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CE사업 평가의 정치학

        김병주 한국교육정치학회 2015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

        그동안 우리나라 대학교육은 양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질적 수준은 높지 않다는 지적을 많이 받아 왔다(김병주 외, 2014). 연구경쟁력은 세계적 수준에 근접하고 있지만, 학부교육의 질은 떨 어지고, 기업들은 대학교육의 현장 적합도가 미흡하고 신규직원의 재교육 부담이 크다고 지적한 다. 주요 기업들의 신입직원에 대한 직업능력 만족도는 72점, 신입사원이 평가한 대학교육의 산 업현장 적용도는 48점에 불과하다(경영계, 2009). 국내 기업 인사담당자는 신입사원이 `인성, 도덕성, 창의성, 의사소통력, 리더십도 부족하다”고 지적한다(채창균, 옥준필, 2006).

      • KCI등재

        『포쇄일기』를 통해 본 읍치의 풍경

        김병주 한국동양예술학회 2017 동양예술 Vol.35 No.-

        『포쇄일기(曝?日記)』는 1871년에 박정양(朴定陽)이 쓴 한글 기행가사(紀行歌辭)이다. 이 때 박정양은 약 40여 일에 걸쳐 총 31개소의 읍치를 방문하였다. 『포쇄일기』에는 박정양이 이동 중에 머물렀던 숙소를 비롯하여, 읍치 바깥에서 안으로 들어가는 과정, 읍치 안에서 공간을 이용하는 방법과 절차 등의 다양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박정양이 보았던 읍치의 풍경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읍치의 “안온(安穩)”한 풍경이다. 박정양은 산으로 둘러싸인 읍치에서 “병풍”과 같이 “장포”되는 “안온”한 풍경을 보았다. 그런데, 읍치 안팎을 연결하는 길가, 바깥으로 물이 흘러나가는 수구는 안온한 읍치에 열림을 요구할 수밖에 없다. 이런 곳에서는 안온함을 보완하기 위한 인공 숲, 즉 “수(藪)”, “수구막이”를 확인할 수 있다. “대로(大路)”라고 불린 간선도로는 읍치 안을 관통하지 않고 바깥으로 우회하였다. 성곽이 있는 경우에는 읍치 사방에 문을 두었지만, 한 곳의 “정문”을 설정하여 드나듦을 의식적으로 제한하였다. 이는 모두 읍치의 안온함과 관계되는 내용들이다. 다음으로, “인걸지령(人傑地靈)”의 풍경이다. 좋은 조건을 갖춘 터에 잘 포진한 읍치에는 “명기(明氣)”가 가득 차 있다고 했다. 박정양에게 터와 인간은 기(氣)와 길흉(吉凶)의 관계로 맺어지는 일체로 여겨졌다. 속리산 거북바위, 피장(皮匠) 남매의 산화(山禍) 이야기 등에서 이러한 인걸지령의 풍경을 더 구체적으로 엿볼 수 있다. 특정한 시대와 장소에 속하는 사람들에게는 집단적으로 공유하는 환경의 인식과 경험의 방법, 사물을 받아들이는 공통의 기반이 있다. 본 연구는 『포쇄일기』 속에 담겨 있는 그 공통 기반의 일단(一端)을 와쓰지 테쓰로(和汁哲郞)의 풍토론, 오귀스탱 베르크(A. Berque)의 풍경론을 단서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드러난 읍치의 안온한 풍경, 인걸지령의 풍경은 아늑함과 따뜻함, 그리고 신체와 일치된 공간을 추구하는 “둥지의 속성”을 갖고 있다. 이는 곧 “둘러싸인 장소”, “아늑하게 보호된 곳”에 다름 아니며, 풍수의 지형 구도에 엿보이는 “안주의 원리”는 이와 같은 인간의 근원적 풍경을 이루는 심리적 근거로 해석할 수 있다. 『曝?日記』は1871年朴定陽が書いたハングル紀行歌辭である。朴定陽は約40日にわたって總31個所の邑治を訪問した。『曝?日記』には朴定陽が移動中に泊まった宿所をはじめ、邑治の外から中へ入る過程、邑治の中で空間を利用する方法などの樣?な內容が記されている。朴定陽が見た邑治の風景を要約すると次のようである。 まず、「安穩」の風景である。朴定陽は山に圍まれた邑治で「屛風」のように「藏包」されている「安穩」の風景を見ている。ところで、邑治の內外を結ぶ道端、外へ水が流れていく水口は安穩な邑治に開きを要求する。このようなところでは、安穩を補うための人工の森、つまり「藪」「水口マギ」を見ることができる。「大路」と呼ばれていた幹線道路は、邑治の中を貫通せず、外を迂回している。城郭がある場合は、邑治の四面に城門を設けたが、一つの正門を設定して出入りを制限した。これらはすべて邑治の安穩とかかわる內容である。 次は、「人傑地靈」の風景である。良い條件を備えている場所に布陣した邑治には「明氣」が溢れている。朴定陽において場所と人とは、吉凶の關係で結ばれている一體と思われていた。俗離山の龜岩や皮匠兄妹の山禍の話などからは、これらの人傑地靈の風景をより具體的に伺うことができる。 特定の時代と場所に屬する人?には、集團的に共有される環境の認識や經驗の方法、すなわち事物を受け入れる共通の基盤がある。本硏究は『曝?日記』の中に含まれているその共通基盤の一端を、和汁哲郞の風土論、オギュスタンㆍベルクの風景論を手がかりとして解明しようとした。これにより明らかになった安穩の風景、人傑地靈の風景は、小こぢんまりとした暖かさ、身體と一體となる空間を求める「巢」の屬性を持っている。これは「圍まれた場所」「庇護されたところ」を意味しており、風水的地形の構圖に伺える「安住の原理」は、このような根源的風景の心理的根據となっている。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교육연극 전공 석사학위과정 운영체계 및 교육과정 고찰: 뉴욕의 3개 대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김병주 한국교육연극학회 2019 교육연극학 Vol.11 No.2

        Despite the continuing growth of educational drama/theatre, there lack proper academic degree programs or research that call for such needs in Korea in the past decade. The study stems from the awareness of this problem and aims to provide some case analyses that could become a platform for further research.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s the curriculum and operation of Master’s programs in educational drama/theatre in Korea, includ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which is the first and largest Master’s program in educational drama/theatre in Korea. The study then look into three different Master’s programs in New York city as case study. The analyzed programs are: Educational Theatre at New York University; Educational Theatre at City College of New York, City University of New York; and Applied Theatre at School of Professional Studies, City University of New York. Focusing on analyzing the graduate curriculum and the operational system, the study discusses the following findings in installing and operating such programs: first, establishment of signatur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second, continued effort in curriculum improvement; third, a shared point of view between the program and the university; fourth, the importance of securing a full-time faculty with expertise and leadership; and finally, building a collaborative network of educational drama/theatre community. The study hopes for a more in-depth, concrete studies to follow and new installation and expansion of academic degree program in educational drama/theatre be abundant in Korea. 본 연구는 그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확산되어온 교육연극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교육연 극의 학문적 연구와 전문적 실천을 수행할 전문인력을 양성해낼 학위과정이 여전히 미비하고, 이를 위 한 기초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교육연극 전공학위과정이 개설, 운영되고 있는 서울교대 석사과정을 중심으로 국내의 관련 석사과정의 운영 현황과 교육과정을 점검하 였다. 이어서 우리의 현실과 비교적 유사한 입지 및 여건을 지닌 뉴욕의 3개 대학 석사학위과정을 사례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3개 대학을 직접 방문하여 운영 및 교육과정의 특성과 차별성을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에 기반하여 저마다 다른 맥락과 목표, 비전하에 설립되고 운영되고 있는 뉴욕의 대학들에서 발견된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연극이라는 특수한 학문의 석사학위과정의 설립과 교육 과정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성과 차별성에 기반한 학과 고유의 독자적 특성의 확보; 둘째, 지속적인 교육과정 점검과 개선을 통해 ‘살아있는’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노력, 셋째, 교육연극 학위과정에 대한 학과와 대학의 이해 및 관점의 공유; 넷째, 전문성과 리더십을 갖춘 전임교원 의 확보 및 확충의 중요성; 다섯째, 교육연극의 가치를 공유하는 다양한 전문가들의 동반자적 네트워크 구축과 협력 등이다. 본 연구가 보다 심도있고 구체적인 후속연구와 논의를 촉발하는 기폭제가 되어 향 후 더 전문적이고 다양한 교육연극 전공학위과정의 신설과 확산으로 이어지길 기원한다.

      • KCI등재

        삼각지붕 가형 건축에 관한 연구

        김병주 한국동양예술학회 2019 동양예술 Vol.45 No.-

        본 연구는 삼각지붕 가형(家型) 건축을 대상으로, 모더니즘 건축의 수용에서부터 현재까지 그 흐름을 단계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오늘날 유행처럼 널리 퍼지고 있는 삼각지붕 건축의 특징과 의미를 해명한 것이다. 모더니즘 건축은, 기능주의라는 인류 보편의 공통 디자인을 표방하며 세계로 확산되었다. 모더니즘 건축의 플랫한 평지붕은 근대적 세계관의 건축적 표현이었다. 비서구 문화권에서는 이러한 건축을 외래(外來)의 것으로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이때 동아시아 각국에서는 철근콘크리트의 축부에 기와지붕을 올리는 소위 “제관양식(帝冠樣式)” 건축이 등장했다. 제관양식은 근대와 전통의 단순한 합체가 아니라, 내셔널리즘이나 국수주의 등의 이데올로기가 반영된 건축이었다. 이후 모더니즘 건축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에 따라, 지붕 표현은 완만한 경사를 갖는 형태로 약화되었고, 정체성 문제는 전통적 공간과 생활방식을 담아내는 일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모더니즘 건축에서 잘려나간 삼각지붕의 복권은 1960년대 로버트 벤투리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는 모더니즘 건축의 획일성을 비판하면서 집의 “기호(sign)”로서 삼각지붕을 다시 도입했다. 벤투리는 건축 형태가 갖는 의미와 상징성에 주목했고, 삼각지붕은 그의 건축에서 중요한 형태적 어휘로 활용되었다. 삼각지붕은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에서 인간이 거주하는 장소의 아이콘이자 집의 원형으로 새롭게 발견되었으며, 이러한 자각을 통해 건축가의 의지를 담은 표현으로 적극 활용되었다. 동시대 삼각지붕 건축은 모더니즘과 전통의 길항(拮抗) 관계에서 비롯되는 이데올로기적 표현이나,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에서 나타나는 집의 기호로서의 활용과는 그 내용이 다르다. 삼각지붕은 추상화되어 있으며, 신체 감각을 통한 공간 체험의 새로운 형식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강하다.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특징의 하나로 “가벼움”이 지적된다. 종종 우리 시대를 “가벼움의 시대”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오늘날의 삼각지붕은 이데올로기나 집의 의미, 상징, 역사성 등의 가치와 분리된 상태에서 “데이터베이스 모델” 세계에 매몰되어 있고, 균질하게 데이터베이스화된 여러 디자인 요소 가운데 하나로 소비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정조의 풍수론과 수원 화성

        김병주 한국동양예술학회 2018 동양예술 Vol.41 No.-

        정조는 풍수에 조예가 깊은 왕이었다. 어린 시절부터 스스로 익힌 풍수 지식을 토대로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을 옮기는 일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였다. 18세기 말에 이루어진 현륭원 천장과 마찬가지로 화성의 영건 역시 정조의 주도로 이루어진 사업이다. 그런데 간선도로와 읍치의 관계, 읍치 내부의 도로 체계, 산줄기와 물줄기와의 관계에서, 화성은 오히려 풍수의 기본적 내용에 부합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삼남대로와 대천은 화성 안을 관통하고 있고, 내부에는 十자형 중심가로가 조성되었다. 주산인 팔달산은 길게 이어지는 용맥을 갖추지 않고 있으며, 닫혀야 하는 수구 또한 크게 열려 있다. 이는 모두 풍수에서 금기시하는 내용들이다. 그런데 이와 동시에 정조는 “과거 명사의 큰 계책을 참고하여”, “의산대계”의 모범에 따라 화성에 안온함을 더하는 대대적인 식수와 조림 사업을 명하고 있다. 간선도로와 물줄기가 읍치 내부를 관통하는 것은 둘러싸임에 의해 형성되는 독립된 소우주를 깨뜨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곳과 저곳의 구별, 즉 장소의 정체성이 관통에 의해 허물어지는 것이다. 화성에서는 이러한 “관통과 열림”이 추구되었다. 그러나 화성에서 정조는 대대적인 식수와 조림을 통해서 “안온과 둘러싸임”을 동시에 모색하고 있다. 화성에서는 “관통과 열림”, “안온과 둘러싸임”의 모순된 가치가 동시에 요구되고 있고, 이 두 가지 서로 다른 가치가 충돌하고 있는 것이다. 화성에서 개방된 입지와 열린 공간구성이 요구되었다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풍수에 토대를 두는 안온한 읍치의 규범은 뿌리 깊은 것이었고, 화성에서도 그렇게 간단히 포기될 수 없었다. 이러한 “관통”과 “안온”의 길항(拮抗), “열림”과 “둘러싸임”의 길항을 통해 18세기의 근대지향적 도시 화성의 존재 형식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길항의 밑바탕에는 “양택의 풍수는 음택의 그것과 달라야 한다”는 정조의 독특한 풍수 논리가 작용하고 있었다. 정조에 의해 풍수의 논리가 18세기 조선의 상황에 맞게 새롭게 해석되고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