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용 조직에서의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IgE 항체 검출

        강지원,남동호,서경식,김희연,박해심 ( Ji Won Kang,Dong Ho Nahm,Kyung Sik Suh,Hee Yeon Kim,Hae Sim Park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1998 천식 및 알레르기 Vol.18 No.3

        Objective '. In order to confirm the local production of total and specific IgE antibodies in the nasal polyp tissues. Material and method: We measured total IgE and house dust mite(Dermatophagoides pteronpssinus .' DP)-specific IgE antibody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in the supernatant of nasal polyp homogenates from 72 subjects undergoing nasal polypectom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skin reactivity to DP: 20 strongly atopic subjects to group I(mean wheal diameter) 3mm), 19 weakly atopic subjects to group II (mean wheal diameter 1-3mm) and 33 negative skin responders to group III. Result: Group I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total and DP-specific IgE levels in the nasa

      • KCI등재

        주요우울장애 환자에서 소뇌 국소 부위의 부피와 피질 두께의 차이

        강지원,한규만,원은수,태우석,함병주,Kang, Ji-Won,Han, Kyu-Man,Won, Eunsoo,Tae, Woo-Suk,Ham, Byung-Joo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8 생물정신의학 Vol.25 No.3

        Objectives A growing body of evidence has suggested that morphologic changes in cerebellum may be implicated with pathophysiology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difference in the volume and cortical thickness of the specific region of cerebellum between patients with MDD and healthy controls (HC). Methods A total of 127 patients with MDD and 105 HC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underwent T1-weighted structur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We analyzed volume and cortical thickness of each twelve cerebellum regions divided by left and right and the volume and cortical thickness of the whole cerebellum from T1-weigted image of participants. One-way analysis of covarianc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volume and cortical thickness difference of total and specific regions between two groups adjusting for age, gender, medication, and total intracranial cavity volume. Results We found that the patients with MDD had significantly greater volume in the left cerebellum lobule III region [false discovery rate (FDR)-corrected p = 0.034] compared to HC. Also, our findings indicate that cortical thickness of left lobule VIIB (FDR-corrected p = 0.032) and lobule VIIIB (FDR-corrected p = 0.032) are significantly thinner in the patients with MDD compared with the HC. No significant volume and cortical thickness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other sub-regions of the cerebellum. The volumes and cortical thickness of whole cerebellum between patients with MDD and HC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Conclusions We observed the region-specific volume and cortical thickness difference in cerebellum between the patients with MDD and HC. The results of our study implicate that the information about structural alterations in cerebellum with further replicative studies might provide a stepping stone toward a specific marker to diagnose MDD.

      • KCI등재

        A Species of Euplectitae (Coleoptera: Staphylinidae: Pselaphinae) New to Korea

        강지원,박선재,김아영,박종석,Kang, Ji-Won,Park, Sun-Jae,Kim, A-Young,Park, Jong-Seok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8 No.3

        개미사돈아과의 미기록종인 Philoscotus rostralis Nomura를 한국에 처음으로 보고한다. 정확한 동정을 위해 외형과 진단형질의 사진과 분포지도를 함께 제공한다. A species of pselaphine beetles, Philoscotus rostralis Nomura, is report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Illustrations of a habitus, diagnostic characters and distribution map are provided.

      • 농업기술: 영농철 대비 농업기계 점검정비 요령

        강지원,Gang, Ji-Won 전국농업기술자협회 2011 농업기술회보 Vol.48 No.2

        다가오는 영농철 농기계의 올바른 취급방법과 점검정비 요령을 익혀 안전하고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겨우내 장기 보관했던 농기계점검정비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농기계 사용농가에서 반드시 익혀야 될 점검정비요령에 대하여 알아본다.

      • KCI등재

        전투 시스템의 신뢰성 분석을 위한 FTA와 BBN을 이용한 2계층 접근에 관한 연구

        강지원,이장세,Kang, Ji-Won,Lee, Jang-S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3 No.3

        전투 시스템은 다양한 적대적 환경에서 주어진 임무를 수행한다.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전투 시스템의 신뢰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중요하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에서는 위협을 고려하지 않거나 하나의 위협을 고려하며 구성 요소간의 종속적 관계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전투 시스템의 기능에 대한 상실 확률을 도출하며, 이를 이용하여 신뢰성 분석을 진행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하위, 상위의 두 계층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하위 계층에서는 다양한 위협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하여 FTA 기법을 이용하여 구성 요소별 고장 확률을 도출한다. 상위 계층에서는 하위 계층에서 도출된 구성 요소의 고장 확률을 이용하며 구성 요소간의 종속적 관계를 고려하기 위해 BBN을 이용하여 기능의 상실 확률을 분석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다양한 위협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구성 요소간의 종속적 관계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A combat system performs a given mission enduring various threats.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reliability of combat systems in order to increase their ability to perform a given mission. Most of studies considered no threat or on threat and didn't analyze all the dependent relationships among the component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loss probability of the function of the combat system and use it to analyze the reliability. The proposed method is divided into two layers, A lower layer and a upper layer. In lower layer, the failure probability of each components is derived by using FTA to consider various threats. In the upper layer, The loss probability of function is analyzed using the failure probability of the component derived from lower layer and BBN in order to consider the dependent relationships among the components. Using the proposed method, it is possible to analyze considering various threats and the dependency between components.

      • KCI등재

        딥러닝을 이용한 광학적 프린지 패턴의 생성

        강지원,김동욱,서영호,Kang, Ji-Won,Kim, Dong-Wook,Seo, Young-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12

        본 논문에서는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을 이용하여 디지털 홀로그램을 생성하는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데이터 균형 조정 방법에 대하여 논의 한다. 심층신경망은 딥러닝(deep learning, DL)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고, 생성형 적대적 네트워크(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계열을 이용한다. 심층 신경망을 통하여 생성 하고자하는 홀로그램의 기본 단위인 프린지 패턴은 홀로그램 평면과 객체의 위치에 따라 데이터의 형태가 매우 다르다. 하지만 데이터의 분류 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학습 데이터의 불균형이 생길 수 있다. 학습 데이터의 불균형은 곧 학습의 불안정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분류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데이터를 분류하고 균형을 맞추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학습이 안정화됨을 보인다. In this paper, we discuss a data balancing method for learning a neural network that generates digital holograms using a deep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s are based on deep learning (DL) technology and use 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series. The fringe pattern, which is the basic unit of a hologram to be created through a deep neural network, has very different data types depending on the hologram plane and the position of the object. However, because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data are not clear, an imbalance in the training data may occur. The imbalance of learning data acts as a factor of instability in learning. Therefore, it presents a method for classifying and balancing data for which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re not clear. And it shows that learning is stabilized through this.

      • Jet-air 내부에 구속된 탁구공 연구

        강지원 ( Ji Won Kang ),곽민제 ( Min Je Kwak ),김기명 ( Ki Myong Kim ),김유빈 ( Yoo Bin Kim ),이경서 ( Kyung Seo Lee ),박병두 ( Byoung Du Park ),송규정 ( Kyu Jeong Song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43 No.1

        Jet-air 흐름 내에 구속된 탁구공의 평형상태에 대해 연구하였다. Jet-air 내에 구속된 탁구공의 평형상태에서 작용하는 힘들은 Jet-air 흐름 방향에 평행한 성분의 힘과 수직한 성분의 힘 등으로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코안다 효과로 인하여 Jet-air 내에 탁구공이 구속됨을 설명하고, Jet-air 흐름의 경사각이 증가함에 따라 Jet-air 시작점부터 공중에 떠있는 탁구공까지의 거리가 증가함을 측정한 후, 이를 Jet-air 흐름 방향에 평행한 성분의 힘과 Jet-air 흐름의 경사각 관계로서 해석하였다. The equilibrium state of the ping pong ball held in the jet-air flow was studied. The forces acting in the equilibrium state of a ping pong ball held in the jet-air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force of the component parallel to the jet-air flow direction and the force of the component perpendicular to the jet-air flow direction. It is explained that the ping-pong ball is held within the jet-air due to the Coanda effect.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jet-air flow increases, the increasing distance from the jet-air starting point to the floating ping-pong ball was measured. This is interpret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ce of the component parallel to the jet-air flow direction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jet-air flow.

      • KCI등재

        기업의 문화마케팅활동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강지원(Kang, Ji Won),박종철(Park, Jong Chul)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3

        그동안 기업차원에서 문화마케팅활동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활발해지면서 이에 대한 학문적 관심 속에 그동안 기업의 문화마케팅활동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를 규명하거나, 기업의 문화마케팅활동 차원을 여러 가지 차원으로 제시하여 이들 문화활동 차원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면서 동시에 직접적인 효과를 제시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문화마케팅활동과 기업이미지의 차원이 서로 독립적인 형태로 연구가 수행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문화활동 차원과 기업이미지 차원에 차별적인 경로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기업의 문화활동 차원이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기업이미지 차원의 매개효과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기업의 문화기업활동이 사회적 행위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문화판촉활동과 문화연출활동은 비즈니스 행위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업의 문화지원활동은 사회 공헌적 행위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사회적 행위 이미지와 비즈니스 행위 이미지, 그리고 사회 공헌적 행위 이미지 모두 고객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which are limited only with focus on identifying associated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cultural activities and corporate image. But, this study further extends previous research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effect produced by corporate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on consumer"s loyal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expand on how corporate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increases a customer loyalty and effects on consumer"s perception toward corporate image. This study is a theoretical based which proposed a new research model of corporate cultural marketing. The research employed a descriptive survey metho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sample consisted of 214 men (n=77) and women (n=137) ranging in age from their 20s to their 40s and residing in the Guang-Ju area. Data were analyzed through methods including factor analysis as well as Cronbach"s α, coeffici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learly shows that different dimensions of corporate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has direct effect to the mediating variables of corporate image. At first, the business style behavior image, Secondly, it showthe corporate cultural promotion activities has significant results on business practices image furthermore, corporate cultural support image. Finally, the corporate social behavior image, business practices image and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mage all shows a significantly positives impact on customer loyalty. This study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corporate image between corporate cultural marketing and customer loyalty. Namely, This study relates on how corporate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increases a customer loyalty and effects on consumer"s perception toward corporate image. Therefore, study suggests more effective culture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companies. 그동안 기업차원에서 문화마케팅활동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활발해지면서 이에 대한 학문적 관심 속에 그동안 기업의 문화마케팅활동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를 규명하거나, 기업의 문화마케팅활동 차원을 여러 가지 차원으로 제시하여 이들 문화활동 차원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면서 동시에 직접적인 효과를 제시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문화마케팅활동과 기업이미지의 차원이 서로 독립적인 형태로 연구가 수행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문화활동 차원과 기업이미지 차원에 차별적인 경로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기업의 문화활동 차원이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기업이미지 차원의 매개효과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기업의 문화기업활동이 사회적 행위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문화판촉활동과 문화연출활동은 비즈니스 행위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업의 문화지원활동은 사회 공헌적 행위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사회적 행위 이미지와 비즈니스 행위 이미지, 그리고 사회 공헌적 행위 이미지 모두 고객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which are limited only with focus on identifying associated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cultural activities and corporate image. But, this study further extends previous research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effect produced by corporate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on consumer"s loyal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expand on how corporate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increases a customer loyalty and effects on consumer"s perception toward corporate image. This study is a theoretical based which proposed a new research model of corporate cultural marketing. The research employed a descriptive survey metho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sample consisted of 214 men (n=77) and women (n=137) ranging in age from their 20s to their 40s and residing in the Guang-Ju area. Data were analyzed through methods including factor analysis as well as Cronbach"s α, coeffici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learly shows that different dimensions of corporate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has direct effect to the mediating variables of corporate image. At first, the business style behavior image, Secondly, it showthe corporate cultural promotion activities has significant results on business practices image furthermore, corporate cultural support image. Finally, the corporate social behavior image, business practices image and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mage all shows a significantly positives impact on customer loyalty. This study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corporate image between corporate cultural marketing and customer loyalty. Namely, This study relates on how corporate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increases a customer loyalty and effects on consumer"s perception toward corporate image. Therefore, study suggests more effective culture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companies.

      • KCI등재후보

        신제도주의적 관점에 기초한 ‘복지국가 축소 유형화’ 논의

        강지원(Kang Ji Won),임은정(Yim Eun Jung),이홍직(Lee Hong Jik)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8 社會科學硏究 Vol.24 No.4

        복지국가 위기론이 제기된 이후 많은 국가들에서 복지개혁의 방향은 복지재정의 삭감이나 추가적인 재정의 증가를 통제하는 것이었으나, 이러한 노력을 실증적인 자료를 통해 증명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물론 정부의 복지개혁은 복지지출을 삭감하거나 복지재원의 다양화를 통해 정부 부담을 줄이도록 재설계했으나 복지지출은 오히려 증가하거나(한국), 그대로 유지(영국, 네덜란드)하며, 일부 국가에서만 실제로 감소하였다. 왜냐하면 복지의 축소에 대한 전 국민적인 비난과 이로 인한 재정권 창출의 위험 때문에 정부는 드러내놓고 복지를 축소하는데 부담을 느끼므로 여러 가지 역동과 기제를 통해 복지국가를 전략적으로 축소하고자 한다. 그러나 복지국가의 축소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다양한 지출(총지출, 정부지출, 민간지출 등) 수준만을 검토하여 두드러진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고 복지는 축소된 것이 아니라는 결론을 단정한다. 본 연구는 복지국가의 지출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및 제도의 구조도 함께 살펴봄으로써 복지국가의 다양한 축소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먼저 에스핑앤더슨의 복지국가분류를 기초하여 스웨덴, 네덜란드, 영국, 미국, 한국의 지출수준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OECD SOCX(OECD Social Expenditure Database)를 이용하여 1970년에서 2003년 간 각국의 총 사회복지지출을 공공, 법정민간, 자발적 민간지출로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피어슨의 신제도주의적 관점에 기초하여 정부 당국의 정책과 정책 환류 중심으로 각국의 복지개혁, 조세개혁보고서를 살펴봄으로써 프로그램 및 제도의 구조적 측면에서 복지국가의 축소를 검토하였다. 예상했던 대로 모든 국가에서 복지지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복지지출의 변화로는 복지 축소를 단언할 수 없다. 그러나 각국의 복지개혁을 살펴보면 몇 가지 개혁의 유형들을 구분할 수 있다. 미국과 네덜란드의 경우에는 복지자원의 다양화로 복지를 시장기제로 이전시키고 정부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스웨덴과 영국은 효율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혁이 이루어졌다. 한국은 복지지출은 지속적으로 증가를 보이고 있지만 프로그램 및 제도의 질적 측면에서 복지자원의 다양화와 효율성 강화를 추구하고 있어 복지축소의 전략들이 실제로 시행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복지가 성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복지지출의 확대로 인한 재정위기를 염려하여 복지축소를 주장하는 것이 옳은가에 대한 의문이 남는다. Since the crisis of the welfare state, many countries reform the welfare state mainly in the direction of the financial cuts in welfare, control to increase of revenue, but it is not easy to prove these efforts through the data. Government would not reveal the welfare cutback because the government face the criticism of welfare retrenchment against all the people and this result would cause to fail to recapture power therefore welfare state has to choice strategically among several dynamics and mechanisms. Previously studies have researched only difference in the spending level of a variety of social expenditure (total expenditure, government spending and private spending, etc.), so they conclude that the welfare cutback is misunderstanding until now. This paper will look at the welfare state structure of the institution and the system as well as the spending level and will propose a variety of types of welfare state retrenchment. First, we looked at the spending level based on Esping-Andersen's work in Sweden, the Netherlands, Britain,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To this end, using the OECD SOCX data from 1970 to 2003, I separated the total, the public, the private and the voluntary spending. Second, on the point of view of Paul Pierson, we review welfare retrenchment practically through the change of welfare policy and the policy feedback causing of recent welfare reform and tax reform. As expected, in all countries continue to increase welfare spending and changes in welfare spending to shrink the welfare can not say so. However, welfare reform in some countries can distinguish between the types. First, the United States and the Netherlands reformed to have a variety of welfare resources to minimize the burden. Second, Sweden and the UK are reformed in direction to enhance efficiency. Finally, South Korea has continued increasing in welfare spending, but enhances the diversity of the welfare resources and the 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