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스포츠클럽 치어리딩 프로그램이 여자 중학생의 비만도, 건강체력 및 폐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고성희,박철형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5

        본 연구는 16주간 학교스포츠클럽 치어리딩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자 중학생의 비만도, 건강체력 및 폐기능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을두었다. 연구대상자는 학교스포츠클럽 종목 중 치어리딩 프로그램에 참여한 25명이며, 프로그램 참여 전·후 비만도(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벅지둘레, 골격근량, 체지방률), 혈압, 건강체력(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 및 폐기능(최대호기유량, 1초간 노력성호기량)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프로그램 참여 후 골격근량이 증가하였고, 허리둘레는 감소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참여 후 근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 및 폐기능이 향상되었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 후 비만도 관련 모든 변수는 최대호기유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계수가 나타났다. 넷째, 골격근량이 중위수 미만 수준으로 저하될 경우 폐기능 저하 위험이 10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학교스포츠클럽 치어리딩 프로그램은 신체적 건강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학교스포츠클럽 및 성장기 학생을 위한 전신운동과 규칙적이고, 다양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Th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hanges in obesity, physical fitness, and lung function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16-week school sports club cheerleading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25 students who took part in the cheerleading program among various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Variables related to obesity, physical fitness, and lung func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after participating in the cheerleading program, participants' skeletal muscle mass increased, and waist circumference decreased. Seco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cheerleading program,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nd lung function improved. Third, after participating in the cheerleading program, all variables related to obes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eak expiratory flow. Fourth, if skeletal muscle mass decreased below the median level, the risk of decreased lung function increased tenfold. The analysis indicates that the school sports club cheerleading program is effective in contributing to physical health enhancement, and the dissemination of comprehensive exercise and regular exercise programs is essential for students in their growth period.

      • 간호적용을 위한 Roy 적응모델에 관한 고찰

        고성희 中央醫學社 1987 中央醫學 Vol.52 No.6

        The purposes of this literary review are to identify assumptions, key concepts, and propositions of the Roy Adaptation Model, and to search for application of Roy's model in nursing fields. Systems theory, adaptation level theory, and general notions of humanistic philosophy and psychology provide the background for the emerging concepts of the Roy adaptation model. The Roy adaptation model of nursing is presented by discussing each of the major concepts-person, health, environment, and nursing. Propositions are suggested. Documentation of the application of Roy's model for nursing practice, education, and research are provided by the examples. Roy's model will be part of the knowledge that forms the science of nursing. However, this review of the model points to the need for continuing development of many of its aspects.

      • KCI등재후보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역할놀이 프로그램의 효과

        고성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07 놀이치료연구 Vol.11 No.2

        This was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role playing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o improve social attitudes and personal behaviors. The 27 subjects were including 14 children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and 13 children with moderate mental retardation were participated in the role playing program. Results indicated that differences of increment between children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and children with moderate mental retardation in social skills such as 'responsibility', 'helping skills', and 'interpersonal skil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moting positive factors of social skills such as 'responsibility', 'helping skills', and 'interpersonal skills' were more effective then promoting negative social skills likes 'bullying' and 'physical attack'. Therefore, the role play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o promote positive social behaviors. 본 연구는 역할놀이가 정신지체아동의 개인 및 사회적 요구, 부정적 사회적응능력, 개인적 사회적응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M대학의 ‘06년도 장애아동 체육 교실’에 참여한 27명의 정신지체아동(정신지체 3급: 14명, 정신지체 2급: 13명)이다. 평균연령은 11.65세(SD=2.30)이었으며, 남자 17명과 여자 10명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에서 시행되는 역할놀이의 기본구조는 <역할부여-역할참여-인터벤션-사후 강화>로 되어있다. 장애정도와 역할놀이 프로그램의 사전-사후 검증을 위하여 반복분산분석과 t-검증을 시행하였다. 또한, 주요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후검증(Tukey's Post Hoc)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놀이 상황에서 정신지체아동에게 주어지는 개개인의 역할이 사회성 향상을 가져온다는 객관적인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개인 및 사회적인 요구’의 측정항목인 책임감, 협력, 인식, 그리고 상호작용에서 높은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 스트레스가 질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 Ⅰ.생활사건과 질병에 대한 선행 연구 Ⅰ.A Previous Research on the Life Events and Illness

        고성희 全北大學校 醫科大學附設 看護專門大學 1982 논문집 Vol.8 No.-

        This research is made to test what influence life events have on our health as social stressor, and therefore to apply its results to nursing research, practice, and education. This research is i) to explain the scales for the measurement of stress in life events, ii) to review the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studies, which demonstrate association between the onset of illness and a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events that require socially adaptive responses on the part of the individual.

      • 입원환자 가족의 호스피스 인지 및 요구도

        고성희,김현경,Ko, Sung-Hee,Kim, Hyun-Ky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8 No.2

        목적: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호스피스에 대한인지 및 요구도를 사정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2003년 3월부터 5월까지 J 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가족 27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WIN 10.0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 중 호스피스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는 경우가 232명(83.8%)이었고, 매스컴을 통해 들은 경우가 107명(38.6%)으로 가장 많았으며, 213명(76.9%)이 호스피스란 환자의 남은 생을 끝까지 충만하게 살고 편안한 죽음을 맞도록 돕는 일이라고 제대로 알고 있었다. 233명(84.1%)이 호스피스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220명(79.4%)이 본인이나 가족이 호스피스 간호가 필요하다면 받겠다고 응답한 반면 가족이나 주변사람이 호스피스 간호를 받아본 경험이 있는 경우는 25명(9.0%)에 불과하였다. 만약 불치병(말기암)이라면 미리 죽음을 준비해야 한다고 생각한 응답자는 212명(76.5%)이었고, 243명(87.7%)이 그 상태에 관하여 진실을 알고 싶어하였다. 불치병에 걸린 사람에게 이루어져야 할 조치로는 최소한의 통증과 평화로운 죽음을 위한 신체적, 정신적, 영적 간호가 필요하다고 올바르게 지적한 자가 173명(62.5%)으로 가장 많았다. 임종시 가족과 함께 있고 싶다고 응답한 경우가 177명(63.9%)으로 가장 많았고, 73명(26.4%)은 가장 도움이 되는 호스피스요원으로 간호사를 꼽았다. 임종환자들만을 위한 호스피스 병동 운영에 대하여 226명(81.6%)이 찬성하였고, 대상자들이 선호한 호스피스시설의 운영형태는 병동형 66명(23.8%), 시설형 57명(20.6%), 공공의료형 56명(20.2%), 산재형 47명(17.0%), 가정형 34명(12.3%)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입원환자 가족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 및 요구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 호스피스 인지 및 요구도에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개별적이고 다양한 접근을 시도할 수 있는 호스피스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행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knowledge and needs of hospice for inpatients' family.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277 inpatients' families at J General Hospital located in J city,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to May, 2004.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constructed by the author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x^2-test$ with SPSSWIN 10.0. Results: 83.8% of the respondents heard about hospice mostly through mass communication. 76.9%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hospice to be helpful and to provide comfort during the remainder of life and to confront the moment of death. Most of the respon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necessity of hospice service, and would receive hospice if necessary. 76.5% of them would consider arranging preparation for death if he/she were to be diagnosed with a terminal illness. 63.9% of the respondents wanted only to be with their family members, 31.4% wanted both the family and hospice members at the moment of death. They named the best helper among the hospice members to be the nurse. 81.6% of the respondents wanted a hospice institution to be established, 23.8% of them report that the most adequate hospice management institution would be the hospice ward in hospital. Conclusion: Consequently, most respondents wanted hospice services. So Korean society is in need of developing adequate teaching and care programs for hospice according to local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