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Role of Echocardiograph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김태석,윤호중 한국심초음파학회 2009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J Cardiovasc Im Vol.17 No.2

        Echocardiography can play a key role in the diagnosis, evaluation and triage of patients presenting with acute chest pai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because of its rapid, accurate and repetitive image acquisition. Echocardiography can detect coronary artery disease, complication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pericardial emergency, acute aortic diseases, and pulmonary embolic events, all of which may cause acute chest pain. Depending on the clinical situation, stress echocardiography or contrast echocardiography may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Ongoing technical development of imaging acquisition and analysis in echocardiography will increase its use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cute chest pain.

      • KCI등재

        PC12 세포에서 β-아밀로이드 단백질에 의한 세포독성에 향정신성 약물이 미치는 영향

        김태석,이철,이수정,도규영,김정진,백인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흰쥐의 PC12 세포를 이용하여 향정신성 약물이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 β-아밀로이드 단백질에 의한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PC12 세포를 배양한 후, 10μM 농도의 β-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처리한 세포군에 항정신병 약물인chlorpromazin, haloperidol, risperidone과 항우울제인 amitriptyline, fluoxetine, moclobemide를0.1∼10μM 의 농도로 투여한 다음, 약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과: 1)β-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처리한 세포군에서 chlorpromazin, haloperidol, risperidone은 PC12 세포에 대한 β-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세포독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2) β-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처리한 세포군에서 amitriptyline, fluoxetine, moclobemide는 PC12 세포에 대한 β-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세포독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서 항정신병 약물인 chlorpromazine, haloperidol, risperidone과 항우울제인amitriptyline, fluoxetine, moclobemide는 PC12 세포에서 β-아밀로이드 단백질에 의한 세포독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에 대한 향정신성 약물의 효과가 신경전달물질의 생화학적 조절뿐만 아니라 신경세포에 대한 보호 효과를 통하여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중심단어:향정신성 약물·β-아밀로이드 단백질·세포독성·PC12세포. Objective: Amyloid βprotein(Aβ) has been regarded to be toxic to neurons in vitro. However, the mechanism of action leading to neuronal death remains unknown. In this study, we report the effects of psychotropic drugs, that are often prescribed for the improvement of psychotic and depressive symptoms in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on the β-amyloid-induced cytotoxicity in rat pheochromocytoma(PC12) cells. Method: We treated antipsychotics(chlorpromazine, haloperidol, and risperidone) and antidepressants(amitriptyline, fluoxetine, and moclobemide) at 0.1 ∼10μM concentrations before application of Aβ(10μM), and compared with control in the absence of psychotropic drugs in cultured PC12 cells. Results: 1) Chlorpromazine, haloperidol and risperidone significantly reduced Aβ-induced cytotoxicity in PC12 cells. 2) Amitriptyline, fluoxetine, and moclobemide significantly reduced Aβ-induced cytotoxicity in PC12 cell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psychotropic drugs in the treatment of dementia of Alzheimer's type may protect the neural cells as well as control neurotransmitter activites. KEY WORDS:Psychotropic drug·β-amyloid protein·Cytotoxicity·PC12 cell.

      • 멀티에이전트 인터넷 경매 시스템

        김태석,이문호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2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 Vol.2002 No.1

        기존의 인터넷 경매시스템에서는 경매 대상 상품을 게시하고 경매참가자들이 입찰가격을 제시한 후 가장 높은 입찰가를 제시하는 경우에 거래가 낙찰되는 형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매 참여자에게 지속적인 입찰제시와 확인 등을 요구하기 때문에 고객 편의를 위한 자동 일괄 처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매 상품에 대한 입찰 히스토리와 경매시간, 경매방법, 낙찰가격 등을 계산하여 해당 상품에 대해 판매자가 어느 시기에 얼마의 초기 가격으로 경매를 시작하면 최대한의 마진을 남길 수 있는지에 대해 메일로 푸쉬해 주는 멀티에이전트 시스템을 제안한다.

      • KCI등재

        흡연과 우울증 간의 관련성

        김태석,김대진 대한정신약물학회 2007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8 No.6

        Researchers now widely accept that smoking is the major cause of various physical illnesses,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psychiatric disorders, especially depression, is less clear. Nicotine is the primary addictive substance in cigarettes; in addition to causing a physiological dependence by activating a dopamine reward circuity, it may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neurotransmitter variation, inducing psychiatric symptoms. The prevalence of smoking is much higher among depressed patients, and because depression may play a part in the psychological dependence of smoking, there may be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depression. This article reviews recent studies on the complicated interactions between smoking and depression, focusing on clinical and neurobiological research. It presents a clinical investigation of smoking as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depression as a risk factor for beginning to smoke, and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smoking cessation. It also provides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depression within a neurochemical, pharmacological, and genetic framework. 현재까지 흡연과 우울증 간의 관련성의 증거들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우울증과 니코틴 의존에 공통적인 유전적, 환경적 요소들이 존재할 가능성을 암시한다.56) 임상적으로 우울증은 청소년기의 흡연 시작의 위험 요소이며, 니코틴의 강력한 신경 생리학적 영향을 고려할 때, 흡연은 우울증의 발현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흡연을 중단할 경우 금단 시기에 우울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우울증의 과거력이 있는 흡연자는 금연 시에 우울증이 재발할 수 있으므로 상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신경생물학적으로 흡연과 우울증은 다양한 신경호르몬, 신경전달물질의 변화에 있어 유의한 공통점이 존재한다. 다만, 이러한 결과는 의존 상태와 금단 상태에서 신체 내 니코틴의 농도의 변화를 고려해서 우울증과의 관련 가능성을 주의 깊게 해석해야 한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니코틴이 항우울제적인 특성을 보유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지만, 흡연이 야기하는 신체적, 정신적인 부정적인 치명적 예후를 고려할 때 임상적으로 오해의 소지가 있으므로 주의를 해야 한다. 아직까지 흡연과 우울증에 대한 임상적, 신경생물학적 연구는 초기 단계에 있으며, 공통 기전에 있어 유전자의 역할 또는 유전자-환경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의 연구는 매우 부진한 상태인데, 국내에서는 먼저 흡연과 우울증 간의 관련성을 입증할 수 있는 역학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단일 민족의 장점을 살리는 유전 연구가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우리나라와 글로벌 주식시장의 MDD와 Calmar Ratio, VaR의 비교·분석 결과

        김태석,이홍재 한국산업경제학회 2011 산업경제연구 Vol.24 No.4

        MDD(Maximum Drawdown)는 높은 가격 변동성에 의해 시장가격이 정점에서 바닥까지 발생된 최 대누적손실(maximum loss)로서 일반적으로 이 기간 동안 펀드 환매(fund run)가 발생한다. 따라서 높은 주가 손실 및 위험(VaR)을 초래하게 되어 금융기관의 자본적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 구에서는 MDD를 이용하여 글로벌 서브프라임(sub prime) 기간 동안 변동성 충격에 의한 주가의 최대누적손실 발생 시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MDD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위험조정성과지수인 Calmar ratio를 산출한 후 글로벌 주요 주가지수와 성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KOSPI의 MDD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간 또한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MDD이후 MRU(Maximum Run up) 국면에서 우리나라의 KOSDAQ과 KOSPI가 글로벌 주가지수를 선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almar ratio 또한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어 위험조정성과가 가장 좋은 자본시장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석 결과의 큰 특징으로 Calmar ratio의 산출요소인 MDD가 미국 및 유럽의 값 보다 아시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서브프라임 모기지 충격의 당사국인 미국과 유럽에 비해 주가 변동성이 더 크게 되어 상대적으로 더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적 안정적 이고 서브프라임 모기지 충격의 영향을 적게 받은 우리나라의 VaR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적정자기 자본비율을 유지하기 위해 더 큰 자기자본의 요구로 금융기관의 수익성이 저하될 잠재성에 노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show MDD(Maximum Drawdown) in the global and korea stock market to use Maximum Drawdown(MDD) and calmar ratio in the economy depression phase by the shocking news. and drive out risk adjusted calmar ratio and relative analysis to other global important stock index and explain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Analysis results explain the short time MDD in the korea stock market, and also MRU(Maximum Run UP) the longest period. After MDD(Maximum Drawdown)over KOSDAQ and KOSPI lead global stock index MRU(Maximum Run Up) and also calmar ratio is the biggest. Therefore I believe that our stock korea market is the lead market. And efficient market. But VaR is high. Therefore I inferred that Our korea market is exposured to risk.

      • KCI등재

        자본시장통합법 시행과 영향

        김태석,김준호 한국산업경제학회 2010 산업경제연구 Vol.23 No.5

        자본시장통합법이 제정된 데에는 개방, 경쟁을 위해 규제를 철폐함으로써 한국 금융업의 경쟁력을 높이자는 것이 기본취지이다. 궁극적으로 금융시장의 빅뱅을 유도한다는 시나리오이다. 우리나라는 자본시장통합법의 시행을 통해 국내의 1986년의 영국의 금융개혁 빅뱅만큼의 영향을 기대하고 있으며 그 영향은 규제완화를 통한 자본시장의 활성화, 국제경쟁력 제고 더 나아가 금융산업의 구조개편이라 할 수 있다. 자본시장통합법의 기대효과로는 자본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해짐으로써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앞으로 주식·외환시장 등의 급성장이 예상된다. 현물은 물론 파생상품시장 규모도 대폭 커진다. 대형화됨으로써 투자은행의 자본인 고유재산 확보가 쉬워져 투자은행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금융·직접투자 등 개별 업무영역의 영업기회를 보다 확대할 수 있게 된다. 자본시장통합법 시행으로 자본시장의 역활 및 절대규모의 확대, 자본시장관련 금융회사의 대형화 및 전문화촉진, 금융투자업무겸영에 따른 상품경쟁력 강화, 종합 금융서비스 제공을 통한 영업기반 강화, 외국계 금융회사의 시장잠식 정도심화, 은행의 수익구조 다변화 기회 확대, 금융투자회사의 소액결제업무허용에 따른 자금유출가능성, 은행신탁업의 상대적 위축, 보험회사의 자산운용 여건 개선, 보험회사의 소액결제시스템 참여가능성 증대, 업무영역 중복에 따른 경쟁심화 등으로 자본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World economy has been globalized and the competition has harshly developed, In the domestic financial market. Big change has been progressed. In the past bank played a role of representative financial institution, but as the duty area of investment bank has been enlarged. the center of financial activity has transferred from savings to investment. “The Law on the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was established and government and financial institutions are busy in preparing for the Law, which is scheduled to enforce in Feb.2009. in order to reconsider the efficiency of domestic capital market. There are four basic directions in the Capital Market Integration Act. First directions is to change the regulation system from the application of separate regulation to the application of the same regulation in performing the same financial function according to the respective financial institution. Second direction is to allow the management combination of six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by subdividing the financial investment into securities business, asset management industry, trust business. Third directions is to transfer the positive system. last thing is the reinforcement of investor protection system up to the level of advanced nations by complementing the part. About banking in addition, while improving on credit management and striving for utmost efficiency, diversification of investment returns through strengthening on new product development, expansion of investment banks, so forth should be a never-ending effort. About investment insurance, focusing on investment function and strengthening of profitability of products was suitable for consumers needs. Lastly, market participants and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purport of Capital Market Integration Act.

      • SCOPUSKCI등재

        Membrane Cell Recycle Fermentor에 의한 에탄올 연속 발효

        김태석,이석훈,손석민,권윤중,변유량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1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19 No.4

        에탄올의 발효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발효조의 균체농도를 높여 고농도 배양을 해야하며 또한 에탄올에 의한 저해 작용을 감소시켜 비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발효액 중에 축적되는 에탄올을 배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hollow fiber membrane, ceramic filter를 이용하여 가장 중요한 조작 변수인 희석율과 bleed stream ratio가 에탄올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및 조작상의 문제점과 장기 조업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알코올 발효능이 우수한 균주를 선정하여 회분 배양 및 연속배양을 통하여 기본적 kinetic data를 얻은 결과 사용 균주의 최대 비증식 속도는 0.54h^-1, 에탄올 수율 Y_(p/s)=0.47, Y_(x/s)=0.15, K_s=15㎎/l였다. 회분 배양에서는 평균 에탄올 생산성은 3.2g/l였으며, 연속배양에서는 공급 배지 중의 글루코오스 농도 20g/l일 때, 최대 생산성 3.6g/l·h, 100g/l일 때는 7.2g/l·h였다. 희석율을 0.5∼1.25h^-1, bleed stream ratio를 0.02∼0.2 범위로 변화시킨 결과 희석율 1.25h^-1, bleed stream ratio 0.05에서 100% 글루코오스 전환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때 배양액 중 에탄올 농도 46g/l, 최대 에탄올 생산성은 57g/l·h였다. 초기 글루코오스 농도 100g/l의 배지를 사용하여 bleed stream ratio를 0.05로 고정시켜 놓고 희석율을 최대한 높인 결과 막 여과 능력과 조업 조건상 희석율 3.0h^-1까지 균체 순환 연속배양이 가능하였으며 희석율 2.5h^-1에서 최대 에탄올 생산성 95g/l·h를 얻었다. 최대 에탄올 생산성일 때 균체농도는 135g/l, 배양액 중 에탄올 농도는 35g/l, 기질 전환율은 100%였다. D=3.0h^-1일 때 균체농도는 159g/l로 증가하였으나 에탄올 생산성은 오히려 약간 저하된 93g/l·h였다. 균체농도를 100g/l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공급 배지중 글루코오스 농도를 200g/l와 300g/l로 증가시킨 결과 에탄올 생산성과 발효액중의 에탄올 농도는 희석률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글루코오스 농도 200g/l의 경우 D=2.5h^-1에서 에탄올 최대 생산성 88g/l·h를 얻었으며 이 때 배양액 중 에탄올 농도는 35g/l였다. 한편 글루코오스 농도 300g/l인 경우에는 D=2.0h^-1에서 최대 생산성 96g/l·h를 얻었으며 배양액 중 에탄올 농도는 48g/l였다. 그러나 균체농도를 100g/l로 고정하였기 때문에 기질 전환율이 낮았다. 공급 배지중의 글루코오스 농도를 200g/l로, 희석율을 2.5h^-1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균체 순환 연속배양을 하면서 균체농도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에탄올 생산성과 발효액 중 에탄올 농도는 균체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균체농도 155g/l에서 배지중의 에탄올 농도 48g/l, 에탄올 생산성은 최고인 120g/l·h였으며 이때 기질 전환율은 69%였다. 이 최대 생산성은 회분 배양에 비해 38배, 단순 연속배양의 17배에 해당하는 값이었다. Ethanol fermentation of glucose by a strai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was studied in membrane recycle bioreactor, where the fermentation vessel was coupled with cross flow hollow fiber membrane. The cell recycle system controlled backflushing with fresh medium was proven to be effective in alleviating membrane fouling and allowing long term operation of high-cell continuous fermentation. Using 100g/l initial glucose concentration, the maximum productivity of about 95g/l·h has been achieved at dilution rate 2.5h^-1 and bleed stream ratio 0.05 with the corresponding ethanol concentration of 35g/l and glucose conversion of 100%. Increasing the glucose concentration to 200g/l resulted in an increase in ethanol concentration to 48g/l and productivity to 120g/l·h. Substrate conversion, however, was only 69%. This productivity was the highest value in the study, and about 38 fold more than that of batch culture and 17 fold more that of single stage continuous culture without cell recycling. No further increase in the productivity was obtained when the glucos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o9 300g/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