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항 북부 연일층군의 학전층과 두호층의 해면침골과 식물규소체 산출에 의한 고해양환경 고찰

        고영구 ( Koh Yeong-koo ),오강호 ( Oh Kang-ho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4

        경북 포항북부의 신생대 퇴적층인 연일층군에서 산출되는 규질 미화석인 해면침골과 식물규소체들의 산출상을 바탕으로 당시의 고해양환경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이 층군의 학전층과 두호층에 해당하는 덕장리의 3개 지점과 청진리의 3개 지점에서 규조토와 이암 시료를 채취하였다. 또한 청진리의 CJ1 지점에서는 층의 상하에서 각각 시료를 채취하였다. 이 규조토와 이암시료들에서는 총 13유형에 해당하는 해면침골들과 10개 형의 식물규소체가 산출되었다. 해면침골과 식물규소체는 주로 형태적 특성에 따른 형태분류를 하였다. 이들 규질미화석 개체들은 덕장리 시료들이 대체로 청진리에 비해 산출빈도가 높았는데 이런 경향은 해변침골에서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는 반면, 식물규소체형들은 미미한 차이만이 인식될 정도였다. 시료들에서 산출되는 해면침골들은 거의 대부분이 megasclere 유형이었으며 단일 봉상체를 가지는 monaxon 유형에 해당하였다, 이 monaxon 유형에서는 diactinal인 oxea와 monatinal인 style이 우점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 중, oxea가 style의 개체빈도를 능가하는 지배적인 우점유형이었다. Oxea는 산출개체빈도가 가장 우세할 뿐만 아니라 형태적 변이도 광범위하였다. Oxea는 봉상체의 길이와 직경에서도 변화폭이 컸으며 내부 관의 전개에서도 착색 정도, 직경, 충전물 등에서 많은 변이를 보였다. 또한 이 유형은 대체로 완만하게 굴곡되는 활모양 봉상체가 대부분이나 일부 직선상 전개가 관찰되기도 하였고 일부 개체들에서는 굴곡이 양방향으로 전개되기도 하였다. 일부 oxea 봉상체 표면이 미소 박판으로 이탈하는 박리나 미세한 관상 함몰부 등 용식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모습들이 확인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변이 모습들은 monactinal의 style에서도 일부 관찰되기도 하였다. Diactinal의 다른 유형들인 acanthoxea, strongyle, tylostrongyle 등은 산출빈도가 매우 적었다. Monactinal에서도 style을 제외한 다른 유형인 acanthostyle, acanthotylostyle, tylostyle 등은 드물게 산출되었다. 또한 해면침골의 산정에 포함되지 못한 파손된 상당수의 봉상체 등은 대부분 oxea와 style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Monaxon을 제외한 다른 해면침골 유형들인 discorhabd(?), oxyaster(?), triode, isochela(?) 등은 전체적으로 1~2개체 정도만이 확인되었다. 이 중, discohabd(?)로 믿어지는 해면침골은 봉상체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들의 배열에서 이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해면침골들의 산출상은 상당부분 이지성 기원의 해면침골 개체들이 포함된 연근해 환경을 시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지역 시료들에서 산출된 식물규소체는 주로 형태적 특성에 기반을 두고 식물규소체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런 분류 관점에서 이들 식물규소체형들은 10개 형태가 산출되었다. 이들 식물규소체형들은 다면체 모습의 polyhedral 형이 낮은 빈도지만 대부분 시료에서 산출되었으며 덕장리에서 상대적으로 다양한 형태들이 출현하였다. 이외에 elongate형, tabular형(?), trapeziform형(?) 등은 덕장리와 청진리에서 극소수 산출되었으며 lanceolate형(?), cuneiform형(?) 등 다른 형태들은 특정 시료들에 국한되어 소수의 개체들이 불규칙한 산출을 한다. 이러한 식물규소체형들의 산출상은 아마도 초본류와 목본식물 기원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런 해면침골과 식물규소체 형들의 산출에서 연구지역 연일층군은 주변 육지에 다양한 식생이 분포하고 해수에 의한 이송이 활발했던 연근해 환경에서 퇴적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To consider paleo-oceanographic environments on the Yeonil Group in the northern area of Pohang, diatomite and mudstone samples from the Hakjeon and the Duho formations of the group were analyzed in the scope of the occurrences of sponge spicules and phytoliths from the formations. A total of 13 sponge spicule types and of 10 morphological phytolith forms were identified from the samples in the above formations of Deokjang-ri and Cheongjin-ri areas. The siliceous microfossil frequencies are higher in the Hakjeon Formation relative to the Duho Formation, and the frequency trend is remarkable in sponge spicules. Sponge spicules from the samples belonged to megascleres mostly composed of monaxons with a bar. The monaxons are mainly oxeas, diactinals, and styles, monactinals in type. Of the yielded spicules from the samples, oxea was the most dominant and widely variable, in bar morphology and type. The morphological variations in oxeas were remarkable in bar geometry, canal form in bars, and banding form. In some oxeas, dissolved features as thinly plucked bar surfaces and depressions were observed. Other diactinals including acanthoxea were sparse and, similarly, other monactinals except styles were also rare in the frequencies of the samples. Other sponge spicules except monaxons were very rare in the samples. Additionally, plentiful destroyed spicule bars from the samples might be originated from oxea and style types on the bases of arrangement and bar form. Minute silica bodies belonging to phytoliths in morphology were classified into phytolith forms from the samples. Yielding very low frequencies, polyhedral forms in the phytolith ones were relatively constant from the samples. Other phytolith forms irregularly occurred and were very rare in the samples. From the above occurrences of sponge spicules and phytolith forms in the samples, it is inferred that the Yeonil Group in the study areas was deposited in nerictic environments influenced by transportation due to active sea waters and by surrounding land vegetation.

      • KCI등재

        전남 함해만의 연안 표층퇴적물에서 산출되는 해면침골을 비롯한 규질 생물 유해

        고영구 ( Koh Yeong-koo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2

        우리나라 남서해안에서 무안과 함평 사이의 남동방향 방향으로 만입한 함해만 연안의 퇴적환경과 해수의 수괴 특성을 살펴보고자 함해만 연안의 해제반도에 인접한 해역의 13개소 정점에서 표층퇴적물 시료들을 채취하여 규질 생물유해들의 산출상을 연구하였다. 이들 시료들에서는 총 13 유형의 해면침골과 1품종을 포함하는 4 종의 규편모류 그리고 식물규소체로 생각되는 규질 생물 유해들이 관찰되었다. 이 규질 생물유해들은 해안에 약간 떨어진 정점들과만 내측 방향의 정점들에서는 차이는 있었으나 산출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해안에 인접한 해빈 정점들과 만의 남동쪽으로 만입한 해역의 정점들에서는 그 산출이 매우 희소하거나 산출되지 않았다. 산출된 해면침골은 주로 monaxon류가 지배적인 산출빈도를 보이고 이중에서도 diactinal 유형의 oxea가 가장 우세한 유형이고 다음으로는 monactinal 유형의 style도 많이 관찰되는 유형이었다. Monaxon의 다른 유형들인 diactinal 유형의 acanthoxea, strongyle, tylostrongyle 등과 monactinal 유형의 acanthostyle, tylostyle 등은 소수의 개체가 비교적 여러 정점들에서 산출되었다. 이에 반하여 다축성 가지를 보유하는 tetraxon과 polyaxon 유형의 침골들은 극소수 개체들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형태상의 다양성을 보이는 oxea와 style의 경우는 각각 세변이형과 두 변이형으로 세분하여 형태적 변이에 다른 개체빈도를 조사하였다. Oxea는 정상형이 가장 빈도가 높고 큰 봉상축을 가지는 대형 개체들은 빈도상 다음으로 나타났다. Style은 거의 대부분이 직선상의 정상형에 해당하였다. 그리고 tylostyle을 비롯한 일부 유형 등에서는 경부가 분지되어 봉상의 주 축에 나란히 전개되거나 일부 해면침골들의 봉상형 축의 중심부 부근이 편평한 타원체상으로 팽대되는 모습들이 출현하기도 하였다. 이들 변이형들이 해면 침골의 변이인지는 형태적 특성에 따른 고찰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해역인 함해만의 퇴적물에서 규편모류는 Distephanus crux(?)로 추정되는 한 개체를 제외하고는 모두 Dictyocha 속에 해당하는 분류군들이 산출되었다. 이들도 수 개체만 확인된 D. pentagona를 제외하고는 산출된 규편모류는 D. fibula와 D. messanensis f. messanensis 두 분류군에 집중되었다. 이처럼 규편모류의 산출이 Dictyocha 속에 한정되고 북서태평양을 비롯한 온난해역에서 산출되는 대표적 분류군인 D. messanensis f. messanensis의 산출상은 함해만이 온난수괴의 영향이 강하게 작용하는 해역임을 지시한다. 이와 함께 규편모류 개체들의 대다수가 어둡게 착색된 개체들로 구성되며 일부 비정형 개체들의 산출은 연구해역에서 조류 둥에 의한 퇴적물의 재동과 영양염류의 공급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들에서 연구해역인 함해만은 온난수괴가 지배적인 반 폐쇄적인 만으로서 조류 등에 의한 해수의 운동이 활발하고 주위 내륙에서 영양염류가 공급되는 환경으로 해석된다. To consider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water mass in Hamhae Bay, along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micropaleontological studies on siliceous organic remains including sponge spicules from the surface sediments of the bay were carried out. The sediments were sampled from 13 stations in strategic positions around the bay. A total of 13 sponge types and 4 silicoflagellate species belonging to 2 genera were found from the sediments. The silicoflagellates include one Dictyocha forma. Of the yielded sponge spicule types from the bay, monaxons including oxeas and styles occupy the majority of the spicules. Other monaxons occur at the level of few individuals in the bay. However, tetraxon and ployaxon type spicules are relatively very sparse. Oxeas and styles are subdivided into three and two types on the basis of morphology, respectively. The spicules show mutually different frequencies in accordance with sampling station positions from around the bay. Silicoflagellates are concentrated in Dictyocha fibula and D. messanensis f. messanensis in occurrences in the bay. The aforementioned sponge spicule occurrences are similar to that of silicoflagellates. In addition, the silicoflagellates mainly consist of dark individuals and include many abnormal ones. With these siliceous organic remains, some siliceous individuals inferred as phytoliths have also been observed in the sediments. Those siliceous organic remains indicated that Hamhae Bay is influenced by active tides with a warm water mass and nutrients somewhat flow into the semi-enclosed bay.

      • 서해 고군산군도 서측 해역 표층 퇴적물에서의 규편모류 산출 특성

        고영구(Yeong Koo Koh) 한국고생물학회 2012 고생물학회지 Vol.28 No.1-2

        고군산군도 서측해역의 17개 정점의 표층퇴적물에서 4속 16종 2품종의 규편모류가 산출되었다. 이중, Di. messanensis forma messanensis와 Di. messanensis forma spinosa가 매우 우세한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연구해역의 규편모류 골격에서는 어두운 색과 비정형개체들이 다산되며 비정형 개체들은 5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규편모류 군집조성에 의하면, 연구해역은 온난수괴의 영향을 받는 저염분의 연근해역에 해당하며 해저지형과 관련된 다양한 조류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추가로, 연구해역의 이런 환경적 조건들은 불규칙한 기저환을 포함하는 비정형 생성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From the 17 surface sediments in the western area of Gogunsan Islands, 16 silicoflagellate species and 2 formas belonging to 4 genera were identified. Of them, Di. messanensis forma messanensis and Di. messanensis forma spinosa were extremely dominate taxa. Among silicoflagellate skeletons in the study area, dark and aberrant ones are frequent. Aberrant individuals of the silicoflagellates are classified into 5 types. On the basis of silicoflagellate assemblages from the sediments, it is considered that the study area is assigned to neritic and low saline environment influenced by warm water mass, and variable tidal conditions related with submarine topography are formed in the area. In addition, above environmental conditions might mainly control the aberrant forms including irregular basal rings of silicoflagellates in the study area.

      • KCI등재

        나주 오량동 일대에서 채집된 옹관편에 대한 광물 및 암석기재적 특성에 관한 연구

        고영구 ( Yeong Koo Koh ),오강호 ( Kang Ho Oh ),윤석태 ( Seok Tai Yoon ),조미순 ( Mi Soon Cho ) 호남고고학회 2011 湖南考古學報 Vol.39 No.-

        나주시 오량동 옹관 가마터에서 수집된 옹관시편의 태토와 제작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이들에 대한 주성분 원소, 미량원소 및 희토류원소들에 대한 지구화학적 분석과 함께 시편의 편광현미경 관찰을 바탕으로 한 광물학적, 퇴적학적 그리고 암석조직의 기재적 연구를 행하였다. 그리고 현미경 하에서 연구가 어려운 광물들의 산출을 탐색하기 위해 X선 회절 분석을 병행하였다. 그 결과, 이들 시편들의 제작에는 각종 화학성분들의 함량분포에서 주변 지질과 관련성이 높은 풍화토나 퇴적물 등에서 유래된 동일한 태토가 사용되었으며, 조직 관찰에서 조립질 입자들의 산출에서 보는 것처럼 하상 퇴적물이 혼합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시편의 조직 관찰과 광물들의 산출특성은 이들 시편들이 옹관 제작과정에서 상당한 고온의 열적 이력을 거쳤음을 지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o consider some information on the original soil and the making processes of pottery coffins, geochemical analyses of major,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 to the fragments of the coffins sampled from the Oyangdong furnace site, Naju city were carried out in this study. And, mineralogical, sedimentological and descriptive studies on the fragments were added on the basis of investigations by polarizing microscope. To detect minerals difficult to identify under a polarizing microscope, X-ray diffraction analysis was applied to the fragments together. From the results of above chemical and textural analyses, it is implied that weathered soils and sediments related to surrounding geology were used and fluvial sediments were also mixed in making pottery coffins. The pottery coffins might have been undertaken considerably high thermal condition during making processes on the basis of textur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ragments.

      • KCI등재

        전라남도 어촌 6차 산업 활성화 방안-무안 습지보호지역을 중심으로-

        고영구 ( Koh Yeong-koo ),오강호 ( Oh Kang-ho ),이동신 ( Lee Dong-shin ),윤석태 ( Youn Seok-tai ),차성식 ( Cha Seong-sig ),김해경 ( Kim Hai-gyoung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3

        어촌 6차 산업은 창의력 및 상상력과 과학기술, ICT 융합을 통한 새로운 시장과 산업 육성으로 양질의 많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경제 패러다임이다. 해양수산부는 어촌 6차 산업화를 통해 수산업의 고차산업화를 통한 부가가치 증대를 추진 중이다. 이 연구는 무안 습지보호지역의 어촌 6차 산업을 위한 정책 및 여건, SWOT 분석, 산업화 추진에 대한 방안을 분석하였다. 무안 습지보호지역은 우리나라 습지보호지역 1호로, 무안군은 습지보호지역의 체계적으로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SWOT 결과에 따른 연구지역의 강점 요소는 습지보호지역으로 천혜의 자연환경, 우수 인프라 확보, 무안군의 습지보호를 통한 지역 발전의 강한 의지를 들 수 있다. 약점 요소는 수산업의 영세성, 6차 산업의 관리역량 부족, 기초 및 강공 R&D 기반 취약성이다. 기회 요소는 국정과제, 해양수산부의 6차 산업화 추진 확대, 무안군의 체험형 관광 거점 조성 등의 정책적 지원 의지가 크다. 위협 요소로는 어업종사자 감소와 노령화, 지역간의 연계, 어촌계의 이해관계 상충 등이 있다. 연구지역 어촌 6차 산업화를 위해서는 어업을 기본으로 한 1차 산업부문의 조직화가 가장 중요하며,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지역 단위로 생산부문 조직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무안 습지보호지역의 어촌 6차 산업화는 천혜의 수산 및 농축산 자원과 특산품(1차 산업), 수산품 및 특산품 가공(2차 산업), 유통·판매 및 습지보호지역의 문화, 체험, 관광, 서비스(3차 산업) 등을 연계함으로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무안 습지보호지역 어촌 6차 산업화의 SWOT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무안생태갯벌센터 중심의 3차 중심형 사업으로 진행하는 것이 지역 특색에 맞는 가장 효율적인 것이 될 것이다. 또한, 전라남도 어촌 활성화를 위한 6차 산업은 비교우위 자연자원과 산업구조별 차별화를 통해 특화되어야 한다. 1차 중심형 산업화는 벌교 및 장흥 지역, 2차 중심형 산업화는 영광 및 완도 지역, 3차 중심형 산업화는 무안 및 순천 지역 등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considered 6<sup>th</sup> industrialization activation plan to Muan tidal wetland protected area in the sides of policies, conditions, SWOT and industries. The study results would be used in 6<sup>th</sup> industrialization and specialized policies on fishing villages in Jeonnam province. Muan tidal wetland protected area is across Hyeongyeong and Haeje myeon areas and designated as the 1<sup>st</sup> of wetland protected ones. Advantages of the area indicated by SWOT analyses are excellent natural environment, suitable Infra construction, and energetic willingness to community development. Meanwhile, the analyses show following weak points a small-scale fishery, deficiency to driving 6<sup>th</sup> industrialization, and weak foundation for basic to strong R&D. In the analyses, chances are strong policy supports on government task, promotion of 6th industrialization by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MOF), and establishment of empirical tour-hub. In addition, threats in the analyses list as aging and downsizing of fishery people, connection among areas, and beneficial conflict between each fishery group. The 6<sup>th</sup> industrialization of fishing village in the study area needs to organize 1<sup>st</sup> industry as fishery, most of all, and production sec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next. Especially, the industrialization is most effective in areal characteristics that it would work in a central 3<sup>rd</sup> industrial role of Muan Ecological Tidal Flat Center on the bases of above SWOT analyses. In addition, it needs specialization to reveal relatively advent natural resources and industrial structures with respect to 6<sup>th</sup> industrialization for fishery development in Jeonnam province. In the perspective, it is recommended that 1<sup>st</sup> centered area is Beolgyo-Jangheung, 2<sup>nd</sup> area is Yeonggwang-Wando, and 3<sup>rd</sup> area is Muan-Suncheon in centered industrialized areas.

      • KCI등재

        순천만과 보성벌교 연안습지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고영구 ( Koh Yeong-koo ),오강호 ( Oh Kang-ho ),윤석태 ( Youn Seok-tai ),박성남 ( Park Seong-nam ),차성식 ( Cha Seong-sig ),김해경 ( Kim Hai-gyoung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3

        순천만과 보성벌교 갯벌은 연안습지로 보전가치가 높은 지형 및 지질, 생태계가 우수하여 습지보호지역 제3호와 제4호로 지정되었으며, 2006년에는 람사르에 등록되어 있다. 자연환경이 우수한 순천만은 자연생태공원 조성을 통해 연간 100만명 이상의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대표적인 생태도시로 발전하였으며, 보성벌교 갯벌은 국내 최대의 참꼬막 생산지로 알려져 있다. 이들 지역의 습지환경에 대한 연구는 습지보호지역 지정을 위한 기초조사와 흑두루미, 갈대, 꼬막 등의 생물학적 조사에 국한되어 있으며, 갯벌 생물의 지지기반인 퇴적물을 대상으로 성분들의 지화학적 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순천만과 보성벌교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및 성분들의 거동을 규명할 필요성이 크다. 연구지역인 순천만과 보성벌교 갯벌 퇴적물의 내의 Al, Fe, P, Mn, Co, Cr, Cu, Li, Ni, TOC와 함량은 평균입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이며, Al은 Fe, P, Mn, Cr, Li, Ni, Zn과, TOC는 Al, Fe, P, Mn, Co, Cr, Li, Ni, Zn과 상관성이 높다. 연구지역 퇴적물 성분들은 지화학으로 주변 지질과 더불어 인위적인 영향을 복합적으로 받고 있다. P, Li, Zn, Pb의 부화지수는 모든 정점에서 1 이상이었다. 최대 농축지수는 Fe 0.76, Ca 2.70, P 1.10, Mn 1.69, Ba 0.19, Co 1.13, Cr 0.91, Li 0.70, Ni 1.07, Cu 2.57, Zn 0.91, Pb 1.50이다. Pb는 대부분 정점에서 1이상으로 보통오염에 해당한다. 부화지수와 농축지수가 높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오염형 원소들은 P, Cu, Zn, Pb 등이다. 특히 P는 전 지역에 걸쳐 부화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생활하수 및 농업 활동에 의한 유기물질 유입에 따른 영향을 반영한다. P와 더불어 Cu, Zn, Pb 등의 부화 및 농축은 유기물에 흡착되는 특성을 반영한 결과로 인위적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 연구지역의 지화학적 환경은 퇴적물 내 성분들로 보아 비교적 자연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정점 D-1과 같이 오염이 우려되는 지역은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surface sediments in Suncheon Bay and the Boseong-Beolgyo tidal flats. The grain size of sediments is highly correlated to Al, Fe, P, Mn, Co, Cr, Cu, Li, Ni, and TOC. Al is highly correlated to Fe, P, Mn, Cr, Li, Ni, and Zn. Also similar relations are formed between TOC and Al, Fe, P, Mn, Co, Cr, Li, Ni, and Zn. The elements of sediments are geochemically affected by the surrounding geological features and artificial interferences. Enrichment factors of P, Li, Zn, and Pb are higher than 1 in all stations. The maximum index of geoaccumulation of Fe is 0.76; Ca, 2.70; P, 1.10; Mn, 1.69; Ba, 0.19; Co, 1.13; Cr, 0.91; Li, 0.70; Ni, 1.07; Cu, 2.57; Zn, 0.91; Pb, 1.50. The indices of Pb are higher than 1 in all stations, which means moderate pollution. The highly enriched and geoaccumulated elements are P, Cu, Zn, and Pb. In particular, P is the mostly enriched element within the whole area. This indicates the inflow of organic matter in relation to life sewages and agricultural works. The enrichment and accumulation of P, Cu, Zn, and Pb are due to the adsorption of organic matters showing artificial influences. However, the geochemical environment of wetland is relatively close to the natural states in respect of the sediment elements within the study area. Meanwhile, station D-1 needs concerned monitoring due to contamination risks.

      • KCI등재

        순천만 연안의 표층퇴적물에서 산출되는 해면침골과 규편모류

        고영구 ( Koh Yeong-koo ),오강호 ( Oh Kang-ho )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2

        이 연구에서는 습지보전지역으로 의의가 큰 순천만 연안의 표층퇴적물에 함유되어 있는 해면침골과 규편모류를 대상으로, 퇴적환경과 이 해역에 영향을 미치는 수괴(water mass)에 대한 미고생물학적 연구를 통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시료는 연구해역의 순천과 보성지역의 와온마을, 안풍습지, 무풍리, 호동리 그리고 장암리 연안에 위치하는 12개소 정점에서 채취하였다. 해면 침골과 규편모류는 퇴적물 시료에서 제작한 스미어 슬라이드에서 감정을 하였다. 연구해역의 시료들에서는 7유형의 해면침골과 2속 3종의 규편모류가 산출되었으며 산출된 규편모류 중 Dictyocha messanensis는 품종 수준까지 분류를 수행하였다. 연구해역에서 해면침골과 규편모류 개체들의 산출은 정점 별로 서로 상당히 다른 산출경향을 보여주었다. 산출된 해면침골들은 거의 대부분이 monaxon 유형에 해당하였으며 그 외는 극소수의 triaxon 유형에 속하는 침골뿐이었다. 해면침골들의 유형별 산출을 보면 diactinal 유형의 oxea와 monactinal 유형의 style 등이 매우 우세하게 출현하였으며 monaxon 유형의 다른 침골들인 acanthoxea, acanthostyle, tyolstyle, acanthotyleostyle 등은 상대적으로 저조하게 산출되었다. 규편모류는 산출 개체들의 거의 대다수가 Dictyocha속의 D. messanenesis f. messanensis였으며 다른 분류군들은 수 개체 미만으로 희소하였다. 규편모류 산출은 다수가 연구해역 동측 연안의 정점들에 집중되고 있다. 산출된 D. messanenesis f. messanensis은 태평양 해역의 온난 수괴에서 빈번히 보고되는 분류군으로 알려진다. 규편모류 산출에서 특기할 만한 것들로는 어둡게 암갈색 등으로 착색된 개체(dark specimens)와 비정형 개체(aberrant forms)의 산출빈도가 매우 높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두운 개체들의 산출은 이들 개체들을 포함하는 퇴적물들의 재동(reworking)이나 재배치(redeposition)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또한 비정형 개체들은 연안 환경에서 저염분(low salinity) 환경이나 주변에서 풍부한 영양염류(nutrients)의 공급이 있을 때 출현빈도가 상승한다고 한다. 이상과 같은 해면침골과 규편모류 산출군집상에서 연구해역은 온난 수괴(warm water mass)가 지배적인 연안의 천해 환경으로 해저지형 등으로 인한 조석 운동 등 다양한 해수운동이 일어나는 해역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considers micropaleontological approaches to relate siliceous micro-organic remain assemblages of sponge spicules and silicoflagellates to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water mass in the coastal area of Suncheon Bay, Jeonnam. In the study, the sediment samples are achieved from 12 stations in above bay. The stations are of Waon Village, Anpung wetland, Mupungri, Hodongri and Jang-amri areas in Suncheon City and Boseong Gun. The sponge spicules and silicoflagellates were observed on smear slides prepared from the sediments. In the study areas, seven types of sponge spicules and three silicoflagellate species belonging to two genera were identified. Of the silicoflagellates, Dictyocha messanensis was classified into form level. Individual frequencies of sponge spicules and silicoflagellates are mutually considerably different in the area. The sponge spicules are mostly monaxons and few of triaxons in type. Oxeas and styles belonging monaxons are exceptionally dominant in the area. Other monaxons involving acanthoxeas, acanthostyles, tylostyles, acanthotylostyles are very low in frequency. Silicoflagellates are mostly Dictyocha messanensis f. messanensis and few of other species. The micro-organic remains concentrically occur in the eastern coast part of the study area. Above D. messanensis f. messanensis strongly indicates warm water mass in Pacific. In addition, the silicoflagellate skeletons are deeply dark and aberrant in many individuals. In general, dark silicoflagellate skeletons indicate reworking or redeposition. Additionally, aberrant forms are mainly reported in near shore environments characterized by low salinity and nutrient supply. On the bases of above silicoflagellate and sponge spicule assemblages, it is considered that the study area is typical near shore environment controlled by warm water mass and some active seawater motions.

      • KCI등재

        순천만과 보성벌교 연안습지의 퇴적환경과 퇴적률

        고영구 ( Yeong Koo Koh ),오강호 ( Kang Ho Oh ),윤석태 ( Seok Tai Youn ),박성남 ( Seong Nam Park ),차성식 ( Seong Sig Cha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1

        연구지역인 순천만과 보성벌교 갯벌은 우리나라 남해안에 위치하는 반폐쇄형 연안습지로 보전가치가 높은 지형 및 지질을 비롯한 생태계가 우수하여 2003년에 습지보호지역 제3호와 제4호로 지정되었으며, 2006년에는 람사르(Ramsar)에 등록되어 있다. 이 연구는 순천만과 보성벌교 연안습지의 계절적 퇴적환경과 퇴적률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조간대 표층퇴적물을 분석하고 퇴적률을 조사하였다. 계절에 따른 평균 입도는 5월에 조립화되는 경향이 강하고, 8월과 11월에 다시 세립화 하는 특성을 보인다. 퇴적물의 분급도는 불량한 분급에서 극단적 불량한 분급이며, 그 범위는 0.05Φ로 계절에 따른 유의할 만한 변화는 없다. 퇴적상은 역질니, 미량의 역질니, 사질니, 니의 4개 퇴적상이며, A 지역을 제외하고 니(M)의 세립질 퇴적물로 구성된다. 계절에 따른 퇴적환경 변화는 침식과 퇴적이 반복적으로 전개되며, 변화 경향은 연속적으로 퇴적되는 유형, 침식과 퇴적이 반복되면서 퇴적되는 유형, 침식과 퇴적이 반복되면서 침식되는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우리나라 남해안과 서해안 연안습지는 대체로 침식과 퇴적이 반복되면서 퇴적되는 양상을 많이 보이나, B-1과 F-1의 퇴적환경은 침식 경향이 강하다. B-1은 순천만 복원을 위한 정비 사업으로 내륙 쪽의 매립과 준설이 진행되고 있으며, F-1 지역은 보성벌교 꼬막축제현장으로 매년 11월에 지역축제행사를 개최하였다. 이들 지역에서 우리나라 연안습지의 퇴적환경 변화와 상이한 결과는 개발 및 행사 등의 활용에 따른 인위적 영향이 작용하였음을 강하게 시사한다. 계절에 따른 퇴적률은 -0.21㎝/yr에서 11.07㎝/yr으로 우리나라 서해안과 남해안의 반폐쇄형 연안습지 환경과 유사하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이들 지역 정점 B-1에서는 연속적 퇴적이 일어나고 정점 F-1에서는 침식 경향이 강조된다. 정점 B-1 지역은 순천만 복원을 위한 정비 사업으로 매립과 준설이 진행되고 있다. F-1 지역은 2008년부터 2014년까지 보성벌교 꼬막축제현장으로 매년 11월에 지역축제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이들 지역의 퇴적환경 변화는 개발 및 행사 등에 따른 인위적 영향이 작용함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인위적 영향과 유관한 것으로 보이는 연안습지 지역의 퇴적환경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명확한 계절적 퇴적환경 변화와 그 영향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carried out an analyses on the surface sediments of the intertidal zone and their accumulation rates in relation to the annual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coastal wetlands in Sucheon Bay and Boseong-Beolgyo. In these areas, the seasonal mean grain sizes of sediments are coarsening in May, but in October and September the sizes are fining. The sediments are poorly to extremely poorly sorted and shows 0.05Φ in interval with no noticeable variation. The sediments are composed of gM, (g)M, sM and M in facies. The M facies is dominant except for the A area within the study area. In the areas, the tides mainly influence grain sizes, sorting and sedimentary facies while rainfalls relate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area as well as occasional changes of water discharge. The depositional environments show seasonal repetitions of erosion and deposition. The seasonal sedimentation rates within the areas are around -0.21㎝/yr to 11.07㎝/yr, resembling the semi-closed coastal wetlands of the South and West coasts of Korea. On the other hand, station B-1 has a continuous deposition, while station F-1 is erosive in the areas. In station B-1, burial and dredging constructions are in progress in line with the restoration of Suncheon Bay. In station F-1, the local annual September clam festivals of Boseong-Beolgyo were held from 20008 to 2014. Thus, artificial effects by those things exert some environmental influences to the area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hat the seasonal sedimentary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areas must be monitored on the bases of this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