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탐구 수행과정에서 제시된 변인에 대한 이해

        종주,정미숙,오원근,익균 한국물리학회 2010 새물리 Vol.60 No.5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tudents'understanding of the experiment variables in secondary-school science inquiry activ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understood the dependent variables well, but the operational variables less, and the controlling variables the least. It showed also that the type of dependent variable affected the students'understanding of how to find the operational variables. Students'recognition of the controlling variables was influenced by experimental apparatuses, experimental conditions, etc. Especially,when they were confronted with various controlling variables, they usually understood only a small number of controlling variables. These result show that students' recognition of the variables is content-dependent. Comparing the answers with the results of spell out the poor performance of the students in finding the controlling variable showed the content-dependency in finding the operational variables. The intermediately-performing students usually recognized the dependent variables well, but they showed a lower ratio than the poorly-performing students in recognizing the operational variables. The well-performing students usually recognized the operational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very well, but they also experienced a content-dependent recognition of the controlling variables. 이 연구는 중학교 과학탐구 수업에서 제시된 변인에 대한 학생들의이해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중학교 1학년 20명에게 교과서에 제시된탐구활동을 수행하게 하면서 학생들에게 활동에 주어진 변인을 판별하게한 결과, 학생들은 종속변인을 잘 판별하지만, 조작 변인은 잘 판별하지못하며, 통제변인은 거의 판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종속변인의 형태가 조작변인의 판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통제변인의 인식은 실험도구나 조건에 영향을 받으며, 학생들의변인판별은 내용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GALT 검사와 비교한 결과,미형성단계의 학생들은 조작변인의 판별에 내용의존성을 보이고, 과도기단계의 학생들은 종속변인만을 판별하는 반면, 형성단계의 학생들은 두변인을 잘 판별하지만 여전히 내용의존적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

        중학생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REBT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종주(Kim Jong Joo),유형근(Yu Hyeong Keun),권순영(Kwon Soon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REBT를 활용하여 분노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의 5단계로 이루어졌다. 조사단계에서는 다양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중학교 2학년 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조사단계의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목적, 회기별 목표, 회기 수를 결정하였다. 설계 및 구안단계는 목적, 목표, 회기별 목표에 따라 선별된 활동안을 이론전문가 및 현장전문가의 자문과정과 예비검사과정을 거쳐 수정 ·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적용단계에서는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S중학교 2학년 300명 중에 분노예비 검사결과 상위 15%에 속한 중학생 2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 12명을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전과 후에 분노검사를 실시하고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으로 자료처리를 하였다. 또한 참가자의 경험보고서, 상담자 관찰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의 분노조절 능력향상을 위한 REBT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분노조절의 하위영역인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유의미한 분노감소 효과를 보임으로써 결국 분노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enhance anger-control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using REBT. The development process consist of 5 stage; research, analysis, design,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First, it reviewed about studies on anger-control and it surveyed 450 middle school students for actual requirement. Second, it analyzed the number of program session, session’s goal, session sequence. As a result, this program consist of 11 session. Third, it designed program contents and activities by pooling and warehousing. Forth, it developed final program by pilot test and experts of advice. Fifth,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counseling program, the test tool was Anger Factors Test related to anger control abil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from got the high score of pre-anger test. And 12 students who desired for the program were included in the experimental group, 12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in the control group. It was analyzed statistical data by Mixed ANOVA, experience report and counselor observation content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rovements of anger control ability in using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Recognition , Emotion ‘Behavioral‘ factors in improvements of the anger control ability in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when compared to the students that did not.

      • 인장균열에 따른 대규모 비탈면 보강

        종주 ( Jongju Kim ),정면 ( Jungmeyon Kim ),범주 ( Bumjoo Kim ),용성 ( Yongseong Kim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대규모 절토 비탈면을 따라 발생한 인장균열이 약 0.5m 정도의 폭으로 비탈면과 유사한 방향으로 뚜렷하게 발생하여 나타나며 이와 수직방향으로 발생된 다수의 균열로 절토에 따른 비탈면 붕괴방지를 위한 인장균열 원인 및 상세조사를 통한 비탈면 보강계획을 수립하였다. 비탈면 지층현황 분석을 위한 시추조사, 전기비저항탐사, 토모그래피, 시추공영상촬영(BIPS), 지표지질조사를 통하여 지층분포, 불연속면의 방향, 파쇄대 등을 파악하고 특히 상부 역암층과 하부 회장암 경계부에 열수변질 작용에 의한 점토대가 존재하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인장균열이 발생한 비탈면에 대한 보강은 임계파괴면 파악을 위한 시추조사 및 탐사, 파괴규모에 따른 보강공법 선정, 절토 법면의 지층을 고려한 앵커의 지지 판넬 적용 등으로 인장균열 및 파괴규모를 고려한 보강사례로서 향후 비탈면 시공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에 대한 조사와 보강방안 선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문신에 관한 정신의학적 연구

        종주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79 신경정신의학 Vol.18 No.4

        During physical examination for conscription in Kang-won do area from June 4 to August 17, 1978, seven hundred and eighty-one had tattoos among the 13,963 conscripts. They were studied for their psychosocial statu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prevalence of tattooing was 5.6 per cent. 2. Among the various contents of tattoos, a heart or heart and arrow, "one mind", a butterfly, a rose and a knife were the most frequently seen. 3) The average age when the first tattoo was made was 17.2 years. 4) Tattoo was made mostly in a group setting with a strong motivation to follow a contemporary group fad. 5) As to the site of tattoo, both arms, especially forearms were the favorite. 6) The lower educational and socio-economic level, the more frequency of tattoo was observed. 7) The self-injury was accompanied by one third of the tattooed and the frequency of the criminals was 18.6 per cent among the tatooed. 8) Parental loss of the tattooed men was more than the control group. 9) The tattooed men ha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psychopathic deviate and the schizophrenic scales on MMPI, suggesting that they were more impulsive and hostile. In fact, delinquent behavior was frequently seen in them than control group. The being tattooed seemed to be related to personality factors rather than overt mental ill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