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질에서 발생한 악성 흑색종의 Papanicolaou 도말의 세포학적 소견 - 1례 보고 -

        강명숙,김봉희,박재훈,김윤화,박용구,이주희,양문호,Kang, Myung-Suk,Kim, Bohng-Hee,Park, Jae-Hoon,Kim, Youn-Wha,Park, Yong-Koo,Lee, Ju-Hie,Yang, Moon-Ho 대한세포병리학회 1995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6 No.2

        Primary malignant melanoma of vagina is a rare tumor which is easily misinterpretated in routine cytologic examination. We lately experienced a case of primary malignant melanoma of the vagina with direct cervical extension diagnosed by Pap smear. The cervicovaginal smear showed variable sized clusters of epithelial cells or singly scattered abnormal epithelial cells. Most of the tumor cells had round hyperchromatic nuclei with prominent nucleoli and brownish pigments in cytoplasm. The cytologic findings are compared with histologic features of resected specimen.

      • KCI등재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의 「조선 교육제도 약사」 에 대한 일 고찰 - 일제강점기 조선 거주 일본인의 한국교육사 연구와 그 한계 -

        강명숙 ( Kang Myoung-sook ) 한국교육사학회 2016 한국교육사학 Vol.38 No.4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를 중심으로 1920년대 조선 거주 일본인 관료 및 연구자들의 조선 교육사 연구 실태와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우선 1920년 「조선 교육제도 약사(朝鮮の敎育制度略史)」 를 저술한 高橋亨의 개인적인 이력 및 조선에서의 활동과 연구 상황을 조사하고, 조선 교육제도 약사 의 시대구분, 서술 항목의 선정과 서술 내용 및 논리를 분석하였다. 다카하시 도오루는 정체성론, 사대성론, 당파성론에 입각하여 관학 위주로 조선교육사를 서술하면서 조선 교육 문화를 부정적 시선 일변도로 바라보았다. 조선의 교육과 학문이 피폐하였다고 판단하고, 피폐의 근본 원인은 과거 때문이었다고 하는 조선교육사 상을 제시하였다. 이는 교육사 서술에서 나타나는 식민주의 역사학의 특징으로, 이후 제도화된 관학 아카데미즘을 통해 추종과 극복 양 측면 모두에서 다양하게 변주되며 전파, 유통, 확대되었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conditions and implications of 1920s` Chosen educational history studies, written by Japanese researchers who lived in the colony then. This article searches personal history and academic career of Takahashi Toru, who wrote “A Short History of Chosen Educational System” in 1920. It focuses on analysing the periodization, the selection of contents, the logics of his narratives in his 1920`s paper. Toru`s public-school-centered description assessed the educational culture of Chosen negatively, based on stagnation theory, toadyism, and partiality theory. Furthermore, he suggested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failure in Chosen education is civil service examination. His perspective which represents the typical features of colonialist historical studies induc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national school academism. It spreaded to educational history academy, forming multifarious variations both in its advocative and opposing camp.

      • KCI등재
      • KCI등재

        일제 말기(1938~1945) 전문학교 정책의 변화

        강명숙 ( Kang Myung-sook ) 한국교육사학회 2021 한국교육사학 Vol.43 No.4

        1938년 제3차 조선교육령 개정 이후 전문학교 교육 목적으로 충량유위한 황국신민의 양성을 내세우며 교학쇄신을 추진하고, 전문학교 특히 사립전문학교에 대한 관리 통제를 강화하고, 교육내용 및 방법에서 국체명징을 강조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4차 조선교육령 개정과 전시비상조치를 통해 전문학교 입학 정원을 조정하고, 연성을 강조하는 일본적 교학체제를 정립하려는 시도를 살펴보았다. 전시동원체제의 구축이라는 큰 틀에서 전시 이과계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전문학교를 증설 개편하여 전문교육 기회를 기형적으로 늘였다. 그리고 전문학교 교육에 적극 개입하여 교원 임용 및 교육 내용 검열을 강화하고, 일본학 교과를 도입하여 국체 이데올로기를 가르치고, 학무국에 전문교육과를 두어 효율적인 인력 동원에 힘썼다. 식민지배 말기 전시비상조치로 주로 조선인이 다니던 문과계 사립 전문학교를 개편하거나 폐쇄하고, 일본인 학생 비율이 높은 의학 실업 사범 계열의 전문학교를 확대하였다. 그 결과 ‘민족사학’의 공간은 줄어들었고, 일본인과 조선인의 전문 교육기회의 격차는 더욱 늘어났다. 전시기 기형적인 전문교육기회 확대의 결과였다. Since the third revision of Chosen Education Ordinance in 1938,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promoted loyal and useful subjects of Japanese Empire as the educational purpose of professional colleges, strengthened the control over professional colleges, especially private professional colleges, and emphasized Kokutai Theory in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Afterward the fourth Chosen Education Ordinance and the wartime emergency programs abnormally adjusted the entrance quota of professional colleges and attempted to establish a Japanese training system which emphasizes Kyo(敎) as an ideology. The professional college policy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wartime mobilization system. It increased and reorganized professional colleges, tightened the ideological control over professors and teaching materials, introduced Japanese Studies as a subject to teach Kokutai Theory, and created the Department of Professional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Bureau. The private liberal arts professional colleges with high proportions of Korean students were reorganized or closed, while the medical, vocational and normal professional colleges with high proportions of Japanese students were expanded. As a result, it widened the gap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Furthermore, it narrowed the space for “Nationalist” private colleges.

      • KCI등재

        1960~70년대 대학과 국가 통제

        강명숙 ( Myoung Sook Kang ) 한국교육사학회 2014 한국교육사학 Vol.36 No.1

        본 연구에서는 1960~70년대 제도화된 학술장으로서의 대학에 대한 국가의 관리 통제의 실상을 드러내려고 하였다. 4ㆍ19혁명 직후 대학의 자발적인 자정 노력과 민주적 대학 운영 원리를 모색하고자 하는 노력은 대학자치의 가능성, 정부의 대학 통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1961부터 시작된 대학정비 정책에서는 대학교육의 질을 확보한다는 명분아래 교수의 정년 단축, 연구실적 검사제도, 학사자격고사 등이 도입되었으나 유명무실해졌다. 대학 통폐합과 대학 정원 조정 역시 실패로 끝났다. 국가 주도의 대학 정비 정책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국가 주도의 대학개혁 기획과 대학에 대한 국가 통제는 점차 정당화되었다. 1970년대 들어 대학의 자발적인 개혁을 유도하는 정책으로 실험대학 정책이 시행되었으나 국가에 의해 인큐베이트된 개혁에 지나지 않았다. 오히려 군사훈련 및 국민윤리 교육이 강조되고, 강제휴교와 휴업, 교수와 학생에 대한 검열과 감시, 교수 해직과 학생 제적 등의 대학에 대한 국가의 폭력적 통제로, 제도화된 학술장으로서의 대학은 침제되어갔다. 대신 비판적 정신과 사회적 실천은 제도 밖의 학술장의 몫으로 남겨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national control on university which was the institutionalized academic arena in 1960~70s. Right after 4ㆍ19, the efforts by universities to reform themselves and to find democratic principles of university governance showed the possibilities of university autonomy. In university improvement projects started from 1961, early retirement of professor, competition evaluation system of university faculty and graduate requirements test were introduced in the name of secur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but they became nominal. University unification policy and university enrollment quota policy also failed. Despite the failures of state-dominated university improvement projects, governmental planning of university reform and national control of university were justified gradually. In 1970s, pilot college project was implemented as the project for inducing self-reform, but it was no more than an state-incubated reformation. Rather, military training and national ethics education were emphasized and university as institutional academic arena became stagnant, because of repressive controls on university by nation such as the compulsory closing of school and layoff, the censorship and surveillance on faculty and students, professor dismissal and student expulsion. Instead, academic arena outside of university, which put an emphasis on critical mind and social practice was built.

      • KCI등재
      • KCI등재

        1910년대 사립고등보통학교의 설립 인가와 운영

        강명숙 ( Myoung Sook Kang ) 한국교육사학회 2013 한국교육사학 Vol.35 No.1

        This paper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secondary school establishment in the 1910`s. All of the private secondary schools in 1910`s were not established new school, but re-recognized by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The accreditation of the private secondary schools in 1910s divided into 4 types. The first type of private secondary school is founded through donation from locals, a example of Hamheong. The second type is founded by property of the old Imperial Household, a example of Yangchung. The third type is founded by personal benefactor, a example of Whimoon. The fourth type is founded by religious groups, a example of Kwangsung. All of them were received accreditation based on predecessor private schools. Accreditation standards of private secondary schools by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were various. The most significant was the Japanese teaching staff and their pays and position, The others are financial strength and stability,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education, admission to new school through examination. In conclusion, The Private secondary schools succeeded to maintain certain quality and amount through accreditation, but Schools joined Japanese colonial educational system. 본 연구에서는 1910년대 고등보통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 운영된 사립고등보통학교의 설립인가 과정 및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1910년대 일제의 사립고등보통학교 인가정책 및 사립고등보통학교의 학교제도사적 성격 및 의의를 논의하였다. 1910년대 사립고등보통학교는 모두 신설이 아나라 기존에 운영하던 사립학교를 기반으로 조선교육령의 학교제도에 따라 고등보통학교 설립 인가받은 것이다. 1910년대 설립인가 받은 11개의 사립고등보통학교의 설립인가 과정은 다음 4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1) 지방민의 합세에 의해 설립 운영되는 학교 2) 구황실과 관련된 학교 3) 서울의 명망 독지가에 의해 설립 운영되는 학교 4) 기독계 계통의 학교이다. 이 글에서는 각 유형별로 하나의 사례를 들어, 사립함흥고등보통학교, 사립양정고등보통학교, 사립휘문고등보통학교, 사립광성고등보통학교 4학교의 설립 인가 과정 및 운영의 특색을 분석하였다. 사립고등보통학교 설립 인가 과정에서 조선총독부가 가장 중시한 것은 일본인 교원 채용을 의무화하고 일본인 교원이 교무 업무를 총괄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동시에 그에 대해 상당한 우대 급료를 지불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학교유지방법의 안정성, 교육과 종교의 분리, 재학생의 경우 시험을 거쳐 편입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설립 인가과정을 통해 사립학교는 조선교육령에 의거한 학교제도상의 고등보통학교로 위상을 재정립할 수 있었고, 학생 확보 등 운영상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점차 상당한 학력과 자격을 갖춘 교원을 채용함으로서 교원의 전문화, 직업화 경향이 나타났다.

      • KCI등재

        개인연구 : 국립서울대학교 설립 과정에 대한 재론(再論)

        강명숙 ( Myung Sook Kang ) 한국교육사학회 2004 한국교육사학 Vol.26 No.1

        This paper focused on providing a explanation of the progres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Establishment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was proposed by the Korean officer from the Bureau of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financial efficience in the eduaction. The plan of establishment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was substituted for the Great School plan and American University plan which was drawn by the an American officer working at the Bureau of Education under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USAMGIK). While the great school plan insisted that the old Seoul University should be expanded to a university, the plan of establish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uggested that the old Seoul University and other public special colleges around the Seoul area should be abolished and a new university consisting of diverse colleges should be newly founded. In addition, an operation based on a Board of Regents was proposed. The plan was marked by the will to overcome the old obsolete conventions of the Imperial University and to clear away the remaining vestiges of the Japanese Imperialism. But a Board of Regents and the appointment of Korean president was introduced against to the objection by the Korean educator and student.

      • KCI등재

        조선교육회 기관지『문교의 조선(文敎の朝鮮)』에 나타난 조선인의 활동 -제2차 조선교육령기를 중심으로

        강명숙 ( Myoung Sook Kang ) 한국교육사학회 2008 한국교육사학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일제시대 대표적 교원단체인 조선교육회와 그 기관지 『문교의 조선』에서 조선인이 어떠한 위치였으며 무슨 활동을 전개했는지 제2차조선교육령 시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조선교육회 조선인 교원 회원은 전체 회원의 60%정도였지만 조선인 간부진은 20% 내외였고, 그것도 주로 관리들이어서 조선인 교원의 의견을 대변하기는 어려웠다. 기관지 『문교의 조선』에서의 조선인 기고활동을 살펴보면 조선인 필자의 글은 전체 편수의 10%미만이었으며 다루는 주제영역들 역시 제한적이었다. 요약하자면 조선교육회는 다수의 회원이 조선인이고 그들의 회비에 의해 운영되었지만 인적구성면이나 조선교육회의 대표적인 활동으로 발간한 기관지『문교의 조선』발행 면에서 본다면, 조선인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적극적인 역할을 하기에는 어려운 구조였다. 그리고 기고된 내용의 성격을 살펴보면 일제의 교육시책을 선전하거나 내선융화, 교육칙어 강조, 수신 및 덕육교육 강화 등의 내용으로 일제 식민지배 교육담론을 유포하고 있어 식민지배 협력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researched the activity of the Korean at the Chosen Educational Association which was representative by teacher`s organization and its bulletin 『Education of Chose n』, specially focused on the Korean`s position and role at the Chosen Educational Association and 『Education of Chosen』. The Korean teacher members at the Chosen Educational Association was 60% degree of the whole member. And Korean executive members was 20%, of which the official kept mainly and the Korean teachers executive was very small. The number of the Korean author`s article was below 10% and the Korean author`s article was also very restricted in their subjects. In a word, It was difficult system for Korean teachers member to act a role, because of Korean`s scanty position at the Chosen Educational Association and 『Education of Chosen』 But It tries to observe the contents of the Korean author`s article, which were centered on propagandizing the colonial education policy, the merger between Japan and Korea, Imperial Decree concerning Education, moral training and cultivation one`s mind and so on. Through this contents, We could find that Korean author played a negative role to spread Japanese colonial education discourse, namely they co-worked with the colonial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