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분석기법을 활용한 古典小說의 異本 硏究 – 홍길동전 을 對象으로–

        강우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4

        In this study, digital hierarch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ous versions of Honggildongjeon. The analysis subjects were the “Jo Jong-eob version”(a missing volume), “Jung Woo-rak version”, “Gyeongpan 24-sheet version”, “Gyeongpan 30-sheet version”, “Wanpan 36-sheet version”, “Oriental library version”, “Park Soon-ho 86-sheet version” and “Jeong Myeong-gi 77-sheet versi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analyses were performed by dividing the units of analysis across the entire work, the amount of “Jo Jong-eob version” and the first and second halves.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wa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found that the early version of Honggildongjeon probably had different styles in the first and second halves. This early version was separated into two series, the “Jo Jong-eob version” (1850) and “Early Gyeongpan version” (1847), through a certain process. Under the influence of the “Jo Jong-eob version”, “Previous model of the Gyeongpan 24-sheet version” (before 1857) and “Jung Woo-rak version” (1876) were created. “Early Gyeongpan version” was replaced by “Wanpan 36-sheet version” (1857) due to the market competition with “Previous model of the Gyeongpan 24-sheet version”. “Gyeongpan 24-sheet version” and “Gyeongpan 30-sheet version” were created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Previous model of the Gyeongpan 24-sheet version” 강우규, 2022, 디지털 분석기법을 활용한 고전소설의 이본 연구, 어문연구, 196 : 221~250 본 연구는 홍길동전 이본(異本)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분석 및 계층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기존의 이본 연구 간 충돌되는 지점에 대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텍스트는 조종업본, 정우락본, 경판24장본, 경판30장본, 완판36장본, 동양문고본, 박순호86장본, 정명기77장본이며, 이를 작품 전체 분량, 조종업본 분량, 전·후반부 분량 등으로 분석 단위를 설정하여 상관분석 및 계층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그 결과를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홍길동전 모본(母本)은 전반부와 후반부의 문체가 상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홍길동전 모본은 어떤 과정을 거쳐 조종업본(1850년)과 유동 경판본(1847년)의 두 계열로 분리되었다. 조종업본의 영향으로 경판24장본 모본(1857년 이전)이 판각되고, 정우락본(1876년)이 필사되었다. 유동 경판본은 경판24장본 모본과의 시장 경쟁에서 밀려나 완판36장본(1857년)으로 탈바꿈된다. 경판24장본 모본의 직접적인 영향 아래 경판24장본과 경판30장본이 판각된다.

      • KCI등재

        Growth Phase-dependent Roles of Sir2 in Oxidative Stress Resistance and Chronological Lifespan in Yeast

        강우규,김영혁,김병수,김정윤 한국미생물학회 2014 The journal of microbiology Vol.52 No.8

        Silent Information Regulator 2 (Sir2), a conserved NAD+-dependent histone deacetylase, has been implicated as oneof the key factors in regulating stress response and longevity. Here, we report that the role of Sir2 in oxidative stressresistance and chronological lifespan is dependent on growthphase in yeast. In exponential phase, sir2Δ cells were moreresistant to H2O2 stress and had a longer chronological lifespanthan wild type. By contrast, in post-diauxic phase, sir2Δcells were less resistant to H2O2 stress and had a shorter chronologicallifespan than wild type cells. Similarly, the expressionof antioxidant genes, which are essential to cope withoxidative stress, was regulated by Sir2 in a growth phasedependentmanner. Collectively, our findings highlight theimportance of the metabolic state of the cell in determiningwhether Sir2 can protect against or accelerate cellular agingof yeast.

      • KCI등재

        국문장편소설 감정 데이터 모델링의 현실적 방안 고찰: 감정분류체계 정립을 중심으로

        강우규 민족문학사연구소 2024 민족문학사연구 Vol.84 No.-

        기존의 고전소설 감정 데이터는 감정 데이터셋을 활용한 정량적 방식과 감정설문을 통한 정성적 방식으로 구축되었다. 정량적 방식은 일관된 방식을 국문장편소설 전반에 적용하여 빠르게 감정 데이터를 구축하고 분석할 수 있지만, 감정식별의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정성적 방식은 감정식별의 정확도는 높지만, 감정 데이터 구축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 제기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새로운 감정분류체계 정립을 중심으로 정량적 방식과 정성적 방식을 결합하는 감정 데이터 모델링과 구축의 현실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방대한 분량으로 인해 국문장편소설의 감정 데이터는 정량적 방식으로 구축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기에, 정량적 구축 방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정성적 연구 기반의 국문장편소설 감정분류체계 정립을 시도한 것이다. 이렇게 정립한 국문장편소설 감정분류체계는 ‘감동/감사, 기대, 기쁨, 깨달음, 놀람, 당황/난처, 두려움, 분노/혐오, 불만, 불쌍함/연민, 비장함, 수치/죄책, 슬픔, 신뢰/호의, 안타까움/실망, 애정, 없음, 우쭐댐/무시함’의 18가지 감정유형으로 구성된다. Previously, sentiment data for Korean classic novels were built in a quantitative way using sentiment datasets and a qualitative way using sentiment surveys. The quantitative method can quickly build and analyze sentiment data by applying a consistent method across Korean full-length novels, but it has the disadvantage of low accuracy of sentiment identification. The qualitative method has a high accuracy of emotion identification, but it is time-consuming and costly to build emotion data. Based on the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a realistic way to model and build emotion data that combin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a new emotion classification system. Since the emotion data of Korean full-length novels cannot be constructed in a quantitative way due to the vast amount of data, we attempted to establish a Korean full-length novels emotion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quantitative construction method. The emotion classification system is composed of 18 emotion types: Impression/Gratitude, Anticipation, Joy, Enlightenment, Surprise, Embarrassment/Distress, Fear, Anger/Hatred, Dissatisfaction, Pity/Compassion, Pity/Compassion, Pity/Compassion, Shame/Guilt, Sadness, Trust/Favor, Sadness/Disappointment, Affection, None, Pride/Ignorance.

      • KCI등재

        소현성록 연작의 문체론적 고찰 -컴퓨터를 활용한 계층분석을 바탕으로

        강우규,김바로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0 No.59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identify the authors of the <Sohyeong Sungrok> series through the method of hierarchical analysis of the syllabus. As a result, the <Sohyeonseongrok> series are composed of ①14 ~ 15 volumes + 1 ~ 13 volumes [②1 ~ 4 volumes + 5 ~ 13 volumes (③6 ~ 8 volumes + 10 ~ 12 volumes + 5 volumes + 9 volumes + 13 volumes)]. This shows a much larger stylistic difference from ③ to ①. The result of this hierarchical analysis shows that the style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part are different and that a few minority units are inserted by later a scribe. This means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existing Ewha Womans University collections and Kwon Sung's records. In addition, it can be a new basis for the view that the first episode <Sohyeonseongrok> and the second episode <Sossisamdaelog> were created and combined by different authors to form a sequel. 본고는 계량적 문체를 바탕으로 <소현성록> 연작의 권별 상관성 및 군집성을 파악하는 세 가지 방식의 계층 분석을 통해 작품의 본전과 별전의 저자판별을 시도하였다. 결과적으로 <소현성록> 연작은 ①14~15권 + 1~13권[② 1~4권 + 5~13권(③6~8권+10~12권+5권+9권+13권)]으로 군집을 형성하는데, ③에서 ①로 갈수록 더욱 큰 문체적 차이를 보여준다. 이러한 계층분석결과는 본전과 별전의 문체가 상이하고, 소수주 단위담이 후대의 필사자에 의해 삽입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는 현존하는 이대15권본과 권섭의 기록에 등장하는 <소현성록>이 서로 다르고, 본전 <소현성록>과 별전 <소씨삼대록>이서로 다른 저자에 의해 창작되고 합본되어 연작이 형성되었다는 견해의 새로운 근거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고전문학과 디지털 인문학 융합연구의 경향과 관계: 고전소설을 중심으로

        강우규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45

        본 연구는 고전소설을 중심으로 ‘고전문학과 디지털 인문학 융합연구(이하 융합연구)’의 경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융합연구는 크게 세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는데, ① 디지털 매체(기술,콘텐츠)를 활용한 고전소설 교육 연구, ② 고전소설의 디지털 매체(콘텐츠,아카이브)로의 전환 연구, ③ 디지털 분석 기술을 활용한 고전소설 연구가그것이다. ①과 ②는 디지털 기술의 주목되기 시작한 이래로 꾸준히 지속되었고, ③은 2017년 이후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융합연구는 어느덧고전문학 연구의 다양한 분야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하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판단될 만큼 연구성과들이 축적되고 있다. 따라서 고전문학 분과연구와 융합연구는 더 이상 서로 다른 영역이 아니고 상호 시너지 효과를창출할 수 있는 고전문학 연구의 일환인 것이다. 따라서 분과연구와 융합연구의 조화는 고전문학 연구의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고, 이를 통해 고전문학 연구가 대중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s the trend of ‘convergence research onclassical literature and digital humanit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vergenceresearch’), focusing on classical novels, and briefly examines its implications. Convergence research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1) researchon the education of classical novels using digital media (technology, content),(2) research on the transition of classical novels to digital media (content,archives), and (3) research on classical novels using digital analysis technology. The first and second have been ongoing since the rise of digital technology, while the third has only become prominent since 2017. These convergencestudies have accumulated research achievements to the point that they arebeginning to be recognized as one of the various fields of classical studies. Thus, classical studies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are no longer two differentfields, but are part of classical studies that can create synergistic effects witheach other. Therefore, the harmonization of classical studies and interdisciplinarystudies will provide a basis for expanding the scope of classical studies, and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pave the way for the popularization of classicalstudies.

      • KCI등재

        <임씨삼대록>에 나타난 구미호 화소의 의미기능 고찰 - ‘환상성의 의미변화’와 ‘악녀 형상화 방식’을 중심으로 -

        강우규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9

        <임씨삼대록>에서 구미호는 악녀의 천상 존재본원으로 등장한다. 이는 환상성의 표상으로서 구미호의 성격 및 기능이 변화하였음을 의미한다. 기존의 서사문학에서 구미호는 현실 속 기이한 존재로 등장하는데, 이는 환상이 곧 현실인 ‘일원적 환상성’으로 파악된다. 반면 <임씨삼대록>의 구미호는 악녀의 존재를 해명하기 위해 등장하며, 환상과 현실이 뚜렷이 구분되는 ‘이원적 환상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는 17세기 인간의 부각이라는 시대적 사유방식의 변화에서 비롯된다. 인간의 부각이라는 시대적 사유방식의 변화 속에서 고전소설은 점차 선악의 대립구도를 확립해나가고, 악인을 구체화하기 시작한다. <임씨삼대록>의 ‘구미호 화소’는 선악의 이분법적 인물형상화 속에서 악녀를 선인과 대등한 존재로 형상화하는 새로운 인물 표현 방식이며, 악인들이 결탁하고 악행을 자행하는 것에 개연성을 부여해주는 서술원리로 파악된다. 이러한 새로운 악녀 형상화 방식은 <임씨삼대록>이 독자의 욕망에 입각해 대중성을 확보하려는 시도 중의 하나로서 이해할 수 있다. In Imssisamdaerok, Gumiho Hwaso appears to explain the origin of an evil woman’s being, which demonstrates that the fantasy of the Gumiho had changed. In the previous narrative literature, a Gumiho appears as a peculiar but real being, implying that fantasy is the very reality, that is ‘unitary fantasy’. Meanwhile, in , the Gumiho is revealed as a ‘dualistic fantasy’ to explain the evil woman’s existence. This change in fantasy appears to have originated from a change in the mode of thinking during. With this change in thinking, classical novels gradually established a contrastive structure between good and evil, and thus concretized the villains. Gumiho Hwaso in Imssisamdaerok is a way of expressing a new character who can embody an evil woman as equivalent to a good human being within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the good and evil in most characters and is understood as a principle of description that provides the probability that villains will collide and commit evil deeds. This new mode of embodying the evil woman figure can be also understood as an attempt to secure popularity for Imssisamdaerok based on readers’ desires.

      • KCI등재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의 ‘滑稽談’ 고찰 - 영웅호걸형 남주인공의 단위담을 중심으로 -

        강우규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5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은 진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흥미를 추구하는 소설로서, 본고는 흥미성의 일환으로서 ‘골계담’에 나타난 풍자와 해학에 주목하였다.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서 ‘골계담’은 ‘남주인공에 게 앵혈찍기’와 ‘남주인공 속이기’의 두 양상을 보여주었다. ‘골계담’의 두 양상에서 초기 작품에 나타난 ‘남주인공에게 앵혈찍기’ 양상은 여성의 체념적 정서를 바탕으로 남성의 폭력성을 드러냄으로써 풍자성을 구현한다면, 후기 작품에 나타난 ‘남주인공 속이기’ 양상은 여성 중심 의 유쾌한 복수를 그리면서 유희적 성격이 강화된 해학성을 구현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변화는 삼대록 계 국문장편소설이 흥미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과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 ‘골계담’은 흥미성이 주가 되는 영웅호걸형 남주인공 단위담의 초반부와 종반부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독자로 하여금 몰입과 해방, 긴장과 이완의 정서적 마디를 체험케 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이는 笑話를 즐기던 향유 층의 의식성향 즉 상대주의적 세계관의 소설적 변용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ree generations of Korean long piece novels rely on the depiction of criminal mind for their entertainment value. This article focuses on these satirical and humorous “Golgye stories.” Across these three generations, the Golgye story can be characterized by two common tropes: dropping a parrot’s blood to the hero and the deception of the hero. The trope of “dropping a parrot’s blood to the hero,” shown in early works, often involves a satirical depiction of a man taking advantage of a woman, whereas that of “the deception of the hero,” shown in late works, embodies a more playful satire in which the woman takes revenge. As this focus on playfulness grew over the three generations, we can see an increased focus on the stories’ entertainment value. The Golgye story is ubiquitous across the development of the courageous hero figure, whose primary purpose was to entertain. They allowed their readers to disengage from the tension of their daily lives and find relaxation, which can be understood as fictional modification of the literary consciousness of the class who enjoyed funny stories, a relativist worldview.

      • KCI등재

        생성형 AI를 활용한 고전소설 교육방안 모색

        강우규 돈암어문학회 2023 돈암어문학 Vol.44 No.-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ays to teach classical novels, especially classical literature, by utilizing generative AI. To this end, we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mmunity on generative AI, which recognizes that generative AI may still be lacking in performance, but has high potential for educational use as a tool (or partner)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cess- oriented learning.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study designed the course 'Rewriting Classical Novels: Creating Picture Fairy Tales that Reinterpret Classical Novels' as a method of teaching classical novels using generative AI. It is part of the group presentation task for the course “Classical Novel Theory”. The group presentation task of the “Classical Fiction Theory” course is mainly about the process of learners reading and understanding classical fiction works by themselves, understanding the universality and individual features of classical fiction through comparison with modern popular narratives, and recontextualizing and reinterpreting classical fiction from their own perspectives to find modern values, and 'Rewriting Classical Fiction' is the last part. ‘Rewriting Classic Novels: Creating Picture Fairy Tales that Reinterpret Classic Novels’ consists of the processes of (1) rewriting classic novels using Chat-GPT, (2) creating illustrations in Stable Diffusion with prompts written in Chat-GPT, and (3) creating storybooks using web-based graphic tools. This educational method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that it is a self-directed and process- oriented learning method that enables insight and personalized understanding of classic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