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휠체어테니스 선수의 경기력 향상 제반 요건탐색을 위한 근거이론적 접근

        강유석 용인대학교 2010 특수체육연구 Vol.7 No.-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테니스 경기력 향상을 위한 제반 여건들을 질적연구 방법의 하나인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목적 및 연구 참여자 선정 준거에 부합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수도권 지역 소재 테니스코트 2곳에서 6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주로 포커스집단 면담과 개별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trauss와 Corbin(1990)이 제안한 분석 단계에 따라 개방코딩과 축코딩, 선택코딩의 순서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발견된 몇 가지 내용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들이 휠체어테니스에 참여하는 형태는 동호인 단계, 선수 단계, 그리고 생활스포츠 단계로 구분되었으며, 각 단계는 활동 기간과 경기력 수준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참여 및 활동을 지속하게 하거나 방해하는 요인들이 존재하고 있다. 둘째, 참여자들은 선수층 확보를 통한 저변 확대, 선수들의 국제랭킹 상승, 휠체어테니스 행정력 강화, 충분한 훈련 시설 및 기회의 보장, 그리고 국제대회 성적 상승 등을 휠체어테니스 경기력 향상에 대한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참여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휠체어테니스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건은 개인적 차원, 훈련 환경적 차원, 제도적 차원, 사회 환경적 차원 등 다차원적으로 범주화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quirement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in wheelchair tennis. This study was executed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based on Strauss and Corbin(1990). For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6 wheelchair tennis athletes selected from wheelchair tennis club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The data was mainly collected by focus group interview and individual interview from May to September, 2009 and analyzed wit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systematic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First, that the type of participating in wheelchair tennis classified the stage of club member, stage of athlete, and stage of life time sports according to length of participation and level of performance. In addition, there are factors that facilitate or hinder participating in wheelchair tennis. Second, participants of this study recognized the concept of performance improvement in wheelchair tennis to expand the pool of athlete, increase the world ranking of athletes, strengthen of management in wheelchair tennis, guarantee of training facility and chance, and improve of record in international competition. Third, the requirement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in wheelchair tennis are multidimensionally categorized into individual dimension, training environmental dimension, institutional dimension, and social environmental dimension.

      • KCI등재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의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실행요소 탐색

        강유석,오광진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2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lementation components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of school-ag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the research participant selection criteria were prepared, and 14 experts were selected as interviewees. Data were collected by depth interview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by applying inductive category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process, first, cognitive function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ppearing during physical activity instruction were found to be difficulty in attention, difficulty in generalization, limitations in executive skills, egocentric reactions, and sensory integration and limitations ofperception. In addition, implementation components of a physical activity program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categorized into variety of movement experiences, rule making, presentation of extended task, induction of voluntary performance, learning social skills, receptive environment, and presentation of individualized cognitive task.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의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요구되는 실행 요소가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 선정기준을 마련하고 이에 부합하는 대학교수 4 명, 특수체육 및 치료서비스 기관의 관리자 3명, 지도자 4명, 특수학교 교사 3명을 면담 대상자로 선정하였 다. 자료수집은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로는 첫째, 신체활동 지도 시 나타나는 발달장애 아동 의 인지기능 특성은 주의집중의 어려움, 일반화의 어려움, 실행기술의 제한, 자기중심적 반응, 감각통합 및 지각의 제한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달장애 아동의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해 야 할 실행요소는 다양한 움직임 경험, 규칙 만들기, 확장적 과제 제시, 자발적 수행 유도, 사회적 기술 학습, 수용적 환경 조성, 개별화된 인지과제 제시로 범주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발달장애 아동의 인지기능 개선 을 위한 체계적인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그리고 지도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매뉴얼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에서 특수체육 적용 방안 탐색

        강유석,유진호 한국특수체육학회 2018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6 No.2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adaptive physical activity(APA)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day activity service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literary study and case study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ry study was conducted by examining the reports, scholarly papers, and documents of internet web-sites and the interview, observation, and various document related the day activity service of private APA center in Gyeonggi-do province for the case stud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education services are expected to be relatively large, and provide new jobs for APA majors. Second, more specific standards for the personnel and the provider should be in place and APA and majors should prepare to meet the standards. Third,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systematic and rich programs suitable for the motor development phase of the subjects should be carried out. Fourth, the case study show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service resulted in 'support for the disabled family',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and 'job creation for APA majors' and that the efficient settlement of physical education services were presented as 'the expertise of the personnel', 'the provision of systematic programs', 'the construction of specialized operating systems', and 'systematic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ful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day activity service system. 본 연구는 발달장애 성인을 위한 주간활동서비스 제도의 시행에 앞서 특수체육의 효과적인 적용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는 관련 보고서와 학술논문, 인터넷 사이트 자료 등을 고찰하였고, 사례연구는 시범사업 기관으로 선정되어 체육형 서비스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는 경기도 소재 사설 특수체육기관을 대상으로 면담과 관찰, 사업 운영 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주간활동서비스 영역 중 체육형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상대적으로 많을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특수체육 전공자들에게 새로운 일자리를 제공할 것이다. 둘째, 제공인력과 제공기관에 대한 좀 더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며, 기준에 부합하도록 특수체육 기관 및 전공자들이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상자의 운동발달 단계 및 욕구에 맞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사례연구를 통해 체육형 서비스의 시행 효과는 장애인 가족 지원,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 특수체육 전공자의 일자리 창출로 나타났으며, 체육형 서비스의 효과적인 정착 요건으로는 제공인력의 전문성,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제공, 전문 운영체계 구축, 제도적 뒷받침이 주요 내용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주간활동서비스 제도의 정착 과정에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체육수업에서 지적장애학생의 수업소외 극복을 위한 수업모형 효과 검증

        강유석 한국초등체육학회 2013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통합체육수업에서 지적장애학생의 수업소외를 최소화하여 과제 참여 및 수업의 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1년차 연구에 이은 2년차 연구로, 개발된 수업모형을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성과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C초등학교에 한 학기 동안 수업모형으로 적용하여 통합연구방법(mixed methodology)이 적용된 사례연구(case study)를 통해 수업모형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비디오 자료는 신체활동수준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신체적 자기개념과 통합체육에 대한 태도는 대응표본 t-검증과 ANOVA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C초등학교 사례를 통하여 통합체육수업모형에 의한 체육수업은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의 신체활동수준과 사회적 상호작용, 신체적 자기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통합체육수업모형에 의한 체육수업에 참여한 후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담당 교사의 통합체육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장애학생의 수업소외가 감소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통합체육수업모형은 장애학생의 수업소외를 최소화 하면서 통합체육의 긍정적인 기능을 경험하게 하였으며, 일반학생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크게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체육수업에서 지적장애학생의 수업소외 극복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강유석 한국초등체육학회 201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통합체육수업에서 나타나는 지적장애학생의 수업소외를 최소화하고 수업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통합체육수업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수체계 개발의 기본 모형이라고 할 수 있는 ADDIE(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모형을 적용하였다. 문헌 분석과 현장 연구, 설문 조사, 심층 면접 등의 방법을 통해 수업모형 개발에 필요한 개념과 구성 요소 등의 내용을 추출하였다. 기 초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참여자들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신체활동 수준을 증가시키고자하는 목표와 리더중심 모둠학습, 동료교수, 개별화교수 등의 구성요소 및 교수전략을 포함한 통합체육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모형은 예비 적용과 전문가 평가 등을 통해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렇 게 개발된 수업모형은 통합체육수업에서 장애학생의 수업소외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통합체육수업의 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전략이나 지도방법 등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를 촉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Eye-Limb Coordination and Object Control Skills i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강유석,김기홍,김용국,이준욱 한국발육발달학회 2009 한국발육발달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다운증후군 아동의 눈-사지 협응력과 조작운동기술의 관계를 단순상관분석과 정준상관분석을 이 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65명(남자 37명, 여자 28명)의 초등학령기 다운증후군 아동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 며, 연령은 만 6.7세부터 12.5세(평균 10.3세)였다. 손과 발을 이용한 예측타이밍을 측정하기 위해 예측타이밍 측정기 (Bassin anticipation timer, Lafayette Company, model 31201)를 사용하였고, 반응시간은 전신반응 측정기(Whole body reaction tester, Dongwha Company, model YB-1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조작운동기술은 대근운동 검 사기구인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II (TGMD-II)를 사용하였다. 정준상관분석 결과를 통해, 눈-사지 협응력 과 조작운동기술간의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 중 눈-발 반응시간과 튀기기가 다운증후군 아동의 눈-사지 협 응력과 조작운동기술을 대표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운증후군 아동의 기본운동기술과 시지각-운동 협응력의 측정 및 관련 프로그램 제작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