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구 조화된 문제 상황에서 이공계 대학생들의 문제발견 과정 및 문제발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유진 ( Eu Gene Kang ),김지나 ( Ji Na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4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문제해결력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과학 교육에서 문제해결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잘 정의된 문제, 구조화된 문제를 대상으로 연구하였기 때 문에, 빈약하게 정의된 문제, 비구 조화된 문제의 해결 과정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한다는 지적을 받았다. 비구조화 된 문제는 전체적인 목표는 존재하지 만, 제공되는 정보가 적거나 거의 없는 상황이므로, 비구 조화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문제발견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비구 조화된 상황에서 문제발견은 창의성과 관련되기 때문에,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구 조화된 문제발견을 학 습할 필요가 있다. 과학 영역에서 비구 조화된 문제발 견에 대해, 교실현장에 구체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가이드를 만들기 위해서, 비구 조화된 상황에서 과학 적 문제발견 과정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이공계 대학생 32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서 실제로 비구 조화된 상황에서 과학적 문제발견 과정과, 그 과정에 영향을 준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비구 조화된 문제 상황에서 학생들의 문제발견 과정 은, 문제와 관련된 단서나 잠정적 해결책을 염두에 두 고, 정보를 검색한 후 몇 가지 선별 기준에 따라서 검색된 정보를 선별하여 문제를 발견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문제발견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먼 저, 문제에 관한 단서를 떠올리는데 전공 수업과 영 화, 소설 등 학생의 경험이 영향을 미쳤다. 문제해결 자의 문제 관련 배경 지식이 잠정적 해결책에 영향을 미쳤고, 검색한 정보를 선별하는 선별 기준으로 정보 의 신뢰도, 정보의 출처, 내용 적합성, 이해 가능성, 주제와 관련성, 언급된 회수가 사용되었다. 그런데 연 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제시한 정보선별 기준이 타 당한지, 중등학교 현장에서 교사가 안내할 가치가 있는지, 학습에 도움이 되는지 여부는 알 수 없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개연성 있는 모델을 만 들기 위해, 문제를 명료화할 때 가정을 사용하였다. 가능한 모든 변수를 포함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정을 사용해서 불필요한 요소를 배제하는 접근법은 적절한 전략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중등학교 현장에서 교사는 학생들 에게 비구 조화된 상황에서 문제를 발견할 때 적절한 가정을 사용함으로써 문제를 명료화할 수 있다는 점 을 알려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secondary school emphasizes scientific problem solving. In line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many education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relation to science education. The objects of these studies were well-defined and well-structured problems, The studies were criticized for overlooking ill-defined and ill-structured problems, Some research has dealt with problem finding in ill-structured problems, which is related to creativity, There is a need for a study of scientific problem finding process in an ill-structured problem situation, because this study will help teachers wanting to teach scientific problem-finding in an illstructured problem situ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on the scientific problem finding process in an ill-structured problem situation. One task of scientific problem finding in an ill-structured problem situation was assigned to 92 university students; thereafter, 32 of them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rough interviews. Results indicated that the scientific problem finding process depended on initial clues and tentative solutions. Initial clues were affected by students` experiences, such as major classes, films, and novels. Tentative solutions were influenced by background knowledge of the tasks. Students screened information browsed on the Internet. They applied some standards for selection, particularly emphasized reliability standards, which are supposed to be studied in other contexts. All the students used assumptions to make their problems appear probable, which could be a useful tool to articulate.

      • KCI등재

        소설 원작 영화를 활용한 리터러시 교육 모형 연구

        강유진(Kang, Eu-Gene)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9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련한 글쓰기 교육은 영상의 보조적 활용에 그친 경향이 있어왔으며 대표적으로 영화 감상문/비평문 쓰기의 형태로 가장 많이 이루어져 왔다. Z세대는 이른바 영상세대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글쓰기 교육은 기존의 교육 방식에서 전면적으로 다른 방향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현재 리터러시는 언어를 표현 수단으로 하는 글 중심의 해독력이 아니라 언어를 매개로 한 복합적 인지, 사고, 표현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리터러시 교육은 글, 영상, 이미지 등의 표현 방식을 넘어서서 각각의 표현 수단에 맞는 표현의 방식을 교육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궁극적으로는 표현 방식을 막론하고 이를 활용한 언어적 인지, 사고, 표현 능력을 향상하는 데 목적으로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것은 영상세대가 갖고 있는 글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는 것이다. 이는 영상과 글이 모두 선형적인 인지, 사고 과정의 언어적 행위라는 사실을 바탕으로 글쓰기를 통해 영상 자료를 글로 옮기는 것에 주목하는 교육 모델을 통해 가능하다. 본 교육 모형은 담화 유형 중 ‘설명/ 묘사/ 서사/ 논증’에 해당하는 소설 예문을 영상으로 전환하고, 영상을 다시 글로 전환하는 실습을 통해 글과 영상의 표현에 나타나는 차이를 익히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글이 영상으로 전환되었을 때의 의미와 표현 방식의 차이/유사성을 체험 학습하고 문자와 영상의 통합적 읽기(decoding)와 쓰기(encoding)를 수행할 수 있다. In writing education related to media literacy, images have tended to be used as supplementary devices. Typically, film appreciation / criticism writing can be referenced. The Z generation is a so-called video generation and writing education for these students needs to be taken in a different direction than that which is provided by existing teaching methods. Currently, literacy is defined as a complex cognitive, thinking, and expression process mediated by language, not a writing-oriented ability to interpret language as a means of expression. In this sense, literacy education should focus on education as a way of developing expressive capabilities that are appropriate to each mode of expression, beyond writing, image, and video. Ultimately, it should aim to improve language, thinking, and expression, regardless of the way they are represented. To accomplish this, instances in which writing is rejected by the generation which favors images must be reduced. This is possible through an educational model which focuses on the transfer of image data through writing, based on the fact that both image and text are linear, cognitive, and linguistic parts of the thinking process. This educational model focuses on providing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learn the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 of texts and images through hands-on conversions of novels corresponding to ‘Explanation / Describe / Narrative / Demonstration’ do. Through this approach, students can experience the difference / similarity between semantics and expressions when texts are converted into images and perform integrated reading (decoding) and writing (encoding) of texts and images.

      • KCI등재

        망각과 왜곡의 글쓰기를 통한 자기합리화 과정 : 이태준의 〈사상의 월야〉, 〈해방전후〉를 중심으로

        강유진(Kang Eu-Gene) 우리문학회 2011 우리文學硏究 Vol.0 No.33

        소설의 기법적 완성도의 측면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작품 일지라도 그 작품을 통해서 작가의 내면을 파악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특히 자전소설의 경우 작가론의 견지에서 이것이 갖는 내용적 가치는 소중한 자산이 된다. 이 글은 이태준의 자전소설 〈사상의 월야〉와 〈해방전후〉의 고찰을 통해 작가의 사상적 지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상의 월야〉의 경우 전기적 사실과의 일치 여부보다는 개작 전후의 차이점에 주목 함으로써 이것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해방전후〉는 해방 후의 시점에서 서술되는 소설 내부의 언술에 주목하여 그것이 내포하는 의미를 밝히고자하였다. 두 작품은 모두 집필 당시에는 자신의 형성사(historicity)를 정리, 복원하려는 개인사로서의 회고체(Memoir) 자전소설의 성격에서 출발하였으나 개작을 거치면서 자신의 정당성을 입증하고 인식시키려는 개인사로서의 변증체(Apology) 자전소설적 요소를 갖추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이면에는 해방이라는 역사, 정치적인 사건이 자리한 바, 결과적으로 해방이 작가에게 가져다 준 외적, 내적 변화는 소설의 성격을 크게 변화시켰다. Even though that work couldn’t receive a favorable evaluation in perfection of technic, we could assess to the inner side of writer through that work. Especially, for the autobiographical novel, its content value is the biggest asset from the writer’s study point of view.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Lee tae-jun’s aim of thought with his autobiographical novel “The moonlight night of the thought” and “Before and after the independence”. In “The moonlight night of the thought”, I analyzed the meaning of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re-writing instead of whether the content correspond with fact or not. In “Before and after the independence”, I tried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discourse of internal novel which is described from the point of after the independence. At the first writing days, those two works were the memoir autobiographical novel to arrange and restore his historicity. But, after the re-writing, those became the apology autobiographical novel to prove and impress his justification. Behind this change, there was a historical and political event; the independent. As the result, the inner and outer change to writer brought by the independent made the big chang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novel.

      • KCI등재

        최인호 소설에 나타난 집과 도시의 공간성 연구

        강유진(Kang, Eu-Gene)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5

        소설 <타인의 방>은 도시의 아파트에서 자아 정체성에 혼란을 일으킨 한 가장의 이야기이다. 최인호는 40년이 지난 후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를 발표함으로써 <타인의 방>을 모티프로 한 장편소설을 내놓았다.이 두 소설은 서로 긴밀히 연동하며 최인호 소설 전체를 관통하는 문제의식이 무엇인지 말해주는 문제작으로서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두 소설은 모두 자신의 고유한 장소가 불시에 의미를 잃어버리고 낯설게 지각되는 사건을 다룬다. 이 두 소설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식을 밝히는 것은 곧 작중인물을 둘러 싼 장소성의 상실이 내포하는 실체와 그 의미를 찾는 일이다. <타인의 방>과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는 물질문명 사회에서 잃어버린 자아 찾기 과정을 신성 공간으로의 변모를 통해 나타내려는 소설 연작이다.<타인의 방>에서 사적 공간에 한정되던 공간적 배경을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에서는 공적 공간으로 확대하여 자아 찾기의 과정을 보다 세밀하게 다루었다는 점에서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는 기존에 최인호가 가지고 있던 작가 의식을 보다 적극적으로 실천해 본 문제작으로 평가할 수 있다. <타인의 방>의 ‘그’가 그대로 석상이 되어버렸다면,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의 K는 자신을 되찾기 위한 여러 시도를 감행하는 과정에서 자아통합에 이른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는 공간의 사적 전유를 통해 지각 공간으로서의 장소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The story “Other’s room,” which is set in a city apartment, is about a man who causes confusion in his self-identity. Choi In-ho published “The City of Someone Else Familiar” about forty years after the publication of “Other’s room”. These two novels are closely interrelated and need to be studied as one piece of problematic work describing the theme of problem consciousness that penetrates both novels. Both novels deal with events that became unfamiliar after their place suddenly lost their meaning. To reveal the issue of problem consciousness of these two novels is to find the direct and implied meaning connoted by the loss of the place character surrounding a character. “Other’s room” and “The City of Someone Else Familiar” are novel series that showcase the process of finding a lost self in material society through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into the divine space. “The City of Someone Else Familiar” deals with the process of self-discovery more closely by expanding the spatial background that is confined to the private space to the public space. This novel is a problematic work that has been actively practiced by the artist’s consciousness that Choi In-ho had previously. If “He” in “Other’s room” becomes a stone statue, then “K” in “The City of Someone Else Familiar” realizes his self-integration in the process of trying to regain his self. In this sense, the “The City of Someone Else Familiar” is a novel that actively utilizes the concept of “place” as a space of perception through spatial appropriation.

      • KCI등재
      • KCI등재

        손창섭의 신문연재 소설에 나타난 남녀관계와 결혼서사

        강유진(Kang, Eu-gene)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9 No.-

        1960년대 이후 저널리즘이 확대되면서 손창섭은 독자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신문연재 소설로 매체를 바꾸게 된다. 이는 독자층을 확대하고 자신의 소설 세계를 지속하는 결과를 낳았기에, 1960년대 이후 손창섭 소설의 검토는 그의 작가론의 구축에 중요한 지점이 된다. 손창섭 소설을 크게 두 단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1960년부터 1970년까지의 시기에 발표된 소설은 후기소설로 분류할 수 있다. 후기소설의 테마는 애정문제에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가정 내 부부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비판 의식을 이어오는 부부 테마 소설이 대표적이다. 후기의 부부 테마 소설들은 단편 현대소설이 주를 이루는 초기소설과 도일(渡日) 이후의 역사문제 소설들의 가교 역할을 하며 손창섭 소설을 관통하는 주제의식을 내포하고 있다. 손창섭의 부부 테마 연재장편소설은 구성과 주제의 측면에서 유사성을 갖는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여성 주동인물 유형의 소설은 현실의 가부장적 체제의 전복을 도모하지만 결국 실패하고 새로운 가부장의 질서로 편입되는 결말을 하는 반면에, 남성 주동인물 유형의 소설은 기존의 가족 관계를 해체하고 새로운 형태의 유사가족을 형성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두 유형 모두 사회의 축소된 형태로서 합리적 계약관계인 가족과 부부 관계를 제시하여 한국 사회를 비판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세월이 가면」은 발표시기로 볼 때 후기소설의 선두에 서는 작품으로 이후 발표되는 소설들이 갖는 여러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내포되어 있는 문제작이다. 「세월이 가면」과 「결혼의 의미」는 모두 중요 남성인물이 서울을 떠나서 새로운 가족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공통되며, 이러한 귀농 모티프는 손창섭의 후기소설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결혼의 의미」는 한 여성이 결혼에 이르기까지의 과정과 결혼생활을 통해 여성에게 가해지는 사회적 관습과 가족제도를 내면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소설이다. 이 두 소설을 통해 손창섭은 연애와 결혼이라는 일상적 소재를 통해 드러나는 한국사회의 풍속과 가치관을 비판적으로 묘사하였다, 이러한 사회비판적 작가의식은 한국사회의 일상성에 포섭되지 못하는 이방인으로서의 손창섭의 정체성을 말해준다. In his late works, published after 1960, Son Chang-Seop joined the expansion of journalism and shifted his medium to the serialized newspaper novel. This resulted in expanding his readership while retaining his characteristic novelistic style. Therefore, examining Son Chang-Seop’s novels of the 1960s is an important point for establishing. Son Chang-Seop’s novels published from 1960 to 1670 can be classified as his late novels, if dividing his works into two periods. The main theme of these late works focuses on affection and social conditions in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His late also bridge the gap between his early novels, short modern tales, and even later novels addressing historical issues, published after his move to Japan. They also contain the thematic consciousness characteristic of all Son Chang-Seop’s novels. Son’s affection-manners novels have certain similarities in composition and subject. Those with a female main character conclude in failure, after she attempts to subvert the existing patriarchal society or to assimilate into it. Meanwhile, those with a male main character end with a bright prospect for disbanding traditional family relations and establishing new quasi-family relations. Son’s unique values and attitude towards the social trends of the time can be found throughout his depictions of those relationships between men, women, and family that are reflective of Korean society. 〈As Time Goes By〉 and 〈The Meaning of Marriage〉 have in common the story of male main character who has left Seoul and had a family. Importantly, this return to farming motif appears constantly in Son’s later works. 〈As Time Goes By〉, the first of the late novels, is a key work mixing many of the elements found in the following ones. 〈The Meaning of Marriage〉 shows how women internalize social mores and the family system, by depicting a woman’s single and married life. In these two novels, Son critically describes the value system and customs of Korean society, which is revealed through customary material, such as dating and marriage. This critical social consciousness reveals Son’s identity, which cannot find a place in Korean social structures.

      • Space Group $R\={3}c$(167)과 Tris(1,2,3,4-tetraphenylbuta-1,3-dienyl)cyclotriphosphazene의 結晶構造

        김영상,고재중,강상욱,이영주,강유진,한원식,박영수,서일환,Kim, Young-Sang,Ko, Jae-Jung,Kang, Sang-Ook,Lee, Young-Joo,Kang, Eu-Gene,Han, Won-Sik,Park, Young-Soo,Suh, Il-Hwan 한국결정학회 2004 韓國結晶學會誌 Vol.15 No.1

        Trigonal system에 屬한 25個 space group들 中 18個는 hexagonal axes만을 나타내는 lattice letter p로 表示되고, 나머지 7個의 rhombohedral space groups R3(146), $R\={3}$(148), R32(155), R3m(160), R3c(161), $R\={3}m$(166), $R\={3}c$(167)은 첫째 3개의 lattice points (0, 0, 0), (2/3, 1/3, 1/3), (1/3, 2/3, 2/3)를 갖는 hexagonal cell in obverse setting과 둘째 primitive rhombohedral cell의 두 가지로 表示된다. 本 論文에서는 space group $R\={3}c$(167)에 대하여 論한 後 이 space group에 屬한 化合物인 tris(1,2,3,4-tetraphenylbuta-1,3-dienyl)cyclotriphosphazene, $C_{84}H_{60}N_3P_3$의 構造를 hexagonal 및 rhombohedral cell 의 양쪽으로 糾明하여 發表하였다. There are 25 space groups in the trigonal system. Eighteen out of them have a lattice letter P displaying only hexagonal axes, wherease the remaining seven rhombohedral space groups R3(146), $R\={3}$(148), R32(155), R3m(160), R3c(161), $R\={3}m$(166) and $R\={3}c$(167) are described with two corrdinate systems, first with hexagonal axes having three lattice points (0, 0, 0), (2/3, 1/3, 1/3), (1/3, 2/3, 2/3) and second with primitive rhombohedral axes. In this paper, the space group $R\={3}c$ is discussed and the crystal structure of a compound, tris(1,2,3,4-tetraphenylbuta-1,3-dienyl)cyclotriphosphazene, $C_{84}H_{60}N_3P_3$, belonging to the space group $R\={3}c$ is elucidated with both hexagonal and rhombohedral cells.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 글쓰기 제시 양상 분석

        박길순 ( Kil Soon Park ),강유진 ( Eu Gene Kang ),김지나 ( Jina K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科學敎育硏究誌 Vol.38 No.2

        The 2009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science writing as a way to foster scientific thinking, creative thinking and communicative abilities. This research attempted to find out the aspects of science writing in science textbooks by analyzing seven versions of the 2009 revised science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science writing pages is small and the amount of science writing differs a lot depending on the kind of textbook. Also, science writing is generally located in the wrap-up part of each unit, and the amount and the number of science writing vary substantially from unit to unit depending on the textbook. Second, it was found that ``scientific knowledge-explanation`` statements have the largest proportion and ``STS-assertion`` statements have the second largest proportion in terms of topics and styles of science writing in science textbooks. Some ``scientific knowledge-explanation`` statements are not appropriate to foster scientific ability because they evaluate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suggested passage as nonliterary writing, not the writing itself as a method to learn sci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predicates that do not indicate a clear purpose of the science writing contained in science textbooks.

      • KCI등재후보

        저융점을 가진 Core 물질을 이용한 내구성 Microcapsule 제조 기술

        노근애(Kun Ae Noh),강유진(Eu Gene Kang),김상헌(Sang Hern Kim) 한국유화학회 2001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18 No.4

        N/A A series of microcapsule were synthesized by using several PCM(Phase Change Material) as a core material and gelatin/arabic gum, melamine/formaldehyde as a shell material. Coacervation technique and in situ polymerization were adopted in synthesizing microcapsules. In the microencapsulation by coacervation, tetradecane and octadecane were used as core materials. In the microencapsulation by situ polymerization tetradecane, pentadecane, hexadecane, heptadecane, octadecane, and nonadecane were used as core material. The synthesized microcapsule was examined to observe the shape of the microcapsule. The particle size analysis was performed by particle size analyzer. The thermal properties(e.g. melting point, heat of melting, crystallization temperature, heat of crystallization, differences between melting point an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ere obtained by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The stirring rate effect was investigated during the microencapsulation. It was found that with increasing the stirring rate much smaller microcapule was produced. However, this did not necessarily lead to formation of spherical microcapsul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