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산강 배수갑문 및 연락수로 제수문 운영 기준 정립에 관한 고찰

        박지성 ( Jisung Park ),김진환 ( Jinhwan Kim ),이재남 ( Jaenam Lee ),석만 ( Seokman Kang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1982년 준공된 영산강하구둑은 설계 당시 영산강 하구호 구간이 대부분 미개수 상태였으나 현재 일부를 제외한 전 구간에 걸쳐 제방이 축조되어 제내지로 편입이 되고, 상류부 토사유입으로 인한 영산호 내용적 감소, 평균해면 상승, 기상요인의 여건 변화로 배수갑문 확장에 따른 효율적 물관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경제사회의 급격한 발전과 주변 환경의 많은 변화가 있었고, 당초 계획 때 보다 확률강우량이 증대되고, 담수호가 축조된 지 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퇴적으로 인한 내용적 감소현상이 나타나는 등 수문조건이 변화하였다. 또한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일환으로 영산강 본류에 건설된 승촌보와 죽산보로 인해 보 건설 전의 영산강 하류의 유황 변경 및 영산강 구조개선사업에 따른 기존에 운영하던 영산호, 영암호 및 금호호의 새로운 배수갑문과 제수문 운영 방법을 제시해야하는 상황이 도래하였다. 따라서 수자원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서는 최근 수문조건과 하천구조물의 신설 등을 고려한 전반적인 수문해석과 수리계산 재검토가 필요하며, 물수지 결과에 따라 수자원의 최대 활용방안을 강구함과 동시에 수위관리 등 이상적인 담수호 운영 방안에 대한 검토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산호, 영암호 및 금호호의 배수갑문과 제수문 운영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먼저 현장조사 및 현장 실무자들의 의견으로 배수갑문 인근 해역의 김양식장 및 기타 어업인의 안정적인 생산활동을 반영하여 배수갑문 개방 순서를 금호배수갑문, 영암배수갑문, 영산강하구둑 기설배수갑문, 산이배수갑문, 영산강하구둑 신설배수갑문 순으로 설정하였으며, 상류부에서 유입되는 유입량을 빈도별, 죽산보 방류량별 사례를 검토하여 관리수위를 기준으로 배수갑문 개방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빈도별, 죽산보 방류량별 시뮬레이션에 따라 영산호, 영암호, 금호호의 수위변화를 산정하여 유입량에 따른 배수갑문 운영사례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운영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영산강 통합물관리시스템 사업이 진행되어 계측기 설치 등을 통해 과학적인 운영기준이 정립되기 전까지 영산강 현장에서 유용하게 이용 될 것이다.

      • 단부객차대차의 정적강도 및 피로강도 평가

        조우(Cho Woo-Kang),한성욱(Han Sung-Wook),송시엽(Song Si-Yeop),박근수(Park Guen-Soo),박형순(Park Hyung-Soon) 한국철도학회 2007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A bogie frame is typical safty part of railway vehicle. Main performance of a bogie frame is to support a car body and passenger weight and transfer traction and braking force.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static strength and fatigue strength for the end trailer bogie with UIC 615-4 code. Therefore stress analysis of the end trailer bogie frame has been performed for various loading condition according to the UIC 615-4 code and haigh diagram is used for evaluation of fatigue strength. By the results of these analysis, static and fatigue strength of the end trailer bogie is satisfied with a applied criterion.

      • KCI등재

        척골 주두 골절에 대한 이중 긴장대 강선 고정술

        석 ( Suk Kang ),황정수 ( Chung Soo Hwang ),정필현 ( Phil Hyun Chung ),김영성 ( Young Sung Kim ),정진욱 ( Jin Wook Chung ),김종필 ( Jong Pil Kim ) 대한골절학회 2008 대한골절학회지 Vol.21 No.2

        목적: 척골 주두 골절 중 주두 근위 1/3 부위를 포함하는 분쇄 골절에 대해 이중 긴장대 강선 고정술을 시행하고 임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척골 주두 분쇄 골절 중 근위 1/3 부위를 포함한 골절에 대해 이중 긴장대 강선 고정술을 시행하고 10개월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의 분류는 골절이 주두 관절면 근위 1/3만 침범한 경우가 2예, 근위 및 중위부를 포함하는 골절이 6예, 원위 1/3까지 골절선이 연장된 경우가 1예였다. 골유합 시기와 방사선학적 변형의 정도, 관절면 간격, 정복 소설, 고정 핀의 이동 및 최종 추시상 주관절 동통, 운동 범위, 합병증, 기능적 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예에서 부가적 수술 없이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유합 시기는 평균 10.3주였다. 9예 중 8예에서 해부학적 정복을 얻었으며 1예에서 1 ㎜의 관절면의 계단 변형을 보였다. 총 36개의 고정 핀 중 원위부에 위치한 핀 18개 중 1개가, 근위부에 위치한 핀 18개 중 2개가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정복소설은 없었으며, 원위부에서 핀이 이동한 1예에서 피부 자극이 있어 조기 핀 제거가 필요하였다. 관절의 평균 운동범위는 굴곡 구축 3.3도, 후속굴곡 137.8도였으며, 기능적 평가상 8예에서 우수, 1예에서 양호의 결과를 보였으며 불량의 결과는 없었다. 결론: 척골 주두 근위부를 포함한 분쇄 골절에서 이중 긴장대 강선 고정술은 심각한 핀 문제 없이 충분한 고정력으로 골유합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double tension band wiring for communited olecranon fractures involving proximal 1/3.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9 cases of communited olecranon fractures involving proximal 1/3 treated with double tension band wiring followed for minimum 10 months. There were 2 cases of olecranon fractures involving only proximal 1/3, 6 cases of olecranon fractures involving from proximal 1/3 to middle 1/3 and 1 case of olecranon fractures involving from proximal 1/3 to distal 1/3. We analyzed the bone union time, radiologic results for gap, reduction loss, pin migration, pain, range of motion, complications and functional outcomes at last follow up. Results: All patients had solid bone union without additional surgery and average union time was 10.3 weeks. Anatomical reduction could be obtained in 8 of 9 cases but there was 1 mm step off in one case. 36 pins were used to fix the fractures, 1 pin of 18 distal pins and 2 pins of 18 proximal pins were migrated to backward but there was no reduction loss. Only 1 distal pin needed early removal due to skin irritation. Average range of motion ranged from flexion contracture 3.3˚ to further flexion 137.8˚. On functional analysis, we got 8 cases of good result, 1 case of fair result and there was no poor result. Conclusion: Double tension band wiring for comminuted olecranon fracture involving proximal 1/3 was concluded to give a firm fixation of the fracture site as bone union could be acquired without serious pin problems.

      • KCI우수등재

        노인일자리사업이 고령자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소랑 ( So Rang Kang ),김병수 ( Byoung Soo Kim ) 한국행정학회 2016 韓國行政學報 Vol.50 No.1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KOWEPS) 제8차 및 제9차 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이 고령자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준실험적 모델인 이중차이모델을 채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중차이분석결과,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로 인한 이중차이 추정치는 모두 유의미하지 않다는 분석결과가 도출되었고, 선행된 노인일자리사업의 평가 연구들과는 달리 성공적 노화의 개념에 근거한 노인일자리사업의 참여는 고령자의 신체적·심리적·사회적 기능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갖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삼중차이분석결과, 고령자가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 의하여 발생하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효과의 차이는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요인에 체계적인 연관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인해, 자아존중감 발휘 측면에서 노인의 욕구에 기반한 노인일자리 개발의 필요성, 노인일자리사업의 가족복지적 사회자본 기능 강화의 필요성, 지역적 상황을 고려한 노인일자리사업 유형으로 그 성과를 최적화시키는 정책설계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thesis estimates the influence of job creation projects for the elderly on the elderly`s successful aging with the use of the eighth and ninth data of the KOWEPS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influence was analyzed through the use of difference in difference as a quasi-experimental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estimate of difference in difference by the participation in job creation projects for the elderly is not significant at all, and in contrast to the findings of evaluation studies of existing job creation projects for the elderly, job creation projects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concept of the elderly`s successful aging have not been effective in enhancing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unctions of the elderly. Analysis of difference in difference in difference proves that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job creation projects for the elderly in regions where the elderly live are not systematically correlated to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This paper therefore proposes that it is necessary 1) to create jobs for the elderly from a practical approach of enhancing self-respect, in order to facilitate and encourage the needs-based development of the elderly, 2) to increase the family welfare-based social capital function of job creation projects for the elderly, and 3) to structure the policies so as to optimize the performance of the various types of job creation projects for the elderly in consideration of each local situ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교 평준화가 사교육에 미치는 영향

        소랑 ( Sorang Kang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4

        본 연구는 동일한 대상에 대한 변화추적이 가능한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1차(2005년)~6차(2010년) 종단자료를 이용하여 고교평준화가 사교육에 미친 영향을 이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ence)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전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경우, 고교평준화 정책이 오히려 고등학생의 사교육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여주었지만, 중소도시에만 국한하여 분석한 경우에는 고교평준화 정책이 정(+)적이든, 부(-)적이든 사교육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교육비 지출 수준이 높은 서울시와 광역시는 모두 평준화 지역에 속하며, 사교육비 지출 수준이 낮은 읍면지역은 모두 비평준화 지역에 속하므로, 평균적으로는 평준화 지역의 사교육비 지출이 비평준화 지역보다 높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전국지역 표본에서 나타난 평준화 지역의 높은 사교육 경향은 평준화 정책과 관련된 현상이라기보다는 지역적 차이에 의해 나타난 분석결과라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러므로 도시화 수준, 사회경제적 수준 및 지역사회 사교육 현실이 유사한 중소도시 표본의 분석결과를 주목해야 평준화 제도의 순수한 효과를 추정할 수 있다. 즉, 도시화 수준 및 지역사회 현실이 유사한 지역의 고등학생이면 평준화-비평준화에 따른 사교육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평준화 정책을 둘러싼 사교육 논쟁과는 달리, 평준화 제도는 사교육에 중립적인 것으로 판단되고, 오히려 학교 소재지역의 경제적 수준, 학생 가정의 재정적 여건, 가정에 교육 문화적 자산(학부모의 교육수준)을 풍부히 가지고 있을수록 사교육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study analyzes the impacts of the equalization of high schools on private tutoring based on DID (difference in difference) with the use of the longitudinal data from 1st (Year of 2005) to 6th (Year of 2010) of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that can track down the change of the same objects. The analysis of it surveyed of the entire parts across the nation shows that the policy on the equalization of high schools has the effect on the increase of high school students' private tutoring. Meanwhile, the analysis of it limited to only small and medium cities reveals that the policy on the equalization of high schools has not had either significantly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n education. All the Seoul muncipal and metropolitan cities having expenditure level of private tutoring belong to equalized areas, while town and district areas belong to non-equalized areas. Judging this, it is inevitable that the expenditures of private tutoring in equalized areas have accounted for the higher rate on an average compared with those in non-equalized areas. Taking it into account, it might be valid to consider the tendency of private tutoring in highly equalized areas is the analytic result arising from local differences, rather than the developments in relation to the policies on equalization. Considering this, the pure effect of the policy on equalization can be estimated when focusing on the analytic outcomes about the sample of small and medium cities where urban, socio-economic levels, and the reality of private tutoring in the local communities assume the similar rate. In other words, it is anticipated that there might not be differences of private tutoring according to the policy on equalization and non-equaliz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who dwell in the areas which show no difference in urban levels and local community reality. Unlike the controversy over private tutoring in association with the policy on equalization, the equalization system is considered remaining neutral to private tutoring in the long run. It is judged that the higher economic levels in areas around school, students' family financial conditions, families' educational and cultural assets (school parents' educational level) are, the more private tutoring increases.

      • KCI등재

        안토시아닌 함유 과채소류의 생리활성성분 함량과 항산화능 및 저장에 따른 자색당근 추출물 첨가 푸딩의 품질특성 비교

        선아 ( Suna Kang ),이수현 ( Soo Hyun Lee ),심영남 ( Young Nam Shim ),오민지 ( Min Ji Oh ),이나라 ( Na Ra Lee ),박선민 ( Sunmin Park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6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9 No.4

        본 연구는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자색당근, 블랙커런트, 아사이베리, 복분자, 블루베리의 생리활성 물질 및 항산화능을 측정하였고, 자색당근 농축액의 첨가량을 달리한 푸딩을 제조하여 7일간 푸딩의 품질을 측정하고 그 변화를 관찰하였다. 생리활성 물질인 phenol, carotenoid, flavonoid, anthocyanin 함량을 측정한 결과, 자색당근과 복분자는 폴리페놀을 다른 과일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안토시아닌함량은 블루베리,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블랙커런트가 나머지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과일과 채소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DPPH와 ABTS로 측정한 항산화능은 복분자와 블랙커랜트가 다른 과일과 채소에 비해 높았고 자색당근과 블루베리가 중간 정도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 재배가 용이하고 시장성이 좋은 자색당근 추출액을 첨가한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푸딩을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실행하고, 7일 동안 저장할 때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자색당근을 첨가량을 달리하여 푸딩을 제조하였을 때, pH는 자색당근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당도는 시간이 지나도 24 oBx로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자색당근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적색도가 증가하고 갈색도는 감소하였고 물성 검사에서는 경도가 낮고 탄성이 높았던 7.5 % 자색당근 추출액 첨가 푸딩이 가장 좋은 값을 나타내었다. 완성된 푸딩을 7일간 냉장 보관하여 품질 특성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색도가 감소하였고 갈색도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색당근이 산화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물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7.5%의 자색당근 추출액을 첨가한 푸딩이 관능적이나 물리적 특성이 적절하였다. 그러나 자색당근추출액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의 산화 방지를 위해 pH와 온도를 낮게 유지하면서 푸딩을 제조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total phenols, anthocyanins, carotenoids and the antioxidant capacity of black carrot, black currant, acaiberry, black raspberry, and blueberry. We also examined the physica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pudding with added black carrot extract following 7 days of storage. Black carrot and black raspberry had the highest total phenols. Blueberry contained the highest anthocyanins and black currant equaled black carrot in carotenoids. Anti-oxidant capacity measured by 1,1-diphenyl-1,2-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thiazolin- 6-sulfonic acid was highest in black raspberry and black currant followed closely by black carrot. In pudding, redness was increased and blueness decreased by adding black carrot extract, but the trend was partially reversed during 7-day storage due to oxidation of the anthocyanins, which are stable in acid situation. As black carrot extract contents were increased, pH value decreased The pudding`s hardness, adhesive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optimal with 7.5 % black carrot extract. In conclusion, black carrot is moderately rich in anthocyanins and phenolic compounds. In pudding adding 7.5 % black carrot extract was optimal for organoleptic qualities. However,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methods for protecting anthocyanins from breaking-down during storage of back carrot pudding.

      • KCI등재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의식과 자기침묵의 매객 효과

        석 ( Suk Kang ),이지연 ( Jee Yon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3 중등교육연구 Vol.61 No.4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우울, 자의식, 자기침묵 간의 상호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인들이 청소년기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인천 소재 고등학생 50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우울, 자의식, 자기침묵에 대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자의식, 자기침묵은 유의한 낮은 정도의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의식, 자기침묵과 우울과의 상관관계는 유의하게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자의식, 자기침묵은 우울 간 관계에서 자의식의 하위 요인인 사회불안, 자기침묵의 하위 요인인 외적인 자기자각이 청소년의 우울을 가장 높게 예언하였다. Baron과 Kenny 검증 결과 자의식과 자기침묵은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 불일치와 우울과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우울과의 관계에 있을 수 있는 심리적 기제를 탐색하고 자의식과 자기침묵이 매개 변인으로 작용함을 보여 줌으로써 청소년 우울에 대한 교육 및 상담적 개입에서 자기일치가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This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et of self-consciousness and self-silencing between adolescence`s actual-ideal self discrepancies and depression. 508 high schoo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and data from them analyzed. First, the result indicated that actual-ideal self discrepancies showed a significant, low positive correlation in relation with self-consciousness and self-silencing. and self-consciousness, self-silencing showed a significant low positive correlation in relation with depression. The result of Baron & Kenny test showed partial mediating self-consciousness and self-silencing between adolescence`s actual-ideal self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d significance in the exploring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adolescence`s depression which is caused by adolescence`s actual-ideal self and suggesed that self-consistence treatment might be useful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depression caused by actual-ideal self discrepancies.

      • KCI등재

        한국 관광시장 활성화를 위한 한국관광공사의 중국인 관광객 대상 MPR활동 전략 연구

        이(Kang, Yi),전형연(Jeon, Hyeong-Yeon)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6 觀光硏究論叢 Vol.28 No.3

        본 연구는 한국관광공사가 진행하고 있는 방한 중국인 관광객을 위한 MPR활동 현황을 파악하고, 그 전략을 일반 해외 관광객 대상 MPR활동 현황이나 일본관광국이나 태국관광청의 그것과 비교 분석해봄으로써 중국인 관광객에 특화된 MPR활동의 전략적 차별성을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하여 한국관광공사가 어떠한 전략적 차별성을 가지고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MPR 활동을 진행하고 있는지 그 현황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최근 MPR의 핵심 프로그램으로 인식되고 있는, 홈페이지, 이벤트 그리고 SNS 등의 MPR 프로그램 활동을 분석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한국관광공사가 일반적인 외래관광객만을 대상으로 하는 배타적인 기획이나 의도를 SNS를 통한 MPR 활동에 반영하지 못하고 소극적인 PR전략에 그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반면, 이벤트 활동 차원에서는 단기적인 프로모션적 기획과 진행에 머무르고 있는 국내 관광객 대상 활동에 비해, 좀 더 지속가능성이 높은 장기적인 기획과 전략을 활용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웨이보를 통한 한국관광공사의 SNS 활동은 중국인 관광객의 인지도를 높이는 ‘경품형 이벤트’ 위주의 단기적이고 일회적인 활동에 머물러있으며, 재방문율을 높이고,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전략을 구현하고 있는 일본과 태국 정부 관광국의 SNS활동에 비해 충성도를 확대하는 차원의 전략이 충분치 않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반면, 한국관광공사는 중국인 관광객에게만 특화된 이벤트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일본과 태국 정부의 관광국과 비교해서도 더 효과적인 관계지향적 전략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an object of finding a ways of different strategies of MPR programs for Chinese tourists, analyzing Korea Tourism Organization (KTO)’s MPR activities aspect and comparable to MPR activities of KTO for Inbound Tourists, Japanese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JNTO) and Tourism Authority of Thailand(TAT). This research explore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KTO’s MPR activities and strategies of KTO for Chinese tourists with what strategic differences. The present study tried to analyze KTO’s MPR activities and strategies as an official home page, SNS and events who are recognized as the representative MPR programs. In the results, we found that KTO didn’t establish their active MPR strategies on SNS channels which are applied to planning and intention exclusively for the general inbound tourists, while KTO showed discriminant and sustainable event activities for inbound tourists comparing with KTO’s event activities for domestic tourists. Meanwhile, we found that KTO has their strong interests about MPR activities and attempted to make divers strategic plannings on the events, SNS and also official homepage. Nevertheless, KTO’s SNS strategies for Chinese tourists focused on just a ‘giveaway’ promotional event activities and based on the short term and temporary perspectives. KTO didn’t reach to improve the re-visit to SNS pages and secure Chinese tourists’ confidence about tourism information. We can appraise that KTO’s strategies are insufficient to increase Chinese tourists’ loyalty for KTO comparing to JNTO and TNT. Whereas, KTO’s event programs for Chinese visitors accomplished their relationship strategies more actively and effectively comparing to JNTO and T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