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PFAPA (Periodic Fever, Aphthous Stomatitis, Pharyngitis, and Cervical Adentis) 증후군 1예
강혜련,김신우,배기범,박지현,강영모,이종명,김능수 대한감염학회 2001 감염 Vol.33 No.3
PFAPA (Periodic Fever, Aphthous stomatitis, Pharyngitis, and cervical Adenitis) syndrome has characteristic features of an early onset, periodicity (interval <4 weeks), and a brisk rising high fever (>39℃) of 3 to 6 days' duration without signs of infection. An 18-year-old male was admitted for high fever, sore throat, headache, and abdominal pain. He had suffered from periodic fevers associated with pharyngitis and cervical adenitis for 14 years without any evidence of infection. The fever recurred approximately every 4 weeks lasting 4 to 7 days with intervening asymptomatic periods. Physical examination was unremarkable except for slightly injected tonsils. Most laboratory tests including CBC were normal except for elevation of Creactive protein level (3.47 mg/dL). Bacteriologic and radiologic studies were negative. The fever was spontaneously subsided in 6 day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 of PFAPA syndrome in Korea. (Korean J Infect Dis 33:219∼222, 2001)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지역의 정치의식 변화에 관한 소고(小考) - 지역주의적 투표행태와 집권정당에 대한 지지의 전형성 평가를 중심으로 -
강혜련,박재욱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2
This study focuses on political atmosphere in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on the basis of votings and survey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voting patterns in the regions are similar to those found in the Russian Federation as a whole: the grassroots of the regions appeared to accept policies of the center. Second, increasing support for the 'ruling party' has recorded in elections, particularly in large cities. Third, as a result of increasing role of the ruling party, conservative left wing seems to be marginalized. Political factions are merged with dominating ruling party in the regions, as well as at the center. Fourth, a high level of support for the ruling party are also apparent in the national administrative units, particularly under Putin. Such tendencies shows growing authoritarianism in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Fifth, survey results, however, are in contradiction to the voting patterns: the grassroots in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often withdraw their supports for the center. These findings lead us to a conclusion that the political tendencies in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has formed a rather complicated feature: support authoritarian center with their emphasis of reform policies. Such feature seems to be unchanged at least in the near future. 이 글은 러시아의 극동, 동시베리아지역 주민들의 정치의식 변화를 주로 연방 및 지방수준 투표결과와 여론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지역주의적 투표행태와 집권세력에 대한 지지의 전형성 평가가 초점이었다. 전체적으로 드러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방수준 선거에서 보여준 투표경향은 연방 전체의 변화에 근접하고 있다. 지역의 정치적 세(勢)가 약하고 지역주민들이 연방중앙의 의사에 비교적 추종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여당적 집권세력에 대한 지지가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민족원칙 연방주체들 외에도 대규모 도시가 있는 연방주체들에서도 그 상승세는 상당한 정도에 이르고 있다. 셋째, 보수적 좌파성향의 정치세력은 위축속에서도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집권세력으로의 흡수라는 전반적인 흐름은 이제 지방에도 관통되고 있는 것이다. 넷째, 민족원칙 연방주체들에서 일관되게 집권세력, 여당적 정치세력에 대한 지지가 높다. 지지율 상승은 대도시에서도 적지 않은데, 이는 푸친 집권하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지방의회 선거결과와 결합하면 현재까지 이어짐을 알 수 있다. 극동, 시베리아지역의 차별적 특성, 푸친 집권 이래 권위주의적 색채의 강화 등을 보여주는 현상들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여론조사결과에서 나타나는 것은, 지방수준 정치에 대한 주민들의 의견은 종종 중앙권력에 대한 전반적 승인과 대비되는 흐름을 보인다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보수성과 개혁성의 측면에서 극동과 동시베리아지역은 이전의 보수성이 강했던 색채에서 이제는 외견상 개혁성을 강조하는, 권위주의적 정치세력에 대한 지지가 계속 강화되는 지역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일정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강혜련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0 유라시아연구 Vol.1 No.1
이 글은 옐친시기 러시아대통령의 제도, 개인, 측근집단에 대한 고찰을 통해 러시아대통령제의 특성과 러시아민주주의의 과도기적 성격을 조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제도적 측면에서 러시아대통령제는 삼권분립 구도를 넘어서는 막강한 대통령의 위상, 구소련적 유산을 바탕으로 한 대통령과 행정부의 관계의 특이성 및 대통령기구의 독자적인 권력기구로서의 활동가능성, 의회 및 정당과의 관계에서 지나친 권력불균형구조 등이 특징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대통령제의 특성은 대중적 정치인으로서 탁월한 감각을 갖고 있었지만 새로운 체제의 정착을 본격적으로 실행하는 데에서는 한계를 노정한 옐친의 지도자로서의 자질, 주요한 정치엘리트 충원메카니즘의 하나였다고 할 수 있는 옐친의 측근집단 형성과 결합하면서 실질적인 권력기구로서 대통령을 이루는 근간이 되었다. 옐친시대의 유산은 뿌친체제의 출발점이 되는데 권력핵심부의 확립과 정치적 안정이라는 과제에 부딪치면서 옐친에 의해 의도된 막강한 대통령의 위상이 이후 제도적 반전을 거쳐 어떻게 재정립될 것인라는 문제가 뿌친체제의 성격을 가름짓는 핵심인 초점이 될 것이다.
고등학교 복싱선수들의 FUNCTIONAL TRAINING 프로그램이 체력과 스포츠 심리기술에 미치는 영향
강혜련,서경수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16주간 Functional Training(FT)프로그램 실시 후 체력과 스포츠 심리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에 따른 경기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기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서울 송파구 소재 S고등학교에 재 학 중인 복싱부 남학생 총 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엘리트 복싱선수들에게 필요한 체력요인을 채택하여 통제집단, 실험 집단을 구성 대응표본 t-test (pair wise t-test)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스포츠 심리기술 측정은 한국판 스포츠수행전략검사 (Test of Performance Strategies, TOPS)를 통하여 실시하였으며, TOPS의 5가지 하위요인 혼잣말, 컨디션 조절, 심상과 목 표설정, 긴장풀기, 감정조절을 두 집단에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값을 산출하였고, 대응표본 t-test (pair wise t-test)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Window spss 23.0을 활용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일 반 훈련프로그램과 FT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체력요인의 변화는 두 집단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실헙집단에 경우 통제집단에 비하여 더 큰 폭으로 측정값이 향상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FT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스포츠 심리기술에 변화는 두 집단 모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혼잣말, 긴장풀기, 감정조절은 통제집단에서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아 FT프로그램에 적용이 스포츠 심리기술에 긍정적이고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16-week functional training(FT) program on the physical strength and sports psychological skills of high school boxers and provide basic data to contribute to their improved performance abilities.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selected boxing department total 16 boys that were attending S High School in Song pa-gu. An FT program was developed, being comprised of physical strength elements required from elite boxers. It was then tested with the pairwise t-test abased on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s. Sports psychological skills were measured with the Test of Performance Strategies(TOPS) for Korea with five subfactors including talking to oneself, controlling the condition, setting a mental image and goal, relaxing, and regulating emotions. Cronbach’s α was obtained to test the two groups for reliability with the pairwise t-test. The Window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in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study examined changes to the physical strength elements after the application of a general training program and the FT program and found partial significant effects on both the groups. The experiment group made greater improvement in its measurements than the control group. The study also examined changes to sports psychological skill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FT program and found parti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in talking to oneself, relaxing, and regulating emotions, which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FT program had positive and effective influence on sports psychological ski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