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nterococcus faecalis EF-2001 유산균 사균체 첨가 발효유의 항산화 효과

        강효진,김태운,주진우,김거유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공동연구소 2020 동물자원연구 Vol.31 No.2

        The creation of probiotic-containing fermented milk products for use by human i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and has high potential for development. Also, studies have shown that heat-killed probiotics are more stable and easier to use than live probiotics. However, as of this time, research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that has evaluated the product or functionality of fermented milk after the addition of heat-killed probiotic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heat-killed Enterococcus faecalis EF-2001 after its addition to Lactobacillus-fermented milk. Briefly, NFM normal fermented milk (NFM) was used as the control sample, whereas fermented milk with 100 µg/mL EF-2001 (EFM1) and fermented milk with 500 µg/mL EF-2001 (EFM2) were used as the treated samples. Among the samples, EFM2 had the highest acidity of 1.15, but no other factors significantly differed (p<0.05). Furthermore, EFM2 had the highest Lactobacillus count of 9.22 (p<0.05). ABTS, DPPH and FRAP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amples. With respect to those parameters, EFM2 had the highest antioxidant measurements. Therefore,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addition of E. faecalis EF-2001 to NFM is suitable with the standard and does not affect the quality of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the treatment sample ha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did NFM; this result may be used as a basic for further research and as a guideline for the manufacturing of heat-killed probiotic-containing NFM. 인간에게 이로운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유 제품의 연구개발은 발전가능성이 높은 중요한 연구 주제이며, 사균체는 생균체보다 안정성이 높고 이용에 용이하다는 연구가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는 사균체를 발효유에 첨가해 발효유 제품이나 기능성을 평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는 Enteococcus faecalis EF-2001 유산균 사균체를 발효유에 첨가하였을 시에 나타나는 생리활성을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조군으로 일반 발효유 NFM을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실험군으로 EF-2001 유산균 사균체를 100µg/mL의 농도로 넣은 EFM1과 EF-2001 유산균 사균체를 500µg/mL의 농도로 첨가한 발효유 EFM2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이들의 품질특성의 평가를 위해 pH, 적정산도, 유산균 수를 측정하였다. 표본 중 EFM2의 산도가 1.15로 가장 높았으나 다른 표본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유산균 수 또한 EFM2가 9.22로 가장 높았으나 다른 표본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발효유의 항산화 활성측정을 위해 ABTS 라디칼 소거능, DPPH 라디칼 소거능, FRAP을 측정하였다. 세 실험 모두 EFM2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일반발효유에 E. faecalis EF-2001 유산균 사균체가 첨가되어도 품질 기준 규격에 적합하여 품질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추후 사균이 첨가된 발효유의 제조 및 연구에 대해 기초 연구 결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원전연주 사례 연구: 베토벤 교향곡 9번, 4악장에 관한 푸르트뱅글러와 노링톤의 해석 비교

        강효진 낭만음악사 2006 낭만음악 Vol.19 No.1

        원전연주는 근자에 작곡 관습과 사상을 근거로 하는 객관적인 해석의 매체로 간주된다. 원전연주를 지향하는 음악해석을 위해 논자는 해석의 세 단계, 즉 1) 표면적 해석 단계, 2) 연주 관습적 해석 단계, 그리고 3) 배경적 해석 단계를 제시한다. 사례로 해석의 기조가 다른 두 지휘자, 푸르트뱅글러와 노링톤이 연주한 베토벤의 ‘합창교향곡’ 중 4악장을 채택한다. 템포설정과 표현방법에서 각각 두 가지의 예를 발췌하여 비교분석하므로 원전연주를 다른 관점에서 제고한다. 전자가 대승적(大乘的)인 해석으로 대체적인 균형과 심원한 의미에 해석 배경을 두는 반면, 원전연주를 표방하는 후자는 표면적 해석 단계에 근거하여 섬세하고 사실적인 연주를 지향한다. 단순히 당대 악기들의 사용여부가 원전연주를 가늠하는 중요한 기준인 듯 인식되었지만, 진정한 의미의 원전연주는 기보된 지시사항들을 충실히 준수하여 연주에 적용시키는 것 이상의 작곡가의 음악적 의도를 사유(思惟)하여 연주에 반영하는 것이어야 한다. 즉 원전연주는 악보 상에 나타난 음악의 피상적인 측면과 작곡가의 예술적 의도를 균형 있게 천착(穿鑿)하여 연주에 조명하여야 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Peace 포플러의 기내 배양시 발생하는 과수화 식물체의 조직적 특성

        강효진,문흥규,박소영,김판기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4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ol.31 No.2

        We investigated the anatomical aspects of vitrification in peace poplar. Comparisons were made with regard to characteristics occurring between hyperhydric and normal shoots in shoot proliferation cultures on MS medium containing 0.2 mg/L BA. Compared with normal plants, hyperhydric plants had thick, curled, and dark green leaves. Hyperhydric stems were thicker and shorter than those of normal stems. When examined under the microscopes, the mesophyll palisade cells of hyperhydric leaves were vacuolated, whereas those of normal leaves contained normal and enriched vacuole with cytoplasm. Generally, the hyperhydric leaves showed poorly developed palisade parenchyma, and revealed irregular and bigger sized intercellular structures in both palisade and spongy parenchyma as well as epidermis cells compare to those of normal leaves. In addition, the hyperhydric leaves had lower stomatal density and bigger sized cell. Vascular tissues of hyperhydic stems were less differentiated because of poorly lignified xylem tissue. The greatly expanded cortical cells and pith appeared to be the main cause of thick stems as compared with normal stems. 목본류 생리학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수종인 Peace 포플러의 기초 연구자료를 얻고자 본 실험을 실시 하였다. 액아 마디를 BA 0.2 mg/L 처리된 MS 배지에 배양하여 shoot의 증식시 나타나는 과수화 된 shoot를 정상 shoot와 비교하였다. 과수화 된 shoot는 진한 녹색을 띠고, 잎은 두껍고 휘어져 있으며 투명하였다. 또 줄기는 정상적인 줄기보다 두껍고 길이가 짧았다. 조직학적 관찰 결과 과수화 된 잎은 책상조직의 발달이 부진하였으며 정상적인 잎에 비하여 책상조직과 해면조직 그리고 표피 세포 모두 불규칙하고 세포간극의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수화 된 잎의 기공은 크기가 커서 단위면적 당 밀도가 낮았으며 공변세포와 그 주변 세포들이 변형되어 있었다. 과수화된 shoot의 직경은 정상적인 것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피층과 수층 세포의 비대에 따른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과수화 된 줄기는 정상 줄기에 비해 목질화 발달이 미약하여 형성층 구별이 어려웠다.

      • KCI등재

        Research on Correlation of Self-Confidence and Creativity

        강효진,김보연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define self-confidence (self-efficacy) and evaluate importance of creativity of designers, then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lues. While creativity is a crucial element of design process, for novelty is an essential element of a great design, many believe that self-confidence is one of the major sources of creativity. An experiment consisted of questionnaires and creativity tests have suggested that there is no clear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lues. Nonetheless, the two values are still driving forces of one’s motivation, which could ultimately lead to a designer’s suc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