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치단체장의 정책형성 동기에 관한 연구 : 성남시의 장학금 지급정책을 중심으로 Focused 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고경훈 한국행정연구원 2003 韓國行政硏究 Vol.12 No.3

        본 연구는 본격적인 지방자치 실시후 활성화되고 있는 지방정치의 현실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특히 상위정부에 대한 지방정부의 자율성과 관련하여 지방정부의 정책형성을 중심으로, 양자의 상호작용을 다루고 있다. 상위정부는 지방정부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권력 행사를 시도하고 이에 대해 지방정부는 전략적 대응을 통해 자율성의 확보를 추구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전략적 대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단체장의 정책동기 및 리더십을 통한 자율성 확보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하에서 성남시에서 전개되었던 장학금 사업을 연구대상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연구결과 본격적인 지방자치 실시 이후 지역적인 공간에서 나타나는 정책형성 과정 특히 의제채택 및 정책결정 과정에서 공식적 참여자인 중앙정부 및 상위정부와 지방정부간의 상호작용이 매우 역동적으로 전개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역동성은 지방정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었고, 나아가 기존의 기능적, 제도적 수준에 머물렀던 지방행정에 관한 연구가 지방정치로의 외연을 넓힐 수 있는 단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article is to examine goaMpromoting productivity, promoting residents' satisfaction, and promoting transparency) and tools(improving personnel/organization, introducing new budget system, improving performance process, establishing electronic government, and contracting-out) of administrative reform in local government, and to analyze the important rate of its goals and tools. This study uses both data obtained by surveying sample local government, and literature relating to local government reform. The literature includes domestic and foreign publications and local government statistics. And then, the methodology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t rate use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of Expert Choice program(Trial Version 2000). The AI-IP results show the followings. First, it is promoting productivity(55%). promoting residents' satisfaction(24%), and promoting transparency(21%) that the relative important rate to goals of local administrative reform shows the order of priority. Second, it is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process that the relative important rate to tools for promoting local government productivity through administrative reform shows the first of five elements. Third, it is improvement of performance process that the relative important rate to tools for promoting residents' satisfaction through administrative reform shows is the first of five elements. Finally it is the establishment of e-government in local government that the relative important rate to tools for promoting transparency through administrative reform shows the first of five el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the reality of the local politics after local autonomy. About the autonomy especially of the local government about the upper government, which treating the interaction of the policy form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The upper government tries a power of influence to maintain about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will pursue the autonomy through a strategic confrontation to the upper government.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local autonomy are policy motivation and the leadership of mayor. We exploded the discussion to the research object a scholarship policy in the Sung-nam city to be unfolded in theoretical such background. After a local autonomy, there is very dynamic interaction between the upper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n the process of agenda setting and decision- making of local government. Such dynamics prepared the space which the local politics can be achieved. The research about local administration which we advanced and staied in a functional and institutional existing level. It will be said that we have the meaning that the point which can make the extension of the local politics to prepare the motivation.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Vice-Ministers of Korean Governments from Rhee Seung Man government to Kim Dae Jung Government. We made the criteria for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Vice-Ministers, such as merit, patronage, spoils, and regional representativeness. There are sev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overnments' appointing vice-ministers. Firstly, recent governments has appointed vice-ministers based on the merit criteria. Secondly, patronage had affected on appointing vice-ministers. In other words, the appointer(presidents and prime minister) appointed many vice-ministers based on the his college or university and birth place, and presidents who were from the military appointed vice-ministers often based on military service career. Thirdly, spoils had affected on appointing vice-ministers considerably. Especially, there were many vice-ministers who had political experiences with the appointer in Jang Myun government, because the government was parliamentary government. Finally, Honam region has been represented least in the appointed vice-ministers.

      • 정부간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추모공원 건립추진과정에서 나타난 서울시와 서초구의 갈등을 중심으로

        고경훈 全北行政學會 2003 全北行政學報 Vol.17 No.1

        지방지치 실시이후 한국 지방정치의 현장에서 나타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지방정부간의 새로운 이해관계를 발생하게 되면서 지방정부간의 갈등이 중요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지역주민들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지방정부의 입장에서는 주민에 대한 대응성의 강화라는 순기능과 함께 지역의 이익만을 우선시하는 지역이기주의가 빈번하게 나타나게 된 것이다. 자신의 지역에 혐오시설을 입지시키지 않으려는 기피갈등(NYMBY)이나 자기지역에 이익이 되는 선호시설을 입지시키려는 유치갈등(PIMFY) 등이 대표적 지역갈등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 기피갈등 중의 하나인 서울시 추모공원 건립과정에서 나타난 서울시와 서초구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부간 갈등에서 나타난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을 다루고 있다. 사업가형 리더십을 구사한 서초구청장은 든든한 정치적 자원을 배경으로 서울시의 정책추진에 적극적으로 저항하여 결국 추모공원 사업을 무산시키게 된다. 공동체 정신에 입각해 정책추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단체장의 독주를 적절히 견제하고 책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개선이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정당공천제를 폐지하고, 주민소환제나 주민투표제 등을 도입해서 단체정의 전횡을 견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단체장에 대한 평가체계를 확립하고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정책평가위원회를 독립기관으로 둘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도적 견제장치들이 기지능할 때 우리나라의 지방정치는 본 궤도에 자리매김할 것이다.

      • KCI등재

        수질 취약지역 및 관말에서 플러싱 적용 먹는물 수질 개선 효과

        고경훈,권지향,김인자,임우혁 대한상하수도학회 2011 상하수도학회지 Vol.25 No.3

        Several complaints from consumers on red or turbid waters were often filed at the same places although various efforts were made to improve water quality in the drinking water plant. The red water problems were occurred due to corrosion of main water pipe, especially at extremity. The low concentrations of chlorine indicating poor water quality were detected at the problematic location. To solve the poor water quality at the extremity, flushing techniques, i.e., conventional flushing, unidirectional flushing, and continuous flushing, were recently practiced. In this study, effects of conventional flushing on water qualities were examined by comparing turbidity and residual chlorine before and after flushing. In addition, more detailed analyses on water qualities at the tap water were conducted to learn reduction pattern during flushing. Five items from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f water distribution were used to obtain a relationship with water quality, washing duration or amounts of washing water. The flushing was effective to meet the National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with simple and relatively short time operation. The key operational parameter in flushing was amounts of washing water which should be estimated based on water quality of the consumer's tap water.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ual chlorine and pipe length implied that detention time in the pipeline was main cause of the complaints. More experiments on effectiveness of flushing are needed to determine reasonable strategies of flushing

      • KCI등재

        정책과정의 관점에서 바라본 Governance에 관한 연구 -Best-value 제도를 중심으로-

        고경훈 한국지방자치학회 2012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4 No.2

        In the 1970s, as coming to crisis of welfare state, efforts to cure government failure were spread worldwide. This tendency brought conversion of new rule way with globalization, localization of administration environment change of and so on, and as result Governance was appeared. But, it may be desirable that Governance is undergoing the conceptional confusion and try ripening about concept through system that is operated in actuality to help comprehension in rep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about Governance through introduction for Best-Value. There are 3 kinds of governance element in Best-Value. First, it is partnership governance that emphasizes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at decision process. Second, it is hierarchy governance that emphasizes control at implementation process. Third, it is market governance that emphasize competi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at assessment process. The Best-Value system is supplying much suggestion points at real of our country. The points are promotion of local government responsibility through election,offering opportunity that civic society can be activate, construction policy network, and capacity building of local government. 1970년대 이후 복지국가 위기론이 등장하면서 정부실패를 치유하기 위한 노력들이 전세계적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세계화, 지방화 등의 행정환경 변화와 맞물리면서 기존의 국가중심의 통치방식에서 새로운 통치방식으로의 전환을 가져오게 되었으며, 이 결과 Governance가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Governance는 그 개념적 혼란을 겪고 있어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실천적 측면에서 현실에서 운영되고 있는 제도를 통해 그 개념에 대한 숙성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맥락에서 영국의 Best-Value제도에 대한 소개를 통해 Governance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Best-Value의 등장배경과 정책과정상에서 나타난 Governance적 특징 그리고 의미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1997년 총선에서 승리하면서 집권한 영국 노동당은 2000년부터 전국적으로 Best-Value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이 제도는 중앙정부의 주도하에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매년 성과평가를 통해 제재와 보상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즉, 자치단체의 성과가 일정기준에 미달되면 중앙정부가 강제적으로 개입하여 제재를 가하고, 성과를 달성한 자치단체에 대해서는 자치단체에 재정적 지원과 권한이양을 보장해주고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가 일정수준의 성과를 달성하는 한 자율성과 권한확대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 제도는 지방자치단체의 자치능력에 맞는 분권화를 추구하고 자치단체의 정책성과와 서비스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Best-Value 정책과정에서는 결정단계에서는 참여와 협력을 강조하는 Partnership Governance가, 집행단계에서는 통제중심의 Hierarchy Governance요소가, 그리고 평가단계에서는 경쟁과 고객중심을 강조하는 Market Governance요소가 두드러지게 발견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Best-Value제도는 우리나라의 현실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는데 먼저 선거를 통한 책임성 확보가능성을 높여주었고, 시민사회가 활성화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해주었으며, 정책네트워크가 구축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을 뿐 아니라 나아가 단순히 이 제도가 평가를 위한 평가, 통제를 위한 수단에 머무르지 않고 지방자치단체의 능력배양(capacity building)까지를 추구하는 제도임을 알 수 있었다.

      • 지방 3.0 실현을 위한 추진체계와 운영전략 연구

        고경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3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과제 Vol.2013 No.-

        한국사회는 저출산 고령화, 고용 없는 성장 및 부의 양극화 등의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정부가 독점적인 정보와 불투명한 시스템을 통해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한다면 우리사회가 직면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인식하에 우리 정부는 새로운 정부운영의 패러다임으로서 “정부 3.0”을 국정의 주요과제로 채택하면서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정부 3.0은 공공 정보 공개와 더불어 정부 부처 사이에 기존 장벽의 제거 및 부서간 기관간 정보공유와 협력을 촉진하여 더 나은 협력을 추구하고 이를 통해 국민에게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정부 3.0의 궁극적 목표는 국민 개개안의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다, 정부 3.0은 정부 중심의 일방적 서비스 제공인 정부1.0과 국민중심의 양방향서비스 제공인 정부 2.0을 뛰어넘는 새로운 정부운영의 패러다임으로서 국민 개개인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운영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정부 3.0에서 강조하는 정보공개를 통해 정부가 더 투명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예산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일자리가 창출되고 경제 성장이 촉진될 수 있다. 또한 정부 3.0 은 시민들과의 협치를 통해 시민들의 참여를 증진시키고 빅데이터에 근거한 과학적 행정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정부 3.0은 결국 주민접점의 최일선 행정기관인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지방 3.0은 개방, 공유, 소통, 협력을 바탕으로 주민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방3.0을 성공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핵심요인은 주민과 소통하며 정보를 공유하며 나아가서 행정역량과 주민수요를 맞추어가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수단을 확보하여야 하는바 본 연구를 통해 그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방행정 서비스 전달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지방 3.0 구현을 위한 추진체계과 운영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추진체계와 관련하여 지방 3.0을 실현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조직구조로서 플랫폼, 이음매없는 조직, 그리고 중간지원 조직을 살펴보았다. 둘째로 지방 3.0의 운영전략과 관련하여 융합행정 및 LGRM 모형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지방 3.0을 실현하기 위해 주민체감형 행정서비스, 고객 맞춤형 행정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행정서비스 제공모델로서 LGRM을 제시하였다. Korean society is facing challenges of low birth rates, an aging population, jobless growth and wealth polariza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we won’t be able to keep up with the changes in our time if we hold onto the old way of operating the government by exclusively and monopolistically holding on to information and making decisions through opaque systems. The government has come up with an action plan to bring to fruition President Park Geun-hye’s vision for “Government 3.0”. Government 3.0 is a new paradigm for government operation to promote active sharing of public information and removal of barriers existing among government ministries for better collaboration. The ultimate goal is to secure the driving force for national administration and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to individual citizens, at the same time, generating more jobs and supporting creative economy. Government 3.0 is an upgrade from version 2.0, which is characterized by bilateral interaction between citizens and government, and version 1.0, which is based on the one-way delivery of services to citizens. Yet it pales next to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the volume of government data made available to the public. So the vision calls for, among other things, opening up the government. The bold scheme is welcome as it will offer huge benefits to the nation. For starters, it will help make the government more transparent. The availability of information on projects promoted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ill make it easy for citizens to track how taxpayers’ money is spent. This will exert pressure on government officials to minimize budget waste. Information sharing will also boost job creation and spur economic growth. Government held data in such fields as weather, transportation and health care has considerable commercial value. Government 3.0 is also about connecting with citizens and encouraging them to participate in public affairs. For this, the government plans to launch by August a platform for citizen participation, which will allow anyone to suggest a policy idea and discuss it with government officials or experts from the private sector. The government also plans to consult with citizens, using online voting, on major state affairs and large-scale public projects costing more than 500 billion won. In promoting Government 3.0, the crucial factor is how to overcome public officials’ resistance to information disclosure. Korean officials are notorious for their tendency to keep whatever data they have secret. They often categorize even publicly available information as unsuitable for disclosure. To achieve this goal, the purpose of study is findings of systems and operational strategies. First, with respect to the system for the local 3.0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local government as a platform, seamless organization, and look at the town management organizations, Second, the administrative and operational strategies with respect to the convergence LGRM models are examined.

      •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과 조직성과 및 행정발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고경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9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과제 Vol.2009 No.-

        지방자치제의 실시 이후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행정서비스의 수요에 대한 적절한 대응과 공급으로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는 아직 정치적·행정적·재정적 분권화가 완전히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고, 각 지방자치단체들 간의 재정력의 차이와 불균형으로 인해 많은 부분 중앙정부의 재원이전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제약조건하에서 자치단체가 설정한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형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변수는 정책결정자의 리더십이다. 특히 지방정부의 정책형성은 수많은 참여자들 - 시민단체, 이익단체, 지역주민, 의회, 여론, 중앙정부 - 이 관여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정치적 요구에 늘 직면하고 있는 단체장으로서는 이러한 요구들을 어떻게 처리하는냐 하는 것은 자신의 재선뿐 아니라 나아가 자치단체의 발전도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들을 자신의 통치능력 범위 안으로 편입하기 위해서 정책결정자인 단체장은 다양한 리더십과 정치적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더욱이 급변하는 환경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리더십의 행사는 그 필요성을 더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리더십을 구현하기 위한 조건을 탐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런 측면에서 지방자치제도의 안정적인 정착과 자치역량 강화를 위하여 각지방자치단체의 단체장의 역할과 노력으로써 리더십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리더십 연구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리더 개인의 자질이나 특성 등을 밝히는 것이라기보다는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다. 결국 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자치단체의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향후 자치단체의 행정발전 뿐 아니라 지방자치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 매우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리더십과 조직의 성과를 단순히 조직의 내부에 초점을 두고 지나치게 미시적인 접근을 실시한 것이 현실이다. 즉, 리더 개인의 자질과 성향 그리고 이러한 요인이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 혹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주안점을 두어 연구범위가 한정되었을 뿐 아니라 이러한 조직몰입 혹은 직무만족의 결과가 지방자치단체의 발전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유의미한 함의를 제공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리더십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민간 기업에 치우쳐 공공부문 특히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는 매우 희소성을 띄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여백을 메우는데 있어서 본 연구는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먼저, 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을 유형화하여 자치단체의 의사결정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Yates의 리더십 유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단체장이 어떤 유형의 리더십을 행사하는 지를 연구하였다. 둘째, 해당 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자치단체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단체장의 리더십이 조직내부 차원에서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외부 차원에서 자치단체의 행정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전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하면 시간적 범위는 민선 4기 이후를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이 연구범위 하에서 조직의 성과를 조직 외부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자치단체장의 리더십 유형과 이에 따른 조직의 성과 그리고 자치단체의 행정발전의 관계를 계량적인 접근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Yates의 리더십 유형 분류 결과, 정치적 자원(득표율)과 경제적 자원(재정력지수)를 종합한 자원지수와 자치단체 시책의 혁신성 여부를 종합한 혁신지수를 토대로, 혁신성 지수와 자원 지수가 모두 양인 1사분면은 ‘사업가형’이라 할 수 있고, 혁신성 지수는 0보다 크지만 자원 지수가 0보다 작은 2사분면은 ‘혁신가형’이 되며, 혁신성 지수와 자원 지수 모두 음인 3사분면은 ‘중계인 형’이 되고, 자원 지수는 0보다 크지만 혁신성 지수가 0보다 작은 4사분면은 ‘보스형’으로 구분하였다. 이 기준으로 245개의 지자체를 분류하면 강남구 외 43개 지방자치단체가 ‘사업가 형’에 해당하고, 과천시 외 58개 지방자치단체가 ‘보스 형’에 해당하며, 영양군 외 64개 지방자치단체가 ‘혁신가 형’에 속하고, 금산군 외 76개 지방자치단체가 ‘중계인 형’에 속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적특성, 직장특성, Yates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리더십 수준, 조직성과, 자치단체의 행정발전의 평균적인 차이를 분석한 결과, ① 성별에 따라 리더십, 조직성과(커뮤니케이션, 직장생활 전반, 담당업무, 조직분위기), 자치단체의 행정발전에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남성이 여성에 비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함을 알 수 있다. ② 자녀가 있다고 응답한 표본들이 다른 표본에 비해서 평균적으로 리더십, 직장생활 전반, 자치단체의 행정발전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③ 연령대가 높을수록 리더십, 조직성과(커뮤니케이션, 직장생활 전반, 담당업무, 조직분위기), 자치단체의 행정발전의 인식에서 평균적으로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④ 학력수준이 낮을수록 리더십, 조직성과(커뮤니케이션, 직장생활 전반, 담당업무, 조직분위기), 자치단체의 행정발전의 인식에서 평균적으로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⑤ 직급수준이 높을수록 리더십, 조직성과(커뮤니케이션, 직장생활 전반, 담당업무, 조직분위기), 자치단체의 행정발전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⑥ 리더십, 커뮤니케이션의 경우는 기타에 근무하는 표본들의 평균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으나, 조직분위기는 보건복지와 관련된 부서에 근무하는 표본들의 평균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⑦ 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혁신가형에 해당되는 지자체의 공무원들의 경우 평균적으로 직장생활의 전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다른 리더십 유형에 비해서 만족하는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변수들간의 상관분석과 더불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세부항목간 상관분석 결과, ① 전체변수들 가운데 종속변수인 자치단체의 행정발전과 관련성 정도는 조직분위기>리더십평가>리더십종합>커뮤니케이션>직장생활전반>담당업무>리더십조건의 순으로 나타났다. ② 리더립의 하위 요인 가운데 리더십평가가 리더십조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리더십평가의 세부항목은 비전제시>전문지식>실적평가>능력계발의 순으로, 리더십조건의 세부항목은 솔선수범>장래식견>고충해결>신상필벌>의 순으로 리더십종합과 관련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③ 자치단체의 행정발전의 세부항목은 환경>행재정>사회복지>도시계획>산업경제>기획조정의 순으로 지역개발종합과 관련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리더십 유형 및 수준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① 리더십 유형은 직장생활 전반을 종속변수로 한 경우에 중계인형의 경우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중계인형에 해당되는 자체단체 공무원들이 다른 리더십 유형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직장생활 만족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리더십평가를 대리하는 리더십평가와 리더십요건을 대리하는 리더십조건 모두 커뮤니케이션, 직장생활 전반, 담당업무, 조직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상대적으로 리더십평가가 리더십요건보다 영향력이 더 큼을 알 수 있었다. ③ 리더십의 세부항목의 경우는 조직성과를 무엇으로 하는가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항목이 상이하였다. 즉, 커뮤니케이션의 경우 비전제시, 능력계발, 실적평가, 솔선수범, 고충해결, 신상필벌이, 직장생활전반의 경우 비전제시, 능력계발, 실적평가, 솔선수범, 장래식견이, 담당업무의 경우 비전제시, 실적평가이, 조직분위기의 경우 비전제시, 능력계발, 실적평가, 솔선수범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가운데 상대적인 영향력의 정도는 모든 조직성과 변수에서 공통적으로 실적평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리더십 유형 및 수준과 조직성과가 자치단체의 행정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① 리더십 유형 가운데 보스형이 다른 유형에 비해서 전체적인 자치단체의 행정발전 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는 대체로 세부 자치단체의 행정발전 항목(기획조정, 행재정, 도시계획)에서도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단지, 도시계획 자치단체의 행정발전의 경우에 한하여 보스형과 사업가형이 다른 리더십 유형에 비해서 그 수준이 낮았다. ② 리더십평가를 대리하는 리더십평가와 리더십요건을 대리하는 리더십조건 모두 자치단체의 행정발전과 6개의 세부 항목(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상대적으로 리더십평가가 리더십요건보다 영향력이 더 큼을 알 수 있었다. ③ 리더십의 세부항목의 경우는 자치단체의 행정발전과 6개 세부 항목(분야)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항목이 상이하고 그 영향력 또한 비일관적이었다. 즉, 전체적인 자치단체의 행정발전(능력계발> 비전제시, 전문지식, 실적평가, 솔선수범), 기획조정(비전제시 > 능력계발, 실적평가), 행저정(실적평가 > 비전제시, 전문지식, 능력계발), 도시계획(전문지식 > 비전제시, 능력계발, 실적평가, 장래식견), 사회복지(능려계발 > 비전제시, 전문지식, 실적평가, 솔선수범), 환경(전문지식 > 비전제시, 능력계발, 실적평가, 솔선수범)으로 나타났다. ④ 조직성과 변수가운데 자치단체의 행정발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치단체의 행정발전 세부항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즉, 전체(직장생활 전반, 조직분위기), 기획조정(커뮤니케이션, 조직분위기), 행재정(직장생활 전반, 조직분위기), 도시계획(커뮤니케이션, 직장생활 전반, 조직분위기), 사회복지(직장생활 전반, 조직분위기), 환경(직장생활전반, 조직분위기)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가운데 상대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것은 조직분위기라는 점에서 공통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 유형에 따라 조직성과가 상이하고, 나아가 자치단체의 행정발전도 상이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연구결과, 혁신성과 자원정도가 낮은 중계인형에 해당되는 자체단체 공무원들이 다른 리더십 유형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조직성과(직장생활 전반)를 보이며, 혁신성이 낮고 자원이 높은 보스형과 혁신성과 자원이 모두 높은 사업가형이 다른 유형에 비해서 자치단체의 행정발전 정도가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실과 상이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둘째, 리더십에 대한 요건보다는 리더십에 대한 평가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 리더십평가와 리더십요건에 대한 인식이 모두 조직성과(커뮤니케이션, 직장생활 전반, 담당업무, 조직분위기)와 자치단체의 행정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가운데 상대적으로 리더십평가의 영향력이 더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조직성과의 경우는 부서원들의 업무실적에 대한 공정하고 명확한 평가가 중요하며, 자치단체의 행정발전의 경우는 능력계발이 상대적인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십을 통해 조직성과를 제고함에 있어서 조직분위기, 커뮤니케이션, 직장생활 전반 등의 측면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으며, 궁극적으로 조직분위기 제고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는 리더십과 자치단체의 행정발전 사이의 조절변수 가운데 조직분위기가 가장 상대적인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성원들의 사기진작, 소속감 고취, 조직목표 달성을 위한 책임감 부여, 고용의 안정 등의 측면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외국의 경우 리더십 관련 많은 선행연구들이 조직 최고관리자의 리더십은 조직의 효과성에 결정적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본 연구의 대상인 자치단체장의 경우에도 적용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기존의 우리나라 단체장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 리더 개인의 특성론적인 접근 및 법제도론적인 접근법에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의 효과성 및 자치단체의 행정발전이 자치단체가 처해있는 상황여건이라는 외생변수뿐만 아니라 단체장 개인의 리더십 수준까지 고려한 폭넓은 시각을 강조할 때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해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단체장의 리더십 행태유형이 어떻게 다르고 나아가 이러한 리더십 유형과 조직의 효과성 그리고 자치단체의 행정발전의 관계를 살펴보려는 본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aborate the concept of various ideas in the aspect of by analyzing the pattern of local chief executives^ leadership. Such efforts would help development of administrative systems through improved research and extended social discussions on the local government.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Yates model developed in「Ungovernable City」and argues that the leadership of local chief executives influenc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at administrative development reinforces the relations between them. This study also verifies the desirable type of leadership to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Local chief executives differ along two crntral dimensions : the amount of political and financial resources that they possess in dealing with their various problems and the degree of their activism and innovation that they display their work Two variables that political, financial resources and innovative attitude of local chief executiv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four types of leadership as an independent variable, six functions of administrative developmen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a moderating variabl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innovative types of leadership(crusader type) and entrepreneur type of leadership are preferred to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at administrative development actually reinforces the relations between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urthermore, innovative attitude of local chief executives’s leadership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