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2016년 국회의원선거 전화여론조사 정확성 분석

        영원 ( Young Won Kim ),윤지혜 ( Jihye Yun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6 조사연구 Vol.17 No.3

        유권자들의 올바른 투표행위를 돕기 위해서는 선거여론조사를 통해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정당, 언론기관, 조사기관등 여론조사 관련 기관에서는 여론조사의 정확성 제고를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2016년 20대 국회의원선거 전화여론조사를 대상으로 하여 여론조사의 정확성에 관한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Martin et el.(2005)이 제시한 정확성 척도 를 기준으로 예측오차와 편향을 측정하여 조사방법이나 응답률, 가중치 적용 등이 선거여론조사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ARS나 ARS와 전화면접을 혼합한 방식보다 전화면접방식을 통해 보다 정확한 여론조사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응답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연령대 성별 할당을 채우는 노력 등을 통해여론조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We investigate the forecast error and bias of public opinion polls conducted for 20th national assembly elections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main cause of the forecasting error and bias of telephone survey. We use the telephone survey paradata released by National Fair Election Survey Deliberation Commission and the measure of predictive accuracy(statistic  ) proposed by Martin et el.(2005). By analyzing the 203 public opinion polls carried out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we found that telephone survey method, period of poll, variation level of weights, and response rate are the factors to cause the forecasting error and bias in telephone survey.

      • KCI등재

        2014년 지방선거 여론조사 전화조사방법에 따른 예측오차 및 편향

        영원,황다솜 한국조사연구학회 2014 조사연구 Vol.15 No.4

        If late-campaign polls are to be used as forecast, it is important to ask, how well do the polls do and why are some polls better forecast than others? To answer the questions, we investigate the forecasting error and bias of telephone survey conducted for 2014 local election of Korea. To resolve the problem, we use the telephone survey para-data released by National Fair Election Survey Deliberation Commiss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main cause of the forecasting error and bias of telephone survey. By analyzing the 150 election telephone survey and using the measure of predictive accuracy() proposed by Martin et al.(2005), we found telephone survey method, period of poll, variation level of weight, and response rate are the factors to cause the forecasting error and bias in telephone survey. Also we found that ARS telephone survey as well as large variation of weight bring overestimation of candidate of Saenuri Party. 선거여론조사가 얼마나 정확한지 그리고 어떤 조사가 다른 조사에 비해 왜 더 정확한지 등에 대해서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대한 전화여론조사자료를 토대로 전화조사방법에 따른 편향과 예측오차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 등록된 선거여론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Martin et al. (2005)이 제안한 정확성 척도 를 예측오차 및 편향의 판단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2014년 지방선거 선거여론조사 중 광역단체장 선거에 관한 150건의 전화조사를 분석해 본 결과, ARS전화조사는 전화면접조사에 비해 새누리당을 과대 추정하는 편향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조사방법과 함께 가중치 변동 폭, 조사기간, 그리고 응답률 등도 전화여론조사에서 편향이나 오차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KCI등재

        실천적 관점에서의 린드벡의 후기자유주의 이론 분석과 바르트 신학의 비판

        영원(KIM Young Wo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1

        지금까지 조지 린드벡(George A. Lindbeck)의 후기자유주의 신학(postliberal theology)은 린드벡이 의도한 맥락에서 분석되기보다는, 신학적 인식론이나 방법론의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바르트 연구자들은 린드벡의 이론이 하나님의 실재와 복음의 진리를 현란한 전문용어들로 가릴 수 있는 위험한 이론이라는 의심을 해 왔다. 그러나 이 비판은 린드벡의 후기자유주의 신학이 만들어진 맥락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비판이다. 이 비판에 관한 적절한 변론과 수정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그의 주 저작인 『교리의 본성』에 있는 규칙이론(rule theory)과, 많은 논란을 일으킨 텍스트내재성(intratextuality)을 교회의 정체성과 교리적인 에큐메니즘이라는 본래의 맥락 안에 위치시켰다. 이렇게 본래의 맥락에 위치시켰을 때, 조지 헌싱어(George Hunsinger)를 중심으로 한 바르트 연구자들이 비판한 후기자유주의 신학의 문제점들-일반이론의 조직적 사용, 신학적 실재론의 부재, 그리고 자연 신학적인 경향―은 그리 심각한 것으로 드러나지는 않는다. 린드벡은 일반이론을 실천적인 맥락에서 항상 임시변통적이고 비조직적으로 사용하려 하였으며, 성서의 사용과 성서적 활동의 확장에 있어 하나님의 실재와 역사를 부정하지 않았다. 그리고 자연 신학적 경향도 헌싱어가 주장한 만큼 강하지는 않다. 린드벡의 후기자유주의 신학의 실천적인 측면에 대한 분석과 바르트 신학의 비판을 통해 우리는, 린드벡의 후기자유주의를 신학적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한국의 교회 혹은 사회에 적용하려면, 이 이론의 실천적인 측면을 인지하면서 서구 기독교와 한국교회가 각각 처한 상황의 차이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Until now, George Lindbeck’s postliberalism has been discussed almost only within the context of theological epistemology or methodology. It has never been analyzed or validated from the perspective of its original and intended context. In order to overcome this biased view on Lindbeck’s postliberalism, in this article, the key concepts of The Nature of Doctrine, that is, the rule theory and the much-debated intratextuality were situated within its original context: the identity of the Church and the doctrine-based ecumenism. When his postliberalism was analyzed within this original context, the critiqu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logy of Karl Barth, especially raised by George Hunsinger-the systematic use of theories, the absence of theological realism, and Thomistic natural theology-were not so compelling as he argued. Lindbeck was always trying to be ad hoc or unsystematic in the use of theories. He did not deny the reality of God in the use of the Bible and biblical praxis. His postiberalism has a very weak sense of natural theology. This result asks us to consider the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Lindbeck’s postliberalism and the differences between his context and Korean context in the application of his theory to the Korean Church and theology.

      • KCI등재

        출자전환 회생채권의 대손금과 대손세액공제 개선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18.6.28. 선고 2017두68295판결 ―

        영원,권형기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울법학 Vol.28 No.2

        The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DRBA) supports corporations in financial hardship by collectively coordinating legal status between debtors and creditors. For example, DRBA §206 ① encourages reorganizing corporations in debt to be restructured, which are allowed to convert debts into capital without increasing assets. In practice, it is mostly used that corporations in rehabilitation procedure amalgamate shares and reduce capital immediately after issuing of new shares in the process of debt-equity swap. However, both the taxation authorities and the judicial authorities have not reached an agreement on this case; in other words, when creditors providing goods or services coordinate accounts receivables with corporations in rehabilitation procedure, it has been controversial whether the bad debt expense deduction of Value-Added Tax Act(VATA) are allowed. The judicial precedent of this case permitted bad debt expense deduction, becaus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exemption from obligation and the result that accounts receivables went through the process of debt-equity swap and capital reduction without consideration, and because the claims are uncollectibly fixed, for creditors would never exercise stockholder’s rights. While the range of bad debt expense deduction of VATA had applied the clause of Corporation Tax Act(CTA) in the past, a new clause concerned was created in February 12, 2019. Nevertheless, it is necessary to make the reasons of bad debt of VATA and CTA comprehensive and consistent.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enact independent tax clauses on bad debt of restructuring corporations to Special Tax Treatment Control Law in order that corporations in the procedure can be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supported by concerning institutions. 법인사업자가 재정적 어려움으로 파탄에 직면해 있을 경우 채무자회생법은 채권자 등의 법률관계를 집단적으로 조정하여 채무자인 회생법인을 지원하고 있다. 그 방안의 하나로 채무자회생법 제206조 제1항에서는 주식회사인 채무자가 회생채권자 등에게 추가납입이나 현물출자를 하게 아니하고 채무의 출자전환을 통하여 신주를 발행하여 기업구조조정을 지원하고 있다. 실무에서는 회생법인의 출자전환과정에서 신주발행 후 즉시 주식병합하여 감자하는 방식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때 재화 등을 공급한 채권자가 채무자회생법인과의 매출채권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부가가치세법상 대손세액공제를 허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그동안 과세관청과 법원의 판단시 많은 혼란이 있어 왔다. 대상판결은 매출채권이 출자전환된 후 무상감자를 통하여 즉시 소각됨에 따라 채무의 면제와 다를 바 없고, 주주로서의 권리를 행사할 여지가 없으므로 회수불능으로 확정된 채권에 해당한다고 보아 대손세액공제를 허용하였다. 종전 부가가치세법상 대손세액공제의 범위는 법인세법상 대손금 인정사유를 준용하여 왔으나, 2019.2.12자 법적안정성을 제고한다는 취지로 회생계획인가결정에 따른 출자전환채권의 대손세액공제규정을 신설하여 별도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향후 법인세법과 부가가치세법상 대손사유를 통일시킬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조세특례제한법에 기업구조조정법인의 대손관련규정을 별도로 마련하여 채무자회생법인에 대한 조세지원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레이저광 및 전자빔 표면용융처리에 의한 M2 공구강의 표면경화 및 현미경조직에 관한 연구

        영원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78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16 No.4

        레이저광으로 표면을 융합처리한 M2형 공구강의 용융피막에 대해 현미경조직 및 경화기구가 본 실험에서 연구조사되었다. 전자회절분석 및 전자현미경 관찰결과 고온상인 δ-ferrite와 austenite가 상온에서 보존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 두 고온상의 상대적인 분포는 피막내의 깊이에 따라 변화했는데, 상부에서 대부분이던 δ상은 내부로 감에 따라 감소되고 대신 austenite가 우세해졌다. 이 분포변화는 용융피막내의 냉각속도, 응고속도 및 온도경사도의 상호연관에 기인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용융피막에 대한 적절한 열처리의 결과 재래식으로 얻을 수 있는 경도를 훨씬 능가하는 경화를 얻었는데, 이는 극미세한 카바이드상의 석출과 이에 따른 균일 현미경구조의 형성에 기인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전자 beam 표면 용융처리에 관한 예비실험 결과는 희망적인 것으로, 적절한 용융조건 선정으로 레이저광 용융처리에 버금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믿어진다. The tool steel M-2 was laser surface melted and the microstructures characterized both in the as-melted and subsequently heat-treated condition. The laser melting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extremely fine microstructures and nearly complete dissolution of carbides. Electron diffraction studies, when compared with previous X-ray analysis, show that the melt region consists of δ-ferrite and austenite formed by nonequilibrium peritectic reaction. The relative amounts of δ and γ vary with position, the top melt region being mostly of δ and the lower melt region predominantly γ. A most important finding is the microstructural change giving rise to a substantial increase in hardness by subsequent conventional heat treatment: ultra-fine carbide particles are formed throughout the melt region which gives a uniform microstructure with a maximum hardness of 1,070 V.H.N. Prelimenary experiments show that electron beam melting may lend itself to the sauce results.

      • KCI등재후보

        3차원 형상정보 처리기술을 이용한 환두대도의 디지털 원형복원

        영원,전병환 한국콘텐츠학회 200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5 No.4

        문화기술(CT)은 좁은 의미로 문화콘텐츠를 만들어내는 데 기본이 되는 기술로 각 국은 세계적 문화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콘텐츠를 창출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을 응용하는 다양한 콘텐츠가 생성될 때 창의적이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게 되며, 이를 위해 문화원형 복원기술은 필수적인 핵심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찬란한 문화유산을 가진 백제시대 유물인 금동용봉환두대도를 3차원 형상정보 처리기술과 고고학적, 과학적 분석 자료를 토대로 디지털로 원형복원한다. 먼저, 3차원 스캐닝 작업을 통해 취득된 데이터는 샘플링과 특징추출 및 정합 과정 후 홀 채움 및 스무딩을 이용하여 보정하고, NURBS와 B-Spline 방법을 이용하여 곡면으로 모델링한다. 그런 다음, 환두대도 구성요소의 색상과 재질을 추정하여 텍스쳐를 편집한 후 맵핑한다. 제작되어진 원형 모델은 전문가의 검증을 거쳐 수정 보완되었다. 디지털 복원된 환두대도는 IT기술과 결합하여 디지털 박물관 구축 및 시대별, 지역별, 유형별 환두대도의 정형화 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손실 유물의 원형 추정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고고학이나 보존과학의 교육 컨텐츠 및 영화, 방송, 게임, 애니메이션 등의 문화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다. Culture Technology is the basic technology which produces cultural contents in a narrow sense. All nations do their best in order to create new contents which can form international and cultural sympathy. If a variety of contents are created by applying Korean proper cultural heritages, they will be creative and competitive internationally. Therefore, technology of original cultural restoration is an essential and crucial skill. In this paper, 'gilt bronze dragon-phoenix ring-pommeled sword', a cultural heritage of baekje age, will be restored to the original form digitally on the basis of three-dimensional shape-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and the scientifically analyzed data. First of all, data from three-dimensional scanning is revised using stuffing and smoothing methods after sampling, extracting characteristics, and align. Then, they are modeled in a curved surface with NURBS and B-Spline. Secondly, textures are edited by estimating the color of components and the quality of materials, and then they are mapped. Original form model which was made was revised and corrected by specialists' examinations. The digitally revised ring-pommeled sword was combined with information technology, and it can be used to revise damaged cultural heritages by constructing formal database of ring-pommeled sword with regard to age, area and type. It can be also used as educational contents in archaeology or preservation science and cultural contents such as movies, broadcasts, games, animations and so on.

      • KCI등재

        인체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발생독성시험법 개발동향

        영원 ( Young Won Kim ),민정란 ( Jeong Ran Min ),정진희 ( Jin Hee Jeong ),정상희 ( Sang Hee Jeong ) 한국동물실험대체법학회 2012 동물실험대체법학회지 Vol.6 No.1

        Developmental toxicity is one of very important chemical toxicities, which is induced by the exposure of chemicals during embryonic or fetal stages and results in fatal defects of morphology or functions of the offspring. Until now, developmental toxicity test methods are based on laboratory animals or in vitrocultured animal-derived cells or organs. They are relatively expensive and take long time for test and do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real impacts on humans. Therefore, in vitro models based on human embryonic stem cells (hPSCs) have become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developmental toxicity test. We investigated and summarized the key points of the alternative developmental toxicity test methods using human embryonic stem cells. Molecular markers representing differentiation of specific organs or development of critical functions and optimal time for the test of differentiation are suggested. With respect to embryotoxicology, control compounds that mirror strong, weak or none teratogenicity were surveyed to be used in developmental toxicity test to get more accuracy of estimation for real human teratogens. The use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can be regarded as one of future challenges for more precise and efficient models to predict human teratogens.

      • KCI등재

        증강정보의 효과적인 가시화 기법 동향 및 요구사항

        영원(Youngwon Ryan Kim),안의재(Euijai Ahn),정현(Gerard Jounghyun Kim) 한국HCI학회 2015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0 No.2

        증강현실 기술은 현실 공간의 객체에 가상 정보를 연계 하고 공간적으로 정합 하여 보여 준다. 이러한 정보 가시화 형식은 그만의 특별한 유용성과 한계를 가지고 있고 또한 증강현실 기술에 따른 여러 가지 특별한 요구사항을 가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이 가지는 고유의 특성에 따라 효과적인 증강정보가 가져야 할 세 가지 덕목, 즉 “자연스러움,” “가시성,” “지속성”을 제시 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기존의 증강정보 가시화 방법들을 살펴보고, 이 분야에서의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 해 본다. Augmented reality (AR) adds on and displays synthetic information spatially registered to real world objects. As a particular and important type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technique, AR possesses unique advantages and limitations. In this paper, we put forth three requirements for an effective augmentation, namely, "naturalness," "visibility," and "persistence," and review notable augmentation techniques around these three perspectives. Based on the review and analysis, future directions for AR based information visualization techniques a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