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조선 아동문화의 태동기 일본인 활동에 관한 연구 - 쇼쿄쿠사이 덴카쓰 이치자의 조선 아동연극공연을 중심으로 -
김성연 국제어문학회 2018 국제어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1
한국에서 최초로 한글로 활자화 된 아동극의 대본은 『어린이』 창간호(1923년 3월20일)에 소개된 「동화국 노래주머니」이다. 한국의 아동문학, 아동문화의 본격적인 출발은 천도교 소년회를 주도하던 방정환이 중심이 되어 1923년에 설립된 색동회의 활동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런데 『어린이』가 창간되기 무려 10여 년 전부터 경성일보사가 주최한 구연동화회가 빈번하게 열리고 있었으며, 일본에서 이와야 사자나미(巖谷小波)나 구루시마 다케히코(久留島武?)와 같은 아동문학가들이 초빙되어 조선 각지를 순회하며 구연동화 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또한 1916년부터 경성일보에는 어린이를 위한 칼럼이 만들어져서 동화가 연재되었다. 한국 아동문학, 아동문화의 성립 배경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일본인들의 활동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 식민지 조선에서 행해진 일본인들에 의한 아동문학이나 아동문화에 관한 선행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오타케 기요미(大竹聖美, 2002)에 의해 몇몇 아동문학가들의 조선 방문이 소개된 후, 김성연(金成?, 2008)에 의해 일본인들의 조선 구연동화 활동 연표가 작성되는 등 구연동화 활동의 전체적인 흐름은 밝혀 졌지만, 구연동화 이외의 아동문화 활동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찾아 불 수 없기 때문이다. 필자는 지금까지 구연동화에 초점을 맞춰서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행해진 일본인 문학가들의 활동에 대해 연구해 왔지만, 최근 경성일보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일본 최초의 여자맘술사인 쇼쿄쿠사이 덴카쓰(松旭?天勝)가 경성에서 아동연극공연을 한 자료를 발견하였다. 1901년부터 5년간 미국 순회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일본에 돌아와 최초로 미국식마술 쇼를 상연하여 큰 인기를 끈 덴카쓰는 메이지 시대의 국민적인 마돈나였다. 1915년 9월부터 51일간 경복궁에서는 일본의 조선 통치 5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조선 물산 공진회가 개최되었는데 같은 기간 경성일보사는 가정박람회를 열어 관객몰이에 주력했다. 덴카쓰의 공연도, 가정박람회에 보다 많은 관람객을 유치하기 위해 경성일보사가 기획한 것이었다. 연일 무대 공연뿐만 아니라 유니크한 이벤트에 덴카쓰를 등장시켜 끊임없이 화제몰이를 하였다. 10월 10일부터 19일까지 예정됐던 덴카쓰의 공연은 매일 관객들로 가득 찼고 인기에 힘업어 매번 연장되더니 결국 11월 6일까지 공연을 했다. 순종의 만찬회에도 불려가 공연을 하고 많은 하사품을 받기까지 했다. 명실상부 당대 최고의 마술사 덴카쓰가 경성에서의 마지막 공연에 올린 작품이 이와야 사자나미 원작의 아동연극이었다. 본고에서는 구연동화와 아동연극으로 대표되는 근대 일본 아동문화의 흐름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만나지는 덴카쓰의 조선 공연의 전체 내용을 소개하는 동시에 이 자료를 앞으로의 연구의 초석으로 삼고자 한다.
Butylacrylate의 셀룰로오스 섬유에의 무촉매 Graft 중합 -제1보 Dioxane-물 混合용매중에서의 Graft 중합-
김성연,유효선,이영수,Kim, Seong-Yeon,Yu, Hyo-Seon,Lee, Yeong-Su 한국섬유공학회 1976 한국섬유공학회지 Vol.13 No.1
Graft polymerization of B. A. onto cellulose fabric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mixed solution of dioxane and water in the absence of an initiator under nitrogen atmosphere. Some factors influencing the grafting have been studied and the properties of B.A. grafted rayon fabrics have been also obser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A. is grafted onto rayon without difficult and weight increase attains up to 40%, but difficulty onto ramie and rarely onto cotton. Pre-treating with acidic solution promotes efficiency of grafting and the most favorite concentration is found to be 0.02-N HNO₃. The existence of water is an important factor for graft polymerization and the weight increase proportionally related with the amount of water in polymerization medium. The amount of grafting increases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B.A. up to it's critical solubility in dioxance-water solvent. The weight increase is roughly proportional to reaction time at early stage, and becomes equilibrium over 8 hrs. for rayon and 4 hrs. for ramie. A little amount of homopolymer is produced with rayon, while large amount of homopolymer is produced with ramie at temperature over 60℃. It suggests that ramie has some factor initiate addition polymerizatin. The moisture regain of grafted rayon is decreased and the tensile stregth, elongation at break and abrasion resistance are increased with increasing weight gain.
김성연 한국섬유공학회 1973 한국섬유공학회지 Vol.10 No.2
Methyl-, ethyl- and butylacrylate have been grafted onto ramie fabric usig ceric ammonium nitrate as initiator. In this study, the formation of cellulose-ceric complex was separated from polymerization by treating ramie fabric in ceric ammonium nitrate solution prior to polymerization. Then the pretreated ramie was kept in the vapors of monomers for grafting. Some factors influencing the graft polymerization, the structure of graft polymer and properties of grafted ramie fabrics have been stud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fficiency of graft polymerization of monomers showed the following order: MA<EA<BA.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branched polybutylacrylate ranged 2∼5${\times}$10$^3$, which was considerably high and in general it was higher than that of homopolymer produced by the process of graft polymeriaztion. The number of branches per cellulose molecule was less than unity through out all the cases of experiment and the site of graft was estimated to be the first carbon atom of glucose unit at the end of the cellulose. The moisture regain of the grafted ramie fabrics decreased for all the MA, EA and BA grafts. Softness and crease recovery were improved except MA graft, particulary BA graft showed greater improvement in this respect. The tensile strengths of both EA and BA grafts were conspicuously decreased as the amount of the graft was tending to be in creased while MA graft showed no greater variation.
깁사이트를 원료로 한 고온촉매용 담체의 제조 II, 비정질 알루미나의 담체 전구체로서의 특성
김성연,김연식 한국세라믹학회 1996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3 No.1
Amorphous alumina(AA) the precursor of ${\gamma}$-alumina for catalyst support was made in the newly designed ball filled heating column. Some properties of AA as precursor were investigated. In observation of microstruc-ture and pore structure of AA and its derivatives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SEM) and transmission electronic microscope(TEM) were used. It was found that the width of one particle in AA was 45~60$\AA$ and the average distance among the particles ranged 9~12 $\AA$ which suggested a micropore structure. When AA was reacted with water the shape of the surface was found to be altered and acicular bioehmite was formed inside AA which contributed inproved formability. Pore distribution was evaluated for the three samples of AA ground and granulated lump and La2O3 coated alumina. Acid sites were quantitatively determined by ammonia TPD method and the effect of impurity of Na on acid sites was discussed. Water adsorption capacity was evaluated in terms of a desiccant.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조사한 관절염 환자의 관절액에서 Tropheryma whipplei DNA 검출
김성연,정문현,최새로운,김은실,이진수,박원,김미경,강재승 대한감염학회 2005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37 No.2
Background:Whipple's disease is a chronic systemic infection caused by Tropheryma whipplei which chiefly involves gastrointestinal tract and joints. Because arthritis is often the first sign of Whipple's disease, Whipple's disease may be misdiagnosed in the early stage of illness as non-infectious inflammatory 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may also be caused by infectious agents, including T. whipplei.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 whipplei infection and various arthritis, we examined T. whipplei DNA in Korean patient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aterials and Methods:With two T. whipplei-specific primers dervied from the partial heat shock protein 65 gene sequence, PCR was performed on 56 joint fluid samples:33 samples from RA patients, 18 samples from OA patients, and 5 samples from patients with other unflammatory arthritis. In addition, the same method was applied to find out the DNA of T. whipplei in 8 normal adults' saliva and 22 patients' gastric juice. Due to the difficulty in obtaining the reference strain of T. whipplei, the PCR was performed without the positive control. Results:The PCR method did not reveal T. whipplei in joint fluid from 56 patients with arthropathies, 8 samples from saliva, and 22 samples from gastric juice. Conclusion:Though technical errors can not be excluded as a cause of absence of a positive case, our results suggest that T. whipplei infection may not be a common cause of various arthritis in Korea; T. whipplei may be associated with inflammatory arthritis indirectly by immune-mediated mechanism rather than by direct joint invasion. The examination of specimens other than joint fluid could be helpful and the study of larger number of patient is highly desirable. 목 적 : Whipple병은 Tropheryma whipplei에 의한 전신적인 감염 질환으로 소장과 관절 침범이 특징이며, 흔히 병의 초기에는 수년 동안 다른 증상 없이 관절염 소견만 보이므로, 일부 환자는 염증성 관절염으로 진단받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을 포함하여 여러 염증성 관절염에서는 아직 병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감염이 관련될 가능성은 꾸준히 언급이 되었다. 저자들은 국내에서도 T. whipplei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한국인에서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T. whipplei DNA를 조사하였다.재료 및 방법 : 대상 환자군은 1997년부터 2002년 사이에 인하대병원 류마티스 내과에 관절 종창으로 내원한 환자들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33명, 골관절염 환자 18명, 기타 질환에서 관절 이상인 환자들로 5명이 포함되었다. 건강한 성인 8명의 타액과 22명의 위내시경을 받은 환자의 위액을 채취하여 검사하였다. 중합효소연쇄반응은 T. whipplei heat shock protein의 일부 유전자를 증폭할 수 있는 2개의 시동체를 사용하였다. 표준 균주를 얻기가 어려워 양성 대조군 없이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결 과 : 관절염 환자의 관절액, 정상인의 타액, 위내시경을 받은 사람의 위액에서 모두 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핵산을 증명할 수 없었다.결 론:양성대조군이 없어 검사 잘못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나, Whipple병이 염증성 관절염의 흔한 원인이 아니거나 관절의 직접 침범보다는 위장관 감염 후 생기는 면역 반응에 의한 반응성 관절염일 가능성이 있다. 관절액 이외의 검체에서 조사한다면 다른 결과를 얻을 수도 있으리라 생각하며 앞으로 이들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