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칸트 대상화 이론의 구성 -누스바움의 비판을 중심으로

        강은아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124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struct and advocate Kantian objectification theory. This is done through a confrontation with Nussbaum's discussion of objectification. Nussbaum argued that objectification is a “cluster-term,” so that not all objectification is morally problematic. On the contrary, according to Kantian perspective, objectification has one definition, and all objectification is, by definition, morally problematic. The two positions are alternatives to each other in that one cannot have the two positions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Nussbaum, objectification is to treat person as an object, and, particularly, morally unacceptable objectification is instrumentalization in a way that denies autonomy. But it weakens the power of objectification as a moral problem by overly expanding the scope of objectification, and is short of justification. I advocate a Kantian approach that sees objectification as a moral problem protesting the immorality that occurred in human relations. Objectification is not only treating humans as object, but as objects only, so that it is always morally problematic. However, I object to the usual Kantian interpretation that equates objectification with instrumentalization, and argue that the core of Kantian objectification theory ignores autonomy. I would analyze the ‘formula of humanit’ and consider the usual use of objectification. In conclusion, according to Kantian objectification theory, the criterion for objectification is instrumentalization, and ignoring autonomy ultimately justifies the immorality of objectification. 이 글의 목표는 칸트적인 대상화 이론을 구성하고, 옹호하는 것이다. 이는 누스바움의 대상화 논의와의 대결을 통해 이뤄진다. 누스바움은 대상화는 다의적이며 모든 대상화가 도덕적으로 문제적인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반면, 칸트주의적 입장에 따르면 대상화는 하나의 정의를 가지며, 정의상 모든 대상화는 도덕적으로 문제적이다. 두 입장은 대상화 개념을 달리 규정하며, 이로써 문제화하는 사태가 다르다는 점에서 서로 대안적인 관계에 있다. 누스바움에 따르면 대상화는 인간을 대상으로 대하는 것이며, 그 중에서 도덕적으로 문제적인 대상화의 특징은 자율성을 부정하는 방식의 도구화이다. 그러나 누스바움의 입장은 대상화의 적용 범위를 지나치게 확장함으로써 도덕적 문제로서의 대상화의 힘을 약화시키며, 대상화가 도덕적인 문제적인 근거를 제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이에 대해 나는 대상화를 인간 관계에서 일어나는 비도덕성에 항의하는 도덕적 문제로 보는 칸트적 접근방식을 옹호한다. 대상화는 대상으로 대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으로만 대하는 것으로 언제나 도덕적으로 문제적이다. 다만 나는 기존의 대상화를 도구화와 같다고 여기는 해석에 반대하여 칸트주의적 대상화 이론의 핵심이 자율성 무시라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인간성 정식’의 논의를 분석하고 대상화 표현의 통상적인 사용을 고려한다. 결론적으로 칸트주의적 대상화 이론에서 대상화의 기준은 도구화이며, 자율성 무시는 대상화의 비도덕성을 궁극적으로 정당화하는 것이다.

      • KCI등재

        인터넷 의류 쇼핑몰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대한 심층 고찰

        강은아,김세범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8

        We felt the need for research into visual merchandising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et shopping malls, and We classified users of internet apparel shopping mall into those using comprehensive malls and those using special malls. In order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more effective VMD strategies, five important VMD elements such as shopping mall differentiation, shopping mall composition, assortment of products, merchandising cues, and visual design were examined. The date were collected from 225 main users and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 t-test and chi-square. Accordingly, the research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tiation(unique website, visual differentiation), and shopping mall composition(ease of movement, simple composition), simple standard of classification in layout, color image, and preference of coordination. Accordingly, proper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main page' and 'coordination' in the VMD of apparel shopping malls. 본 연구는 시각적 정보에 주로 의지해야하는 인터넷 쇼핑몰 관점의 새로운 비주얼 머천다이징 필요성과 함께 VMD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의류 쇼핑몰 유형에 따라 더욱 효과적인 VMD전략 수립을 위해 인터넷 의류 쇼핑몰 주이용자를 경쟁형태의 종합몰과 전문몰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비주얼 머천다이징 요소인 ‘쇼핑몰 차별성’, ‘쇼핑몰 구성’, ‘상품구색’, ‘머천다이징 단서’, ‘시각적 디자인’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쇼핑몰 선택이유’, ‘쇼핑몰 차별성(시각적 구별, 이색적 사이트)’, ‘쇼핑몰 구성(간결한 구성, 간결한 분류기준, 이동 용이성)’에서 이용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며, ‘시각적 디자인’요소 중 레이아웃(상품 제시형태: 메인페이지 구조, 상품이미지 제시유형: 모델착용), 컬러이미지(모던한 느낌, 내추럴한 느낌), 코디네이션(환경, 혼합)의 선호도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인터넷 의류 쇼핑몰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있어서 ‘메인페이지’와 ‘코디네이션’에 특히 주목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액체 생검(Liquid Biopsy): 위암 및 헬리코박터 감염증에서 적응과 전망

        강은아,한영민,박종민,유인경,홍성표,함기백 대한상부위장관ㆍ헬리코박터학회 2018 Korean Journal of Helicobacter Upper Gastrointesti Vol.18 No.3

        Precision medicine stands for 4Ps – precise, preventive, participatory, and personal; in which “precision” is important because the current modern medicine starts from “trial and error,” and “one does not fit all”. Current targeted therapies for cancer have changed treatment approaches and led the precision medicine; however, clinical use of liquid biopsy, using blood or other liquid specimens to characterize circulating tumor cells (CTC) or tumor genes instead of biopsies of tumor tissues, still awaits availability of more information regarding non-invasive cancer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prediction of treatment response, monitoring the disease course and relapse possibilities, identification of mechanisms of drug resistance, and newer pathogenesis. In this review, we will introduce the basic concept of CTC, circulating cell free DNA, and exosomes and their possible application for gastric cancer relevant wit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18;18:-156)

      • KCI등재

        도덕법칙과 비약 논쟁: 도덕형이상학 정초 1절을 중심으로

        강은아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 Vol.82 No.-

        I am concerned about the gap problem in Kant’s Groundwork Section Ⅰ. Aune and Allison argue that there is a logical gap between the two moral principles for a person with good will. In the conclusion part in Section Ⅰ, one principle is derived from another principle, formally. However, the premise principle, universal conformity to law principle, is a demand for consistency of apparent actions, which cannot be regarded as a moral principle, but the conclusive principle, universalizability principle, is a sort of categorical imperative. On the contrary, the alternative position denies any gap but fails to prove that there is no gap. I argue that there is no gap in the so-called derivation argument. First, Kant's principle of conformity to law contains necessity. Second, to have necessity entails motivation of acting from duty. I conclude that the two principles are logically not different, different in descriptive form only. The principle of universal conformity to law presents the moral law from the third person perspective, descriptively. The universalizability principle presents the same principle from the first-person perspective, prescriptively. 본 논문에서 나는 『윤리형이상학 정초』 1절의 해석을 둘러싸고 벌어진 소위 ‘비약 논쟁’에 답하고자 한다. 오운과 앨리슨은 선의지의 최상 원칙을 도출하는 1절 결론부에서 논리적 비약이 있다고 주장한다. 도출 논증의 전제인 보편적 합법칙성 원칙은 행위의 겉보기 일관성을 요구할 뿐이어서 도덕법칙으로 보기 어려운 반면 결론인 보편화 가능성 원칙은 정언명령과 같다는 것이다. 나의 주장은 보편적 합법칙성 원칙이 단순히 행위의 일관성을 요구하는 원칙이 아니며, 비약은 없다는 것이다. 이는 첫째, 칸트의 합법칙성은 필연적 부합을 요구하며, 둘째, 필연적 부합은 행위에 의무 동기를 요구한다는 것이 머리말과 1절 논의에서 중요하게 다뤄진다는 것에서 드러난다. 또한, 보편적 합법칙성 원칙과 보편화가능성 원칙은 각각 도덕법칙을 3인칭의 관점에서의 기술적 원칙과 1인칭의 지시적 원칙이라는 점에서 실천적으로 동일한 원칙이며, 도출이라기보단 환언 내지 설명의 관계에 있다.

      • KCI등재

        1950년대 종합미술그룹 ‘新造型派’ 연구: 변영원을 중심으로

        강은아 미술사연구회 2022 미술사연구 Vol.- No.42

        The Sinjohyeongpa (Neo-formative Art Group) was an art group that held three membership-based exhibitions from 1957 to 1959 and was formed based on a shared notion of artistic style rather than as an anti-National Exhibition (Gookjeon) movement. The first exhibition of Sinjohyeongpa was held with the works of seven founding members, including Byun Heecheon, Cho Byunghyun, Beun Youngwon, Kim Kwanhyun, Son Gyepung, Lee Sangsoon, and Hwang Kyubaik. The second exhibition consisted of twelve artists, such as Kim Chungsun, Kim Younghwan, Jung Gunmo, Lee Chul, Lee Cheulyi, and Rhee Sangwooc, after Kim Kwanhyun, one of the founding members, had left the group. Nine or ten artists attended the third exhibition, including new recruit Moon Cheolsoo. Byun Heecheon, Son Gyepung, and Rhee Sangwooc, who participated in the second exhibition, also left the group and did not attend. It is not clear whether Lee Chul participated or not. The Sinjohyeongpa, in their first exhibition, announced an “Ideological Declaration,” claiming to inherit “the creative tradition of national art,” dedicated to “exploring the creation of new modern art,” and “acting directly for making modern art as a way of life.” Beun Youngwon’s discourse, which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art theory of Sinjohyeongpa, indicates that the group set their goals based on the pursuit of globalized form of Korean contemporary art, which was the wider aim of the Korean art community in the late 1950s. Thus, they attempted to inherit the creative tradition of Korean national art by reflecting reality, and developed an abstract art approach formatively, toward the expression of modernity. In addition, the group pursued the contextualization of art in daily life by applying a combination of scientific technology and abstract beauty to general industrial design for social reconstru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after the Korean War. In summary, the Sinjohyeongpa established their ideological position by thinking about the social role of art in the era of national reconstruction after the Korean War. To realize their ideological concerns, Sinjohyeongpa recruited painters, architects, and designers as their members and exhibited paintings, architectural designs, and craft works together within their membership exhibitions, dreaming of the convergence of fine art and applied art. In addition, Sinjohyeongpa members tried to directly utilize their works in industrial contexts. Through this process, they promoted the value of abstract art, which had been disregarded as commercial art, and attempted to raise the status of both abstract art and applied art. In this context, this paper argues that the Sinjohyeongpa should be re-examined as an integrally important art group that pursued social development through art. This would usefully go beyond the existing evaluation of the art group as a marginalized collective, that emerged due to the dominant historical role of the National Exhibition dispute. ‘신조형파’는 1957년부터 1959년까지 3번의 회원전을 개최했던 미술그룹으로 반국전적 성향보다는 조형의식을 바탕으로 결성된 그룹이다. 신조형파 1회전은 창립회원 7명, 변희천, 조병현, 변영원, 김관현, 손계풍, 이상순, 황규백의 작품으로 개최되었다. 2회전은 창립동인 중 김관현이 빠지고 새로운 회원 김충선, 김영환, 정건모, 이철, 이철이, 이상욱이 영입되어 12명의 작품으로 이루어졌다. 3회전의 경우 2회전에 참여했던 작가 중 변희천, 손계풍, 이상욱이 빠지고 문철수가 새로 영입되었는데, 이철의 참여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따라서 3회전에는 9명 혹은 10명의 작가가 참석했을 것이다. 신조형파는 1회전을 개최하며 “민족미술의 창조적 전통성 계승”, “현대미술의 새로운 창조 탐구”, “현대미술의 생활화에 직접 행동한다.”는 자신들의 「이념·선언」을 표명하였다. 이 이념의 함의를 ‘신조형파’ 예술론 형성에 중추적 역할을 하였던 변영원의 담론을 중심으로 파악하면, 신조형파는 1950년대 후반 한국미술계의 기치였던 국제적이며 한국적인 현대미술 추구를 바탕으로 자신들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 실행 방안을 탐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한국성을 위해서는 현실을 반영해 온 민족미술의 창의성을 계승하고자 하였고, 현대성 발현을 위해서는 조형적으로 추상을 발전시켰다. 또한 한국전쟁 이후의 사회재건과 경제발전을 위해 과학기술과 추상미를 조합하여 산업 일반에 적용시키는 미술의 생활화를 추구하였다. 즉 신조형파는 한국전쟁 이후 국가재건의 시대에 미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고민하며 그들의 이념을 설정하였던 것이다. 신조형파는 자신들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화가·건축가·디자이너들로 회원을 구성하였고, 회원전에 회화작품과 건축도안, 공예작품 등을 함께 전시하며 순수미술과 응용미술의 융합을 꿈꾸었다. 그리고 신조형파 회원들은 자신들의 작품을 직접 산업 현장에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상업미술로 여겨지며 터부시되던 추상미술의 가치를 드높이며, 추상미술과 응용미술을 모두 예술로 승격시키고자 했다. 따라서 신조형파는 국전 분규로 조직된 재야 미술그룹이라는 기존의 평가를 넘어서, 미술을 통해 사회 발전을 추구한 종합미술그룹으로 인정받아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