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lack Ash법을 이용한 SrSO<sub>4</sub>로부터 SrCO<sub>3</sub> 제조

        강정신,이진영,Kang, Jungshin,Lee, Jin-You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21 資源 리싸이클링 Vol.30 No.5

        본 연구에서는 Black Ash법을 이용하여 홍천 자철광으로부터 회수된 황산스트론튬 (SrSO<sub>4</sub>)으로부터 탄산스트론튬 (SrCO<sub>3</sub>)을 제조하였다. Carbothermic 반응 단계에서는 황화스트론튬 (SrS)을 제조하기 위해 1273 K의 Ar 가스 분위기의 석영반응기를 사용하여 SrSO<sub>4</sub>를 탄소와 같이 반응시켰다. 이후 353 K에서 carbothermic 반응으로 회수된 잔사의 수침출 및 298 K에서 탄산나트륨 (Na<sub>2</sub>CO<sub>3</sub>)를 이용한 침출액의 탄산화 반응을 통해 SrCO<sub>3</sub>을 제조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Black Ash법 활용 시 국내산 자철광 내 함유된 스트론튬 (Sr)으로 부터 고순도 탄산스트론튬 제조가 가능함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 KCI등재

        마그네사이트 광석으로부터 용융염전해법에 의한 마그네슘 제조

        박형규,강정신,이진영,Park, Hyungkyu,Kang, Jungshin,Lee, Jinyou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7 資源 리싸이클링 Vol.26 No.3

        최근 국내 자동차부품 및 전자기기 산업에서 마그네슘 금속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마그네슘 제련은 크게 용융염전해법과 열환원법 두 가지로 대별할 수 있는데, 본 고에서는 마그네슘 금속 제련에 관하여 원료 광석인 마그네사이트로부터 무수염화마그네슘 제조를 거쳐 용융염전해법에 의한 금속 마그네슘 제조까지 실험실 규모로 전해 마그네슘을 제조한 내용을 요약 보고하였다. Magnesium has been used as parts of vehicles, case materials of notebook PC and mobile phone, and its demand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Its extraction technolog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wo major reduction methods: the fused salt electrolysis and the thermal reduction method. A research on the extraction of magnesium from magnesite which has been being carried out at KIGAM was briefly introduced here. Magnesium was prepared using a fused salt electrolysis method through preparation of anhydrous magnesium chloride with lab scale experiments.

      • KCI등재

        국내 범용 비철금속의 2014-2018 년간 수요 공급과 스크랩 리싸이클링 현황 조사

        박형규,강정신,이태혁,이진영,김영민,Park, Hyungkyu,Kang, Jungshin,Lee, Taehyuk,Lee, Jinyoung,Kim, Youngmi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9 資源 리싸이클링 Vol.28 No.3

        It is very necessary for the metal recycling industries and the researcher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demand and supply of non-ferrous metals and their scraps. Domestic demand and supply of non-ferrous metals and their scraps have been surveyed and reported o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since ten years before. However, it was confined to six major non-ferrous metals such as copper, aluminum, zinc, lead, nickel and magnesium because there are so many kind of non-ferrous metals. In this article also, demand and supply of these non-ferrous metals in addition tin during recent five years (2014 ~ 2018) in Korean markets were reviewed, and their recycling ratio of scraps were briefly estimated. The statistical data were mainly cited from the data issued by Korea Customs Service (KCS) and Korea Non-Ferrous Metal Association, and some fragmental published review articles from magazines and other technical reports.

      • KCI등재

        NdFeB 자석 재활용을 위한 파분쇄 및 그에 따른 표면 산화 특성 연구

        김관호,김가희,이훈,강정신,Kim, Kwanho,Kim, Gahee,Lee, Hoon,Kang, Jungshi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9 資源 리싸이클링 Vol.28 No.3

        희토류 영구자석(Rare earth magnet)은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맞물려 폐희토류 자석의 발생량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폐희토류 자석의 재활용은 주로 자석에 포함되어 있는 희토류 원소를 침출/분리하여 회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침출 공정에 투입되는 폐희토류 자석의 분쇄 특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희토류 자석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파분쇄 공정 및 분쇄특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NdFeB 폐자석을 조크러셔로 파쇄한 결과 급격한 산화 없이 효과적으로 입도가 감소는 하였지만, 롤크러셔의 경우 지속적인 압축에 의해 증가하는 표면과 대기 중의 산소가 반응하여 불꽃을 내며 급격한 산화가 발생하였다. 또한 파쇄 공정을 통해 생산된 시료를 볼밀에 투입하여 분쇄 특성을 파악한 결과, 일반적인 광물과 다르게 분쇄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분쇄 16분 이후에 정상적인 분쇄가 이루어졌다. 또한 일반적인 광물에 비해 매우 낮은 분쇄율(S)과 미분이 발생이 매우 높은 분쇄분포(B)를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향후 NdFeB 폐자석 파분쇄 공정 설계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알칼리 용액 중 CaCl<sub>2</sub> 첨가에 의한 텅스텐과 바나듐의 분리

        문경혜,최인혁,박경호,강희남,강정신,이진영,Moon, Gyeonghye,Choi, In-hyeok,Park, Kyungho,Kang, Hee-Nam,Kang, Jungshin,Lee, Jin-You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7 資源 리싸이클링 Vol.26 No.4

        SCR 폐촉매의 소다배소-수침출 용액으로부터 바나듐과 텅스텐을 분리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침출용액을 모사한 바나듐 $1g{\cdot}L^{-1}$, 텅스텐 $10g{\cdot}L^{-1}$ 합성 알칼리 용액에 NaOH 농도와 $CaCl_2$ 첨가량에 따른 바나듐과 텅스텐의 침전거동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반응표면법을 통해 바나듐과 텅스텐의 칼슘 침전에 의한 분리 최적조건을 구하였다. 그 결과 칼슘 침전물로의 반응속도 차이에 기인하여 용액의 온도가 낮으면 바나듐만 선택적으로 침전되었고, 온도가 높아지면 텅스텐 또한 침전되었다. 바나듐과 텅스텐은 NaOH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침전율이 낮아지며 또한 과량의 칼슘 첨가는 용액의 pH를 낮추어 바나듐과 텅스텐의 침전반응을 촉진시켰다. 반응표면법 분석결과 바나듐과 텅스텐의 분리의 최적조건은 293 K에서 $0.5mol{\cdot}L^{-1}$ NaOH, $CaCl_2$ 1 당량 이며, 이 때 바나듐과 텅스텐의 침전율은 각각 99.5%와 0.0%를 나타냈다. As a fundamental study for the separation of vanadium and tungsten from the leaching solution obtained from the soda roasting and water leaching process of spent 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catalyst was carried out. The precipitation behaviors of vanadium and tungsten using the artificial solution (V: $1g{\cdot}L^{-1}$, W: $10g{\cdot}L^{-1}$) was investigated depending on temperature, NaOH concentration and the amount of $CaCl_2$ (aq.) added. V (aq.) was selectively precipitated at lower temperature than 293 K while tungsten also was precipitated at higher temperature. Precipitation rate of V and W was decreased by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NaOH. On the other hand, excess Ca addition induced the increase of precipitation rate for V and W due to the formation of $Ca(OH)_2$ following the pH decline.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employed to optimize the selective precipitation. Vanadium of 99.5% and tungsten of 0.0% was precipitated at $0.5mol{\cdot}L^{-1}$ of aqueous NaOH and 1 equivalent ratio of $CaCl_2$ at 293 K.

      • 고순도 산화타이타늄 제조를 위한 탈질폐촉매로부터 타이타늄 회수공정 개발

        문경혜 ( Gyeonghye Moon ),최인혁 ( In-hyeok Choi ),강희남 ( Hee-nam Kang ),이태혁 ( Tae-hyuk Lee ),이진영 ( Jin-young Lee ),강정신 ( Jungshin Kang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최근 초미세먼지에 의한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주요 원인 중 하나인 발전소 및 자동차 등에서 발생되는 질소산화물 저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발전소를 중심으로 탈질촉매 설치가 증가되고 있으나, 사용수명을 다한 탈질폐촉매의 경우 대부분 매립되고 있어 폐촉매 내 주요 유가금속인 텅스텐, 바나듐 및 타이타늄에 대한 효과적 리싸이클링 공정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탈질폐촉매 내 타이타늄을 회수하여 고순도 산화타이타늄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 개발을 실시하였다. 탈질폐촉매 내 타이타늄을 침출가능한 형태의 화합물로 제조하기 위해 1000 ℃에서 탄산나트륨과 탈질폐촉매를 반응시켜 sodium titanate를 제조하였다. 이를 수침출한 결과, 온도가 증가할수록 탈질폐촉매 내 알루미늄 및 실리콘의 침출률은 증가하였으며 최대 각 94 % 및 89 %의 침출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텅스텐 및 바나듐은 온도에 상관없이 99.5 % 이상의 침출률을 얻을 수 있었으며, 타이타늄은 침출되지 않았다. 타이타늄 침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수침출 잔사를 5 - 7 M 염산을 사용하여 60 ℃에서 3시간 침출한 결과, 타이타늄 침출률은 97 %를 나타내었으나 86 - 99 %의 실리콘이 동시에 침출됨을 알 수 있었다. 타이타늄 침출액의 여과성 향상 및 고순도 산화타이타늄 제조를 위해 타이타늄 침출액 내 실리콘을 겔화반응에 의해 제거 후 얻어진 수용액을 90 ℃에서 hydrolysis 반응을 시킨 결과 순도 99.2 % 이상의 산화타이타늄을 제조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