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발달지체유아의 유치원 전환과 적응에 관한 연구

        강미라 한국특수아동학회 200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5 No.2

        이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성공적인 유치원 전환에 관한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함과 동시에 유치원 전환 후의 적응에 대해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인식 수준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유아기 전환의 용어에 대한 정의와 성공적인 전환의 목적을 구명하고, 둘째, 유아들의 유치원 전환 촉진 전략을 제시하며, 셋째, 유아들의 유치원 전환 이후의 적응에 대해 부모와 교사의 인식 수준을 밝힌다. 유아의 유치원으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첫째, 초기 아동기의 전환은 유아와 가족에게 큰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데, 이 시기에는 세심한 전환계획이 필요하며, 성공적인 전환의 목적은 긍정적인 전환 경험이 청소년기와 성인기로의 성공적인 전환으로 연결된다. 둘째, 유치원으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에는 실제 이동이 일어나기 6개월∼1년 전에 준비단계로서 개별적으로 전환 계획을 수립하고, 전환을 이행한 후 적응상의 장애를 최소화하기 위한 추후지도 단계까지를 제시하고 있다. 셋째, 유아의 유치원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부모와 교사의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모든 유아들의 성공적인 유치원 전환 연구와 관련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한다. Transition to kindergarten is a very natural change in the early years. But, entering a new program is usually stressful for children with/without developmental delayed and their famil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explain successful transition process and strategies for children who move from preschool programs into kindergartens, and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erception of parents and teachers on early children' adjustment after finished transition to kindergarten. In this study, methods of research are to overview the related literature study and researches which is done before for a successful transition of children, and to analyze of data, ANOVA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level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n adjustment. The results derived from related literature study and research done before regarding kindergarten transition are as follows. Fist, although transition services are focused on the transition of society through graduation of high school, early childhood transition describes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a preschool educational environment to a kindergarten educational process. Second, The transition strategies shows the temporary influence of what can be seen as an important factor in deciding the quality of the appropriate transition experience for development. The basic aspect of this strategy is that it includes the child, family, and community in the child's transition. In the ecological approach, the child is considered a member of the family and consider as a part of cultural community and a more broad society. Third, on the perception level of child's adjustment in the kindergarten, in case of parents, parent group with early children without developmental delay who have a high level of participation, whil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parent group have a low level of participation. and in case of teachers, teacher group who have been three year education career have a high perception level of child's adjustment, while teacher group who have been below one year education career have a low perception of child's adjustment in the kindergarten. Finally, the interaction between one of the child's many present environment and transitioning environment can help child adjusts to the new program. Here following the agreement, the plan developed for the individual family and cooperation is suggested to the institution and service organization.

      • NIE 활용 프로그램 중재가 유아의 언어창의성과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미라,정소영 학습전략중재학회 2010 학습전략중재연구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언어창의성과 쓰기 활동에 대한 실태와 학부모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NIE 활용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유아의 언어창의성과 쓰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먼저 계획단계에서 문헌과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고찰하고, 공동 연구자의 유치원 학급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유아들의 언어 능력에 대한 실태를 파악한 후 프로그램 구안을 위한 연구과제를 선정하였다. 실행단계에서는 구체적으로 생활주제에 따른 NIE 활용 이야기 짓기 활동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각 활동마다 사후활동으로 다양한 쓰기 활동을 실시하였고 동시에 가정과의 연계 교육활동을 병행하였다. NIE 활용 프로그램으로 중재를 한 결과, 유아들의 언어창의성과 쓰기능력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읽기능력도 향상되었다. 그리고 가정과의 연계활동으로 학부모들의 인식도 변화되었다. 마지막으로 NIE자료를 가지고 유아들에게 의미 있는 내용이 되기 위해서는 유아의 수준과 흥미에 맞추어 기사 내용을 수정하거나 짧은 동화로 만들 수 있는 교사의 역량이 필요하였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대학생의 성의식 실태에 관한 연구

        강미라,김두화,김성현 濟州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2005 學生生活硏究 Vol.26 No.-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help college students better understand the culture on sex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fully used for education on sex in the future by exploring college students: experience and perception on sex. 964 participated in this survey. 425 were female, and 539 mal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1. Knowledge About Sex First, when asked about education on sex, 92.4% of respondents said they received education on sex, and its focus was primarily placed on venereal diseases and contraception. Female students received more of the education. While men learned more about sex, women were educated relatively more about abortion. Second, when questioned about the benefits of education on sex, over 40% of respondents responded neutrally to the benefits of education on sex, which means that they believe the education helps little. Third, in terms of knowledge about sex, participants know best about pregnancy. On the other hand, they have least knowledge about venereal diseases. By sex, male participants answered they know better in five categories than their counterparts. Female respondents received more education, but female participants had more knowledge, so more detailed research are necessary to explore how accurate their knowledge is. Fourth, in most cases, they get knowledge from school (29.2%), and friends or older students (19.0%). Concerns are raised about the quality of information acquired from friends or older students. Fifth, a majority of participants (54.9%) get knowledge about sex while in middle school. some of them (26.8%) while in elementary school. It is partly because children mature earlier than before, and they are exposed to a variety of media, increasing chances of getting misleading information on sex. 2. Opinions on Marriage First, when asked about marriage, over 30% of participants said that they 'like living alone if possible' or 'it depends.' By sex, while males have positive opinions on marriage, females reserve their comments. Second, in terms of having sex before marriage, 70% supported it. By sex, 30.3% of female respondents said having sex before marriage is not right, and only 18% of male participants said it is not right. It can be referred that females are more conservative. Third, when asked about living together without getting married, only 4.7% of participants had negative opinions. Most participants said it is acceptable. By sex, males were more tolerant than their counterparts. Fourth, in terms of virginity, 70% are open. Males are more open than females. Fifth, when asked about how they react if their mates raise questions of virginity, 54.2% of male respondents said they will confess and ask forgiveness. On the other hand, 21.3% of female participants said they will break up, and 35.1% had other choices. The fact shows that women tend not to face the problem, and act passively. Sixth, when questioned about how they would respond if they know their mates are not virgin, more than half of male respondents said it does not matter. More males said it does not matter than females, and at the same time, male respondents who said they will break up outnumbered their counterparts. This shows that male participants have both open and conservative attitudes towards virginity. Seventh, when asked whether their mates can meet friends with the opposite sex after marriage, 8.3% said 'no,' and 91.7% said 'yes.' Most student are tolerant about mates can meet friends with the opposite sex after marriage. By sex, men were more cautious than women. Eighth, 70% of respondents shows negative opinions about extramarital sex. 3. Dating First, in terms of sexual experience, 70% of respondents said they had no experience. By sex, men had more sexual experience than women. Second, most of the respondents who have sexual experience tend to make an emotional decision. By sex, men are more impulsive than women. Third, the longer relationship continues, the higher chances of having sex there are. By sex, in terms of women, chances of having sex increase as relationship continues longer. On the other hand, men are more impulsive. Fourth, when it comes to psychological status when having sex, both sexes are relatively satisfied. Fifth, 53.7% tend to continue their relationship after having sex. Sixth, both sexes are satisfied after having sex, however women are particularly worried about pregnancy. 4. Sex-related Problems First, 46.4% of respondents said they currently have no sex-related worries, and 22.7% have problems related to the opposite sex. Men are worried about impulsiveness, and women are worried about a physiological phenomenon. Second, when it comes to solutions, 46.9% said they consult with their friends. Only 0.7% said they meet with their teacher. Apart from discussing it with their friends, women opt for relationship-oriented solutions, consulting with their parents. On the other hand, men prefer object-oriented solutions, gathering information through friends, books, and the Internet.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ed advice is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have received education on sexual morality since middle school, and they collect information primarily from their friends or older students. But most of them are dissatisfied with the benefits of the education. By sex, women received more education, but they have less knowledge than m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how effective education on sexual morality conducted in school is. Second, more than half of students have positive opinions on marriage, and they are open about having sex or living together before marriage, and meeting friends with the opposite sex. In the past, the marriage system itself was considered important, but in modern society, love tends to be put before marri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educational and cultural events to bring about desirable sex morality. Third, most of respondents are having a date, but not many of them have sex experience. respondents who have sex experience tend to make an impulsive decision without thinking carefully, continuing their relationship longer. Therefore, there should be some opportunities to help them make a desirable decision on sex.

      • KCI등재후보

        유치원 전환에 대한 부모․교사의 참여와 만족에 관한 인식 조사

        강미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4 No.4

        본 연구에서는 발달지체유아를 포함하여 모든 유아들의 유치원 전환을 보다 성공적으로 실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부모와 조기(특수)교사, 그리고 유치원 교사의 유치원 전환에 대한 참여도와 만족도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특수학급이 있는 초등학교의 병설 유치원과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사립유치원, 특수학교 유치부의 담당교사와 부모로 선정하였으며, 사용된 조사도구는, 「유치원 전환의 참여와 만족」에 대한 문항으로, 분석방법은 문항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그 수준을 밝히고, 부모와 교사의 변인간 참여 수준과 만족 수준에서 유의차를 알아보기 위해 F검정(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에서는 자녀의 유치원 전환에 대한 참여 수준이 높은 발달지체유아 부모 집단에서는 오히려 전환과정에서의 만족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집단에서는 교육경력이 3년 이상 되는 교사 집단의 참여와 만족 수준이 가장 높았고, 받는 팀의 1년 미만인 교사 집단의 참여와 만족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교육기관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부모들은 아직도 자녀의 유치원 전환에 대해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유아들이 취원전 교육 서비스에서 유치원의 교실과 교육과정으로 순조롭게 전환하도록 보내는 팀과 받는 팀간의 연계와 협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erception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parents and teachers includ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kindergarten teacher in order to kindergarten transition of children. The specific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ellows; First, is to find out the level of perception of parents and teachers' participation on kindergarten transition. Seconder, is revel the level of perception of parents and teachers' satisfaction on kindergarten transition. To analyze of data, ANOVA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level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n kindergarten transition as part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The conclusion drawn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e study was as fellows; First,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o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kindergarten, in case of parents, parents group with earl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ho attend at concurrent establishment kindergarten have a high level of participation, while general parent group with early children without developmental delay who attend at concurrent establishment kindergarten have a low level of participation. and in case of teachers, of STM(sending team members), teacher group who have been three year education career have a high perception level of participation, while teacher group who have been below one year education career have a low perception of participation. Second,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kindergarten, in case of parents, parent group with earl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ho attent at private establishment kindergarten have a high preception level of satisfaction, while parents group with earl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ho attent at kindergarten class in special school for the handicapped have low perception level of it. and in case of teachers, of RTM(Receiving Team Members), teacher group who have been over three years education career have a high level of it, while teacher group who have been below one year education career have a low level of it. The suggestion drawn from the conclusion in the study was as fellows; First, The further study have a necessity of study on the effect of transition in education settings after leaving kindergarten. Second, The further study have a necessity of case study on inter-agencies to be needed cooperation of education agencies, and counseling of parents and teachers, communication․cooperation between STM(Sending Team Members) and RTM(Receiving Team Members). Third, The further study have a necessity of study on transition to kindergarten as subjects personnels who are education administrator, and parents and facility in special schools for earl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excluded in this study. Fourth, The following study have a necessity of study on development of korean transition model to kindergarten.

      • KCI등재후보

        항공사 HRM시스템이 종업원성과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미라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6 경영컨설팅연구 Vol.16 No.4

        최근 기업 간 경쟁이 강화되고 정부정책에 의해 인력운영에 제한을 받는 기업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조직목표를 수행하기 위한 핵심요소인 인적자원은 전략적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HRM 시스템 활동에 중점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서비스분야는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종업원에 대한 지원 및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 종업원을 대상으로 HRM 시스템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동료 및 상사의 지원에 대한 조절효과를 실증 분석하여, 이들의 자발적인 업무참여를 높이거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등 이론적,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독립변수는 기존의 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채용 후 실제 운영하고 있는 HRM 시스템 활동 중 보상, 평가, 승진, 교육 4개로 구분하였고, 종속변수는 종업원성과의 요인으로 검정된 조직구성원 개인 차원의 변수들인 조직몰입과 이직의도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독립변수인 HRM 시스템 활동과 종속변수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의 영향관계에 대한 조절변수로써 사회적 지원을 설정하였다. 사회적 지원은 상사의 지원과 동료의 지원으로 세분화하였다. 이 연구수행을 위하여 HRM 시스템 활동과 성과 간 기존연구를 토대로 가설을 도출하였고, 국내항공사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을 토대로 신뢰성,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고, 가설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HRM 시스템 활동 요인인 보상, 평가, 승진 및 교육은 조직물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HRM 시스템 활동과 조직몰입에 영향효과에서 상사의 지원 및 동료의 지원 모두 조절효과로써 역할을 하였지만, 이직의도에 대해서는 조절효과로써의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이 실행하고 있는 HRM 시스템 활동이 항공사 종업원에게 조직에 대한 조직몰입도를 향상시키고, 조직을 이탈하고자 하는 이직의도를 줄이는데 유효함을 보여주었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influence of HRM system on the employees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impact of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urthermore, in order to find ways to enhanc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To attain this main purpose, literature study and empirical study were carried out in the study. Thus, this research aimed to establish and to test an empirical model for the effects of HRM syste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For the empirical study, three hypotheses were formulated in the study as contents. To test these hypotheses, 174 data were collected by employees engaging in the major airline in Korea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analysis I used basic statistics, reliability test, validity test, correlation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overall implications to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presented, and limits and further study direc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과 내적 직무만족 간의 관계 분석: 외적 직무만족을 매개변수로 하여

        강미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2

        This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sample included 227 teachers who were doing in diversity early intervention filed in Daejeon, Daegu, Busan, Kyungsan, and Pohang city. All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0.0 and Amos 16.0 program. Before addressing Study Questions, prerequisite analyses was performed EFA, reliability test, CFA. The reliability for subscales were from .680 to .855, showed a good reliability. The measurement model was characterized by adequat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effect of latent variables was tested by Maximum Likelihood and Bootstrapping procedures. The fit of the measurement model was good (x2=128.423, df=41, p=.000, NC=3.132, GFI=.902, RMR=.033, SRMR=.0616, RMSEA=.097), but CFI showed a low fit(CFI=.885).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followed. First, the resilience had a direct effect on the external job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Second, the external job satisfaction had a direct effect on the internal job satisfaction(p<.05). Third, the resilience had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he internal job satisfaction(p<.05). Forth, the resilience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internal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external job satisfaction(p<.05).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in improving job satisfaction and for developing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uggested for further research. 이 연구에서는 유아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전, 대구, 부산, 경산, 포항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 질문지를 배부하였고, 이 연구의 분석에 227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탐색적요인분석, 신뢰성검증, 확인적요인분석, 그리고 최대우도추정법과 부트스트래핑 절차를 적용하였다. 관측변인들의 Cronbach’s α 계수는 .680~.855로 양호한 신뢰성을 확인하였고,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 검증에서도 양호한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통계모델의 부합도 지수는 x2=128.423(df=41, p=.000), NC=3.132, GFI=.902, RMR=.033, SRMR=.0616, CFI=.885, RMSEA=.097로, NC, RMSEA, GFI, SRMR은 양호한 부합도로 나타났고, CFI는 약간 낮은 부합도로 나타났다. 통계모델의 모수치를 추정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회복탄력성은 외적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외적 직무만족은 내적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회복탄력성도 내적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면서 외적 직무만족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주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고객의 무례한 행동이 서비스 조직 구성원의 서비스 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미라,한준구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022 사회적질연구 Vol.6 No.2

        고객의 ‘갑질’로부터 서비스 조직 구성원을 보호해야 한다는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고객의 비인 격적인 행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고객의 무례한 행동(customer incivility)로 인하여 서비스 조직 의 구성원들은 심리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우울증과 극단적 선택까지 고려하는 상황이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조직은 고객의 무례한 행동의 부정적 결과를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객의 무례한 행동이 스트레스를 통해 서비스 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과정에서 작용하 는 메커니즘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고객의 무례한 행동이 구성원들에게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보다 엄격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조직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직속상사의 비인격적 감독(abusive supervision)을 통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2019년 5월에서 8월 사이 수도권 서비스직 종사자를 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205개의 설문을 기반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고객의 무례한 행동은 구성원들의 서비스 몰입을 낮추고, 이직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가 매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실무 적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향후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통합보육시설의 환경에 관한 예비 연구: 국공립보육시설 2기관을 대상으로

        강미라,이재욱 한국발달장애학회 2011 발달장애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pilot study was designed to improve the inclusive child care program.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Rating Scale-Revised Edition (ECERS-R)(Clifford, Cryer, & Harms, 1998) was utilized to observe two inclusive child care centers' environments. Results were analyzed by rating each of 43 items of 7 subscale, and comparing to fine the improvements between pre-observation and post-observation. Each item was scored on a 7-point rating scale from 1 (inadequate) to 7 (excellent).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higher levels of quality were 「Space and Furnishings」 and 「Program Structure」 for subject A, 「Interaction」 and 「Personal Care Routines」 for subject B. The lower levels of quality were 「Language-Reasoning」 for subject A, 「Program Structure」 for subject B, and 「Activities」 for both A and B. Concretely, 「Books and pictures」 item received a rating of 1 and 2 for both environments (inadequate). Also, 「Promoting acceptance of diversity」 item received a rating of 1 for both environments (inadequate). And, 「Provision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em received a rating of 2 for both environments (inadequate). These items were not improved during the observations. But, the rest of items received a rating of good or excellent. Finally, this study provid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The next step in this pilot study need to be studied strategies for improving practices and ensuring in inclusive environments. 이 연구에서는 통합보육 프로그램의 개선을 목적으로 ECERS-R의 7점 척도를 사용하여 통합보육시설의 환경을 평가하였다. 국공립보육시설 2기관을 대상으로 사전관찰과 사후관찰을 수행하여 전체 환경의 질적 수준과 하위척도별 환경의 수준, 그리고 통합보육시설의 부적절한 환경과 우수한 환경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상기관 A에서는 공간과 가구, 프로그램 구조가 우수한 환경으로 평가되었고, 대상기관 B에서는 상호작용과 일상적 보육이 우수한 환경으로 평가되었다. 대상기관 A에서는 언어-논리적 사고가 부적절한 환경으로, 대상기관 B에서는 프로그램 구조가 부적절한 환경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활동은 대상기관 A와 B 모두에서 부적절한 환경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책과 그림의 사용 제한이 관찰되었으며, 다문화 가정의 유아나 장애유아를 위한 다양성 수용 촉진에 관련된 활동과 장애아동을 위한 준비에서 모두 부적절한 환경으로 나타났고, 사후 관찰에서 개선되지 않았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통합보육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 사회적기업 정책과 장애인고용에 관한 연구

        강미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1 No.2

        This study is a fundamental research for the policy of social enterprises and the supported employment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Korea. The developmental backgrounds of social enterprises and the current status of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challenges and solutions were discussed. The discussion of social enterprises have begun since unemployment countermeasure of the late 1990s in Korean society. As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has established in 2007, these have discussed actively. The issue of Social enterprises hir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as followed: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proportion of hired people and wage level of workers in social enterprises was low. Employment contract period is short and they are likely to depend on grants rather than the sales revenue. Also, entrepreneurs and managers were not good at managing stakeholders. The solutions for solving this problem are as followed. First, social enterprises hiring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establish the other supportting system. Second, the improvement of public procurement system is needed. Third, social enterprises hiring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not be excluded from contract process with Public Procurement. Fourth, the supported employment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e vulnerable people to employment to move into the general labor market. Finally, re-certification of current certified social enterprises is needed for providing differentiated supports.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한국의 사회적기업 정책과 지적장애인 지원고용에 관한 기초연구로, 한국 사회 적기업의 발전 배경과 장애인고용 사회적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한국 사회에서 사회적기업에 관한 논의는 1990년대 말의 실업대책에서 시작되어, 2007 년에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제정되면서 확대되었다. 분석에서 파악된 장애인고용 사회적기업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고용의 비율에서 성별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회적기업 근로자들의 임 금수준이 낮았다. 그리고 고용계약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보다도 지원금과 같은 영업외적 의존도가 높았으며, 기업가와 관리자들은 이해관계자 관리를 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은, 첫째, 장애인고용 사회적기업에 대한 별도의 지 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 공공기관의 조달 제도의 개선도 필요하다. 셋째, 장애인을 고 용하는 사회적기업이 조달청과의 계약에서 완전히 배제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 다. 넷째, 취업 취약계층이 일반 노동시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원고용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인증을 받은 장애인고용 사회적기업에 대한 재인증제도를 도입하여 차등화된 계속 지원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끝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