink, which was an evident marker of gender in the past. In such a manner, the association with pink, which is highly related to gender issues, has long been a source of controversy. This study, therefore, first intends to examine the use of pink and its historical formation process that produced symbolic meaning and aims to analyze the constant shift in social perception of pink with the stream of time. In order to examine how the pink color has been used over time, this paper investigated its social, fashion, art, and media categories. Based on the above observ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symbolic meaning of pink in the current society in which the gender-neutral values are becoming prominent through analyzing the association of pink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hat opposes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pink and demands less stereotypical gender values. Such examination especially demonstrated the color-coded gender socialization of pink. In addition, the symbolic function of pink went beyond merely showing its referential function and penetrated deep into social beliefs. The diversified symbols of pink, based on this research, are not simply an attempt to break free or transform the female oppressive tone embedded in pink; the main purpose of these symbols is not to generate a one-sided choice of words that favors a specific gender as well. Rather,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ndicates efforts to focus on the types of moods that pink naturally tends to evoke or extend its symbolic function that adheres to restrictive gender norms.

      • KCI등재

        팩트체크 뉴스에 대한 이용자 반응 분석 : 언어적 특성, 인지·정서적 반응 및 논쟁 댓글의 출현 양상을 중심으로

        고예나(Yena Ko),김우정(Woojeong Kim),한경식(Kyungsik Han),홍화정(Hwajung Ho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1 언론정보연구 Vol.58 No.1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뉴스들과는 작성 목적, 형식, 내용, 구성 등에서 차별점을 가지는 팩트체크 뉴스에 대한 이용자 반응을 파악하기 위해, 포털 사이트의 뉴스 기사 댓글을 통해 이용자들의 언어적 특성, 인지ㆍ정서적 반응 및 논쟁 댓글을 통한 상호작용 양상을 관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유사한 주제를 가지는 일반 뉴스의 댓글을 비교군으로 설정한 후 각 집단 당 1,215개의 기사에 대한 총 33만개의 개별 댓글에 대해 자연어처리 및 휴먼코딩 기반의 사전 구축 방법을 사용하여 언어적 특성을 밝히기 위한 어휘 기반 단어 분석, 구글 감성 분석 api를 사용한 감성 분석, 논쟁 지수 산출을 통하여 논쟁 댓글 출현 양상에 대한 회귀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적 특성으로는 팩트체크 뉴스 댓글에서 사실관계를 의심하거나 언론을 비판하는 단어들이 많이 등장했다. 둘째, 인지ㆍ정서적 반응의 특성으로는 팩트체크 뉴스 댓글에서 인지적 과정 범주에 포함되는 단어 사용이 많았고, 부정적 정서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상호작용 특성으로는 팩트체크 뉴스 댓글란에서 상대적으로 논쟁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의견이 천천히 수렴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 연구는 자연스럽게 발생한 데이터를 통해 팩트체크 뉴스 이용자들의 언어적ㆍ인지적ㆍ정서적 특성을 규명하고, 논쟁 지수의 도출 및 논쟁 양상의 분석을 통하여 팩트체크 뉴스 이용자 간 상호작용의 특성을 살펴보며, 이 과정을 통하여 신뢰성 있는 한국어 어휘 사전을 구축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 연구가 팩트체크 뉴스 이용자 반응에 대한 탐색적인 단초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online news user comments to identify users’ linguitstic characteristics,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s and interactions between users toward fact-checking news that differed from the existing news in writing purpose, format, content, and composition. After collecting the user comments of general news with similar themes as a comparison group, we conducted lexicon-based analysis for linguistic characteristics, emotional analysis using Google Emotional Analysis API, and argument index calculation for identifying the emergence of controversial comments. First, words that question the facts or criticize the media were more observed in the user comments to fact-checking news. Second, more words related to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appeared in the user comments to fact-checking news. Third, controversial comments corresponding to fact-checking news were likely to last longer than those to general news. Overall,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investigating linguistic, cognitiv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fact-checking news users, examining fact-checking news users" interactions by calculating argument index and analyzing emergence of controversial comments and constructing a reliable Korean vocabulary dictionary through a hybrid method of computation and communication. We hope this study provides exploratory clues on the characteristics of fact check news comments and users.

      • KCI등재

        팀 워커(Tim Walker)의 패션 이미지와 환상성 - 문화적 환상성 이론을 중심으로 -

        고예,주보림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3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3 No.3

        본 논문은 패션 사진과 문화적 환상성 이론을 결합하여 팀 워커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패션 이미지에 나타난 환상성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츠베탕 토도르프 및 로즈메리 잭슨 등이 발전시킨 문화적 환상성 이론의 근본적 고찰을 진행 한 후 이를 토대로 팀 워커의 작품을 분석한 결과 팀 워커의 작품에서 보이는 환상적 경이, 환상적 괴이, 환상적 모방의 세 가지 핵심 특징은 분석하는 이론적 기반이다.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본 연구는 분석 대상인 팀 워커의 패션 이미지의 수집 범위는 그가 처음 패션계에 데뷔한 2006년부터 2022년까지의 대표 패션 이미지이다. 워커의 작품을 환상성 이론에 집중하여 그의 세계관에 대해 연구했다는 점에서 기존 선행연구와 차별점을 가지는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팀 워커는 선대 작가들에 대한 경의를 기반으로 한 모방적 장면구사로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을 오마주했다. 둘째, 패션 이미지의 초현실적인 분위기를 형성함에 있어 수공예적인 세트 구성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환상적 공간을 실재적 구현하였다. 마지막으로 평범한 모델보다는 특색 있는 모델을 기용하여 화면의 환상적인 분위기를 더욱 감각적으로 표현하며 인체 본연의 이미지를 활용하는 것보다 두드러지는 신체 왜곡을 통해 환상적 이미지를 표현했다. 워커의 패션 사진은 기이한 캐릭터와 사물들을 조화시켜 자신이 설계한 환상의 공간에서 상업적 패션 사진의 경계를 넘고, 많은 담론과 이슈가 넘쳐나는 세상에서 예술이 가진 신비로움과 환상에만 집중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복잡한 일상에서 탈피를 주도한다. 팀 워커는 패션 사진을 통해 현실과 상상을 융합하며 사람들의 인식과 경험을 확장시킨다. 이 연구는 패션 사진의 진화와 예술적 가치를 강조함과 동시에 팀 워커의 작품에 나타나는 환상적인 시각적 경험을 형성하는 방법을 탐구하여 패션 이미지가 예술 분야에서 높이 평가되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This study integrates fashion photography and cultural fantasy theory to analyze Tim Walker’s work, aiming to identify the fantastical elements depicted in his fashion imagery. Following a foundational examination of cultural fantasy theory, developed by Tzvetan Todorov and Rosemary Jackson, this analysis is founded on three key characteristics—fantastical awe, fantastical grotesque, and fantastical imitation—observed in Tim Walker’s work. Centered on literature and case studies, this research encompasses representative fashion images of Tim Walker, spanning from his initial debut in the fashion industry at age 2006 to 2022. This paper distinguishes itself by focusing on the fantasy theory to explore Walker’s worldview in his work, differing from previous studies. Firstly, Tim Walker pays homage to a myriad of artists through imitative staging based on his reverence for preceding creators. Secondly, he actively employs artisanal set construction techniques to realize fantastical spaces, creating a surreal atmosphere within his fashion images. Lastly, he employs distinctive models over ordinary ones to accentuate the fantastical ambiance of the frame more sensually, utilizing prominent body distortions over natural human imagery to convey fantastical images. Walker’s fashion photography blends eccentric characters and objects within his designed fantastical realms, transcending the boundaries of commercial fashion photography and guiding the viewer to escape from their intricate reality by focusing solely on the mysteries and fantasies inherent in art. Through his fashion photography, Tim Walker amalgamates reality and imagination, expanding individual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This study underscores the evolution and artistic value of fashion photography and explores the methodologies shaping the fantastical visual experiences in Tim Walker’s work,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high valuation of fashion imagery in the field of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