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계 서간의 문집으로의 정착과정

        석태(Jung, Suk-tae) 대동한문학회 2012 大東漢文學 Vol.36 No.-

        퇴계 이황 서간은 원래 보낸 서간을 그 내용을 고려해서 일정하게 산거하는, 다시 말하면 전편을 제외하거나 아니면 서간 내용 중의 일부를 산거하는 과정을 거쳐서 그의 문집에 실리게 되었다. 그 산거의 과정에서 특히 중시된 것은 내용의 중요도뿐만 아니라, 문집에 수록되는 다른 서간 내용과의 중첩 여부, 그리고 해당 인물과 주고받은 서간 내에서의 일관성 여부 등이었다. 그래서 『퇴계집』이라는 하나의 문집을 접하는 일반 독자들이 서간을 주고받는 두 사람 사이의 사적인 대화, 곧 사신이 아닌 공적인 성격을 가진 ‘글’로 읽을 수 있게 해놓고 있다. 이와 함께 퇴계 이황 서간의 문집으로의 정착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퇴계집』 서권에 수록된 인물들의 편차 문제라고 할 수 있겠다. 『퇴계집』의 경우 그것을 편찬할 때 편집자들이 준용한 『주자대전』의 경우와 달리, 서간을 그것을 받은 인물별로 일차 분류해서 편집 해놓았다. 특히 그중에서 ‘지구’와 ‘문인’에 해당하는 인물들의 경우는 연치가 아닌 학문적인 문제 등 다른 기준에 따라 순서를 정해서 편집해놓았다는 점이다. 그러나 그 기준이 무엇이었는지 현재로서는 명확하지 않다. 이 글에서는 월천 조목의 경우 하나를 들어 그 문제 일단을 밝혀보았지만, 해당인물들의 편집 순서와 관련해서 ‘지구’와 ‘문인’ 전체에 적용된 기준이 과연 무엇인지 밝혀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Mungip, a collection of poetry and prose of classical writers, don’t gather his all works. It gathers critical works and deserts remainder. It expurgates unnecessary parts in sellected works, too. This study treats this side of mungip. The central subject is a sellection of letters in Toegye-gip. The central point of expurgation is, needless to say, the importance of contents of letters. But a overlapping between letters and a consistency of letter and receiver is critical point, too. As a result of this process of sellection, readers regard the part of letters in Toegye-gip as a sellection of not private but public ‘letters’. The important point of the precess of sellection is the order between writers in the part of letters in Toegye-gip. Toegye-gip is guided Juja-daejon’ sellection. But the part of letters groups and edits in the order of receivers. Specially, the part of companion and disciple in the part of letters is classiffied not age but other criterions. For example, the subject of philosophy and et cetera. But the criterions is not clear at this time. This study treats the criterions of sellection of letters. But It is limited in the letters of Wolchon Cho-mok. The geneal criterions of the part of companion and disciple of letters in Toegye-gip is the next problem of this study.

      • KCI등재

        『退溪集』의 體裁와 그 意味

        鄭錫胎(Jung Suk-Tae) 한국동양철학회 2009 동양철학 Vol.0 No.33

        『退溪集』은 우리나라 古文集의 표본이 된 문집이다. 이『退溪集』은 그 이전까지의 문집과는 달리 書簡이 중심이 된 문집이다. 『退溪集』 이전까지의 문집에서 書簡은 散文의 한 종류로, 작품성이 높은 일부 것들만 수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退溪集』에서는 書簡이 양적으로 문집 전체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적으로도 비중 있는 것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書簡의 비중이 크게 높아지면서, 『退溪集』에서는 그것을 對方人物을 기준으로 ‘時賢.知舊.門人.家人’의 네 부류로 분류해서 편집하였다. 時賢은 당시의 名士들이며, 知舊는 실제 벗을 포함한 친분을 갖고 교류한 인물들이며, 門人은 당시 退溪學團을 형성한 제자들이며, 家人은 집안사람들이다. 이 네 부류에는 退溪가 활동하던 당대의 주요인물들이 대부분 망라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에게 보낸 書簡 내용에는 학문적인 것에서부터 정치ㆍ사회ㆍ문화 전반에 걸친 그 시대의 주요한 관심사가 대부분 망라되어 있다. 한 마디로 退溪는 書簡을 매개로 당대 조선의 전 지성계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정치.사회.문화.학술 전반에 걸친 주요 관심사를 화두로 소통한 것이다. 이와 같은 측면을 전면에 부각시켜 편집된 문집, 다시 말하면 書簡이 중심이 된 문집은 작품과 그 창작활동이 중심이 된 전래의 문집이 아닌, 인간과 인간관계가 중심이 된 문집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退溪集』의 경우, 書簡의 경우에만 書簡 왕래가 있는 인물들과 그들과의 관계가 중심이 되어있는 것이 아니다. 다른 詩文 작품에서도 그들과의 관계가 중심이 되어 있다. 『退溪集』이 간행된 이후 그 체재를 따른 우리나라 古文集에서는 이러한 면이 더욱 두드러진다. 조선후기에 이르면, 문집이 그 문집의 저자와 그 저자를 중심으로 복잡하게 얽힌 채 역동적으로 움직여가는 인간관계의 망을 보여주는 하나의 작품으로 읽히는 경우도 흔하게 발견하게 된다. 우리나라 고문집의 상황이 이와 같다면, 앞으로 古文集을 읽을 때 그와 같은 측면에 특히 초점을 맞추어서 읽어야 할 것이다. 『T'oegye Work Collection』 is a literary collection mainly consisting of letters. The literary collections prior to 『T'oegye Work Collection』 generally treated letters as a kind of prose and included those with high literary values. But the letters not only account quantitatively for two thirds of the entire 『T'oegye Work Collection』, but the vast majority of them are qualitatively outstanding. Likewise, as the letters outweighed the other forms of literary works in 『T'oegye Work Collection』, it compiled them on the basis of who received his letters by dividing them into the four categories of ‘sages, close acquaintances, pupils, and family members.’ Sages were celebrated individuals at that time; close acquaintances were those with whom T'oegye had a friendly contact, including his friends; pupils were those who had been taught by T'oegye and formed the T'oegye academic circle; and family members were literally his family members. Most of the influential figures at a time when T'oegye was actively engaged in social activities were contained in the four categories. And the letters which T'oegye sent them dealt with almost all the significant concerns at that time as to the whole aspect of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not to speak of academic issues. In short, T'oegy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ntire intelligent community of then Chosun by using letters as a medium and communicating with them by treating major concerns as prime topics regarding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academy. His work collection, which was compiled with those aspects emerging at the front, has no choice but to be described as a collec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human beings, not a traditional collection focusing on works and creative activities. In particular, in case of 『T'oegye Work Collection』, his relationship with those who got in touch with him was handled as a supreme matter not only in the field of letters but in the fields of other poetry and prose works. After the publication of 『T'oegye Work Collection』, the ancient work collections in Korea, following its system, became more famous for those characteristics. In the latter part of the Chosun Dynasty, it is frequently found that a work collection was read as a kind of work to show the complicated and entangled human network, which was dynamically moving ahead while focusing on its author. If it is all about what Korea’s ancient work collections genuinely are, we have to read them, giving special focus on every aspect as soon as when we start doing so from now on.

      • KCI등재

        자료의 집성과 정리 작업의 필요성

        석태(Jung, Suk-Tae)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2 동양한문학연구 Vol.35 No.-

        퇴계 이황의 연보와 문집은 시대의 변천에 따라 그 시대 독자들의 요구에 부응해서 계속적으로 증보작업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현재의 퇴계 이황의 집성연보 편성 작업이나 그의 정본 편찬 작업은 한편으로는 지난 시대의 작업을 계승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금의 시대적인 요구에 부응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퇴계 이황 관련 자료의 집성과 정리 작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집성연보 편성과 정본 편찬 작업의 결과로 현재 집성연보는 본편의 편성이 이미 이루어져 있고, 정본은 시문편 전체 공정의 70% 정도까지 작업이 진행된 상태이다. 따라서 가까운 시일 안에는 집성연보나 정본의 나머지 작업이 완료되어 그 성과가 학계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계에 봉착한 퇴계 이황 연구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기획 추진한 결과물을 학계에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연구자들이 그것을 적극적으로, 그리고 능률적으로 활용하지 않는다면, 이미 영인 출간되어 있는 여러 퇴계 이황 관련 자료들에다 또 다른 새 자료를 하나 더 더해놓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 사실 목판 본 『퇴계선생문집』이 1958년 『퇴계전서』의 일부로 영인 출간되고, 1980년에는 목판본 『퇴계선생문집』에 실린 작품의 2배 가까운 작품이 수록되어 있고, 또 개개 작품, 특히 서간 개개의 경우에서 산삭된 부분들을 살려놓은 필사본 『퇴계선생전서』(『도산전서』)가 영인 출간되었어도 그 두 본간의 차이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활용한 연구자는 거의 없었다. 대부분은 관성적으로 기존의 자신이 활용하던 한 본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2006년 퇴계 이황의 집성연보 본편인 『퇴계선생연표월일조록』 4권이 완간된 후 6년여가 경과한 지금, 연구자들이 그 책을 활용하는 상황을 지켜보면서 과연 그 책 편성의 원래 의도,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연보가 아닌 퇴계 이황 관련 자료총집으로 읽어낸 사람이 있는지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퇴계 이황의 집성연보인 『퇴계선생연표월일조록』의 편성자인 필자로서는, 그 책을 엮는 과정에 철학 분야와 문학 분야(특히 한시) 연구의 중요한 틀이 퇴계 이황 관련 자료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의 불비로 크게 잘못되어 있음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상당 부분 가구된 사실에 기반을 한 논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퇴계 이황 외의 다른 인물들에 대해서도 집성연보의 편성 작업, 나아가 그 작업을 기반으로 한 정본의 편찬작업을 해나간다면, 우리 고전시대의 역사와 문화 등을 해석해온 기존의 틀이 잘못되어 있음을 확인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한 오류들을 수정하는 작업은 집성연보나 정본을 엮은 당자를 포함한 해당 인물연구자들 공동의 몫이다. 그러므로 자료의 집성과 정리 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자료의 집성과 정리 작업의 결과물인 집성연보나 정본을 적극적으로, 또 능률적으로 활용하는 풍토를 조성하는 일도 필요한 실정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way to compile a biographical sketch and how to organize the collections. The chronological record of Lee Hwang's life and works have been enlarged over the years for two reasons, one from upholding the great tradition, and the other from meeting the requirements of the current times. However, the utility value of these compiled materials is doubtful since the value is itself based on the current scholars' ongoing effort to make a good use of them in the academic field. Since the completion of the four volumes of the Chronological Record of Master Taegye in 2006, the book has not been valued as the compilation of Lee Hwang's works, and has been merely used as a bibliographic sketch. Not many scholars have noticed that the newly added information which had not been compiled in Lee Hwang's anthology. Therefore, to my regret, they have stuck to the old anthology they possessed. The Chronological Record of Master Taegye could have provided a way for academics and researchers to critique and subvert the values of Lee Hwang's thoughts and his times. As the one who complied the Chronological Record of Master Taegye, I regret that the frame to analyze Lee Hwang's literary works was weak, especially poetry and philosophical ideas, and could have been done differently with a better framework. The vigorous use of the Chronological Record of Master Taegye allows scholars to lend pragmatic understanding to Lee Hwang's life and works and offers a structuring function to view his times. Rectifying the fallacies in the past research collection is left for the academics in the field, including myself as a researcher of Lee Hwang's works. Both adding more data to the compilation of the materials and employing an effective way to find values in those collections are needed to enhance the cultural climate of classical works by Lee Hwang, the great scholar and literary man of the nation.

      • KCI등재

        신산서원 관련자료 - 자료해제와 원문표점

        석태(Jung, Suk-tae)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0 동양한문학연구 Vol.55 No.-

        이것은 新山書院 관련자료를 모아서 원문에다 현대식 표점을 하고, 그 자료의 성격과 의의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해제를 붙인 것이다. 신산서원은 曺植(1501∼1572)과 申季誠(1499∼1562)을 並享하는 南冥學派의 중심서원으로 일찍이 사액이 된, 전국적인 영향력을 가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서원이었다. 그러나 인조반정 이후 북인정권의 몰락과 함께 그 성세가 크게 하락하여, 김해 일원 유림들이 출입하는 지방의 한 서원으로 그 명맥을 유지하다가,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고 말았다. 그 뒤 김해지역 유림들이 山海亭을 중건해서 조식을 향사하다가, 최근에야 산해정을 모체로 신산서원을 복원하여 조식과 신계성을 병향하고 있다. 따라서 조선조와 근대에 이르기까지 건물의 유지와 보수, 향사 등 서원의 면모를 유지하는 최소한의 활동 외에 다른 사업을 추진할 여력을 갖기 어려웠다. 당연히 서원의 연혁, 활동, 운영 등 그 역사를 담은 書院誌가 남아 있지 않고, 또 신산서원 관련 고문서 등도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지난 2008년에 「南冥 曺植 遺蹟 小考(Ⅰ)」(이상필, 『대동한문학』29, 대동한문학회)가 발표되어 산해정과 신산서원 연혁에 대한 세밀한 고증작업이 이루어지고, 또 2017년에 『신산서원지』(김경수, 글로벌콘텐츠)가 간행되어 그 연혁, 향사인물, 활동, 운영 등에 대한 많은 자료가 취합되고 번역되어 산해정과 신산서원의 면모가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그리고 그에 의거해서 기존의 자료들을 새롭게 이해하고, 또 새롭게 발굴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여기서는 앞선 두 성과를 토대로 그에 추가해 볼 자료를 소개해 보려고 한다. 먼저 관련자료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해제를 붙인 다음, 이어서 그 자료를 현대식으로 표점을 해서 들어보려고 한다. 들어볼 자료는 新山同話錄 2건, 新山書院立規 1건, 新山書院 堂齋名號 관련자료 2건, 新山書院 參慕錄 1건, 新山書院 祗謁錄 1건의 7건이다. This paper presents a collection of references for Sinsan Confucian Academy by adding punctuation marks to the original text and interpret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said references in a way that can promote understanding. Bestowed the Title Boards from the King from the early period, as it was the central academy of the Nammyeong School that held memorial services for both Jo Sik (1501-1571) and Shin Gye Seong (1499-1562), Sinsan Confucian Academy was one of its kind in the Joseon Dynasty, which spread influence on a national scale. The country’s prosperity, however, diminished considerably with the fall of the Northerners after Injo Coup. Since then, Sinsan Confucian Academy maintained its existence as a local academy with Confucian scholars from the Gimhae area only, but it was ruled out because of the Confucian academy abolition order made by Heungseon Daewongun. Later, Confucian scholars in the Gimhae region rebuilt Sanhaejeong. It was not until recently that Sinsan Confucian Academy was restored with Sanhaejeong as its parent and hosted memorial ceremonies for both Jo Sik and Shin Gye Seong. Therefore, the academy remained functional on a minimum level for such functions as building maintenance and holding memorial services until the Joseon Dynasty and the modern period. Consequently, there has been no remaining record on the Confucian academies that contains their history, activities, and operations, nor any other ancient documents related to Sinsan Confucian Academy. In 2008, when the Ancient Record on Nammyeong Jo Sik I (by Lee Sang Pil, Daedong Chinese Classics No. 29, Daedong Chinese Classics Association) was issued, extensive historical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history of Sanhaejeong and Sinsan Confucian Academy. In 2017, when the Journal on Sinsan Confucian Academy was published (by Kim Gyeong Su, Global Contents), many references were collected and translated, including history, target objects for memorial services, activities, and operations, resulting in unleashing new aspects of the two academies. It also paved the way for reaching a new understanding and discovering the existing materials. This paper will introduce additional references on top of the preceding two achievements. First, it will analyze them in a way that can promote understanding and will add modern punctuation marks in them. A total of seven references will be studied, including two from the History of Sinsan, one from the Legislation of Sinsan Confucian Academy, two references on Sinsan Confucian Academy Dangjaemyeongho, one from Record of Advisor of Sinsan Confucian Academy, and one from Record of Reverence of Sinsan Confucian Academy.

      • KCI등재

        佔畢齋 金宗直에 대한 退溪 李滉의 評價

        鄭錫胎(Jung Suk-Tae)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1 No.-

        “佔畢齋金宗直은 文章을 한 사람이지 道學을 한 사람이 아니다.”라는 退溪李滉의 말은 그가 만년에 자신의 기존 생각을 바꾸어서 점필재 김종직을 평가한 말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 말은 점필재 김종직을 學者가 아닌 文人으로 수정해서 평가한 말로 인식되어, 퇴계 이황 사후에 전개된 이른바 道學의 時代에 점필재 김종직을 우리나라 道學의 歷史에서 그 위상을 대폭 축소시키는 주요한 근거로 활용되었다. 또 지금도 변함없이 점필재 김종직이라는 인물을 평가하는 주요한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관련자료를 실증적으로 검토해보면, 퇴계 이황의 이 말은 점필재 김종직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려는 일부 사람들이 퇴계 이황이 일정하게 제한된 상황속에서 상대, 곧 주로 제자들의 일시적인 물음에 답한 말을 그 자신들의 입장에서 적절하게 潤色한 것, 그렇게 해서 퇴계 이황을 의빙한 것이지, 퇴계이황의 本意와는 상관없는 말임을 알 수 있다. 도리어 퇴계 이황은 일생 동안 변함없이 점필재 김종직을 존경하면서 그가 우리나라 도학의 역사에서 큰 공헌을 한 인물로 높이 평가하는 한편, 그가 주로 거주했던 밀양에 그의 서원을 세우는 데 몹시 적극적이었음을 확인해볼 수 있다. 퇴계 이황의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평가의 晩年定論, 다시 말하면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퇴계 이황의 본의는 그가 1550년 경술년 50세와 1551년 신해년 51세에 처음 짓고 난 다음 만년까지 계속해서 개고했던 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諸人唱酬韻十四首제12수와 和陶集飮酒二十首·其十六두 수의 시에 잘 드러나 있다. “Jeompiljae Kim Jong-Jik was not one who studied neo-Confucianism but one who practiced literature." This is a widely known new perspective on Kim by Toegye Yi Hwang during his later years, which is just opposite to what he had in mind in his earlier years. Interpreted as Toegye's assessment of Kim Jong-Jik as a literary man, not as a scholar, his comment served as a critical justification for substantially diminishing Kim's presence in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that bloomed after the death of Toegye Yi Hwang during the Chosun Dynasty. However, an empirical study on related documents points otherwise. Yi Hwang's remarks were made in a specifically confined situation such as his disciples questioning him about Kim Jong-Jik whom they were inclined to underestimate. Simply put, parties standing against Kim Jong-Jik made their own interpretations of what Yi Hwang said, but these were not exactly the inner thoughts of Yi Hwang about Kim Jong-Jik. Contrary to the perception, Toegye Yi Hwang had deep respect for Jeompiljae Kim Jong-Jik throughout his life and ppreciated him for being the big man behind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during the Chosun Dynasty. Related literatures also indicate how ardent he was about building a memorial hall for him in Milyang where Kim Jong-Jik resided most of his life.

      • KCI등재

        밀양 읍성경관 제영과 십이경의 전개 : 월연대십이경과 금시당십이경을 중심으로

        석태(Jung, Suk-tae)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1 동양한문학연구 Vol.59 No.-

        서울 한강에서 출발한 십이경은 서울이 아닌, 서울 한강이 아닌 밀양의 응천강에서 월연 이태의 월연대십이경에서 금시당 이광진의 금시당십이경을 거치면서 활짝 꽃피운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응천강의 제일 승지 두 곳에 이미 영남루와 월연정이 위치한 그 사이의 좁은 공간에다 금시당을 절묘하게 앉히고, 영남루와 월연정과는 또 다른 독자적인 경관을 열어낸 금시당 이광진의 높은 안목을 통해, 밀양에 터 잡은 여주이씨 일문이 임진왜란 이전까지 향유하던 세련된 문화수준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된다. 서울 한강에서 출발한 십이경은 조선전기 밀양의 응천강에서 이태의 월연대십이경과 이광진의 금시당십이경을 낳고, 조선후기로 가서는 밀양 전역으로 퍼져서 밀양의 낙동강에서는 낙강십이경[남수정십이경] 등을 낳으면서 화려하게 꽃피웠다고 이야기해볼 수 있을 것이다. 조선 최고의 누정문화가 서울, 서울의 한강이 아닌, 서울에서 천 리 멀리 떨어진 밀양, 밀양의 응천강과 낙동강에서 화려하게 꽃피웠다고 이야기해볼 수 있을 것이다. 조선조 밀양 여주이씨 일문의 주도로 한양 도성의 최고 문화수준에 육박해갔을 밀양의 옛 모습을, 아름다웠을 그 옛 모습을 다시 한 번 그려보게 된다. From the Han River in Seoul, the twelve scenery seem to have blossomed not in Seoul but in the Eungcheon River in Miryang, through Woryeon Lee Tae’s the Woryeondae and Geumsidang Lee Kwang Jin’s Geumsidang the twelve scenery. In particular, Geumsidang was placed in the narrow space between Yeongnamnu and Wolyeonjeong in the two most scenic spots of the Eungcheon River. Through Lee Gwang-jin s high-profile view of Geumsi-dang, which opened up another independent view from Yeongnamnu and Wolyeonjeong, Yeo Ju-yi, who founded Miryang, thinks again about the sophisticate.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he Eungcheon River in Miryang twelve scenery gives birth to Lee Tae’s the Woryeondae and Lee Kwang Jin’s Geumsidang the twelve scenery. during the lately Joseon Dynasty, It spread throughout Miryang, giving birth to Nakgang Sibyeong (Namjeong Sipgyeong) in the Nakdonggang River in Miryang. It can be said that they bloomed splendidly. It can be said that Joseon s best pavilion culture blossomed in the Eungcheon River and Nakdong River in Miryang, a thousand miles away from Seoul, not the Han River in Seoul. Under the Yeo Joo-yi of Miryang,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once again depicts the old image of Miryang, which would have reached the highest cultural level of Hanyang City Wall.

      • GUI 기반의 EMPML 저작도구의 설계 및 구현

        석지문(Ji-Moon Seok),이지근(Chi-Gun Lee),이은숙(Eun-Suk Lee),김희숙(Hee-Suk Kim),석태(Seok-Tae Joung),성태(Sung-Tae Jung)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B

        컴퓨터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정보의 프리젠테이션 방법도 다양하게 변화해 가고 있다. 기존의 텍스트와 이미지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에서부터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에게 좀더 효과적으로 정보를 프리젠테이션 할 수 있는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컴퓨터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은 발표자의 사고와 감정 등 인간적인 요소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데에는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좀더 인간 친화적인 프리젠테이션을 위하여 발표자의 감정과 제스처 등을 캐릭터 에이전트를 통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멀티 모달 정보 프리젠테이션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모달 정보 프리젠테이션을 위해 개발된 언어인 EMPML(Extended Multimodal Presentation Markup Language)를 통해서 정보 제공자가 멀티모달 정보를 좀더 쉽게 저작할 수 있고, 저작된 멀티모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GUI 기반의 저작도구를 설계, 구현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