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민사조정법상 조정위원회의 구성과 역할에 관한 소고

        김성태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論叢 Vol.44 No.-

        민사상의 분쟁을 법원의 판결에 의하여 해결하지 않고 분쟁의 당사자가 서로 양보하여 당사자의 합의로서 자주적으로 해결하는 분쟁해결제도인 민사조정제도는 1990년 민사조정법의 제정 이후 지금까지 판결이외의 대표적 민사분쟁해결제도이며, 오늘날 재판외 분쟁해결절차(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민사분쟁의 경우에도 당사자의 적극적 참여에 의한 분쟁해결 방법으로 민사조정제도의 역할에 대한 많은 기대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민사조정과 관련하여 민사조정절차, 조정기법 등 민사조정의 활성화를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본 연구는 민사조정에 있어서 그 무엇보다도 조정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조정위원회를 중심으로 민사조정기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민사조정사건은 우선 조정담당판사가 조정을 담당하지만, 당사자의 신청이 있는 경우에는 조정위원회가 조정을 담당하는데, 이러한 조정위원회는 조정장 1명과 2명 이상의 조정위원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판사만이 할 수 있는 조정장의 자격에 대하여 반드시 판사만이 할 수 있도록 하는 민사조정법의 규정은 있지만, 일본의 경우와 같이 판사 이외의 자에게도 조정을 담당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를 시작하고자 하였다. 법률에 규정된 판사의 수만을 가지고는 민사본안사건을 담당하기에도 부족한 것이 오늘날 법원의 인력현황 현실이기에 민사조정절차에서만이라도 법조인력에게 일부 자격을 부여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외부 법조인력에 의한 것이 어렵다면 오늘날 이행권고결정과 같이 비교적 쟁송적 성격의 업무도 담당하는 사법보좌관의 업무확대도 고려해 보는 것은 어떠한지 관련 쟁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민사조정법에 규정되어 있는 조정위원의 선임과 관련하여 지금 사실상 적극 활동되고 있지 못한 당사자의 합의에 의한 조정위원 선정 방안에 대하여도 관련 규정의 범위내에서 검토하여 조정위원자격의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에 대하여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종국적으로 조정위원회의 조정능력을 향상시켜 민사조정의 활성화를 기대하고자 하였고, 궁극적으로 점점 늘어나는 민사분쟁에 있어서 당사자가 중심이 되는 적합한 해결방법으로 민사조정의 궁극적인 방향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전체 민사분쟁을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판결에 의한 해결만이 능사가 아니며 민사조정과 같은 재판이외의 절차를 통하여 분쟁해결을 위한 장치가 계속해서 개발되고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민사조정에 있어서 조정담당판사 또는 법원으로부터 선임된 조정위원이 민사조정에 대한 의욕과 열의만 앞세워서 직권으로 민사조정을 진행한다면, 민사조정에 대한 인식과 민사조정성공률은 결코 개선되지 않을 것이다. 지금은 당사자에게 최대한 자율권을 주어 민사조정을 통한 분쟁해결이 궁극적으로 당사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민사조정제도에 대한 진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으로 분쟁당사자와 밀접하게 조정을 진행하는 조정위원회의 구성과 역할에 대하여 진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system for the conciliation of civil disputes was designed as a system for the concerned parties to resolve a civil dispute independently by making concession to each other and reaching agreement between them instead of resorting to a court ruling. It has served as a representative system to resolve civil disputes other than rulings since the enactment of Judicial Conciliation of Civil Disputes Act in 1990. With interest in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s today, there are high expectations and research efforts invested in the system for the conciliation of civil disputes as a method of resolving a civil dispute throug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concerned parties. Many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on the conciliation procedures and techniques of civil disputes to activate the conciliation of civil disputes. Focusing on the huge importance of the roles played conciliation agencies in the conciliation of civil disputes,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conciliation agencies for civil disputes around a council of conciliation. In conciliation cases for civil disputes, a conciliation judge usually takes charge of conciliation.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concerned parties, a council of conciliation takes the responsibility. A council of conciliation is comprised of one chief commissioner and two or more commissioners. As for the “qualification of a chief commissioner,” the study began by discussing a plan of offering a conciliation chance to individuals other than a judge like in Japan even though there were provisions granting the qualification only to judges in the Judicial Conciliation of Civil Disputes Act. In today's reality of courts, the number of judges prescribed in law is too small to cover even only civil cases on merits, which is why it can be a plan to grant some qualification to outside legal professionals only for the conciliation procedures of civil disputes. If it is difficult to do so with outside legal professionals, it will be worth consideration to expand the work of judicial assistant officials responsible for affairs of relatively dispute nature like decisions to recommend performance today. The study also covered issues related to this idea. The Judicial Conciliation of Civil Disputes Act contains some provisions about the “selection of commissions based on consent between the concerned parties,” which is not put to active use in reality. The study examined plans of expanding the qualification scope of commissions by reviewing their selection within the scope of related provisions. These research efforts aimed to facilitate the activation of civil dispute conciliation by improving the conciliation abilities of a conciliation council eventually and introduce the direction of civil dispute conciliation toward proper resolution methods in which the concerned parties would take the central roles in increasingly growing civil disputes ultimately. In today's situation in which the entire cases of civil disputes continue to rise, resolution based on rulings is not the only answer. There should be ongoing efforts to design and develop a device to resolve a dispute through procedures other than trial such as the conciliation of civil disputes. If judges in charge of conciliation or commissioners appointed by the court try to continue the conciliation of civil disputes through their authority based on their drive and enthusiasm for the conciliation of civil disputes, the perceptions and success rates of civil dispute conciliation will never improve. It is time to review the system for the conciliation of civil disputes seriously in a direction of granting maximum autonomy to the concerned parties and letting them resolve a dispute through the conciliation of civil disputes ultimately to satisfy them. There should be serious reviews of the composition and roles of a conciliation council in charge of conciliation progress in close cooperation with the concerned parties in disputes.

      • KCI등재

        소아의 말소리 장애

        김성태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 2019 임상이비인후과 Vol.30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Speech-sound disorders (SSD) in children is a complex behavioral disorder characterized by speech-sound production errors associated with deficiencies in articulation, phonological pro- cesses, and cognitive language processes. SSDs are widespread in childhood and are accompanied by language disorders, spelling and reading disorders, or dyslex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es, diagnosis and treatment of SSD in children during developmental stages. Causes:The cause of the SSD is in- creasing research suggesting a genetic cause, and various genetic effects may work in the acquisition process. Similar cognitive linguistic bases of SSD and dyslexia suggest that they share a genetic etiology. Diagnostic Evaluation:The screening test is a test that identifies a simple question within 5 minutes by mechanical utter- ance, saying a word with a developmental phoneme, selecting a word, and looking at a picture. The deepening test is a secondary test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speech therapy, conducts spontane- ous sample analysis and evaluates speech errors according to various phonological environments. Treat- ments:The treatment of SSD in children can be divided into speech therapy and phonological therapy. In par- ticular, the clinician should first treat the speech of the child’s speech during the SSD treatment that has a stimulus response. Conclusions:How to solve the SSD in children will be able to solve the speech problem by various research efforts and cooperation of the relevant clinicians.

      • KCI등재

        보험사업의 개념에 관한 일고찰 : 한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The Korean Experience

        김성태 한국보험학회 2001 保險學會誌 Vol.60 No.-

        보험계약은 사행계약이라는 구조 때문에 도박과의 관계가 자주 문제된다. 물론 보험제도 내에 보험의 도박화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만들어 두고는 있으나, 그 구별이 언제나 용이한 것은 아니며, 현실적으로도 자주 문제되고 있다. 특히 오늘날 경제위기를 맞이하여, 사회적으로 사행심을 조장하는 풍조가 만연하여 도박산업이 번창하고 있고, 심지어 정부도 여러 가지 명분을 내세워 복권사업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 편승하여 각종의 사행심을 자극하는 거래가 성행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폐단은 on-lino상에서도 극성을 부리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른바 'contingency 보험' 등의 형태로 보험상품 자체가 사행성을 띠기도 하고, 유사금융업 등의 성행하는 틈을 타 교통범칙금대납업이 성행하여, 그 법적 성격 및 보험업법 위반 여부가 문제되고 있다. 나아가 공제, 상조회 등 각종의 유사보험과 관련하여, 이들이 보험감독의 대상에 포함되는지 여부가 논란이 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보험제도의 경계선상의 문제에 관하여, 우선 이들 문제되는 행위의 성질을 보험본질론에 비추어 재조명하여야 함과 아울러, 보험업법 관련규정을 합리적으로 정비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In legal perspective, insurance contract is, like gaming and wagering, an aleatory contract. So these two raise difficult legal problems because of their legal similarities. The debate would be more heated as we take the on-line gaming into consideration. Moreover, the neighboring areas(contingency insurance, quasiinsurance, etc.) also raise the similar problems. So there should be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nature of insurance and the scope of insurance regulation, especially the concept of 'the business of insurance'.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관광위험지각과 감정반응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성태 한국호텔리조트학회 2020 호텔리조트연구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among risk perception, emotional response and behavioral intention resulting from the occurrence of COVID-19.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the effective samples of 307 cop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research, socio-cultural·functional tourism risk perception affects positive emotional responses.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socio-cultural·functional·temporal tourism risk perception did not affect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thirdly, positive emotional response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found that compensation psychology through tourism is inherent as Corona 19's prolonged life pattern changes and continues to be exposed to dangerous situ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mplement differentiated marketing that can stimulate positive emotional reactions of people and minimize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in line with the tourism trend of post-corna era. In particular, in the post-corona era, individual tourists' desire for safety comes first, so it is necessary to expand non-face-to-face marketing through digital environment improvement by designating Untouch tourist attractions and Wellness tourist attractions that link nature, health and healing industries.

      • KCI등재

        우리나라 적정 사회복지지출 수준의 모색

        김성태,김명규 한국응용경제학회 2015 응용경제 Vol.17 No.3

        본 논문은 사회후생 극대화와 재정의 지속가능성에 기초하여 적정 사회복지지출 수준을 모색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복지재정을 위하여 2050년 GDP 대비 국가부채규모가 60% 이하이어야 한다는 조건 하에서 관리대상수지 비율의 상한선을 구한 뒤 정부규모를 추정하고, 정부 예산제약 하에 사회복지지출 수준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2015년 우리나라의 적정 GDP 대비 사회복지지출 수준은 17.9%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2013년 9.7%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사회복지지출은 적정수준을 상회하고 있어 사회복지지출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고령화 속도를 고려한 결과는 2020년 20.9%에서 2060년 24%로 기존 연구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우리나라 연금제도가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지 않으므로 제도개편이 필요하다는 점과 지속가능한 복지를 위해서는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사전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optimal level of social expenditures relative to GDP in Korea. We suggest the proposition that optimal level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should be fiscally sustainable. We set up the intertemporal government budget constraint such that it satisfy cumulative government debt relative to GDP below 60% in 2060. Therefore the government net lending must be less than 1.3∼1.7% of GDP until 2060. We estimated the optimal social government expenditure relative to GDP in 2015 to be 17.9% which is greater than the actual ratio 9.7%. The estimates of optimal social welfare expenditures for 2020∼2060 periods are lower than the estimates of previou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