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의료기관 핵의학 종사자의 직무 별 개인피폭선량에 관한 연구

        강천구,오기백,박훈희,오신현,박민수,김정열,이진규,나수경,김재삼,이창호,Kang, Chun-Goo,Oh, Ki-Baek,Park, Hoon-Hee,Oh, Shin-Hyun,Park, Min-Soo,Kim, Jung-Yul,Lee, Jin-Kyu,Na, Soo-Kyung,Kim, Jae-Sam,Lee, Chang-Ho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0 핵의학 기술 Vol.14 No.2

        본 연구는 방사성동위원소의 의학적 이용도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기관 핵의학과 방사선 관계종사자의 직무 별 방사선 이용에 대한 개인 방사선 피폭선량의 실태를 파악하여, 방사선 위험에 대해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방사선 관계종사자들에게 안전관리와 합리적인 피폭선량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분석하였다. 2007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핵의학 방사선 관계종사자로 분류되어 개인 방사선피폭선량 측정을 정기적, 연속적으로 3년 간 조사 관리된 40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직종 별, 영상실 별, 연령 별, 선량구간 별, 직무 별 관련업무를 파악하여 심부선량에 대하여 연간평균피폭선량을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법으로는 빈도분석과 ANOVA를 시행하였다. 3년 간 영상실 별 연간피폭선량은 PET 및 PET/CT 영상실이 11.06~12.62 mSv로 가장 높은 피폭선량을 보였고, 감마카메라 주사실이 11.72 mSv로 높았으며, 직종 별 연간평균피폭선량은 임상병리사가 8.92 mSv로 가장 높았고, 방사선사 7.50 mSv, 간호사 2.61 mSv, 연구원 0.69 mSv, 접수 0.48 mSv, 의사 0.35 mSv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업무에 따른 직무별 연간평균피폭선량은 PET 및 PET/CT 업무가 12.09 mSv로 가장 높은 피폭선량을 보였으며, 감마카메라 주사실이 11.72 mSv, 싸이크로트론 관련 합성 업무 8.92 mSv, 감마카메라 영상업무 4.92 mSv, 치료 및 안전관리 2.98 mSv, 간호사 업무 2.96 mSv, 관리 업무 1.72 mSv, 영상분석 업무 0.92 mSv, 판독업무 0.54 mSv, 접수업무 0.51 mSv, 연구업무 0.29 mSv 순으로 나타났다. 선량구간 별 연간평균피폭선량은 연구대상자의 15명(37.5%)이 1 mSv이하의 선량분포와 5명(12.5%)이 1.01~5.0 mSv이하의 선량분포를 가지고 있었고, 5.01~10.0mSv에서 14명(35.0%), 10.01~20.0 mSv에서 6명(15.0%)의 분포로 분석되었다. 연령에 따른 연간평균피폭선량은 방사선사 직종에서는 25~34세 종사자가 8.69 mSv로 가장 높은 평균선량을 보였고, 근무기간에 따른 연간평균피폭선량은 방사선사 직종에서 5~9년 종사자가 9.5 mSv로 가장 높은 평균선량을 나타냈다. 고용형태에 따른 연간평균피폭선량은 정규직 임상병리사 8.92 mSv, 방사선사 7.82 mSv, 계약직 방사선사 7.55 mSv, 인턴직 방사선사 5.62 mSv, 계약직 간호사 2.61 mSv, 정규직 연구원 0.69 mSv, 접수 0.55 mSv, 의사 0.35mSv 순으로 피폭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핵의학 방사선 관계종사자의 대부분이 현재의 방사선 안전관리가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직무특성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체계적 교육과 합리적 피폭량 관리를 위한 체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With increasing medical use of radiation and radioactive isotopes, there is a need to better manage the risk of radiation exposure. This study aims to grasp and analyze the individual radiation exposure situations of radiation-related workers in a medical facility by specific job, in order to instill awareness of radiation danger and to assist in safety and radiation exposure management for such workers. Materials and Methods: 1 January 2007 to 31 December 2009 to work in medical institutions are classified as radiation workers Nuclear personal radiation dosimeter regularly, continuously administered survey of 40 workers in three years of occupation to target, Imaging Unit beautifully, age, dose sector, job function-related tasks to identify the average annual dose for a deep dose, respectively, were analyzed. The frequency analysis and ANOVA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Imaging Unit beautifully three years the annual dose PET and PET/CT in the work room 11.06~12.62 mSv dose showed the highest, gamma camera injection room 11.72 mSv with a higher average annual dose of occupation by the clinical technicians 8.92 mSv the highest, radiological 7.50 mSv, a nurse 2.61 mSv, the researchers 0.69 mSv, received 0.48 mSv, 0.35 mSv doctors orderly, and detail work employed the average annual dose of the PET and PET/CT work is 12.09 mSv showed the highest radiation dose, gamma camera injection work the 11.72 mSv, gamma camera imaging work 4.92 mSv, treatment and safety management and 2.98 mSv, a nurse working 2.96 mSv, management of 1.72 mSv, work image analysis 0.92 mSv, reading task 0.54 mSv, with receiving 0.51 mSv, 0.29 mSv research work, respectively. Dose sector average annual dose of the study subjects, 15 people (37.5%) than the 1 mSv dose distribution and 5 people (12.5%) and 1.01~5.0 mSv with the dose distribution was less than, 5.01~10.0 mSv in the 14 people (35.0%), 10.01~20.0 mSv in the 6 people (15.0%) of the distribution were analyzed. The average annual dose according to age in occupations that radiological workers 25~34 years old have the highest average of 8.69 mSv dose showed the average annual dose of tenure of 5~9 years in jobs radiation workers in the 9.5 mSv The average was the highest dos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dical radiation workers working in Nuclear Medicin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of the majority of the current were carried out in the effectiveness, depending on job characteristics has been found that many differences. However, this requires efforts to minimize radiation exposure, and systematic training for them and for reasonable radiation exposure management system is needed.

      • 의료기관 방사선 종사자의 직무별 개인피폭선량에 관한 연구

        강천구,오기백,박훈희,Kang, Chun-Goo,Oh, Ki-Baek,Park, Hoon-Hee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1 핵의학 기술 Vol.15 No.2

        본 연구는 방사성동위원소의 의학적 이용도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기관 핵의학과 방사선관계종사자의 직무별 방사선 이용에 대한 개인 방사선피폭선량의 실태를 파악하여, 방사선 위험에 대해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방사선 관계종사자들에게 안전관리와 합리적인 피폭선량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분석하였다. 2010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방사선종사자로 분류되어 개인 방사선피폭선량 측정을 정기적, 연속적으로 1년간 조사 관리된 540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부서별, 선량영역구간별, 근무기간별, 직무별 관련업무를 파악하여 심부선량에 대하여 연간평균피폭선량을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법으로는 빈도분석과 ANOVA를 시행하였다. 의료기관 방사선종사자의 부서별 연간피폭선량은 핵의학과 4.57 mSv로 가장 높았으며, 심장혈관중재술실 2.09 mSv, 마취통증의학과 1.42 mSv, 영상의학과 1.10 mSv, 구강악안면 방사선과 0.59 mSv, 방사선종양학과 0.50 mSv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선량영역별 분포는 핵의학과, 심장혈관중재술실에서 5.01~19.05 mSv의 높은 선량영역분포를 보였으며, 부서별 방사선사의 연간피폭선량은 핵의학과 7.14 mSv로 가장 높은 피폭선량을 보이고 있으며, 심장혈관중재술실 1.46 mSv로 높았고, 영상의학과 0.97 mSv, 구강악안면방사선과 0.66 mSv, 방사선종양학과 0.54 mSv 순으로 나타났다. 세부업무에 따른 직무별 연간평균피폭선량은 싸이크로트론 관련 합성 업무 17.47 mSv로 가장 높은 피폭선량을 보였으며, Gamma camera 영상실 7.24 mSv, PET/CT 영상실 업무가 7.60 mSv로 높게 나타났고, 인터벤션 2.04 mSv, 심혈관중재술실 1.46 mSv, 일반촬영 1.21 mSv, Primart 치료실 0.90 mSv, 구강악안면방사선과 일반촬영 0.66 mSv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간별, 선량영역별에 따른 연간평균피폭선량은 구강악안면방사선과에서는 10~14년 종사자가 1.01~3.00 mSv로 높은 평균선량을 보였고, 방사선종양학과는 모든 근무기간에 따라 0.00~1.00 mSv 의 낮은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를 보였으며, 심혈관중재술실은 10~14년, 15~19년 근무에 따라 각각 1.01~3.00 mSv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하였으며, 영상의학과에서는 1~4년, 5~9년 종사자가 각각 1.01~8.00 mSv의 가장 높은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를 보였고, 핵의학과에서는 1~4년, 5~9년 종사자가 각각 3.01~19.05 mSv 의 가장 높은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를 보였으며, 10~14년, 15~19년 종사자에서도 각각 3.01~15.00 mSv의 높은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방사선관계종사자의 대부분이 현재의 방사선 안전관리가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직무특성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체계적 교육과 합리적인 피폭량 관리를 위한 체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With increasing medical use of radiation and radioactive isotopes, there is a need to better manage the risk of radiation exposure. This study aims to grasp and analyze the individual radiation exposure situations of radiation-related workers in a medical facility by specific job, in order to instill awareness of radiation danger and to assist in safety and radiation exposure management for such worke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 2010 December 31, 2010, medical practitioners working in the radiation is classified as a regular personal radiation dosimetry, and subsequently one year 540 people managed investigation department to target workers, dose sectional area, working period, identify the job function-related tasks for a deep dose, respectively, the annual average radiation dose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methods include ANOVA was performed. Results: Medical radiation workers in the department an annual radiation dose of Nuclear and 4.57 mSv a was highest, dose zone-specific distribution of nuclear medicine and in the 5.01~19.05 mSv in the high dose area distribution showed departmental radiation four of the annual radiation dose of Nuclear and 7.14 mSv showed the highest radiation dose. More work an average annual radiation dose according to the job function related to the synthesis of Cyclotron to 17.47 mSv work showed the highest radiation dose, Gamma camera Cinema Room 7.24 mSv, PET/CT Cinema Room service is 7.60 mSv, 2.04 mSv in order of intervention high, were analyzed. Working period, according to domain-specific average annual dose of radiation dose from 10 to 14 in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practitioners as high as 1.01~3.00 mSv average dose showed the Department of Radiology, 1-4 years, 5-9 years, respectively, 1.01 workers~8.00 mSv in the range of the most high-dose region showed the distribution, nuclear medicine, and the 1-4 years, 5-9 years 3.01~19.05 mSv, respectively, workers of the highest dose showed the distribution of the area in the range of 10 to 14 years, Workers at 15-19 3.01~15.00 mSv, respectively in the range of the high-dose region were distribute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dical radiation workers working in Nuclear Medicin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of the majority of the current were carried out in the effectiveness, depending on job characteristics has been found that many differences. However, this requires efforts to minimize radiation exposure, and systematic training for them and for reasonable radiation exposure management system is needed.

      • 동적신장팬텀시스템 개발에 따른 장비별 사구체여과율의 비교

        강천구,박훈희,오신현,이한울,김정열,오주영,이주영,김재삼,이창호,Kang, Chun Goo,Park, Hoon-Hee,Oh, Shin Hyun,Lee, Han Wool,Kim, Jung Yul,Oh, Joo Yung,Lee, Ju Young,Kim, Jae Sam,Lee, Chang Ho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3 핵의학 기술 Vol.17 No.2

        핵의학 검사 중 동적 신장검사는 신장기능을 평가하는 가장 대표적인 검사법으로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신장의 기능을 평가하고 소변이 배설에 이르기까지의 질환 평가에 유용하다. 이러한 검사영상의 질 평가 및 정량 분석에서 현재 상용화 된 팬텀은 정적 상황만 재현하고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동적 팬텀을 통한 시간에 따른 신장의 기능적 상황과 혈류속도, 방사성동위원소의 주입량에 따른 다양한 차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동적 신장팬텀 시스템을 제작하여 신장의 동적 흐름을 통한 영상을 재현함으로써 핵의학에서 영상학적으로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신장팬텀은 정상 성인 신장을 기준으로 제작하였고, 동적 상황을 재현하기 위하여 혈류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정량 펌프를 적용하였으며, $^{99m}Tc-pertechnate$를 신장팬텀에 방사성의약품이 집적되고 방광으로 배설되도록 제작하였다. 사용된 방사성의약품은 각 신장팬텀에 각각 주입되도록 하였으며, 주입속도, 방사성의약품, 좌우 신장팬텀에 다른 주입속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였다. 획득한 영상의 분석은 전면상과 후면상 각각의 신장과 방광에 관심영역을 그려 분석하였으며,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10회씩 반복하여 분석하였다. 동일한 조건하에 주입속도 40 mL/min로 고정하여 펌프의 압력을 조절하였을 때 방사성의약품이 2-3분 사이에 신장팬텀에 가장 많이 집적되었다가 방광으로 배출되었다. 각 장비별 사구체 여과율은 각각 SYMBIA 1,091 mL/min, FORTE 1,232 mL/min, ARGUS 1,264 mL/min, INFINIA 1,302 mL/min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max 값 그리고 T1/2 값 모두에서 장비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동계수인 CV 값은 5% 이하로 재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SYMBIA가 2.67%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INFINIA가 4.8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동적신장팬텀시스템이 실제 임상의 신장동적검사를 유사하게 재현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신장을 통해 방광으로 배설되는 흐름에 대해 시간에 따른 묘사가 충분하게 재현되었으며, 동적 영상의 질을 확인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추후 기능적 영상 분야에 연구 및 정도관리 분야에도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 Purpose: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phantom can reproduce and evaluate only a static situation, the study is incomplete research on phantom and system which is can confirmed functional situation in the kidney by time through dynamic phantom and blood flow velocity, variou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radioactive.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t has produced the dynamic kidney phantom to reproduce images through the dynamic flow of the kidney, it desir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nuclear medicine imaging. Materials and Methods: The production of the kidney phantom was fabricated based on the normal adult kidney, in order to reproduce the dynamic situation based on the fabricated kidney phantom, in this study it was applied the volume pump that can adjust the speed of blood flow, so it can be integrated continuously radioactive isotopes in the kidney by using $^{99m}Tc-pertechnate$. Used the radioactive isotope was supplied through the two pump. It was confirmed the changes according to the infusion rate, radioactive isotopes and the different injection speeds on the left and right, analysis of the acquired images was done by drawn ten times ROI in order to check the reproducibility of each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kidney and bladder. Results: Under the same conditions infusion rate 40 mL/min fixed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pump when the radiopharmaceuticals between 2-3 minutes in the most integrated in the kidney phantom was excreted inthe bladder.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respectively, by each device SYMBIA 1,091 mL/min, FORTE 1,232 mL/min, ARGUS 1,264 mL/min, INFINIA 1,302 mL/min in that there is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max values and T1/2 values stars from all equipment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CV values of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less than 5% was found to be repeatable, and to 2.67% of the lowest SYMBIA appeared, INFINIA was the highest in the 4.86%.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ynamic kidney phantom system is able to similarly reproduce renogram in the actual clinical. Especially, the depicted over time for the flow to be excreted through the kidney into the bladder was adequately reproduce,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to check the quality of the dynamic images.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o help in the field of functional imaging and quality control.

      • KCI등재후보

        현대 실천신학 방법론적 흐름과 개혁주의 실천신학 방법론에 대한 소고

        강천구(Kang, Chunku) 개혁신학회 2021 개혁논총 Vol.55 No.-

        본 연구는 현대 실천신학의 발전을 방법론적 차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개혁주의 실천신학의 연구 방법론의 원리들을 모색한다. 특별히 현대 실천신학 방법론 발전에 큰 영향을 준 돈 브라우닝(Don S. Browning)의 방법론과 그 전개를 살펴보며, 개혁주의 관점에서 그것을 평가하고개혁주의 실천신학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적 원리들에 대해 성찰해본다. 본 연구는 현대 실천신학의 방법론의 특징을 (1) 이론과 실천의 긴밀한 연결 노력, (2) 경험과 실천 현장(praxis)의 중요성 강조, (3) 실천신학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4) 폭넓고심도 있는 이해를 위한 학제 간 비평적 대화의 방법 사용, 그리고 (5) 다양하고 창의적인 연구 방법의 활용 등으로 보고, 이를 비평적으로 평가하며 수용하여 적용할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실천신학의 학제 간 비평적 대화의 작업을개혁주의 입장에서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바른 기독교적 인식론의 정립과함께 특별계시와 신학, 신학과 다른 학문 간의 분명한 관계 설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practical theology concerning its methodology and seeks the methodological principles for the practical theological research in the tradition of Reformed theology. In particular, by examining Don S. Browning s methodology that great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the methodology in contemporary practical theology, this study evaluates it from the Reformed theological perspective and finds the methodological principles applicable to the Reformed practical theology. This study outlin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ology of contemporary practical theology: (1) efforts to closely connect theory and practice, (2)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praxis, (3) hermeneutic understanding of practical theology, (4) interdisciplinary critical dialogue for broad and in-depth understandings, and (5) the use of diverse and creative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it criticall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critical acceptance of these features to the Reformed practical theology. In order to effectively carry an interdisciplinary critical dialogue of practical theology from a reformist standpoint,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valid Christian epistemology and understanding proper relationships between special revelation and theology and between theology and other secular disciplines is emphasized.

      • 체화 개념을 통한 우울증의 전인적 이해

        강천구 ( Chun Ku Kang ) 한국목회상담학회 2009 목회와 상담 Vol.13 No.-

        Overcoming the Cartesian dualism of mind and body,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embodiment" not only provides a holistic theoretical framework for conceptualizing the human self as embedded in the bodily self, but also provides an integrative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formation of the human self, and how it changes within the matrix of social relationships. Exploring how embodiment as a guiding metaphor elucidates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depression, this article aims to offer a theoretical framework for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regarding the formation of the self and related psychopathology. Focusing on the biological dimension, this study examines how recent scientific knowledge of depression in genetic studies and molecular biology research supports the use of embodiment as a framework for conceptualizing depression, and more broadly the self and its formation. Drawing upon the psychological theories of learning and social emotions, this article will also explore how the physical body interacts with the environment by examining how the self forms, and depression develops within an embodiment metaphor. In doing so, this article presents how utilizing embodiment as a metaphor can meaningfully connect biological dimensions with psychological perspectives, such as psychodynamic and cognitive behavioral theories. This study further examines the theological and spiritual significance of embodiment in terms of theological anthropology and spiritual formation. Finally, it consider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holistic treatment of depression.

      • 치밀형 유방에서 Molecular Breast Imaging 검사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백송이,강천구,이한울,박민수,최영숙,김재삼,Baek, Song Ee,Kang, Chun Goo,Lee, Han Wool,Park, Min Soo,Choi, Young Sook,Kim, Jae Sam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6 핵의학 기술 Vol.20 No.1

        [목 적] 유방촬영술은 유방의 해부학적 구조를 관찰할 수 있어 유방암의 조기 진단 및 발견에 가장 널리 이용하는 검사법이지만 치밀형 유방을 가진 고위험군 환자에서는 민감도가 현저히 감소한다. Molecular Breast Imaging (MBI) 검사는 고해상도로 유방의 기능적 영상 획득이 가능하고, 치밀 조직에서 종양의 위치 확인이 유용하여 더욱 향상된 진단적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영상 기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치밀형 유방을 가진 환자에게서 종양 진단을 위한 MBI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9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 본원에 내원한 여성 유방암 환자 중 치밀형 유방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대상 환자는 MBI와 유방촬영술을 모두 시행하였다. MBI (Discovery 750B; General Electric Healthcare, USA) 검사는 $^{99m}Tc-MIBI$ 20 mCi를 병변이 있는 반대 측 팔에 주사한 후 20분 뒤 양측 유방의 상하 방향, 내외 사 방향 영상을 얻었고, 유방촬영술 또한 동일한 자세로 시행하였다. MBI와 유방촬영 영상을 각각의 영상과, 두 영상을 모두 활용한 경우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블라인드 테스트로 비교 평가하였다. [결 과] 유방촬영술에서는 민감도 63%, 특이도 38.6%였으며, MBI 검사에서는 민감도 88.5%, 특이도 87%였다. 유방촬영술과 MBI 검사를 모두 활용한 경우 민감도 93%, 특이도 91.7%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유방촬영술에서 쉽게 판별할 수 없었던 치밀 조직의 종양이 MBI 검사상 육안적 평가가 용이해져 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MBI 검사는 미세석회화를 영상화 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유방촬영술과 함께 진행된다면 더욱 많은 진단적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Mammography is the most widely used scan for the early diagnosis since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anatomy of the breast. however, The sensitivity is markedly reduced in high-risk patients with dense breast. Molecular Breast Imaging (MBI) sacn is possible to get the high resolution functional imaging, and This new neclear medicine technique get the more improved diagnostic information through It is useful for confirmation of tumor's location in dense brea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MBI for tumor diagnosis in patients with dense breast. Materials and Methods We investigated 10 patients female breast cancer with dense breast type who had visited the hospital from September 1st to Octorber 10th, 2015. The patients underwent both MBI and Mammography. MBI (Discovery 750B; General Electric Healthcare, USA) scan was 99mTc-MIBI injected with 20 mCi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rm with the lesions, after 20 minutes, gained bilateral breast CC (CranioCaudal), MLO (Medio Lateral Oblique) View. Mammography was also conducted in the same posture. MBI and Mammography images were compared to evaluat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ach case utilizing both image and two images in blind tests. Results The results of the blind test for breast cancer showed that the sensitivity of Mammography, MBI scan was 63%, 89%, respectively, and that their specificity was 38%, 87%, respectively. Using both the Mammography and MBI scan was Sensitivity 92%, specificity 90%. Conclusion This research has found that, The tumor of dense tissue that can not easily distinguishable in Mammography is possible to more accurate diagnosis since It is easy to visually evaluation. But MBI sacn has difficulty imaging microcalcificatons, If used in conjunction with mammography it is thought to give provide more diagnostic information.

      • PET/CT 검사에서 SharpIR 재구성 방법의 평가

        김정열,강천구,박훈희,임한상,이창호,Kim, Jung-Yul,Kang, Chun-Koo,Park, Hoon-Hee,Lim, Han-Sang,Lee, Chang-Ho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2 핵의학 기술 Vol.16 No.1

        Purpose : In conventional PET image reconstruction, iterative reconstruction methods such as OSEM (Ordered Subsets Expectation Maximization) have now generally replaced traditional analytic methods such as filtered back-projection. This includes improvements in components of the system model geometry, fully 3D scatter and low noise randoms estimates. SharpIR algorithm is to improve PET image contrast to noise by incorporating information about the PET detector response into the 3D iterative reconstruction algorithm. The aim of this study is evaluation of SharpIR reconstruction method in PET/CT.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 measurement of detector response for the spatial resolution, a capillary tube was filled with FDG and scanned at varying distances from the iso-center (5, 10, 15, 20 cm). To measure image quality for contrast recovery, the NEMA IEC body phantom (Data Spectrum Corporation, Hillsborough, NC) with diameters of 1, 13, 17 and 22 for simulating hot and 28 and 37 mm for simulating cold lesions. A solution of 5.4 kBq/mL of $^{18}F$-FDG in water was used as a radioactive background obtaining a lesion of background ratio of 4.0. Images were reconstructed with VUE point HD and VUE point HD using SharpIR reconstruction algorithm. For the clinical evaluation, a whole body FDG scan acquired and to demonstrate contrast recovery, ROIs were drawn on a metabolic hot spot and also on a uniform region of the liver. Images were reconstructed with function of varying iteration number (1~10). Results: The result of increases axial distance from iso-center,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is also increasing in VUE point HD reconstruction image. Even showed an increasing distances constant FWHM. VUE point HD with SharpIR than VUE point HD showed improves contrast recovery in phantom and clinical study. Conclusion: By incorporating more information about the detector system response, the SharpIR algorithm improves the accuracy of underlying model used in VUE point HD. SharpIR algorithm improve spatial resolution for a line source in air, and improves contrast recovery at equivalent noise levels in phantoms and clinical studies. Therefore, SharpIR algorithm can be applied as through a longitudinal study will be useful in clinical. 서론: 종래의 PET 영상 재구성에 있어서 FBP 등에 비해 3차원 반복 재구성 방법이 일반적으로 대체하고 있으며, 이것은 검출기 기하학적 특성과 완벽한 3차원 산란 평가 및 저잡음 randoms 평가 등의 더 진보된 재구성 알고리즘을 제공하고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 SharpIR알고리즘은 3차원 반복 재구성 알고리즘으로 PET 검출기 응답 정보를 통합하여 PET 영상의 잡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대조도를 향상 시키기 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반복 시스템 모델인 SharpIR에 대한 성능 평가와 임상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재료 및 방법: 검출기 응답에 대한 분해능을 측정하기 위해 유리관(내경 1.1 mm, 두께 0.2 mm)에 $^{18}F$-FDG (250 MBq/mL)을 주입하여 축 방향 시야의 중심과 축 방향으로 5, 10, 15, 20 cm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획득하였고 VUE point HD와 VUE point HD-SharpIR로 재구성하여 각각의 영상에서 반치폭을 구하였다. 또한 영상품질평가로 image quality phantom (NU2-2001)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각각 다른 반지름을 가지는 원형구에 cold (직경 28, 37 mm)와 ho (직경 10, 13, 17, 22 mm)부분을 나누어 배경잡음을 주고 영상의 대조도를 평가하였다. 획득된 영상은 VUE point HD와 VUE point HD-SharpIR로 재구성을 하였다. 임상실험에서는 전신검사를 시행받은 환자 중 병소가 있는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VUE point HD와 VUE point HD-SharpIR로 재구성하였다. 이때 iterations을 1~10까지 변경하여 병소 부위와 간 부위에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대조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VUE point HD로 재구성한 영상에서는 시야 중심으로부터 축방향 거리 증가와 함께 반치폭이 함께 증가하였지만 VUE point HD-SharpIR로 재구성한 영상에서는 거리가 증가하여도 일정한 반치폭을 나타냈다. 대조도는 팬텀 실험과 임상 실험에서 VUE point HD-SharpIR이 VUE point HD보다 대조도의 향상을 나타냈다. 결론: 검출기 시스템 응답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SharpIR 알고리즘은 VUE point HD에서 사용되는 기본 모델의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SharpIR은 VUE point HD보다 각각의 복셀에 관련된 더 많은 측정 위치를 가지는 시스템 모델이기 때문에 더욱 정교한 재구성 모델의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더 많은 반복이 걸린다. 결론적으로 SharpIR은 PET 영상에서 대조도를 향상시켰고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재구성 조건을 알아보기 위해 종단적 연구를 통해 적용한다면 임상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 게이트심장혈액풀 스캔에서 자동 관심영역 설정과 수동 관심영역 설정 모드의 비교 분석에 관한 고찰

        김정열,강천구,김영재,박훈희,김재삼,이창호,Kim, Jung-Yul,Kang, Chun-Koo,Kim, Yung-Jae,Park, Hoon-Hee,Kim, Jae-Sam,Lee, Chang-Ho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08 핵의학 기술 Vol.12 No.2

        목적 : 게이트심장혈액풀 스캔의 각 단위 영상에서 심실내 방사능치를 측정하여 좌심실의 시간-방사능 곡선을 구하여 심박출계수를 구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좌심실과 배후방사능 관심영역을 정해야 하는데 올바른 관심영역 설정은 심박출계수의 정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관찰자에 의한 수동 관심영역을 설정 시 시간이 많이 걸리고 많은 경험을 필요로 하며 주관적인 측면이 포함되어 관찰자간의 오차가 발생하는 이유로 대부분의 컴퓨터에는 자동 및 반자동으로 각 단위영상 내 좌심실 외형을 그릴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 관심영역 설정과 수동 관심영역 설정에 따른 좌심실 심박출계수를 비교 분석하여 컴퓨터 자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이 수동 관심영역 설정보다 객관적이고 재현성이 높은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재료 및 방법 : 항암화학요법 치료 대상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PHILIPS사의 ADAC laboratories, Argus Single head Gamma Camera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사용된 방사성 의약품은 체내 표지법을 이용하여 $^{99m}Tc$-RBC를 사용하였다. 영상획득 조건은 다중 게이트 획득 방식으로 매 R-R간격마다 서로 상응하는 단위 영상을 600초 동안 계수치를 얻어 24개의 단위영상을 획득하였다. 앙와위 자세에서 좌전사위 30~45도, 10~20도의 미측경사(caudal tilt) 조건으로 영상 획득 한 후 방사선사 3명이 각각 1회씩 컴퓨터 자동관심영역 설정 모드와 수동 관심영역 설정 모드를 이용하여 좌심실의 심박출계수를 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컴퓨터 자동 관심영역 설정과 수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에서의 좌심실 심박출계수 평균은 각각 $65.8{\pm}5.9%$와 $71.4{\pm}12.4%$였다. 두 평균 간의 차이는 $5.5{\pm}9.9%$로 두 관심영역 설정 방법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3). 또한 관찰자간의 신뢰도 검정에서는 수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으로 분석하였을 때 보다 자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이 관찰자간 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gamma^{MROI}=0.793$, Cronbach's $\alpha$ $M^{ROI}=0.911$ Vs $\gamma^{AROI}=0.964$, Cronbach's $\alpha^{AROI}=0.986$). 영상분류에 따른 분석에서는 최적 중격상에서 두 관심영역 방법에 따른 좌심실 심박출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Delta}LVEF^{BSV}=0.7{\pm}2.3%$, p=0.233), 좌심실 분리가 잘 안 된 영상에서는 좌심실 심박출계수가 자동 관심영역 설정방법에서 더 높게 나타나는 차이를 보였다(${\Delta}LVEF=10.9{\pm}11.4%$, p=0.001). 또한 신뢰도 검정에서는 두 관심영역 설정 방법 모두 좌심실 분리가 잘 안 된 영상보다 최적 중격상에서 일관성이 높게 나타났다(수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 $\gamma^{BSV}=0.836$, Cronbach's $\alpha^{BSV}=0.936$ Vs $\gamma=0.748$, Cronbach's $\alpha=0.888$ / 자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 $\gamma^{BSV}=0.939$, Cronbach's $\alpha^{BSV}=0.978$ Vs $\gamma=0.948$, Cronbach's $\alpha=0.981$). 결론 : 최적 중격상을 획득하여 분석한다면 수동과 자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 따른 좌심실 심박출계수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동과 자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에 대한 일관성을 비교하였을 때 자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에서 높은 일관성을 나타냈다. 결국 영상획득 시 좌심실 최적 중격상의 좌전 사위상을 획득하여 관심영역을 설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left ventricle ejection fraction (LVEF) from gated cardiac blood pool scan (GCBP) for analysis auto-drawing region of interest mode (AROI) and manual-drawing region of interest mode (MROI), respectively. To evalua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values produced by both ROI modes. Materials and Methods: Gated cardiac blood pool scan using in vivo method Tc-99m Red Blood Cell were performed for 33 patients (mean age: $53.2{\pm}13.2\;y$) with objective of chemotherapy using single head gamma camera (ADAC Laboratories, Milpitas, CA).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was automatically and manually measured, respectively.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AROI and MROI ($LVEF^{AROI}$: $71.4{\pm}12.4%$ vs. $LVEF^{MROI}$: $65.8{\pm}5.9%$, p=0.003). Intra-observer agreements in AROI was higher than MROI ($\gamma^{AROI}=0.964$, Cronbach's $\alpha^{AROI}=0.986$ vs. $\gamma^{MROI}=0.793$, Cronbach's $\alpha^{MROI}=0.911$), either. Additio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t best septal view (${\Delta}LVEF^{BSV}=0.7{\pm}2.3%$, p=0.233), howe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t badly separated septal view (${\Delta}LVEF=10.9{\pm}11.4%$, p=0.001). Moreover, Intra-observer agreements in best septal view was higher than badly separated septal view ($\gamma^{BSV}=0.939$, Cronbach's $\alpha^{BSV}=0.978$; $\gamma=0.948$, Cronbach's $\alpha=0.981$ at AROI, $\gamma^{BSV}=0.836$, Cronbach's $\alpha^{BSV}=0.936$; $\gamma=0.748$, Cronbach's $\alpha=0.888$ at MROI). Conclusion: When best septal view was acquired, LVEF by AROI and MROI indicated not different. Comparing Intra-observer agreements with AROI and MROI, the AROI tended to show higher.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AROI than MROI is valuable in reproducibility and objective when ROI analysis by acquire left ventricular of best septal view.

      • PET/CT 검사에서 횡격막에 의한 인공물의 CTAC Shift 보정방법의 유용성

        함준철,강천구,조석원,반영각,이승재,임한상,김재삼,이창호,Ham, Jun Cheol,Kang, Chun Koo,Cho, Seok Won,Bahn, Young Kag,Lee, Seung Jae,Lim, Han Sang,Kim, Jae Sam,Lee, Chang Ho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3 핵의학 기술 Vol.17 No.1

        현재 PET/CT 검사에서 저선량 CT를 이용한 감쇠 보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환자 호흡으로 인한 횡격막 부근의 저선량 CT 영상과 Emission 영상의 불일치로 감쇠 보정영상에서 Artifact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보정방법 중 CTAC Shift를 이용하여 환자의 호흡에 의한 Artifact의 감소를 연구했다. 2012년 3월부터 9월까지 PET/CT Discovery 600 (GE Healthcare, MI, USA) 장비를 이용하여 호흡에 의한 Artifact가 발생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했다. Artifact가 발생한 환자는 횡격막 부분을 추가검사하였고, 전신 검사 시 Artifact가 발생한 영상을 CTAC Shift를 이용하여 보정했다. Artifact 발생 영상, 추가 검사영상, CTAC Shift 보정 영상의 육안적 평가는 핵의학 전문의 1명과 5년 이상 근무한 방사선사 4명에 의해 1-5점으로 나누어 평가했다. 또한 각 영상의 표준섭취화 계수를 ANOVA를 이용하여 비교했다. Artifact 발생 영상에 비해 추가 검사 영상과 CTAC Shift 보정 영상은 육안적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추가 검사 영상과 CTAC Shift 보정 영상은 표준섭취화 계수의 ANOVA 결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ET/CT 검사 시 환자의 호흡에 의한 Artifact가 발생 할 경우 추가 검사로 인한 검사 시간이 증가하여 환자의 불편 뿐 아니라 피폭도 증가한다. 하지만 추가 검사 없이 CTAC Shift를 이용하여 보정된 영상을 획득한다면 불필요한 피폭 및 추가 검사도 감소하며, 정확한 진단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Currently, decrement revision using LDCT is used in PET/CT. But cold artifacts are often found in decrement revision image by mismatch between LDCT image and Emission image near diaphragm due to patient's respiration. This research studied reduction of cold artifact by patient's respiration using CTAC Shift among revision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to September in 2012, 30 patients who had cold artifacts by respiration were targeted using PET/CT Discovery 600 (GE Healthcare, MI, USA) equipment. Patients with cold artifacts were additionally scan in diaphragm area, and the image shown cold artifacts at whole body test were revised using CTAC Shift. Cold artifacts including image, additional scan image and CTAC Shift revision image were evaluated as 1~5 points with naked eye by one nuclear medicine expert, 4 radiotechnologists with over 5 year experience. Also, standard uptake value of 3 images was compared using paired t-test. Results: Additional scan image and CTAC Shift revision image received relatively higher score in naked eye evaluation than cold artifacts including image. The additional scan image and CTAC Shift revision image had high correlation as the results of ANOVA test of standard uptake value an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When cold artifacts are appeared by patient's respiration at PET/CT, it causes not only patient inconvenience but troubles in test schedule due to extra radiation exposure and time consumption by additional scan. But if CTAC Shift revision image can be acquired with out additional scan, it is considered to be helped in exact diagnosis without unnecessary extra radiation exposure and additional scan.

      • 간담도 스캔 시 담즙 누출(Biliary Leakage)환자에서의 양측와위 자세(Both Decubitus Position)의 유용성

        반영각,노동욱,강천구,김재삼,이창호,Bahn, Young-Kag,Roh, Dong-Ook,Kang, Chun-Koo,Kim, Jae-Sam,Lee, Chang-Ho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08 핵의학 기술 Vol.12 No.2

        간담도 스캔은 방사성의약품을 정맥주사 후 간세포에 섭취되어 담즙과 함께 담낭과 담도를 통하여 십이지장으로 배출되는 양상을 경시적으로 검사한다. 따라서 간세포와 담낭의 기능 정도 및 담도계의 폐쇄 여부를 알 수 있고 담즙의 누출 유무, 위치 및 정도를 확인하는데 가장 예민한 검사 방법이다. 하지만 담즙 누출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의 간담도 스캔은 누출된 담즙과 장으로 배출된 담즙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그래서 본 연구는 간담도 스캔 검사 시 양측와위 자세로 검사를 시행하여 누출된 담즙과 장으로 배출 된 방사능을 분리 구분하여 더욱 명확한 담즙 누출의 진단을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총 31명의 환자 중 남자는 14명, 여자는 17명이고, 평균나이는 $51.1{\pm}14.4$세였다. 정상위 자세에서 1분씩 60분간 경시적 영상을 획득하고, 지연검사는 2시간, 4시간, 24시간 간격의 정상위 자세와 좌우 측와위 자세로 각각 5분 동안 영상을 획득하였다. 단, 측와위 자세의 영상 획득 시 약 5분간 측와위 자세를 유지한 후에 영상을 획득 하였다. 간담도 스캔 시 담즙 누출 환자에서의 양측와위 자세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정상위 검사에서 누출이 바로 확인되는 환자의 측와위 자세와 관심영역을 비교하여 누출 여부(크기, 위치, 농도)의 감별 편리성의 양상을 비교하였고, 의심되는 질환이 담즙 누출이지만 경시적 영상에서 누출부위를 확실히 구분할 수 없는 환자의 측와위 자세를 통해 누출부위를 우선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환자가 어느 정도인지를 검사대비 감별확률로 비교하였다. 31명의 담즙 누출 환자 중 23명의 환자는 기능영상 혹은 지연영상에서 담즙 누출을 확인하였고, 8명의 환자는 측와위에서 담즙 누출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영상에서 해부학적으로 누출 위치를 찾는 것은 정상위가 더욱 용이하였으나, 양측와 위 자세 변동으로 인한 장내 담즙의 이동으로 담즙의 누출이 더욱 확실히 구분되었다. 또한 관심영역과 배후방사능의 섭취계수(Counts/Pixel)를 구하여 관심영역/배후방사능비를 평가결과, 평균은 정상위 5.02, 좌측와위 2.08, 우측와위 2.68이었다. 관심영역의 화소 수를 분석하여 크기를 비교할 경우, 좌측와위는 정상위에 비해 평균 1.91배 컸고, 우측와위는 평균 1.05배 컸다. 결과적으로 31명의 환자 중 38.5% 정도만이 측와위가 의미가 있었지만, 위치 변동으로 인해 장내 담즙의 이동으로 누출의 위치는 더욱 명확한 구분이 가능하였다. 또한 그 38.5%의 환자에서 정상위와 양측와위에서의 관심영역/배후방사능비, 관심영역의 크기를 비교하면 측와위에서 관심영역의 넓이는 좌측와위 19%, 우측와위 5% 넓어지고, 농도는 좌측와위 약 60%, 우측와위 약 50% 옅어졌으며, 이는 복강 내로 관심영역의 담즙누출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간담도 검사시 담즙 누출을 의심하는 환자에게 양측와위 자세를 추가하여 검사를 한다면 담즙 누출을 정확하게 진단할 것으로 사료된다. Hepatobiliary scintigraphy is very sensitivity of hepatic cell and gallbladder, biliary track atresia and biliary leakage. however, Hepatobiliary scan of biliary leakage diagnosis was separated determine biliary leakage and bowl drainage bile-juice. The object of this study will determine biliary leakage and bowl drainage bile-juice to hepatobiliary scintigraphy both decubitus position in bile leakage patients. Material & Methode: 31 patients (meal 14, Femeal 17), $51.1{\pm}14.4$ years. dynamic scan acquisition 60 farme for 60 minute on supine position. and delay scan was 2 hrs, 4 hrs, 24 hrs for 5 minute on supine, both decubitus position. Both decubitus position scan was kept for 5 minutes. Efficient of Hepatobiliary Scintigraphy both decubitus position in bile leakage patients was compared leakage size, density, image of supine position and both decubitus position. Results: 23 patients for 31 bile leakage patients was checked up function image or delay image, and 8 patients was checked up bile leakage on both decubitus. anatomical leakage location was supine position very well, but both decubitus position was separated bile leakage and moving bile-juice in bowl. also, uptake (counts/pixel) average of roi and bkg was supine 5.02, left decubitus 2.08, right decubitus 2.68. No. pixels of supine ROI counted 1.91 times than left decubitus, 1.05 times than right decubitus. Conclusion: 31 patient both decubitus position, but decubitus position was separated bile juice movement in bowl leakage location. also, It was compared ROI/BKG ratio and ROI No. pixels of supine, both decubitus in 38.5% patients. And No. pixels of supine position was large 19%, 5% than left decubitus, right decubitus, And density was in low 60%, 50% than left decubitus, right decubitus. It was mean bile leakage of ROI. so, If Hepatobiliary Scintigraphy was additional both decubitus position scan in bile leakage patients, this study will be more valuable in diagnosis of bile leak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