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stablishing a web-based measurement of aggression (WTCRTT): Examining the validity of a modified Taylor’s competitive reaction time test

        강준호,임충훈,서영익,Alex C. Gang,Paul M. Pedersen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Sports Sciences Vol.32 No.1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web-based state aggression measurement program (WTCRTT) and examine its applicability in term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by conducting laboratory experiments. A repeated experimental design was employed, where subjects were exposed to both violent and non-violent media content. A physiological measure was also included to test the internal validity of media stimulation. The results showed the WTCRTT is a valid measure of behavioral aggression as the hypotheses on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validity were supported. For instance, the WTRCTT after exposure to violent media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anger, physical aggression, and total trait aggression scores. The WCRTT that was developed and tes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not only by the scholars interested in aggression research with no cost and but also by the parents who want to monitor their children’s state (i.e., behavioral) aggression.

      • KCI등재

        존 스튜어트 밀의 확장된 공리주의에 대한 고찰

        강준호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3 철학·사상·문화 Vol.- No.43

        【요약문】 존 스튜어트 밀은 보편적/불변적 인간 본성에 대한 벤담식의 극단적 묘사를 거부하고 인간 행복을 구성하는 요소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인정함으로써, 행복 혹은 공리 개념의 내연을 확장하고 흔히 비공리주의적이라 여겨지는 가치들까지 포섭할 수 있는 형태의 공리주의 이론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론은 공리주의에 대한 주요 비판들에 ― 적어도 벤담의 이론보다 더 ―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는 전략적 이점을 지닌다. 그러나 이렇게 확장된 이론을 여전히 하나의 공리주의 이론으로 간주할 근거에 대한 해명은 필요하다. 또한 그것의 전략적 이점만큼 어쩌면 공리주의의 본질적 요소들로부터 멀어져 공리주의 본래의 강점을 상실할 수 있다는 전략적 단점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 나는 밀의 이론이 벤담의 그것에서 이탈되는 지점들을 통해 그의 확장된 공리주의의 주요 특징을 살펴볼 것이다. ‘성품’ 개념을 중심으로 인간 본성에 대한 발달적 혹은 성장적 이해, 행복 혹은 공리 개념의 확장, 쾌락의 질적 구분 등의 상호 연관성을 고찰할 것이다. 이러한 고찰로부터 나는 밀이 제안한 형태의 이론이 결과주의와 쾌락주의를 비롯해 고전 공리주의의 특징적 면모를 얼마만큼 보존할 수 있는지, 도덕의 과학화라는 고전 공리주의자들의 공통적 기치에 얼마만큼 다가갈 수 있는지, 그리고 그것의 전략적 이점이 단점에 비해 얼마만큼 클지에 대한 소견을 밝힐 것이다. By rejecting the Benthamite overly simple representation of universal/immutable human nature and arguing for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what constitutes human happiness, J. S. Mill was able to render a form of utilitarian theory that extended the concept of happiness or utility to encompass the values that are commonly considered non-utilitarian. This form of theory at least has the strategic advantage of offering a more flexible foundation for responding to the major criticisms of utilitarianism than Bentham’s theory. However, it is certainly needed to clarify the grounds on which this extended theory can still be regarded as a utilitarian theory, and its strategic disadvantages should also be considered as much as its strategic advantages which might perhaps loosen it from the essence of utilitarianism and lose some of its original strengths. In this paper, I will look into the main features of Mill’s extended utilitarianism through the points at which his theory deviates from Bentham’s. Centering on his concept of ‘character’, I will examine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his developmental or growthal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extended notion of happiness or utility, and qualitative distinction of pleasures. Upon these considerations, I will briefly make some remarks on the extent to which Mill’s proposed form of utilitarianism can secur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classical utilitarianism, such as consequentialism and hedonism, the extent to which it can approach to the classical utilitarians’ common objective of the scientification of morality, and the extent to which its strategic advantages outweigh its disadvantages.

      • KCI등재

        벤담의 경제이론과 평등 개념에 대한 고찰

        강준호 범한철학회 2019 汎韓哲學 Vol.93 No.2

        There have been opposing views about the economic theory of Jeremy Bentham, who handed down a considerable amount of writings in the field of economics. More than a few scholars, on the one hand, characterized his economic theory as ‘laissez-faire,’ based on the observation that he clearly shared some essential theses with such classical economists as A. Smith, D. Richardo, T. R. Malthus. In the relatively recent research, on the other hand, some scholars have asserted that his economic theory may be considered quite contrary to laissez-faire, that is, a little closer to a theory of statism. With regards to the coexistence of these opposing views, some other scholars have suggested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that, while his economic theory in early years may be legitimately categorized as a theory of laissez-faire, it gradually partook of the nature of statism in the latter part of his career. In this paper, as an attempt to hopefully provide some clu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jostling aspects of Bentham’s economic theory, I shall first investigate the textual evidences of each of those characterizations of it. Through this investigation, I shall then attempt to work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theory of economics and utilitarianism, that is, how those characterizations of his economic theory can be explained by the utilitarian principle, i.e., the greatest happiness principle. The illumination of this relationship offers the basis for a fairer estimation of his concept of equality appeared in his various economic writings. Upon this basis, I shall claim that, although he approved neither ‘absolute’ equality nor equality as an intrinsic value or ideal, his own concept of ‘practicable’ equality comprised many goals which even today seem attractive. 경제학 분야에 대해서도 상당량의 저술을 남긴 벤담의 경제이론에 대하여 상반된 견해들이 공존한다. 한편으로 고전 경제학자들의 핵심 명제를 공유한다는 관찰에 기초하여, 적잖은 학자들은 그의 경제이론을 ‘자유방임주의’로 규정했다. 다른 한편으로 상대적으로 최근의 연구에서 일부 학자들은 그의 경제이론이 자유방임주의와 정반대, 말하자면 국가통제주의라는 성격을 강하게 띤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상반된 견해들의 공존과 관련하여, 다시 일부 학자들은 그의 경제이론이 초기에는 전자에서 후기(1800년대)에는 후자로 이행했다는 해석을 제시한다. 이 논문은 벤담의 경제이론의 혼잡한 양상을 이해하기 위한 실마리를 찾으려는 시도로, 우선 그것에 대한 자유방임주의라는 성격 규정과 국가통제주의라는 성격 규정 각각의 문헌적 근거를 탐색한다. 이 탐색을 통하여, 그의 경제이론과 공리주의 사이의 관계, 다시 말해서 그의 경제이론에 대한 양자의 성격 규정이 최대 행복 원칙으로 설명될 수 있는가를 밝혀볼 것이다. 이러한 관계의 조명은 그가 자신의 경제학적 저술에서 제시한 ‘평등’ 개념을 더 공정하게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이러한 이해의 토대로부터, 비록 그는 ‘절대적’(absolute) 평등이나 내재적 가치 혹은 이념으로서의 평등은 인정하지 않지만, 그 자신의 ‘실행 가능한’(practicable) 평등 개념은 오늘날에도 상당히 설득력 있는 목표들을 제시하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 KCI등재

        칸트의 행복 개념에 대한 고찰

        강준호 대동철학회 2012 大同哲學 Vol.58 No.-

        도덕적 삶과 행복한 삶의 관계에 대한 칸트 윤리학의 대답은 무엇인가? 필자는 이 문제와 관련된 칸트의 입장에 대하여 두 가지 대조적인 해석을 가정한다. 하나는 칸트 윤리학은 순전히 의무에 관한 것으로서, 거기서 행복은 그다지 중대한 비중과 역할을 갖지 않는다는 해석이다. 다른 하나는 그의 윤리학에서 행복과 도덕은 어느 지점에선가 확실한 연결고리를 가진다는 해석이다. 전자는 그의 윤리학에 대한 전형적 해석에 가깝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이런 해석에 도전하는 후자의 해석이 의존하는 논거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런 검토의 과정에서, 필자는 행복의 세 가지 측면을 살펴볼 것이다: (1) 조건적 선으로서의 행복, (2) 간접적 의무로서의 행복, (3) 최고선의 구성요소로서의 행복. 최근의 몇몇 학자들은 칸트가 이 세 가지 측면에서 행복과 도덕의 분명한 연결을 인정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이런 주장은 그것을 확증할만한 근거보다 그것을 반증할만한 더 많은 근거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도덕적 삶과 행복한 삶의 갈등이 윤리학의 한 중요한 문제라고 할 때, 칸트 윤리학에서도 도덕과 행복의 분명한 연결고리를 발견할 수 있다는 해석의 가능성은 그의 윤리학에 보다 풍부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What is Kant's answer to the ques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life and happy life? I start with the supposition that there are two opposing views on Kant's position of this question. One is the view that Kant's ethics concerns duty alone, and happiness has no significant weight or role thereat. The other is the view that happiness and morality have a certain explicit or intimate connection in his ethics. The former view is closer than the latter to the orthodox interpretation of his ethics. In this paper I shall attempt to critically examine various arguments proposed by the proponents of the latter view. In this examination, I shall look into the three aspects of happiness: (1) happiness as a conditional good, (2) happiness as an indirect duty, (3) happiness as a constitutive element of the highest good. Recently a few scholars make a suggestion that in any of these three aspects Kant recognized a considerably clear connection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This suggestion seems to be surrounded by many counterevidences more than the evidences that might support it. But if we understand that the tension between moral life and happy life is a permanent problem to be dealt with by ethicists, the possibility of the view that a clear connection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can be found in Kant's ethics may endow a yet richer meaning to Kant's Ethics.

      • KCI등재

        J. S. Mill의 민주주의론과 공리주의

        강준호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3

        이 논문은 J. S. Mill의 민주주의론과 공리주의의 관계를 고찰한다. Mill의 민주주의론의 근본 성격을 둘러싼 오늘날의 엇갈린 해석과 평가의 한 주요 원천은 그가 제시한 두 가지 핵심적 정치 원리, 즉 ‘참여’와 ‘능력’에 대한 그의 얼핏 상충하는 듯한 주장들에 있다. 한편 참여 원리의 비중을 강조하는 해석과 평가는 보통선거제와 정치참여의 교육적 효과에 관련된 주장들에 초점을 맞추어, Mill을 참여 민주주의자 내지는 평등주의자로 그린다. 다른 한편 능력 원리의 비중을 강조하는 해석과 평가는 노동계급에 의한 계급입법의 위험성에 대한 그의 깊은 우려와 복수투표제와 같은 능력주의적 제안에 주목하면서, 그를 엘리트주의자로 그린다. 나는 이러한 양극단의 해석과 평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해석과 평가가 격돌하는 쟁점인 복수투표제에 대한 엇갈린 견해들을 역시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이러한 검토의 결과로, 우선 Mill의 민주주의론에서 참여 원리와 능력 원리는 상보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밝힐 것이다. 더 중요하게, 두 원리의 작용은 궁극적으로 공공선 혹은 공익의 지향과 실현으로 수렴된다는 관찰을 통해, 그것들을 융합하는 이상적 원리는 바로 공리주의 원리라는 점을 밝힐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cruti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J. S. Mill’s democratic theory and utilitarianism. One of the chief sources of today’s discordant interpretations and evaluations about the fundamental character of his democratic theory lies in his apparently conflicting assertions on the two central political principles, that is, ‘participation’ and ‘competence’. Some scholars who wish to emphasize the gravity of the former principle, on the one hand, attempt to depict Mill as a passionate supporter of participatory democracy or an egalitarian, typically paying attention to his mentions concerning the universal suffrage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political participation. Other scholars who want to stress the crucial role of the competence principle, on the other hand, try to define him as an elitist, focusing on his dread fear of the danger of the class legislation by the working classes and his meritocratic suggestions like the system of plural voting. In this paper, I will briefly examine these polarized interpretations and evaluations, and also the varying opinions on that system of plural voting on which many scholars collide violently with one another. Through this examination, I will argue that the principles of participation and competence should be complementary in their actual operations; and more importantly, that the ideal principle connecting and merging them is the principle of utilitarianism, on the basis of the observation that their operations ultimately converge on the pursuit and realization of common good or public interest.

      • KCI등재

        고전적 공리주의와 행위 공리주의의 관계에 대하여

        강준호 범한철학회 2013 汎韓哲學 Vol.68 No.1

        Up to recently, there has been an strong tendency to identify classical utilitarianism with act-utilitarianism and further to interpret the doctrine of the English utilitarian precursors of the 18-19 century as a kind of act-utilitarianism. In this paper, my main purpose is in the first place to cast a doubt to this tendency by examining the so-called ‘classical utilitarians’ such as J. Bentham, J. S. Mill, H. Sidgwick, and thereby to suggest that the distinction of act/rule utilitarianism is not very instructive to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ir doctrine. As for Mill’s theory, there has long been an opposition between act-utilitarian and rule-utilitarian readings. Given the fact that each of these readings about which it is unable to readily assert to be more plausible than the other has its own critical shortcomings, I shall suggest that the approach to Mill’s theory through the act/rule distinction may be problematic in itself. The proposed readings on Sidgwick’s theory seem to be on the same footing with the ones of Mill’s. Attending to that many objections have been raised against the act-utilitarian reading of Sidgwick’s theory, I shall in particular emphasize that he expressed an immeasurably deep respect towards the general common-sense moral rules and at the same time frequently characterized the principle of utility as a principle that supplements these rules. Dealing with Bentham’s position, lastly, I shall stress that the nature of classical utilitarianism consists in a public and political morality and upon this understanding bring it to light that the discussion about the act/rule distinction can only be a discussion about an inessential means with regard to the ultimate end of utilitarianism, that is the achievement of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whole community. 최근까지 고전적 공리주의를 행위 공리주의와 동일시하고, 18-9세기 영국 공리주의자들의 학설을 행위-공리주의로 해석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우선 ‘고전적 공리주의자’로 일컬어지는 벤담, 밀, 시즈위크의 학설의 중요 측면을 고찰함으로써 이런 경향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고, 다음으로 행위/규칙 공리주의의 구분이 그들의 학설에 대한 이해에 유익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밀의 학설에 대해서는 행위-공리주의적 해석과 규칙-공리주의적 해석이 오랫동안 대립되어 왔다. 어느 한쪽의 우세를 단언할 수 없는 이런 해석들은 각각의 문제점을 가지면, 이런 문제점을 통하여 행위/규칙 구분에 의거한 접근방식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시즈위크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의 학설을 행위-공리주의로 해석하는 경향에 대하여 많은 반론이 제기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하는 동시에, 특히 필자는 그가 일반적 도덕 규칙들에 대하여 깊은 존경심을 표하면서 공리의 원칙을 그런 규칙들을 보완하는 원칙으로 간주했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벤담의 경우에는 고전적 공리주의의 본질은 공적・정치적 도덕임을 강조하면서, 행위/규칙 구분에 대한 논의는 전체 사회의 최대 행복이라는 궁극적 목적의 달성을 위한 비본질적 수단에 대한 논의였다고 주장할 것이다.

      • KCI등재

        Study of Levitation Force Improvement Structure of Magnetic Levitation System for Logistics Transport considering Leakage Flux

        강준호,김정원,이주,정동훈,김창현 한국철도학회 2022 한국철도학회논문집 Vol.25 No.2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ructural modification to improve levitation force of an EMS (Electro-Magnetic Suspension) C-type levitation system operated by an electromagnet. When the size of the transport system is limited, a study has to be conducted on design techniques to allow maximum levitation force within constraints. This study considered the shape of the stator teeth to improve the levitation force without affecting overall size of system. In addition, slot design parameters resulting from changed teeth shapes were summarized. The shape with maximum levitation force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magnetic flux contributing to the levitation force and the leakage flux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esign variable. Finally, the validity of the study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levitation force results of the basic and improved models through FEA (Finite Element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