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PON망에서 RC-DBA 알고리즘을 적용한 OLT MAC 프로토콜의 VerilogHDL 구현

        강현진,장종욱 동의대학교 산업기술개발연구소 2006 産業技術硏究誌 Vol.20 No.-

        EPON은 점대다점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ONU에서 OLT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 트래픽 전송에서 전송매체를 공유함에 따라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모든 사용자가 공정한 매체 접근 권한을 가지고 경쟁 없이 전송을 하기 위한 매체접근 제어 기술이 필수적이다. RC-DBA 알고리즘은 버스트 트래픽 지원과 ONU들 사이의 공정성 지원 등의 장점을 가진 매체접근 제어 알고리즘이다. 본 논문에서는 RC-DBA알고리즘을 적용한 OLT MAC Chip의 구현을 위하여 하드웨어 기술 언어인 VerilogHDL로 코드를 작성하여 시뮬레이션을 해봄으로써 그 기능을 검증하였다.

      • KCI우수등재

        횡력을 받는 탑상형 원통쉘 구조물의 응력해석 ( Analysis of Stresses of Cantilevered Cylindrical Shell Structures under Lateral Load )

        강현진,권익노,김응교,최현식,권태식 대한건축학회 1998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14 No.6

        구조요소로 사용되는 원통쉘이 캔틸레버 형태로 지지되는 경우를 탑상형 원통쉘 구조물이라 하며, 이러한 구조물이 횡력을 받게되면 휨, 축력, 면내 전단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들 응력상태는 하중조건과 쉘의 형상파라미터, 그리고 기초와의 접합방법등 여러 가지 변수에 의해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기존 연구를 통해, 대칭하중을 받는 원통쉘에 대해 서는 상당한 연구 진척이 있었지만, 횡력과 같은 비대칭 하중을 받는 원통 쉘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횡력이 작용하는 탑상형 원통쉘에 있어서 그 형상에 따른 응력분포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부하중이 작용하는 원통쉘의 지배 미분방정식을 유도하고, 상단에 수평하중이 작용하는 탑상형 원통쉘에 대한 경계조건을 적용하여, 응력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작성된 프로그램을 통해, 쉘의 형상(두께)에 따른 응력의 분포를 파악하며, 유사한 구조물의 설계 등에서 응력상태를 손쉽게 예측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 KCI등재

        취학 전 아동의 손 기민성과 시각-운동 기술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강현진,고경혜,박수정,박주연,장문영,Kang, Hyun-Jin,Ko, Kyoung-Hye,Park, Su-Jung,Park, Ju-Yeoun,Chang, Moon-Young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5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3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hand dexterity and visual-motor skills of preschoolers. We search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wo test results, which were the 9-Hole Peg Test performance time and the visual motor integration test(VMI) performance score. Then, we also compared the 9-Hole Peg Test performance times with the VMI performance scores according to sex and age. Method : The participants were fifty normal children ranging in age from four to six years living in Busan. We used two test methods which have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One was the 9-Hole Peg Test to evaluate hand dexterity, and the other was the VMI to the evaluate visual-motor skills of these young children. Results : First, over the entire range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times from the 9-Hole Peg Test and the VMI performance scores(r=-.682). Seco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formance times from the 9-Hole Peg Test and the VMI scores according to sex.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and dexterity and visual-motor skills according to the children's age(p<.001). Conclusion : This study proved that there is high correlation between hand dexterity and visual-motor skills of the preschooler. Occupational therapists in preschool service should consider that visual-motor skills need to be compatible with hand dexterity in both evaluation and therapy. In addition, hand dexterity and visual-motor skills improved according to advances in age, so we must give graded tasks to proper age groups through concrete analysis of activity. By doing this, children can get the better therapeutic effects.

      • KCI등재

        A Case of Linear Exacerbation of Atopic Dermatitis with Secondary Prurigo Nodularis

        강현진,김효정,한주희,김태윤 대한피부과학회 2022 Annals of Dermatology Vol.34 No.4

        Inflammatory acquired Blaschko-linear dermatoses (IABLD) are a continuous concept involving diseases such as lichen striatus, blaschkitis, and atopic dermatitis. However, atopic dermatitis that showed increase in severity along Blaschko lines is rarely reported on its own. Herein, we report a rare case of atopic dermatitis with secondary prurigo nodu- laris along Blaschko lines, which may be valuable in broadening the concept of IABLD. A 28-year-old male presented with multiple, pruritic, brownish nodules on the left lower ex- tremity along Blaschko lines for 3 to 4 years. The patient had atopic dermatitis since child- hood. Histopathologic findings revealed compact orthohyperkeratosis, hypergranulosis, spongiosis, and irregular acanthosis in the epidermis. Fibrosis with vertically arranged collagen fibers and perivascular lymphohistiocytic infiltration were shown in the upper dermis. We diagnosed the case as secondary prurigo nodularis along Blaschko lines, accom- panied by the preceding atopic dermatitis. We hypothesized that the patient’s underlying atopic dermatitis increased in severity along Blaschko lines, and prurigo nodularis occurred due to frequent scratching. The lesions improved with topical methylprednisolone cream, oral antihistamines and intralesional triamcinolone injection.

      • KCI등재

        454 Pyrosequencing을 이용한 실규모 혐기성 소화조의 아케아 군집구조 분석

        강현진,김택승,이영행,이택준,한금석,최영준,박희등,Kang, Hyun-Jin,Kim, Taek-Seung,Lee, Young-Haeng,Lee, Taek-June,Han, Keum-Suk,Choi, Young-Jun,Park, Hee-Deung 한국미생물학회 2011 미생물학회지 Vol.47 No.3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16S rRNA 유전자 기반의 454 pyrosequencing을 통해 혐기성 소화조에 존재하는 다양한 아케아를 규명할 수 있었으며, 지금까지 그 중요성이 잘 알려지지 않은 Methanococcales 목에 속하는 아케아가 소화조에 공통적으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소화조의 운전조건은 아케아의 다양성과 군집구조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규모 6개 혐기성 소화조를 대상으로 11개 소화 슬러지 시료를 채취해, 16S rRNA 유전자 기반의 454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아케아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아케아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로부터 측정된 observed operational taxanomic units (OTUs)는 13-55 OTUs이었으며(3% cutoff), 이는 Chao1 richness estimate로 계산된 값의 29-89%에 해당하였다. 소화조에는 메탄생성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Methanomicrobiales, Methanobacteriales, Methanococcales, Methanosarcinales, Methanocellales 목에 속하는 아케아 뿐만 아니라, Thermoproteales, Thermoplasmatales, Desulfurococcales목에 속하는 아케아도 함께 발견되었다. 이 중 수소를 기질로 해서 메탄을 생성한다고 알려진 Methanoacoccales가 전체 염기서열의 51.8-99.7%를 차지해 가장 많이 발견된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Heat map 분석결과 각 시료들의 아케아 군집구조는 1개 시료를 제외한 나머지 10개 시료가 매우 비슷한 군집구조를 가지고 있었다(Pearson 상관지수=0.99). 또한, 아케아 군집구조와 환경변수들의 상관성을 분석한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를 통해 혐기성 소화조의 아케아 군집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환경변수는 소화조의 온도와 총고형물 제거율임을 확인하였다. 모든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소화조의 운전조건은 아케아의 다양성과 군집구조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라고 사료된다. Archaeal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using 454 pyrosequencing technology based on 16S rRNA gene in 11 samples collected from six different full-scale anaerobic digesters. Observed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s) estimated from the archaeal 16S rRNA gene sequences were 13-55 OTUs (3% cutoff) which was corresponded to 29-89% of Chao1 richness estimates. In the anaerobic digesters there were archaeal sequences within the orders Thermoproteales, Thermoplasmatales, Desulfurococcales as well as within the orders Methanomicrobiales, Methanobacteriales, Methanococcales, Methanosarcinales, and Methanocellales, which are known to produce methane. Among these orders, Methanococcales known to produce methane using hydrogen was the predominant taxon and constituted 51.8-99.7% of total sequences. All samples showed a very similar community structur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0.99) except for one sample based on a heat map analysis. In addition,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orrelating archaeal communities to the environmental variables demonstrated that digester temperature and total solids removal rate were the two important explanatory variables. Overall results suggested that environmental and operational variables of anaerobic digester are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archaeal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 KCI등재

        비폭력대화(NVC)모델에 근거한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강현진,김주희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2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26 No.1

        Purpose: Sex education should be given priority to address dating violence. Comprehensive sex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based on a nonviolent communication model between couples for the smooth resolution of problems with the opposite sex.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Comprehensive Sex Education for unmarried couples in their 20s-30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n sex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competence. Methods: This study developed a total of six web-based sex education sessions. A comprehensive sex education program combined with nonviolent communication between couples was developed based on the UNESCO Sex Education Guidelines. A pre- and post-equivalence control design was used to provide moderation-based sex education to compare the effects on gender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is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development. Results: We developed a comprehensive sex education program for couples that took three minutes per episode, on a web-based basis. Sex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and love relationship competence showed significant pre- and post-tes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The program of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troduce Korea to comprehensive sex education, which has already been shown to be effective through numerous verification processes abroad and will provide assistance in forming future relationships between lovers. 연구배경 및 목적: 연인 간 데이트폭력의 심각성이 강조 되면서 데이트 폭력의 대처를 위해 교육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 연인 간 포괄적인 성교육과 이성문제의 원활한 해결을 위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인관계인 20대 미혼 커플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성 의사소통, 문제해결 의사소통, 연인관계유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유네스코 성교육 가이드라인을 참고로 연인 간 평화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비폭력대화를 융합하여 총 6회기의 웹기반 연인 간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연구 참여 허락한 커플 20대 연인 48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13쌍에게 6회의 연인 간 포괄적성교육을 대조군 11쌍은 기존의 절제중심 성교육을 제공하여 성 의사소통, 의사소통 불만족, 연인관계 발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이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으로 총 6회의 회기 당 4편으로 편당 3분 소요되는 연인 간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실험 전 후 성 의사소통(t=7.51 p=.000), 문제해결 의사소통(t=-5.85 p=.000), 연인관계 유능성(t=6.02 p=.000) 모두 향상되어 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확인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중재프로그램은 국외에서 이미 수많은 검증과정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의 확보를 해온 포괄적성교육의 우리나라의 도입에 있어서의 하나의 시도이자 향후 연인 간 관계형성에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전반적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 특성의 상관관계

        강현진,장문영,김경미,Kang, Hyun-Jin,Chang, Moon-Young,Kim, Kyeong-Mi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1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9 No.2

        목적 : 전반적발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특성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전반적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특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만 4세에서 6세의 전반적발달장애로 진단받은 아동과 만 4세에서 6세 사이의 일반적 아동이다. 연구도구는 자폐아동의 섭식행동 체크리스트(Brief Autism Mealtime Behavior Inventory: BAMBI), The Sensory Checklist의 Food 영역, 감각에 대한 아동의 반응 질문지(Short Sensory Profile: SSP)이다. 전반적 발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기관을 통해 실시하였다. 전반적발달장애아동의 설문지 45부와 일반아동의 설문지 109부를 분석하여 감각처리, 섭식행동, 구강섭식의 차이와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 전반적발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은 차이가 있었다. 감각처리능력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발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섭식특성인 섭식행동과 구강섭식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발달장애아동은 감각처리능력에 어려움이 많을수록 섭식행동의 문제가 많이 나타났다. 전반적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의 하위 영역 중 맛/냄새민감성, 청각여과하기에 어려움이 많을수록 섭식행동의 문제가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감각처리능력의 하위 영역 중 과소반응/자극추구행동, 청각여과하기와 구강섭식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전반적발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특성을 비교하고 감각처리능력과 섭식 특성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전반적발달장애아동의 섭식행동 중재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compare children with and without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in terms of the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oral feeding. This study also aims to identify correlation between sensory processing and characteristics of eating.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normal children and those who have diagnosis of a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aged from 4 to 6. The research instruments were composed of Short Sensory Profile (SSP), Brief Autism Mealtime Behavior Inventory (BAMBI) and Food Items of the Sensory Checklist. Data collection was done by a professional survey institute located in 10 cities including Busan, South Korea.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55 parent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pervasi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the survey institutes. Total 263 answers were collected out of 455 questionnaires (62%) and 154 answers were used in data analysis. Out of 154 answers, 45 were for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109 were for normal children. Data analysis was done to identify correlations between sensory processing and characteristics of eating such as eating behavior and oral feeding. Results :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in all area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p<.05). 2.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in eating behavior (p=0.881) and oral feeding (p=0.324). 3. In the group of children with a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it is found that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processing, eating behavior and oral feeding (r=-0.384, p<.01). 4. A remarkabl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ensory processing and eating behavior especially in taste/smell sensitivity (r=-0.6, p<.01) and auditory filtering (r=-0.326, p<.05). Th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processing and oral feeding was most significant in under responsiveness/seeking sensation (r=-0.372, p<.05) and auditory filtering (r=-0.382, p<.05).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some characteristics of eating behaviors for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This information can be useful to develop a program to intervene eating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 KCI등재

        Laddering 방법론을 이용한 국내 소형 SUV 브랜드 가치 평가 - 기아자동차 브랜드를 중심으로 -

        강현진,장미경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4

        Background Small SUVs have more than doubled in the auto market over the past three years. The reasons for choosing the compact SUV were its reasonable price, convenience of driving and refined design. A key factor in this market growth is the brand value, and we want to evaluate the value of small SUV brands accordingly. Methods The 50 subjects were selected after pre-evaluation, and Kia Motors, which has the largest number of compact SUVs in the country, was limited to research. By applying Hinkle's Laddering Methodology using Hinkle's Laddering Methodology, the Attributes-Consequence-Values research model based on the Mean-end Chain theory was used. Through such a research model, the company aims to assess the value of Kia Motors' four compact SUV models. Result The results of the small SUV brand valuation show that overall quality and high quality persistence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attribute stage, and that the degree of value in the result stage and the special reason for purchase have been analyz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value stage of attachment and preference. The degree to which the small SUV brand value is known, user image, uniqueness, and intention to pay the surcharge were extracted as having a (-) effec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odel using the Laddering methodology as a valuation of Kia Motors' compact SUV brand have extracted factors that strengthen the properties existing in small SUV brands and the results provided to consumers by their attributes. This factor has been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onnection between consumers' personal values, and the conclusions of studies have been extracted that it may affect the thinking and behavior of customers who intend or make purchases. 연구배경 지난 3년간 자동차 시장에서 소형 SUV는 2배 이상 성장을 하였고, 소형 SUV를 선택하는 이유는 합리적인 가격, 운전의 편의성, 세련된 디자인을 꼽았다. 이러한 시장 성장의 핵심 요인은 회사 별 브랜드 가치라 판단되며 이에 따른 소형 SUV 브랜드 가치를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피 실험자 50명을 사전 평가하여 선정하고 국내 완성차 소형 SUV를 가장 많이 보유한 기아자동차를 연구대상으로 한정하였다. Hinkle의 Laddering 방법론을 기본으로 그 요소들을 적용하여 수단-목적 사슬이론을 기반으로 한 속성-결과-가치의 연구모형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모형을 통해 기아자동차의 소형 SUV 4개 모델 브랜드 가치를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소형 SUV 브랜드 가치평가 결과는 전반적인 품질과 고품질의 지속성이 가장 중요한 속성단계의 요인이고, 결과단계에서 가치의 정도와 구매할 만한 특별한 이유로 분석되어 애착심, 선호도의 가치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를 추출했다. 소형 SUV 브랜드 가치에 알고 있는 정도, 사용자 이미지, 독특성, 추가요금 지불 의도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출되었다. 결론 기아자동차 소형 SUV 브랜드들의 가치 평가로 Laddering 방법론을 이용한 본 연구모형의 결과는 소형 SUV 브랜드에 존재하는 속성과 그 속성에 의해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결과를 강화하는 요인을 추출하였다. 이 요인으로 소비자의 개인적 가치 사이의 연결 관계가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으며 구매의도를 갖거나 구매를 하는 고객들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의 결론을 추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