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워드 기반 주제중심 분석을 이용한 비정형데이터 처리

        고명숙,Ko, Myung-Sook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6 No.11

        데이터는 데이터 형식이 다양하고 방대할 뿐만 아니라 그 생성 속도가 매우 빨라 기존의 데이터 처리 방식이 아닌 새로운 관리 및 분석 방법이 요구된다. 소셜 네트워크 상의 온라인 문서에서 인간의 언어로 쓰여진 비정형 텍스트에서 Text Mining기법을 사용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소셜미디어에 남긴 정치, 경제, 문화에 대한 메시지에 대한 경향을 파악하는 것이 어떤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주제 중심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키워드에 관한 온라인 뉴스를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수행하였다. LDA(Latent Dirichiet Allocation)를 이용하여 웹문서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고 이로부터 사람들이 실제로 주어진 키워드에 대하여 어떤 주제에 관심이 있고 관련된 핵심 가치 중 어떤 주제를 중심으로 전파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Data format of Big data is diverse and vast, and its generation speed is very fast, requiring new management and analysis methods, not traditional data processing methods. Textual mining techniques can be used to extract useful information from unstructured text written in human language in online documents on social networks. Identifying trends in the message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left behind in social media is a factor in understanding what topics they are interested in. In this study, text mining was performed on online news related to a given keyword using topic - oriented analysis technique. We use Latent Dirichiet Allocation (LDA) to extract information from web documents and analyze which subjects are interested in a given keyword, and which topics are related to which core values are related.

      • KCI등재

        식품의 용도발명에 대한 고찰

        고명숙 ( Myoung Suk¸ Ko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9 지식재산연구 Vol.4 No.2

        최근 기능성 식품에 관한 특허출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이와 더불어 기능성 식품과 관련한 식품의 용도발명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나, 이에 관한 심·판결례가 부족하고, 심사기준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품의 용도발명을 특허로서 보호받기 위한 특허명세서의 기재정도 및 특허성 인정요건에 관하여 사례를 들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식품의 용도발명에 있어서 명세서 기재와 특허성 판단에 대한 일반적 태도에 대하여 살펴본 다음, 식품의 용도발명의 명세서 기재의 정도와 특허성 판단기준에 관하여 사례를 중심으로 탐구한다. 또한, 기능성 식품은 식품성분이 갖고 있는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인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한다. 이러한 기능성식품은 질병에 직접적인 효능, 효과를 주지 않는다는 면에서 의약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으면서도,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져 건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의약과 다소 유사한 용도를 가진다. 따라서 기능성 식품이 갖고 있는 이러한 용도에 관한 발명은 식품의 용도발명으로서 특허법상 보호될 수 있다. 즉, 식품의 용도발명은 식품성분의 특정성질을 사용하고 이를 특정분야의 용도로 이용한 식품에 관한 발명을 말하는 것이다. 식품의 용도발명의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있어서 식품으로서의 구체적인 용도한정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하고, 그 용도가 명세서 기재를 통하여 충분히 뒷받침될 수 있도록 명세서에 기재되어야 하며, 의약의 용도발명과 같이 반드시 구체적인 시험예, 약리데이터 등으로 뒷받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와 같이 명세서에 의해 뒷받침되는 식품의 용도가 신규하거나 종래 공지된 것보다 질적 또는 양적으로 우수한 경우에 특허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다만, 식품성분의 특정성질을 특정 용도로 이용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사용청구항 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atent application relating to functional foods is increasing steadily in recent years, and regard to functional foods, use invention of food get more and more important. So description of patent specification and patentability requirements for protecting use invention of foods by patent right has been studied based on case, at this paper. Functional foods is defined as any food or food ingredient that has a positive impact on an individual’s health, physical performance or state of mind, in addition to its nutritive value. The functional foods and drugs make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direct efficacy of disease, but have a lot in common use in useful function of health. Accordingly use invention relating to functional foods is safeguarded by patent right. In other words, the use invention of foods is that invention of the use of food ingredients in the food to the purpose of specific areas with specific properties are invented. The patent claims of the use invention of foods should be clear as a specific use of food, and that use should be supported fully by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unlike the use invention of medicine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use invention of foods is not necessarily writtened specific result, drug effect data, and so on. And the use invention of foods is patentable in case that the use of foods supported by specification is novel and superior to public technology Qualitatively or quantitatively. However, in order to actively protect that the specific properties of the food ingredients used for the specific purpose, the introduction of “use claim” will be considered.

      • 적응적 상관도를 이용한 주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고명숙 ( Myung-sook K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1

        고차원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성질을 유지하면서 특징을 잘 반영할 수 있는 특징 추출 방법이 필요하며 주성분분석 방법은 대표적인 특징 추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가 고차원인 경우 데이터 특징 추출을 위한 주성분 분석의 주성분 변수 선정시 적응적 상관도(Correlation)를 기반으로 한 주성분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입력 데이터간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상관도를 적응적으로 반영하여 데이터의 주성분을 분석함으로써 실제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세분화 변수 선정 시 데이터 편향성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다.

      • KCI등재후보
      • 함수 최적화를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의 적응적 교차 연산자

        고명숙(MyungSook Ko),황종선(Chong-Sun Hwang) 한국정보과학회 1998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5 No.10

        본 논문에서는 함수의 최적해를 구하기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에서의 새로운 교차 연산자를 제안한다. 제안한 적응적 교차 연산자(Adaptive Crossover Operator: ACO)는 bias_value를 이용하여 교차 연산이 적용될 범위를 제한한다. 여기서 bias_value는 목적 함수의 변화량과 성능 향상 정도 및 세대 수에 따라 결정된다. ACO를 적용함으로써 전역 최적해를 찾는데 필요한 전체 계산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모집단 내의 개체들의 다양성(diversity)을 유지함으로써 전역 탐색(exploration)과 지역 탐색 (exploitation)간의 균형을 지속 시키고 국부 최적점에 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세대가 진행됨에 따라, ACO는 bias_value에 의해 한정되는 개체의 특정 부분에 대한 국부적 향상을 수행한다. 여러 가지 함수에 대한 최적화를 통하여 ACO를 이용한 유전자 알고리즘이 단순 교차 연산자를 이용한 유전자 알고리즘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여줌을 증명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crossover operator in genetic algorithms for function optimization. The proposed Adaptive Crossover Operator(ACO) restricts the crossover range by using bias_value The bias_value is computed by the variation of fitness function value, the performance ratio, and the number of generations. This ACO can reduce the computation complexity to obtain the global optimum. And also, by maintaining diversity in the population it can sustain the balance between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and prevent the genetic algorithm from getting stuck at a local optimum. As generations progress, ACO achieves local improvement on a part of chromosome which is restricted by the bias_value. Our experiments demonstrate that genetic algorithm using ACO performs better than genetic algorithm using simple crossover operator in optimizing several functions.

      • 함수 최적화 알고리즘 : C-AGA

        고명숙(Myung-Sook Ko),김주연(Ju-Yeon Kim)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5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5월

        유전자 알고리즘은 전체 탐색 공간을 통해 전역 해를 찾는 최적화 알고리즘으로서 복잡한 상태 공간에서 최적 해를 찾기 위해 전통적인 최적화 기법과는 달리 유향성 임의 탐색을 행한다. 또한, 유전적 탐색과 국부 탐색을 결합시킨 복합 유전자 알고리즘은 최적해로의 수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함수 최적화를 위해 학습 속도를 개선한 복합 유전자 알고리즘(C-AGA)을 제안한다. 제안한 최적화 알고리즘의 효율을 기존의 복합 유전자 알고리즘 기법(라마키안 진화 및 볼드윈 효과)과 비교 평가하였다. 다양한 함수 최적화 문제에 대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이 기존의 방법보다 더 빨리 전역 최적 해를 찾을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 KCI등재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소아균형검사와 보행변수 간의 상관관계

        고명숙(M. S. Ko),박소연(S. Y. Park),이남기(N. G. Lee)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6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0 No.4

        소아균형검사(Pediatric Balance Scale)는 경증이나 중증의 운동손상을 지닌 학령기 아동에게 사용할 수 있는 균형검사도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소아균형검사와 시공간적 보행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아균형검사는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기, 선 자세에서 앉기, 의자에서 의자로 이동하기, 잡지 않고 서 있기, 한 다리로 서 있기, 제자리에서 360° 회전하기, 뒤돌아보기 등 총 14개 항목으로 구성하고, 시공간적 보행변수는 보행속도 및 보폭, 보거리, 보격, 분속수, 양하지 지지 시간을 포함한다. 모든 대상자들은 독립적으로 보행이 가능한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이며, 숙련된 소아물리치료사에 의해 소아균형검사와 시공간적 보행변수를 측정하였다. 소아균형검사와 시공간적 보행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사용하였고,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소아균형검사의 총점(r=.49∼.58)과 세부항목 중선 자세에서 앉기(r=.48∼.60)와 선 자세에서 왼쪽/오른쪽 어깨 뒤로 돌아보기(r=.47∼.53), 선 자세에서 바닥에 물건 집어 들기(r=.52∼.69)는 보행속도와 보폭, 보거리, 분속수의 각 변수 사이에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소아균형검사의 대부분 항목이 양하지 지지 시간 간의 매우 높은 음의 상관관계(r=-.48∼-.92)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소아균형검사와 시공간적 보행변수는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 것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소아균형검사를 통해 뇌성마비 아동의 보행수준을 예견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것이다. The Pediatric Balance Scale (PBS) was balance measurement equipment for school-age children with mild to moderate motor impairments.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BS and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 and to identify the walking function with cerebral palsy through balance scale. The PBS consists of 14 items such as sitting of standing, standing to sitting, transfers, standing unsupported, standing on one foot, turning 360 degrees, turing to look behind, etc., and the spatiotemporal parameters include walking speed, stride length, step length, step width, cadence, double-limb support. All subjects were independently ambulatory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and they were assessed on PBS and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by an experienced pediatric physical therapi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PBS and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α = 0.05. Total score of PBS(r=.49∼.58), standing to sitting(r=.48∼.60), turning to look behind(r=.47∼.53), and pick up object(r=.52∼.69)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walking speed, stride length, step length, and cadence. Most items of the PB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ouble-limb support(r=-.48∼-.92).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ediatric balance scale can be applied to estimate gait function level for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 KCI등재

        국제결혼한 한국인 남편의 부부갈등 해결과정에 대한 연구

        고명숙 ( Moungsook Ko ),김경화 ( Kyonghwa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국제결혼을 한 한국인 남편의 부부갈등 해결 과정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결혼 이후 한국 사회에서 거주하게 되면서 외국인 아내들은 전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지만, 한국인 남편들은 익숙한 일상생활 및 관계를 통해 사회적ㆍ문화적 적응기제를 더 많이 갖고 있으며, 아내에게 주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결혼 기간 5년 이상이며, 자녀가 있는 국제결혼 남성 8명을 심층 면담하였으며, 내용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중심현상은 “국제결혼에 대한 후회”로 나타났다. 인과적 조건은 ‘가까워지지 않는 아내’, ‘확연히 드러나는 차이’로 나타났으며, 국제결혼 남편의 갈등 해결 경험은 3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갈등조절형, 갈등조절 포기형, 현실 유지형이다. 본 연구는 국제결혼 부부갈등 해결을 위해 통역을 통한 부부 상담의 필요성과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rital conflict resolution process of Korean husbands who married internationally. In the case of international marriage, foreign wives have to adapt to a completely new environment as the married couple resides in Korean society after marriage. But Korean husbands can exert a leading influence on their wives because they have more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mechanisms through familiar daily life and relationships. It can be seen that the husband should be the main agent in resolving the conflict. For this purpose, 8 men who have been married for more than 5 years and who have been living in Daegu for international marriage were interviewed and the contents were used as analysis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entral phenomenon was found to be “regret about international marriage.” Causal conditions appeared as 'wife not close' and 'clear differences’, Conflict resolution experiences of husbands in international marriage were analyzed into three types. Conflict management type, conflict control abandonment type, and reality maintenance typ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necessity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couple counseling through interpretation for resolving marital conflicts in international marriage.

      • KCI등재

        적응적 상관도를 이용한 주성분 변수 선정에 관한 연구

        고명숙 ( Ko Myung-soo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0 No.3

        고차원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성질을 유지하면서 특징을 잘 반영할 수 있는 특징 추출 방법이 필요하다. 주성분분석 방법은 고차원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저차원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원래 데이터의 변수 수보다 적은 수의 변수로 고차원 데이터를 표현 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데이터의 특징 추출을 위한 대표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가 고차원인 경우 데이터 특징 추출을 위한 주성분 분석에 있어서 주성분변수 선정 시 적응적 상관도를 기반으로 한 주성분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입력 데이터간의 상관 관계를 기반으로 상관도를 적응적으로 반영하여 데이터의 주성분을 분석함으로써 다른 여러 변수에 중복적으로 상관도가 높은 변수와 주성분을 유도하는데 연관성이 적은 변수를 주성분 변수 후보 대상에서 제외시키고자 한다. 고유벡터 계수 값에 의한 주성분 위계를 분석하고 위계가 낮은 주성분이 변수로 선정이 되는 것을 막고 또한 상관 분석을 통하여 데이터의 중복 발생이 데이터 편향을 유도하는 것을 최소화하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주성분 변수 선정 시 데이터 편향성의 영향을 줄임으로써 실제 데이터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주성분 변수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A feature extraction method capable of reflecting features well while mainaining the properties of data is required in order to process high-dimensional data.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that converts high-level data into low-dimensional data and express high-dimensional data with fewer variables than the original data is a representative method for feature extraction of data. In this study, we propose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based on adaptive correlation when selecting principal component variables i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data feature extraction when the data is high-dimensional. The proposed method analyzes the principal components of the data by adaptively reflecting the correlation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put data. I want to exclude them from the candidate list. It is intended to analyze the principal component hierarchy by the eigen-vector coefficient value, to prevent the selection of the principal component with a low hierarchy, and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data duplication inducing data bia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Through this, we propose a method of selecting a well-presented principal component variable that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actual data by reducing the influence of data bias when selecting the principal component var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