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북지방 쌍유관속아속(雙維管束亞屬) 송류(松類)의 유전변이의 연구

        정진,이경래,임경빈 한국임학회 1987 한국산림과학회지 Vol.76 No.3

        全北地方 海岸에 分布하는 群山 및 高敞의 海松集團과 內陸에 分布하는 南原, 任實, 그리고 完州地域의 赤松天然集團을 골라 各集團의 Gene flow 現象을 究明하기 위해서 本 硏究가 遂行되었다. 各集團에서 20株의 個體를 選拔하고 各個體에서 20個의 針葉을 採取하여 針葉의 形態學的 特性을 調査하였다. 1. 主樹脂道數는 各集團이 모두 平均 2個로 나타났으며 그 位置는 海松集團에서는 主로 中位였고 赤松集團은 外位였으나 微弱한 例外가 着取되었다. 2. 副樹脂道數는 海松集團에서는 平均 1個 以下였으며 赤松集團은 1個 以上이었고 完州赤松은 平均치 個로 다른 集團보다 많았으며 그 位置는 主樹脂道처럼 海松集團은 中位였고 赤松集團은 外位로 나타났다. 3. 維管束의 接近度는 海松集團에서는 '中'이 많았고 南原集團은 '中'과 '떨어져 있는 型'이 비슷한 比率로 나타났으며 任實集團은 主로 '떨어져 있는 型'이였고 完州集團은 接近度가 '中'이 많았다. 4. 下表皮層數는 海松集團에서는 二層이고 赤松集團은 一層으로 細胞層數는 可型性이 거의 없는 種的 形質로 認定되었다. 5. 針葉鋸齒密度는 針葉 0.5㎝當 海松集團은 平均 30.6個 以上이고 赤松集團은 平均 25.1∼27.7個로 나타났다. 6. 以上을 綜合할 때 海岸에 分布하는 2個 集團은 거의 純粹하다고 볼 수 있는 海松이였고, 內陸의 3個 集團은 赤松이였으나 사소한 정도의 遺傳子 侵入을 認定할 수 있었다.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고등학교 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

        정진(Jin Chul Jeong),정철영(Chyul Young Jyung) 한국직업교육학회 1999 職業 敎育 硏究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rceptions of the high school teachers regarding key competencies needed for the workforce.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and surveying subjects about key competencies needed for the workforce by using the questionnaires.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pondents perceived key competencies for the workforce were required to be taught in the high school programs. 2) Key competency-based programs were supported by the respondents. 3) The respondents perceived key competencies for the workforce were included little bit in the present high school programs. 4) The respondents perceived all key competencies presented in this study should be needed, when the students get on the workplace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산마늘의 식품 성분과 수확 후 생리적 특성

        정진(Jin-Cheol Jeong),옥현충(Hyun-Choong Ok),허온숙(On-Sook Hur),김충국(Chung-Guk Kim),김숭열(Sung-Yeol Kim),김원배(Won-Bae Kim) 한국원예학회 2005 원예과학기술지 Vol.23 No.2

        본 연구는 야생 산마늘(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의 식품적 가치와 수확후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여 기능성 채소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식품적 가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원산지(오대산 및 울릉도), 생육단계(유엽, 중간엽 및 노엽) 및 부위(엽병으로부터 상부, 중부 및 하부)별 비타민 C 함량과 매운맛 성분을 나타내는 pyruvic acid의 함량을 분석하였고, 수확 후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호흡률 및 에틸렌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무처리 및 PE 필름 처리구 각각을 실온(20℃)와 저온(4℃)에 저장하여 수확 후 품질변화 및 증산량과 엽록소 함량 변화양상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산마늘은 평균 약 200㎎/100g FW의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200㎛ol/g FW의 pyruvic acid 함량을 보여 매우 높아 뛰어난 식품적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호흡률이 비교적 낮았고 에틸렌 발생도 매우 낮아 수확 후 생리적으로 안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저장 중 비타민 C와 pyruvic acid의 함량이 감소되는 현상, 그리고 수분손실에 의한 무게 감량과 황화를 유발하는 엽록소 함량 감소 등이 단순한 PE 필름 포장과 저온저장 만으로도 30일 이상 효과적으로 지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산마늘은 금후 식품적 가치가 우수한 채소작물로 개발할 가치가 매우 큰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ood value and postharvest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garlic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classified as wild functional vegetable groups. For the food value, contents of ascorbic acid and pyruvic acid in leaves were determined at two different origins, three growth stages, and three leaf parts. Their mean contents were evaluated as about 200 ㎎/100 g F.W. for ascorbic acid and about 100 ㎛ol/g F.W. for pyruvic acid, and were estimated to higher as compared with other leaf vegetables. As results of determining of the postharvest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garlic, it was found that respiration rate was very stable and the production of ethylene was very small during 24 hours after harvest. Additionally, food value such as contents of ascorbic acid and pyruvic acid was well maintained, and transpiration and chlorophyll degradation were also restricted over 30 days during storage with treatments of PE film packaging and low temperature.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ild garlic could be a very useful functional vegetable crop in Korea.

      • KCI등재

        소형 IF 발룬이 내장된 MMIC 이중 평형 저항성 혼합기

        정진(Jin-Cheol Jeong),염인복(In-Bok Yom),염경환(Kyung-Whan Yeom) 한국전자파학회 2008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9 No.12

        본 논문에서는 0.5 ㎛ p-HEMT 공정을 이용한 MMIC 이중 평형 저항성 혼합기를 개발하였다. 본 혼합기에는 LO, RF, IF 등의 3개의 발룬이 포함된다. 8~20 ㎓ 범위에서 동작하는 LO와 RF 발룬은 Marchand 발룬으로 구현하였다. 칩 크기를 줄이기 위해 구부려진 다중 결합 선로를 이용하였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모드 위상 속도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인덕터 선로를 삽입하였다. IF 발룬은 DC 결합 차동 증폭기로 구현하였다. 0.3×0.5 ㎟ 크기를 가진 IF 발룬의 측정 결과, DC에서 7 ㎓ 주파수 범위에서 크기와 위상의 오차가 각각 1 ㏈와 5° 이내의 결과를 보였다. 개발된 1.7×1.8 ㎟ 크기의 이중 평형 저항성 혼합기의 측정 결과, 동작 주파수 범위에서 16 ㏈m LO 입력 전력에 대해 삽입 손실이 5~11 ㏈이고, 출력 OIP3가 10~15 ㏈m인 결과를 보였다. This paper presents a wideband doubly balanced resistive mixer fabricated using 0.5 ㎛ GaAs p-HEMT process. Three baluns are employed in the mixer. LO and RF baluns operating over an 8 to 20 ㎓ range were implemented with Marchand baluns. In order to reduce chip size, the Marchand baluns were realized by the meandering multicoupled line and inductor lines were inserted to compensate for the meandering effect. IF balun was implemented through a DC-coupled differential amplifier. The size of IF balun is 0.3×0.5 ㎟ and the measured amplitude and phase unbalances were less than 1 ㏈ and 5°, respectively from DC to 7 ㎓. The mixer is 1.7×1.8 ㎟ in size, has a conversion loss of 5 to 11 ㏈, and an output third order intercept(OIP3) of +10 to +15 ㏈m at 16 ㏈m LO power for the operating bandwidth.

      • KCI등재

        다중 폴 저역 통과 여파기가 내장된 K-대역 LTCC 주파수 상향 변환기

        정진(Jin-Cheol Jeong),염인복(In-Bok Yom),염경환(Kyung-Whan Yeom) 한국전자파학회 2008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9 No.6

        본 논문에서는 위성 탑재 부품의 중요한 요구 특성 중의 하나인 부품의 소형화를 위해 LTCC를 이용하여 Ka-대역 OBS 위성 중계기용 주파수 상향 변환기를 개발하였다. 주파수 상향 변환기 내에 적층으로 S-대역 저역통과 여파기와 K-대역 대역 통과 여파기를 배치하였으며, 주파수 상향 변환 MMIC 혼합기를 조립하였다. S-대역저역 통과 여파기 설계에서는 수정된 엘립틱(Elliptic) 저역 통과 여파기 구조를 이용하여 임의의 주파수에 폴을 형성함으로써 임의의 스퓨리어스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K-대역 대역 통과 여파기의 경우, 층간 커플링을 이용한 구조를 채택하였다. 주파수 상향 변환 혼합기에는 MMIC 이중 평형 다이오드 혼합기를 사용하였다. 제작된 LTCC 주파수 상향 변환기의 삽입 손실은 9 ㏈, 격리도는 51 ㏈c이며, 크기는 8×7×0.6 ㎣로 기 개발된 Ka-대역 OBS 위성 중계기용 주파수 상향 변환기에 비해 1/3 크기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었다. This paper presents a low temperature co-fire ceramics(LTCC) Upconverter for a Ka-band OBS satellite transponder in order for size reduc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 for satellite components. A S-band low-pass filter(LPF), a K-band band-pass filter(BPF), and an upconverting MMIC mixer are embedded in the multi-layer structure of the upconverter. All spurious can be selectively rejected by employing a modified Elliptic low pass filter with a multi-pole structure for the S-band LPF. Also an improved performance of out-of-band rejection can be obtained. At the K-band BPF design a layer coupled configuration is employed. The upconverting mixer is an MMIC diode mixer with a double-balanced configuration. Conversion loss and isolation of the upconverter are 9 ㏈ and 51 ㏈c, respectively. The size of the LTCC upconverter is only 8×7×0.6 ㎣ which is one-third for the thin-film based upconver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