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무기체계 창정비 제도 발전에 관한 사례 연구

        강병수,김병호,이동건,이승준 한국품질경영학회 2022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현재 우리는 북한의 도발과 지리적 위치로 인한 잠재적인 위협에 선제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의 현존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하며 창정비 도래 시점 이전까지 지속적인 성능개선으로 전투준비태세를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창정비는 양산 무기체계가 종산 되기 10년 전부터 현시점에서의 무기체계에 대한 창정비요소를 개발하므로, 10년 후 창정비된 무기체계는 10년 전과 달라질 게 없었다. 하지만 현재의 무기체계 기술발전 속도는 80~90년 전과 다르게 급성장하고 있어서 과거의 창정비와 같은 제도로는 현재 또는 미래의 신 기술 적용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래서 국방부에서는 기존의 “창정비” 개념을 뛰어넘은 “창성능개선” 제도를 시행하여 무기체계 창정비 간 미래 신기술 및 개량/개선소요를 창정비 요소개발 이전에 식별하여 조기 반영함으로써 현존 전력 성능을 극대화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창성능개선” 제도 적용을 위한 기초단계인 “사전연구”를 시범적으로 수행하였다. 창정비가 계획된 무기체계를 선정하여 성능개선 소요조사, 최신기술동향조사, 다빈도고장품목, 부품단종 및 기술변경 이력 등 다양한 측면에서 조사분석 방안 및 소요검증 방안 등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 지역사회의 특성과 지방자치단체의 지출 수준과의 관련성에 관한 분석

        강병수,우소영 한국지역개발학회 2018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본 연구는 지역 사회의 특성이 지방정부의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6년 기준 226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선행연구를 토대로 지역사회의 특성을 도시규모변수, 소득변수, 교육변수, 재정변수, 고용변수, 기반시설변수로 구분하였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출은 총지출변수, 기관유지적 지출변수과 투자기능적 지출변수로 구분하여 지역사회의 특성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조절변수로는 구조적 변수인 자치단체의 유형과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분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지방자치단체의 지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의 특성은 주로 재정변수인 재정여건과 중앙정부지원이며 도시규모변수인 일인가구비율, 고령인구비율, 면적, 소득변수인 기초생활수급자비율, 고용변수인 생산가능인구비율, 기반시설변수인 일인당 도로율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의 특성과 공공지출은 시 · 군 · 구,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星湖學派의 東國 經學 思惟 - 家學과 自得의 학문추구 방법으로부터 -

        강병수 조선시대사학회 2011 朝鮮時代史學報 Vol.57 No.-

        18세기 성호학파 1세대는 남인이 정치권에서 밀려난 1694년 甲戌換局 이후 대부분 과거를 포기하고 학문에만 전념함으로써 가학의 전통을 계승하는 시대적 특징을 만들어가고 있었다. 당대 노론의 통치방법인 程朱 經學에의 謹守規矩만을 강요하던 지배이념에 맞서 성호학파는 조선이 당면한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들은 가학의 전통을 이으면서 터득해간 자득의 공부방법을 수단으로 정주 경학과 노론전권의 지배논리를 비판하는 명분을 찾고 있었다. 한편, 성호 이익의 가학연원은 徐敬德과 曺植의 학통을 잇고 있었고, 성호의 부친 李夏鎭은 정주 경학에 비판적이었던 尹鑴(윤휴)의 정치적 입장과 사상을 함께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익은 남인이면서도 가학연원에서부터 이미 정주 경학에 비판적이었고, 정주 경학의 종통으로 평가되던 퇴계의 학통과도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었다. 또한, 자득적 공부 방법을 통해 기존의 학문과 사상에 대해 자주적 해석을 해 나가고 있었다. 그렇지만 그들은 노론전권이 정주 경학에 대해서는 한 자 한 구절도 달리 해석해서는 안 된다는 정치논리를 의식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이에 이익의 조카 이병휴는 주자가 스승 程子의 학설을 비판해갔던 사실을 상기시켜 以夷制夷적 방법으로 정주 경학을 비판할 명분을 확보하였다. 더욱이 안정복은 선진 경학 이후 모든 경학은 注와 疏로 수렴된다는 경학 전반에 대한 考究를 통해 주자 경학도 그 注疏의 하나〔one of them〕에 불과하다는 인식을 가질 수 있는 단계로까지 해석해 놓았던 것이다. 이익의 <道東錄> 저술은 위와 같은 정주 경학을 넘어서려는 의지에서 출발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도동록>은 일찍이 이익과 교유했던 李萬敷의 <道東編>과 그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만부도 학문과 사상적 입장은 이익보다 진취적이지 않았지만 그가 지은 <도동편>은 당시 남인이면서도 당색을 초월하여 李珥의 학설까지 포함한 조선 전체의 학문과 사상을 담아내려는 목적에서 저술된 것이다. 이만부의 <도동편>과는 상당한 차이는 있지만 이 저술과 그 궤를 같이하고 있는 <도동록>은 <李子粹語>로 그 명칭이 변경되었다. 안정복이 주도한 <이자수어>로의 명칭 변경 지향은 성호학파를 퇴계 경학과 접맥시켜 정주 경학의 계승과 남인 학문의 종통을 동시에 확보하자는 깊은 뜻이 내포되어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익의 가학연원을 계승하던 이병휴가 주도하는 <도동록>의 초기 지향은 더 원대한 데 있었다. 안정복의 <이자수어> 지향이 퇴계 경학에 그치는 것이라면, 이병휴의 <도동록> 지향은 퇴계 경학을 계제로 정주 경학을 뛰어넘는 단계라는 해석이다. 이병휴는 이익이 <도동록>을 처음 저술할 당시의 목적이 퇴계 경학을 계제로 조선적 경학을 사유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병휴가 안정복이 주도하고 이익이 동의한 <이자수어>로의 명칭을 부정하고, 다시 <도동록>이라는 초기 명칭을 살리자는 의도는 성호학파의 지향이 퇴계 경학단계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단호한 외침이 담겨있었다. 그는 결국 <이자수어>의 지향의 한계를 비판하고, <도동록> 초기 저술동기를 살려 동국 경학 지향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하였다. After the Gapsul event(甲戌換局) of 1694 occurred leading to the fall of Namin(南人) from political power, the first generation of Seong-ho school(星湖學派) in the 18th century assumed the historical task of inheriting the tradition of Family learning(家學) by committing itself wholeheartedly to the pursuit of learning and abandoning the path of official career through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Standing against the dominant ideology that emphasized Geunsugyugu(謹守規矩) of Jeongju Classics studies(程朱 經學), the governing ideology of Noron(老論) at that time, Seong-ho school aimed to respond resolutely to the historical challenges that Joseon Dynasty faced. They sought moral justification to criticize the dominant ideology of Jeongju Classics studies(程朱 經學) and Noron(老論)'s grip over absolute power by using self-acquired study Method, a continuation of the tradition of Family learning, as their means. Family learning Origin of Lee Ik continued the scholastic tradition of Seo Gyeong-deok(徐敬德) and Jo Sik(曺植). Seongho's father Lee Ha-jin(李夏鎭) shared the ideological and political position of Yun Hyu(尹鑴), and they both were critical of Jeongju Classics studies. it is obvious that although Lee Ik was a Nammin, he was critical of Jeongju Classics studies in relation to the doctrine of Family learning Origin. He also failed to share the scholastic tradition of Toe Gye which was established as the established lineage (Jongtong 宗統) of Jeongju Classics studies(程朱 經學). Also, through a self-acquired study method, he was able to analyze independently the existing corpus of knowledge and thought. However, they realized that Noron(老論) political force adhered to the political logic of not interpreting even one letter and one phrase differently from Jeongju Classics studies. Accordingly, Lee Ik's nephew Lee Byeong-hyu secured moral justification of criticizing Jeongju Classics studies with the theory of 'Using Barbarians to control barbarians'(以夷制夷), citing the fact that previously Chu Hsi had criticized the theory of Jeongja(程子), his teacher. Furthermore, Ahn Jeong-bok carried out thorough research on the evolution of the Classics studies, and argued that Chu Hsi Classics studies was merely one of the many annotations and commentaries that were compiled and collected since the advanced Classics studies. Lee Ik' seems to have written <Dodongrok(道東錄)> primarily with the intention of excelling Jeongju Classics studies(程朱 經學). <Dodongrok> is believed to have been written on the same lines as <Dodongpyeon(道東編)> of Lee Man-bu(李萬敷), an associate of Lee Ik, although it also bore many areas of dissimilarity. Although Lee Man-bu wasn't more progressive than Lee Ik in learning and ideological position, <Dodongpyeon(道東編)> written by him is aimed at providing an inclusive understanding of the contain learning and thought of the entire course of Joseon Dynasty, irrespective of political factionalism. This explains why it included even the doctrines of Lee Yi(李珥)' who was a Namin at that time. Subsequently <Dodongrok> changed its name into <Ijasueo(李子粹語)>. The orientation to change a name into <Ijasueo> initiated by Ahn Jeong-bok is assumed to possess a deep meaning in the sense it succeeded in inheriting the tradition of Jeongju Classics studies and securing the ideological lineage of Namin(南人) learning at the same time, by integrating Seong-ho school(星湖學派) and Toe Gye Classics studies. However, the initial orientation of <Dodongrok> by Lee Byeong-hyu, who had inherited Lee Ik's Family learning Origin(家學淵源) had far-reaching implications. The orientation of Ahn Jeong-bok's <Ijasueo(李子粹語)> could not transcend the limitation of Toe Gye Classics studies, but the orientation of Lee Byeong-hyu's <Dodongrok> corresponds to the stage when Toe Gye Classics studies surpassed Jeongju Classics studies. L...

      • KCI등재

        벨마비 치료 중 건측에 중이염이 동반된 양측성 안면마비 치험 1례

        강병수,김혜화,임경민,최정화,박수연,정민영,김종한,Gang, Bung-Su,Kim, Hae-Hwa,Lim, Gyung-Mim,Choi, Jung-Hwa,Park, Su-Yeun,Jung, Min-Young,Kim, Jong-Han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16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29 No.4

        간담습열(肝膽濕熱)로 변증되는 양측성 안면신경 마비 환자 치험 1례에서, 초기 편측 안면신경 마비에 청간소요산의 내복약과 침 치료 등 한방 치료와 항바이러스제의 양방 치료를 병행하였다. 또한 치료 중에 건측에 발생한 중이염 이후 잇따라 양측성 안면신경 마비가 발생하였을 때, 소염, 해열, 진통 효과가 있는 가미갈근탕의 변방인 부비동염-2의 내복약을 비롯한 지속적인 한방 치료 및 항균제의 양방 치료의 병행으로 원인 질환인 중이염을 먼저 치료를 하고 이후에 안면신경 마비 치료를 지속하였다. 이에 환자가 양호한 치료결과를 얻었으므로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Objectives : To report the patient bilateral facial palsy, because it is unusual. Methods : One patient with bilateral facial palsy was selected. Herbal medicine(Cheunggansoyosan, bubidongyeom-2) was administered and acupuncture was applied for twice a day in 73 days. Facial function was evaluated by House-Brackmann scale, Yanagihara's scale and Standardization of muscular paralysis. Results : Cheunggansoyosan, bubidongyeom-2 and acupuncture treatment improved facial function after 73 days of treatment. Adverse effects were not reported.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the Korean medicine treatment was effective in improving bilateral facial palsy.

      • KCI등재
      • KCI등재

        양파즙으로 유발된 미각 장애 치험 1례

        강병수,최정화,박수연,정민영,김종한,Kang, Byung-Soo,Choi, Jeong-Hwa,Park, Soo-Yeon,Jung, Min-Yeong,Kim, Jong-Han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15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28 No.4

        Objective : To find whether Herbal medicine(Chengsimyeunja-eum) and acupuncture can correct hypogeusia.Method : One patient with hypogeusia related to the effects of onion juice was selected. Herbal medicine(Chengsimyeunja-eum) was administered and acupuncture was applied for 30 times in 2 months. Taste function was evaluated by self report, the way to gustometry based on Visual Analogue Scale(VAS).Result : Chengsimyeunja-eum and acupuncture treatment improved taste after 2 months of treatment. Adverse effects were not reported.Conclusion : This study shows that the Korean medicine treatment was effective in improving hypogeusia related to the effect of onion ju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