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정승인항변의 기판력 저촉여부 및 청구이의의 소 사유 해당 여부 -대법원 2006. 10. 13. 선고 2006다23138 판결-

        강혜림 ( Kang Hye-lim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외법논집 Vol.37 No.3

        If an inheritor has not submitted evidence proving that he was a qualified acceptor in the midst of the action brought by a creditor and a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without limitation of liability has been handed down in the action, whether or not the inheritor may start a new trial based on the fact that he has effected the qualified acceptance is closely linked to the discussion about whether or not the scope of liability is included to the object of the lawsuit. Under the Article 216 of the Civil Procedure Act, a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shall have the effect of res judicata in so far as the matters contained in the text thereof are concerned.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res judicata is concerned with the object of the lawsuit, which is contained in the text of the judgment. In my opinion, the object of the lawsuit in an action for monetary debt is to decide on whether or not a defendant is obliged to pay the debt to the plaintiff, not on the scope of liability. The scope of liability, that is, which property of the defendant shall be subject to the execution power of the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is not related to the object of the lawsuit and it is true that the scope of liability eventually matters in the stage of compulsory execution, after the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has been handed down in a lawsuit. When a defendant makes a separate plea of qualified acceptance of inheritance, he does not intend to contest a right or claim alleged as a reason for the request by the plaintiff, rather the inheritor admits that he is obliged to pay the inheritee’s debt but claims that the performance shall be limited to the extent of the property to be acquired through the inheritance. Therefore, the principle of res judicata shall not be applied to the scope of the liability and the inheritor can start a new trial alleging limitation of liability against creditors in a compulsory execution procedure. And regarding the way of claiming limitaion of liability in a compulsory execution procedure,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a debtor may raise objection making a plea of qualified acceptance of inheritance against claims which have become final and conclusive by a judgment by filing a lawsuit of demurrer against claims pursuant to the Article 44 of the Civil Execution Act. However, according to the Article, for the demurrer against claims, any grounds therefor shall be those which have arisen subsequently to a closure of pleadings, so if the inheritor could have claimed that he was a qualified acceptor before the closure of the pleadings, the same ground cannot be a ground for the demurrer against claims. So the lawsuit of demurrer against claims is not appropriate in this case. Therefore, in my opinion, the inheritor should claim limitation of liability by filing a lawsuit of demurrer by third party under Article 48 of Civil Procedure Act. In case of renunciation of inheritance, an inheritor cannot start a new trail based on the fact that he has effected renunciation of inheritance due to the doctrine of res judicata.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demanding need to protect an inheritor, especially who is young and legally ignorant, the principle of estoppel should be widely applied to the specific cases.

      • KCI등재

        종류매매에서 매수인의 완전물급부청구권의 제한

        강혜림(Kang, Hye-Lim) 경희법학연구소 2017 경희법학 Vol.52 No.2

        우리 민법은 종류매매 목적물에 하자가 있는 경우에 계약해제권, 손해배상청구권 외에도, 제581조 제2항을 두어 매수인에게 매도인에 대하여 하자 없는 새로운 물건의 인도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 즉 완전물급부청구권을 부여하고 있다. 매수인의 완전물급부청구권에 대응하는 매도인의 완전물급부의무는, 매도인이 이미 인도한 목적물과 종류는 동일하지만 하자가 없는 물건을 매수인으로부터 별도의 비용을 받지 않고 다시 제공하는 의무를 말한다. 그러므로 완전물급부의무의 이행으로 인해 매도인의 불이익이 지나치게 증가하는 경우에대해서까지 완전물급부청구가 전면적으로 허용된다고 본다면 ‘등가(等價)적인 거래관계’라는 매매의본질에 반할 수있는바, 일정한 경우제한되어야 한다. 민법은이 권리에 대해서는아무런제한을두고있지않지만최근대법원은2014. 5. 16. 선고2012다72582 판결에서공평의 원칙을 근거로 완전물급부청구권의 행사를 제한하고 있다. 추완청구권에 관하여 비교적자세한 규정을두고 있는독일 입법례와최근추완청구권에 관한규정을 신설한일본민법 개정안의 내용을 참고해보면, 추완청구권의 일종인 완전물급부청구권은 크게 채무불 이행법상 이행청구권의 배제근거인 불능을 이유로 제한될 수 있고, 완전물급부청구권만의 특유의 제한 사유, 즉 매도인이 완전물급부의무를 부담하는 것이 신의칙상 불상당하다고인정되는 경우에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우리 민법은 종류물에 대해서만 완전물급부청구권을인정하므로동사유에의해그행사가배제되는경우는드물것이라고생각된다. 오히려종류매매에서는 하자보수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을 수 있겠다. 다음으로 매수인의 완전물급부청구권이 신의칙을 이유로 제한되는 경우, 그 불상당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완전물급부로 인한 매도인의 불이익과 매수인의 추완이익을 비교형량하여 사회통념에 비추어 규 범적으로판단되어야 한다. 이때 고려되어야하는대표적인 요소들로는하자의정도, 하자수선의용이성, 하자의치유가능성, 하자보수로인한중고가치감소율, 하자보수후물건의교환가치, 하자 없는 물건의 가액, 하자로 인한 계약목적달성 여부, 물건의 성질, 완전물급부로 매도인에게 반환되는 하자 있는 물건의 교환가치, 완전물급부로 매도인이 면하게 되 는손해나취득하게되는이익의정도등이있겠다. 한편매매의경우하자보수가일반적인추완의 방법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당사자 간 하자담보책임의 내용으로 하자보수를 별도로 정하였다는 사정 등이 없는 한, 매수인에게 매도인에 대한 하자보수청구권이일반적으로 인정된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대상판결은 상대적 과도함이 문제되는경우 하자보수에비해 완전물급부가어느 정도비용이더 들경우 제한되는지에관한명확한기준을 제시하지못하고있다. 이와같은설시의 아쉬움이있지만, 구체적 사실관계에비추어 볼때 매수인의완전물급부청구가 허용될수없다는 결론자체는 타당하다고생각된다. Where an unascertained good has a defect, apart from the cancellation right of contract and the claim for damages, our civil law provides, under Article 581 Clause2, that the buyer can claim a delivery of new good without defect from the seller, i.e.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in a sale of unascertained goods. The seller’s liability to provide the good in response to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is the liability to provide the same, but flawless good without receiving any payment from the buyer. Thus, if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is allowed to the point the seller’s disadvantage increases excessivel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seller’s liability, it can oppose the essence of marketing, which is “equivalent trading relationship.” At some point, the right must be limited. While civil law does not place any limitation on this right, recently the Supreme Court has been limi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in the 2012다72582 sentence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fairness. Referring to the German legal bibliography, which has a relatively detailed regulation on the claim for appeal, and to the content of the amendment of Japanese civil law, which recently established a regulation on the claim for appeal,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which is a type of claim for appeal, can be limited on the basis of inability, which is the exclusion grounds of the right of execution under law on default. It can also be limited when it is admitted that the seller’s liability is unfair under the principle of good faith. Meanwhile, our civil law recognizes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only in the sale for unascertained goods, so it would be rar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right to be eliminated on the basis of reasons above. If anything, in the sale for unascertained goods, there might be cases where defect maintenance is impossible. Furthermore, in a situation where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is inhibited due to reasons under principle of good faith, whether the implementation is just or unjust should be judged by comparing the seller’s cost in providing the new good and the buyer’s marginal benefit in reflection of social norms. At this time, aspects, such as the severity of the defect of the good, the ease of defect maintenance, the potential of fixing the defect, the reduced value of the used good due to the defect, the exchange value of the good after defect maintenance, the price of the flawless good, the potential for fulfilling the contract purpose due to the defect, the property of the good, the exchange value of the good with defect that will be returned to the seller, and the avoided cost or gained benefit by the seller due to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should be considered. Meanwhile, on the basis that the buyer did not separately choose defect maintenance under defect liability, it would generally be difficult for the buyer’s claim for damages against the seller to be recognized. The verdict does not provide clear standards for how much the cost of providing a new good, compared to defect maintenance, should be for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to be limited. Even though there is space for improvement, the judgment that the buyer’s right to claim for conforming goods should be limited in specific situations is considered to be fair.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the Korean and U.S. cartel cases

        강혜림(Hye lim Kang) 한국부패학회 2013 한국부패학회보 Vol.18 No.1

        카르텔은 의사의 합치와 사업자들 간의 공동행위로 구성된다. 공동행위는 상대적으로 쉽게 인지될 수 있는 반면에 그 공동행위가 합의의 결과물인지 여부는 판단하기 어렵다. 만약 공동행위가 우연성을 가지고 있고 사업자들 간 합의에 기초하고 있지 않는 경우라면 그 공동행위는 위법한 행위로 판단될 수 없다. 왜냐하면 우연성에 기초한 공동행위는 위법한 카르텔의 핵심 요소, 즉 공동행위에 참가한 사업자들 간 의사의 합치라는 요건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사업자들 간 합의가 존재한다는 점에 대한 입증의 곤란을 덜어주기 위하여 한국의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서는 동 법률 제19조 제5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특정한 종류의 공동행위가 있을 경우 사업자들 간 합의가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추정조항을 두고 있다. 그러나, 당해 추정조항을 둘러싸고 많은 문제점들이 제기되어 왔다. 첫째, 동 추정조항에 의하여 입증책임이 전가됨에 따라 피고인의 법적 권리를 침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대법원과 공정거래위원회 간에 동 추정조항의 적용 범위를 다르게 해석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셋째, 현행 추정조항에서는 합의추정을 위하여 개연성 요건을 추가로 요구함으로써 추정조항이 갖는 특수한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미국법원에서는 시장에서 사업자들 간의 공동행위가 인지되는 경우(의식적 병행행위가 있을 경우) 피고인이 합의에 이르게 된 동기가 있었는지, 피고인이 공동행위에 참여함으로써 그의 이익에 반하여 행동하였는지, 피고인이 기존의 사업 행태와 비교하여 큰 변화가 있는 행위를 하였는지 등 추가적인 요소(plus factors)의 존재 여부에 대하여 검토하고 있다. 또한, 미국법원에서는 독점규제법 사건과 여타의 사건을 구별하여 독점규제법 사건의 경우 정황증거로부터 합의의 존재를 추정(사실상 추정)함에 있어서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바, 이는 정황적 증거로부터 합의의 존재가 쉽게 추정될 경우 친경쟁적인 행위조차 제한될 수 있는 위험을 고려한 결과라 할 것이다. 또한, 미국법원은 해당 공동행위가 발생한 시장이 독과점 시장인지 경쟁시장인지에 따라 정황적 증거로부터 합의를 인정하는데 다른 접근을 하고 있다. 합의 추정과 관련하여 한국과 미국의 법체계상 가장 큰 차이점은, 한국의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법에 따르면 일정한 유형의 공동행위가 있을 경우 합의가 법률상 추정된다는 것이다. 즉, 한국의 법체계에서는 공동행위에 대한 증거를 다른 정황증거와 다르게 취급하고 있는 반면에 미국법원에서는 공동행위 존재에 관한 증거는 다른 추가적인 정황증거들과 마찬가지의 질적 가치를 가질 뿐이다. 한국과 미국의 제반 법률 환경이 다른 면이 있겠지만, 한국의 추정조항의 실제적 기능과 그 유해성을 고려할 때 궁극적으로 폐지될 것을 제안한다. 만약 폐지되기에 이르다면 공동행위의 위법성 정도가 강한 가격담합의 경우에 한하여 동 추정조항이 적용될 것, 제19조 제5항에서 열거되고 있는 개연성 요건이 보다 구체화될 것, 개연성 요건들의 존재로부터 합의를 추정함에 있어서 보다 엄격한 기준이 적용될 것을 제안한다. Cartels consist of meeting of the minds and concerted actions among companies. While concerted actions can be caught relatively easily, it is hard to figure out whether or not the concerted actions are the result of an agreement. If the concerted actions are coincidental and are not based upon an agreement among companies, the concerted actions cannot be considered illegal in contravention of antitrust law because the core element of an illegal cartel, which is the meeting of the minds among participants in the concerted action, is absent. Considering the difficulties in regulating cartels because of the hardship of proving the existence of the meeting of the minds, the Korean Antitrust Act creates a presumptive agreement among companies when certain types of concerted actions exit under the presumption clause, the Article 19(5). However, there have been a lot of problems surrounding the presumption clause. First, there is such a problem about invasion of the defendant’s legal interest by transferring the burden of proof. Second, there is confusion in interpreting the presumption clause between Korean Supreme Court and Korean Fair Trade Commission, and Korean Supreme Court and Seoul Appellate Court. Third, the amended Article 19(5) lost its unique characteristic by the added “probability factors” as the presumption clause. The U.S. Courts have found “plus factors” in cartel cases, and the factors must be the basis for inferring that the concerted action (parallel business conduct) was the result of a preceding agreement. The plus factors which have been repeatedly mentioned by courts are as follows: (i) evidence that the defendant had a motive to enter into an agreement; (ii) evidence that the defendants acted contrary to its interest; (iii) evidence implying a traditional conspiracy; (iv) evidence that the defendants attended secret meetings or conducted suspicious discussions at which they had an opportunity to conspire; (v) evidence that the defendants took a radical departure from previous business practices. According to the U.S. Supreme Court, there is an important distinction between in antitrust cases and other cases as to the standard of inference. This kind of view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if the inference about the existence of an agreement from circumstantial evidence is easily permitted even the pro-competitive actions can be deterred. Also, the U.S Supreme Court says tha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market (either an oligopoly market or a highly concentrated market or a competitive market) the different approach to parallel conduct by firms is needed. The most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approach as to conscious parallelism between in the Korean and U.S. legal systems is that the Korean antitrust law has statutory clause which presume the existence of agreement when there is evidence of the same conduct by entrepreneurs. That means the Korean antitrust law treats the evidence of the parallel conduct by entrepreneurs differently from other circumstantial evidence, while the U.S. Supreme Court has considered the evidence of parallel conduct as merely one of circumstantial evidence. This kind of difference is related to the strong legislative intent to regulate cartels widespread in the country. However, in contemplation of utility and function of the presumption clause under current circumstances, I argue that the presumption clause should either be abolished or at least be narrowed the scope of application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Specifically, I will propose to abolish Article 19(5). In the alternatives, if abolishing the presumption clause is premature under Korean market situation and policy concern, I will suggest that the scope of application should be limited into the same price rise case between entrepreneurs, which considered to be almost always per se illegal, and the probability factors listed in the presumption clause should be modify to be more specific.

      • KCI등재

        변제ㆍ대물변제의 사해성 판단 기준에 관한 고찰 ― 일본 개정민법을 중심으로 ―

        강혜림 ( Kang Hye-lim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法學硏究 Vol.30 No.4

        대법원은 채권 본지에 따른 변제 사안의 경우 통모적 사해의사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예외적으로 취소될 수 있다고 하고, 대물변제 사안의 경우 채무자와 수익자 사이에 통정이 이루어지기 쉬운 점 등을 이유로 원칙적으로 사해행위성을 긍정하고 있다. 그러나 채권자취소소송이 채권자들 간 다툼인 경우에는 채무자와 수익자 간 통모가 있었다는 점이 사해행위성 판단에 있어서 결정적인 기준이 되는 것은 부당하다. 특히 실무상 통모적 사해의사가 있는 경우가 어떠한 경우인지 명확하지 않고,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변제의 경우 통모적 사해의사가 인정되어 취소된 사례가 극히 드물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판례가 편파행위의 사해행위취소요건으로 들고 있는 통모적 사해의사 요건은 규범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필자는 대물변제 사안의 경우에도 통정이 사해행위성 판단의 결정적 기준이 될 수 없는 점, 대물변제는 변제와 마찬가지로 기존채무소멸행위에 해당하여 협의의 사해성이 인정되지 않는 점 등을 근거로 변제와 마찬가지로 원칙적으로 사해행위성이 부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편파행위에 대한 사해행위취소 사안에서는 행위의 악성에 대한 제재 측면보다는 취소의 요건과 효과에 관해 명확하게 규정함으로써 경제적 위기 상태에 있는 채무자의 거래가 위축되지 않도록 하는 측면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일본 개정민법에서 기존 판례에서 인정되어 오던 편파행위에 대한 취소요건을 명문으로 규정한 점은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한편 일본은 평상시에 편파행위를 사해행위로 취소하여야 하는 근거를 채무소멸행위 당시 채무자가 지급불능상태였다는 점에서 찾고 있는바, 부인권에 관하여 일본 파산법과 상당히 유사하게 규정하고 있는 우리 입장에서도 고려해볼 만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지급불능 후 편파변제를 모두 취소의 대상으로 할 경우 채무자의 사업 갱생에 더 지장을 줄 수 있는바, 편파행위에 대한 사해행위취소 요건은 부인권보다 더 강화할 필요가 있고, 개별사안별 유연한 해결을 할 수 있도록 채무자와 수익자의 주관적 요건을 추가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겠다. 즉 채무자와 수익자 모두 채무자가 지급불능인 사실 및 채무자의 변제 등의 행위가 다른 채권자를 해하는 사실에 관해 악의일 것이라는 요건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일본과 마찬가지로 기존 판례법리를 취소 요건으로 규정한다면 일정한 경우에 통모적 사해의사가 추정될 수 있도록 규정함으로써 취소의 예측 가능성을 담보하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겠다. The Supreme Court has held that the originally intended performance by the debtor can be revoked exceptionally only when there is a conspiratorial fraudulent intention between the debtor and the transferee, while it ruled that the payment by substitutes(accord and satisfaction in Civil Code) shall be revoked in principle because the conspiratorial fraudulent agreement between the debtor and transferee can be easily found when making an agreement of payment by substitutes. However, it is unfair that whether or not there was a conspiratorial agreement between the debtor and the transferee is regarded as the decisive criteria in judging whether or not the fraudulent transfer was made, especially in the event the lawsuit of fraudulent transfer revocation is a dispute between creditors of the debtor.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rulings of the Supreme Court on what is the conspiratorial fraudulent intention have been uncertain and it is very rare that the originally intended performance was revoked for that reason in both of Korea and Japan, the element of the conspiratorial fraudulent intention required by the courts to revoke the preferential transfer seems not to play the proper role as a norm. In addition, in case of payment by substitutes, I think that creditor's right to revoke should be denied in principle based on the facts that the conspiracy between the debtor and the transferee cannot be the decisive criteria for the revocation of the preferential transfer, and there is no decline in the debtor's asset even in the case of the payment by substitutes as in the case of the originally intended performance. Also, I think it is important to try not to shrink the trade with the debtor in economic crisis by clearly specifying the requirement and effect of revocation in relation with the preferential transfer.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be desirable that the revised Japanese Civil Code specified the revocation requirements for the preferential transfer. The revised Japanese Civil Code found out the rational basis for the revocation of the preferential transfer on the fact that the debtor was already in the state of default of payment when he has performed the juristic act which has property right for its subject. I think this way of thinking can be adopted in Korea as well because the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stipulates the requirements of the right to avoid in a very similar way to the Japanese Bankruptcy Law. If all the preferential transfers after the default of payment are determined to be the fraudulent transfer, it may hinder the business rehabilitation of the deb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rengthen the requirements for the revocation of the preferential transfer than those of the right to avoid under the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And I suggest that the additional subjective requirement for revocation, that is, the requirement that both of the debtor and the transferee are aware of the fact that the debtor is under the default of payment and the preferential transfer causes damage to any rehabilitation creditors or any rehabilitation secured creditor at the time that such act is performed, should be stipulated, in order to draw flexibl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ases. If the existing case law is stipulated as an additional requirement for the preferential transfer revocation as in Japan, it is desirable to put an presumption regulation by which the conspiratorial fraudulent intention between the debtor and the transferee can be deemed in certain cases where the debtor and the transferee seems obvious to maliciously conspire.

      • KCI등재

        비용과 이행이익

        강혜림(Kang, Hye Lim)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6 江原法學 Vol.48 No.-

        계약이 유효하게 성립하였다가 해제된 경우에 해제자가 계약목적물을 취득하려는 목적 또는 계약목적물을 취득한 후 재판매하거나 사용하여 어떠한 수익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비용을 지출한 경우에, 해제자가 상대방에게 그 비용을 청구할 수 있는가의 문제에 관하여 대법원은 과거의 입장을 변경하여 이를 ‘신뢰이익의 배상’이라고 했다가 ‘이행이익의 일부’ 또는 ‘지출비용’이라고 하는 등 용어를 혼동하여 사용하면서 그 배상을 긍정하고 있고 법적 근거에 관해서는 침묵하고 있다. 그러나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으로 결국 ‘무용하게 되었다‘ 또는 ’낭비되었다‘고 평가되는 채권자의 지출비용도 차액설에 의한 손해 즉 이행이익 배상의 개념에 포섭될 수 있다고 보이므로, 위 비용이 손해가 된다는 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굳이 계약이 무효이거나 불성립한 경우에 문제되는 개념인 신뢰이익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 이행이익배상이 문제되는 곳에서는 원칙적으로 소위 신뢰이익배상의 문제가 거론될 필요가 없다. 이행이익 배상액이 확정될 수 있다면 그 이익액의 배상이 되면 족하고, 이에 더하여 계약의 유효 또는 계약의 이행을 믿고 지출한 비용 등 신뢰손해의 배상문제가 거론될 필요가 없다. 만약 이행이익이 없다고 확정되는 경우, 즉 도달이 좌절된 미래의 가치가 결국 적자인 것으로 평가되는 경우에는 비용배상도 인정하지 않는 것이 논리적일 것이다. 즉 이행이익은 지출비용배상액의 한계로 작용한다. 이론상 이행이익의 배상이 가능하더라도 현실적으로 이행이익의 산정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 또는 정책적으로 이행이익의 배상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지출한 비용은 이행이익의 최소한으로서, 다시 말해 전체 이행이익 중 확인가능한 일부로 취급하여 그 배상을 인정하는 것이 논리상으로도, 정의 관념상으로도 타당하다. 이 경우 지출비용배상청구의 법적 근거는 채무불이행에 의한 손해배상의 근거조문인 민법 제393조가 될 것이고 배상범위는 낭비된 비용이 통상손해인지, 특별손해인지 개별사안별로 따져봐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상법상 지배주주의 책임

        강혜림(Kang Hye Lim) 한국부패학회 2016 한국부패학회보 Vol.21 No.2

        IMF 이후 회사 경영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주주의 행위를 규제하는 개별 규정들이 도입되었는데, 그 중 지배주주 등에게 직접 손해배상책임을 물을 수 있는 상법 제401조의2가 핵심 조항이다. 그런데 동 규정에 따른 지배주주의 책임은 이사의 업무와 책임에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지배주주를 독자적으로 규율하지 못한다. 이는 우리 상법이 지배주주에 대한 충실의무의 부과 없이, 단순히 지배주주 등에게 책임을 묻기 위한 도구 개념으로서 지배주주 등을 법률상 이사로 의제하는 형식의 입법을 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절대 다수의 기업에서 오너 또는 오너 일가라고 불리는 지배주주가 있고, 이들은 직접 경영에 참여하거나 이사에 대한 지배권을 이용하여 실질적인 회사의 소유자로서 회사 또는 소수주주의 이익을 침해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 회사에 대한 관계에서 실질적 경영자인 지배주주와 이사를 다르게 볼 하등의 이유가 없다는 점, 이사가 자신에 대한 임면권을 가지는 지배주주의 수족처럼 행동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오히려 지배주주를 회사에 대한 관계에서 수탁자로 보고 이사의 의무와 동일한 의무를 부담시키는 것이 기업현실에 더 부합한다는 점, 지배주주에 대하여 이사와 같은 의무를 부담시키지 않을 경우 이사의 책임을 규정하고 있는 상법 제399조 및 제401조의 효용성이 반감될 우려가 크다는 점, 제401조의2를 비롯한 현행 상법상 개별 규정만으로는 지배주주의 지배권 남용행위를 빠짐없이 규제할 수 없다는 점, 비교법적으로도 많은 나라에서 지배주주의 회사나 다른 주주에 대한 영향력이나 이익 침해 가능성을 고려하여 지배주주에게 충실의무를 인정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주주의 충실의무론을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지배주주의 충실의무를 인정하는 명문규정을 상법에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장기적으로는 영국, 미국, 독일, 중국처럼 충실의무 위반 시 직접 회사 또는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도록 하는 입법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Since the 1997 IMF crisis, Korean legislators have amended the Korean Commercial Code (“KCC”) to prevent controlling shareholders improper influence over the operation of a business and the Article 401-2 of the KCC, which imposes liability upon those who are involved with the operation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while not being a director of the corporation, is a key provision among them. However, it is not enough to regulate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to be liable independent from directors because the liability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under the Article 401-2 is linked to the scope of the tasks and responsibilities of directors. That is why the KCC does not impose any duties, such as the duty of loyalty, on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but deals with them as directors for the purposes of applying the Article 399 (liability to the corporations), 401 (liability to a third party), and 403 (derivative litigation) concerning the undertakings they instruct or conduct. My paper suggests that the shareholder s duty of loyalty should be introduced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First, most conglomerates in South Korea have controlling shareholders, called “owner” or “owner family”, who participate in the operation of the business or instruct directors using their influence over the corporations and they are highly likely to infringe on the interests of the company and the minority shareholders. Second, there is no reason that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who actually operate the company should be taken differently from the directors of the company in relation to duties and the liabilities to the company and the minority shareholders. Third, since the controlling shareholder has directors at his beck and call in many cases, it is reasonable that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shall assume the same duties as directors, as fiduciaries to the company. Fourth, if the controlling shareholder does not assume the same duties as directors, there would be a risk that the Article 399 and 401 do not function properly. Fifth, it is unable to regulate all types of abuse of the dominance by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through the individual provisions of the KCC including the Article 401-2. Sixth, many countries find the controlling shareholder s duty of loyalty in consideration of the range of influence or the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f the interest to the company and minority shareholders. Also, my paper suggests that the provision of controlling shareholder s duty of loyalty should be introduced to the KCC and it would be more desirable if South Korea, as if the U.K., the U.S., China and Cermany, has a provision which imposes civil liabilities on the controlling shareholder if he violates the provision of the duty of loyalty.

      • KCI등재
      • KCI등재

        채권자취소소송 실무와 상대적 무효설에 관한 논의

        강혜림(Kang, Hye-Lim)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東亞法學 Vol.- No.77

        채권자취소권에 관하여 효력에 있어서는 ‘상대적 무효설’이 그리고 채권자취소권의 법적성질 또는 행사방법에 있어서는 ‘절충설’이 우리나라 통설과 판례의 입장이다. 한편 채권자취소권의 효과로서 취소의 목적물이 회복되는 방식과 관련하여 우리나라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원상회복긍정설의 입장을 취하고 있는바, 결국 사해행위가 취소되면 수익자에게로 일탈되었던 재산은 채무자에게로 환원되고, 채권자는 채무자에 대한 집행권원에 기해 강제집행을 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채권만족을 꾀하게 된다. 그런데 상대적 무효설에 따르면 취소채권자와 취소의 상대방인 수익자 또는 전득자에 대한 관계에서만 채무자의 사해행위는 상대적으로 취소되는 것이고 그 외의 관계에서는 채무자의 사해행위는 여전히 유효하므로 일탈재산이 어떻게 채무자 명의로 회복되고 책임재산을 구성할 수 있는가에 관한 설명이 어려워진다. 채권양도가 사해행위에 해당되어 취소되는 경우 취소의 효력에 관해 상대적 무효설을 고수할 경우 채권자가 채권자취소소송에서 승소하더라도 사실상 자신의 채권 만족을 받을 길이 막혀버리기 때문에 실무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대적 무효설을 포기 내지 완화하여 적용해왔다. 대상판결은, 채권양도를 사해행위로 보아 취소하는 경우와 그 원상회복 방법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동일한 동 사안에서, 상대적 무효설의 원칙으로 돌아가 채권집행절차를 불허하고 기존 경매절차에서 적법하게 배당요구한 채권자들에게 추가배당해야 한다고 설시하고 있다. 필자는 채권자취소소송 제기 전에 사해행위대상 목적물에 대한 경매절차가 개시된 경우, 민법 제407조의 (추상적인) 채권자평등주의의 내용은 민사집행법의 적용에 따라 그 내용이 제약되어야 하므로 대상판결 사안처럼 기존의 배당절차가 아직 확정적으로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존의 경매절차에서 배당을 받을 수 있었던 채권자들만이 그 후에 확정된 채권자취소의 이익을 누릴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는 점, 강제집행절차로서 채권집행을 부정하는 대상판결의 결론이 오히려 상대적 무효설과도 정합성을 가진다는 점, 기존 실무의 결론에는 논리적 근거가 없다는 점 등을 이유로 대상판결의 설시에 동의한다. 다만 대상판결 사안과 같은 경우 추가배당을 할 수 있는 근거조문이 우리 민사집행법상 명확하지 않으므로 이는 신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대상판결은 추가배당하고 남은 부분, 즉 잉여금에 대해서는 기존 실무와 마찬가지로 채권집행이 가능하다고 하고 있고, 취소의 효력이 수익자인 근저당권자에 대해서도 미치는 것을 전제로 하는 판시를 하고 있는데(담보권자로서 배당요구 할 권리를 상실한다고 판시), 이는 상대적 무효설과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결론이라는 점을 지적하는 바이다.

      • KCI등재

        채권자취소권에 관한 법무부 민법(재산권) 개정안과 일본 법무성 민법(채권관계) 요강안의 비교법적 고찰

        강혜림(Kang Hye Lim) 한국재산법학회 2015 재산법연구 Vol.32 No.3

        우리 민법은 2개의, 일본 민법은 3개의 채권자취소권 관련 조항을 두고 있고, 두 나라 모두 채권자취소권과 관련 법률문제를 학설과 판례에 유보하고 있었는데, 규정의 유사성으로 인해 학설과 판례 역시 유사한 방향으로 발전되어 왔다. 최근 양국 모두 민법개정안을 발표함으로써 채권자취소권에 관한 구체적 입법을 시도하고 있는데 각 개정안에서, 일본은 상대적 무효설을 폐지하고 있는데 우리는 상대적 무효설을 유지하면서 채권자평등주의와의 공존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 일본은 사해행위취소의 행위유형을 구체화하였으나 우리는 그러하지 않다는 점 등에서 차이가 있다. 상대적 무효설과 채권자평등주의의 논리적 모순은 부인할 수 없다는 점, 채권자취소제도와 도산법상 부인권의 정합성을 기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일본 민법개정안의 취지를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우리 민법개정안은 수익자 악의요건 입증책임, 상계금지기간의 설정, 가액반환 범위 등에 관한 규정을 새로이 두어 채권자, 채무자, 수익자의 이익을 조화롭게 보호하기 위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된다. 장기적으로는 독일, 미국과 같이 채권자취소제도에 관한 실체법, 절차법적인 요소를 모두 규율하는 독립 법률 제정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Regarding the creditor’s right to revoke the debtor’s fraudulent transfer, the Korean Civil Code(the“KCC”) has only two provisions and the Japanese Civil Code(the“JCC”) has only three provisions, both of which have resulted in much room for interpretation of the creditor’s right by academic theories and court decisions. Due to the similarities of the provisions in the Civil Codes of Korea and Japan, the interpretation of the creditor’s right has also developed in a very similar way in both countries. Recently the final draft amendments of the Civil Codes were announced in Korea and Japan, in which the changes on the creditor’s right to revoke are the most prominent part. Both of the draft amendments reflect detailed legal doctrines regarding fraudulent transfer, which have been developed by the courts and the legal academia in each country. There are a few major differences between the draft amendments of the two Codes. First, with regard to the validity of the creditor’s right to revoke, both of the Korean Supreme Court and the Japanese Supreme Court have adopted for a long time the theory of relative void. In the draft amendment of the JCC, any fraudulent transfer among the creditor, the debtor, the transferee or the second transferee is void, and such amendment is recognized as giving up the theory of relative void. On the other hand, the draft amendment of the KCC adopts the theory of relative void, but still adopts the theory of creditor-equalitarianism as well. This attitude of the draft amendment of the KCC has been criticized by many scholars due to the logical contradiction between the two theories. Second, the draft amendment of the JCC classifies the types of fraudulent transfer and separate provisions regulate different categories of fraudulent transfer. However, the draft amendment of the KCC does not classify the types of fraudulent transfer. It seems that the draft amendment of the JCC is more consistent with the Bankruptcy Code of Japan than the draft amendment draft of the KCC with the Bankruptcy Code of Korea. Third, the draft amendment of KCC seeks to balance the interests among the creditor, the debtor and the transferee compared to the draft amendment of JCC, based on the following contents: (i) to place the burden of proof as to the intention of a transferee on a creditor, not on a transferee; (ii) to prohibit setting-off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the creditor applying to the court the revocation of the fraudulent transfer; and (iii) to follow Article 748(Amount of Benefits to be Returned by Person Enriched) of the KCC in determining the amount of compens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in order to remove the logical contradiction between the theories of relative void and the creditor-equalitarianism, and to make the KCC consistent with the Bankruptcy Law of Korea, a few of the rules on the draft amendment the JCC should be adopted in the draft amendment of the KCC. It would be more desirable if Korea, as if the U.S. and Germany, has a separate legal framework for fraudulent transfer regulating all the substantive and procedural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