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新中国初期冷战世界观考察 ― 以1950年代抗美援朝文学为中心

        한담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7 中國現代文學 Vol.0 No.83

        The process of cold war system and nationalization of China progressed through the Korean War shows “specificity” which can not be explained in the Cold War frame consisted of two parts, the U.S. and Soviet Union, different from the world view of the Korean War as “one epicenter of the East-Asian Cold War and worldwide Cold War”.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as based on the existing territory, people, and environment such as tradition, culture and customs of old China, not “created” in the new territory with new people, which means that it was hard to meet radical unification of the new “class approval” in the beginning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country, with a composite mixture of different political legitimacy which supported the 20C China (nationalism since the late Qing Dynasty, personalism since May 4th, and class approval since socialism China). At the point, the works of the War to Resist America and Aid Korea writers with various origins and views of the world from the old China can be a cultural route to the patterns and shape of that time. They established “national narratives” on the Korean War according to the unified writing guideline of the Party under the new literary mechanism which was systematic and collective, but the existing view of the world and creation impossible to “convert” in a short time was tacitly revealed in their works, showing different “views” of the Korean War. Thus, the works created by the writers can be used as a research text to review the transition period from old China to new China,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old war system in the beginning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untry showing different views of the world. For the review, the study classified the narratives of the Korean War shown in the War to Resist America and Aid Korea Literature into three types (foundation of “class approval” narratives, Cold-war change of “nationalism”, tragedy of war from a “humanitarianism” view), and analysed the main texts such as Wei Wei’s Front Report (prose), Yang Shuo’s long story, Samcheonri Gangsan(meaning the whole land of Korea), and Lu Ling’s long and stories respectively in order. Such narratives of the Korean War can be said as writers’ various and different interpretation of the New Cold War Order which the main ideology that time tried to express under the subject, To Resist America and Aid Korea. That is, the process that writers’ creative writing in the contemporary writing circle system was approved, transformed, and criticized can be regarded as the process that the complex class approval in the beginning of the foundation was getting unified.

      • KCI등재

        시진핑 시대, ‘항미원조’ 전쟁의 귀환과 문화 내셔널리즘

        한담 중국인문학회 2021 中國人文科學 Vol.- No.79

        시진핑 시대, 과거 위축되었던 ‘항미원조’ 전쟁은 다시 ‘항미(抗美)‧국가 수호(保國)’의 ‘위대한 승리’로 소환되었고, 조국을 위해 기꺼이 희생한 지원군 정신은 ‘대미항전’ 불사의 대의 앞에 ‘애국애당(愛國愛黨)’의 시대정신으로 부상하였다. 이 글은 중‧미 갈등이 격화되는 시점에서 맞이한 2020년 ‘항미원조’ 참전 70주년을 전쟁 기억의 재부흥기로 보고, 국가 기념식 담화와 문예 공연, 첫 관영 드라마「압록강을 건너서」와 주선율 블록버스터「장진호」를 통해 ‘항미원조’ 전쟁 기억의 문화정치 양상을 고찰하였다. ‘항미원조’가 1950년대 전쟁기부터 현재까지 서구라는 타자에 대항하여 중국의 자기 정체성을 구축하고 강화하는 집단 기억으로 작용해왔다는 점에서, 최근의 변화를 통해 중미 패권 다툼 속에 요구되는 새로운 중국/인의 자기인식을 가늠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1958년 중국 ‘항미원조’ 전쟁 기억의 정치성과 문화적 재현의 다층성

        한담 중국문화연구학회 2019 중국문화연구 Vol.0 No.43

        When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retreat from N. Korea in 1958, the second peak of literary creation on the subject of the War to Resist America and Aid Korea is coming. Aleida Assmann said ‘remembered past’ is a matter of securing legitimacy and interpretation of reality. As she said, in the beginning of the nation, this war left the Chinese people national pride and a elementary experience of internationalism. It has been summoned and reorganized to meet the new political mission of chang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s in 1958. This article is purposed to review why and how this war was remembered in 1958 as a main turning point. I particularly focused on Chinese memories of the Korean War seem uniform on the surface, but it is not homogenous inside. Thus, this paper considered diachronic change and narrative levels as the key factors that make up a memory. First, through focusing on documentary films The War to Resist U.S and Aid Korea(1951) and The sing for Heros(1958) as the official narrative, analyzed a background and the political nature of the recall of war. Second, considered the difference between official and popular narratives through analyzing a film drama Friendship(1959). And we can discover the cracks in the imagination of N. Korea and China's internationalism by comparing N. Korean film showed in China Comrade(1959) at the last. 1958년, 북한 내 중국지원군의 전원 철수가 이뤄진 시점에 신중국 항미원조 문예 창작의 두 번째 절정기가 도래한다. 하지만 기억된 과거는 정당성의 확보 문제이자 현실의 해석이라는 알라이다 아스만의 주장처럼, 건국 초 중국 인민들에게 민족 자존감과 초보적 국제주의 경험을 남긴 항미원조는 1958년 변화된 국내외 정세에 따른 새로운 정치적 임무에 맞게 소환되고 재구성되었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논문은 1958년을 주요 기점으로 하여 중국에서 항미원조가 다시금 ‘왜’ 그리고 ‘어떻게’ 기억되었는가를 고찰하고 있다. 특히 필자는 1950년대 신중국 인민의 항미원조 기억이 겉으로는 단일해 보여도 그 내부는 균질하지 않은 다종의 서사들이 혼재되어 있음에 주목해 보았다. 이에 본 글은 전쟁 기억을 구성하는 주요 변인으로 1951년과 1958년 사이 항미원조 공적 서사의 통시적 변화와 동시기 관방서사 대중서사 간 서사 층위를 분석, 항미원조 기억을 다층적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두 기록영화 『항미원조』(1951년)와 『영웅찬가』(1958년)에서 나타나는 관방의 항미원조 서사 변화에 주목하여, 항미원조가 소환된 배경과 배후의 정치성을 살펴본다. 이것이 통시적 요인이라면, 두 번째로, 극영화 『우의』(1959년)를 분석하여 동시기 관방서사와 대중서사 간 전달 방식, 해석의 차이점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중국에서 상영된 북한 영화 『전우』와의 비교를 통해 문화적 기억의 다층성과 북·중 국제주의 상상의 균열을 들여다본다.

      • KCI등재
      • KCI등재

        탈냉전기 양안의 문화 연쇄 — 중국 대륙의 ‘상흔’에서 대만의 ‘반공’으로

        한담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22 中國現代文學 Vol.- No.100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ltural chain process and cultural symptoms of the Cross-Strait in the post-Cold War, focusing on two anti-communist films If I’m Real, On the Society of Shanghai from Taiwan in 1981. The production of the film made Cross-Strait relations even worse as the films was based on a scenario of ‘Scar’ theme banned in China in 1979. Although it was an anti-Communist propaganda film, but there were also signs of a cultural transformation in Taiwan. Because the Taiwan government's political logic, film industry, producers and audiences were opposing the entire process from film planning to consumption, and the original scenario's “social realism” characteristics triggered Taiwan's post-cold war cultural signs. Therefore, this study views China's cultural issues surrounding the scenarios as a cultural medium linked to Taiwan's social transformation. And the overall review of how one identical text was transformed in two regions during the post-Cold War period.

      • KCI등재

        우즈니우 항일영화를 통해 본 동북아 평화공존 서사의 가능성 - <만종>, <난징1937>을 중심으로

        한담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4 No.2

        This study analyzes how existential aspects of human existence beyond the nation appear during the national war, focusing on Wu Ziniu's anti-Japanese film Evening Bell and Don’t Cry Nanking. Evening Bell, a film set in the post-war era, applies a humanitarian perspective not only to allies, but also to Japanese soldiers, exposes the violence caused by war to human beings, and asks how abstract the belief and ideologies that led to the war are. Don’t Cry Nanking depicts the Nanjing Massacre experienced by multicultural families made by Chinese men and Japanese women. The setting of characters with non-single national identity causes us to reconsider the existing national war narrative method, which divides the enemy into units of the nation. Director Wu had deconstructed the dichotomous narrative structure of the victims and perpetrators familiar with the national war and had drawn attention to the existence of an independent individual in a tragic situation of war. This way of narrative will be an example of what the cultural narrative, which forms and reproduces collective memories for peaceful coexistence in Northeast Asia, should pursue.

      • KCI등재

        전주 남노송동의 생활사와 디지털 지역 인문 콘텐츠 개발 방안

        한담,박성호,이은홍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10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 way to develop local humanities contents focusing on the life history of Namnosong-dong, Jeonju, Jeollabuk-do. First, Bisabeolchosa is a house where Shin Seok-jeong has lived since the 1960s. It was proposed to create a digital garden so that users can experience the life history and literature of Sinseokjeong Pavilion centered on natural objects. Next, Lee Du-hwang's tombstone supports the historical facts of his anti-national pro-Japanese activities. It was proposed to produce game-type content that can understand historical resources in Namnosong-dong by utilizing historical storytelling of Lee Doo-hwang's activities. Finally, Kylinbong is a mountain name located across Ua-dong and Pungnam-dong in Jeonju, and Nosong-dong includes part of Kylinbong's northwest ridge. It will be possible to produce characters based on Kylin, an animal in the legend of the Orient. As such, it is expected that the value of various humanities resources in Namnosong-dong can be spread to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by producing digital contents. 본 논문은 전북 전주시 남노송동의 생활사를 중심으로 지역 인문 콘텐츠를 개발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비사벌초사는 신석정이 1960년대부터 거주했던 가옥이다. 신석정이 쓴 수상록과 작품을 연결해 이용자들이 자연물을 중심으로 신석정의 생활사와 문학을 체험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정원을 만드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전주시 완산구 남노송동의 기린봉 초입에 있는 이두황 묘비는 이두황의 반민족친일 행위의 역사적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두황의 행적을 히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남노송동과 주변 동에 역사( 문화) 자 원을 이해할 수 있는 게임형 콘텐츠 제작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린봉(麒麟峰)은 전주시의 우아동과 풍 남동에 걸쳐 위치한 산 이름으로, 노송동은 기린봉의 북서능선 일부를 포함한다. 기린봉의 명칭이 되는 기린은 동 양의 전설 속 동물인데 그 특징을 바탕으로 캐릭터를 제작하는 방안이 제안하였다. 이처럼 남노송동에 있는 다양 한 유·무형 인문 자원을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함으로써 그 가치를 확산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투쯔창 혼자만의 슬픔』에 나타난 중국 청년의 빈곤화 과정- 농촌이라는 주변 공간에서 도시의 저층으로

        한담 중국인문학회 2022 中國人文科學 Vol.- No.80

        이 글은 팡팡(方方)의 소설『투쯔창 혼자만의 슬픔(塗自強的個人悲傷)』(2013)을 중심으로, 대입을 통해 도시로 진출한 가난한 농촌 청년의 비극적 운명을 고찰하였다. 농촌이라는 주변 공간에서 도시 저층으로 추락하는 그의 빈곤화 과정은 중국의 평범한 청년 ‘베이퍄오’의 현실을 담고 있다. 이러한 투쯔창의 비극은 한 개인이 아닌 시대의 비극으로, 21세기에 부상한 차이나드림 즉, ‘중국몽’ 실패의 문화 징후이자, 개혁개방 초기 도시와 농촌의 교차지대에 서 있던 그의 선배 ‘가오자린’들의 끝나지 않은 좌절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고는 그의 삶의 궤적을 대학 재학기간과 졸업 후 사회인의 삶 두 시기로 나누고, ‘가난’을 키워드로 경제적 결핍부터 사회적 소외에 이르기까지 신자유주의 시대 중국 청년빈곤의 일단을 살펴보는 한편, 투쯔창 형상의 원형을 탄생시킨 루야오(路遙)의『인생』(1982) 속 ‘가오자린’을 참조대상으로 하여, 두 시대와 두 청년의 좌절을 비교 고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