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북 완주군 추동제의 침입외래종 미국가재 정밀 조사 및 국내 가재와 형태적 특징 비교

        정상우,정상우,손상봉,이차영,신이찬,이상규,엄순재,조재익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25 국립공원연구지 Vol.16 No.1

        2022년 11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추동저수지에서 침입외래종 미국가재를 포함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대한 정밀 조사를 수행하였다. 정밀 조사와 함께 미국가재의 영양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전장-체중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연 생태계에서 쉽게 구별할 수있도록 국내 가재와 외래종 가재 2종의 형태적 특징을 제시하였다. 조사 결과, 미국가재는 총 53개체 확인되었으며, 성체 37개체, 유체 15개체로, 1년 중 3월부터 7월까지는 개체수가 증가하였으며, 8월부터 감소하여 10월까지 지속적으로 출현하였다. 10월 이후 수온이 낮아지면서월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체와 유체상태로 모두 월동하는 걸로 확인되었다. 추동저수지 미국가재의 전장-체중 분석결과, W=3L3.5715. 의 양의 상대 성장을 나타내 개체군의 영양상태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3문 4강 11목 25과 39종1,007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수서곤충류가 29종(665개체)로 가장 풍부하였으며, 다음으로 연체동물문 4종(126개체), 연갑강 3종(210개체), 환형동물문 3종(6개체) 순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은 하루살이목의 연못하루살이, 아우점종은 십각목의 줄새우로 확인되었으며, 1년 중5월과 10월 두 번에 걸쳐 종과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이는 미국가재의 출현 시기와 유사한 패턴으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증가와감소가 나타났다. 침입외래종인 미국가재와 마블가재의 형태적 특징과 함께 국내 토종 가재의 형태적 특징으로는 개체군의 크기, 채색, 무늬패턴, 두흉부의 모양과 이마뿔의 형태, 갑각 가운데 양쪽의 융기선 모양의 특징을 제시하여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조사 결과를 통해미국가재의 국내 출현 시기 및 서식지의 특성, 그리고 주요 가재들의 형태적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국내에 침입 번식하고 있는 침입외래종을방제하고, 국내 담수생물 다양성을 보존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 invasive Procambarus clarkii (Girard, 1852), focusing 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Chudong Reservoir from November 2022 to October 2023. The investigation included an analysis of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 of P. clarkii and a comparison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nd native crayfish species. The results revealed 53 individuals of P. clarkii (37 adults and 15 juveniles) from the Chudong reservoir. The population of P. clarkii increased during March-July, followed by a decline during August-October, during which the species continued to appear. Overwintering occurred in both adult and juvenile crayfish near rice fields around the reservoir.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 in- dicated positive allometric growth, expressed as W= 3L3.5715. The investigation collected a total of 39 species of benthic macro- invertebrates (1,007 individuals) belonging to 25 families, 11 orders, 4 classes, and 3 phyla at the study sites. Aquatic insects (29 spp., 665 individuals) was the most species-rich group, followed by Mollusca (3 spp., 126 individuals), Malacostraca (3 spp., 210 individuals), and Annelida (3 spp., 6 individuals). The dominant species was Cloeon dipterum (Linnaeus, 1761) (Ephemeroptera), fol- lowed by the subdominant Palaemon paucidens De Haan, 1884 (Decapoda). Benthic macroinvertebrates exhibited increased abun- dance and species richness in May and October, reflecting seasonal patterns similar to the variations in P. clarkii populations. Morphological comparisons were conducted between the invasive species (P. clarkii and P. virginalis) and the native Korean crayfish (Cambaroides similis). Key characteristics, such as body length, coloration, patterning, carapace, rostrum shape, and the presence of an areola on the carapace, were documented to differentiate the species.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on the seasonal occurrence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P. clarkii in South Korea, as well as the key morphological features of alien and native cray- fish specie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management and control of invasive crayfish species and the conservation of freshwater biodiversity in South Korea.

      • KCI등재

        중·고교 한국 근현대사, 무엇을 언제 가르쳐야 하는가?

        정상우 역사교육연구회 2019 역사교육 Vol.152 No.-

        Academic achievements can be a valid channel in selecting and seeking ways to integrat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education, which is highly controversial. This paper is about the selection of Content elements and Sequence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by quantitatively approaching academic achievements, not in terms of perspective about the past. In order to deliver the past to students in a limited time, education should be centered on issues that are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ast. So, what is the past that scholars consider important? If researchers judge that any event or phenomenon is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past, the event must be studied more frequently, by more researchers. So, in the title of 27,000 research papers o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since 1958, 290 content elements for history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were selected based on nouns and proper nouns that have appeared more than 10 times. Since the modern history of Korea is relatively short, one event is often linked to a number of events. So, in this paper, considering repeatability, I tried to make sequence centering on the connection between 290 selected content elements. Althoug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may differ from the existing content elements and the method of sequence, I hope that the academic and educational circles will help to discuss ways to select content elements and make sequence for the educ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middle and high schools. 연구 대상인 과거인 역사학은 체험을 통한 지식의 생성․전달이 극히 제한적이다. 과거를 그대로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그렇기 때문에 역사를 가르치는 데에는 실험과 같은 방식을 이용할 수 없다. 더군다나 식민통치와 분단을 포함하는 한국의 근현대사는 관점의 차이에서 연유하는 사회적 논쟁이 가장 치열한 부분이기도 하다. 이처럼 경험해 볼 수 없으며, 사회적 논란이 거센 한국 근현대사 교육을 위한 내용 선정과 계열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 학계의 연구 성과는 유효한 통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어떠한 시각에서 과거를 정리했는가가 아니라 무엇을 통해 과거를 (재)구성했는가라는 입장에서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학계의 성과를 양적으로 접근하여 중고등학교에서의 역사교육을 위한 내용 선정과 계열화를 논의해 본 것이다. 제한된 시수 속에서 학생들에게 과거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과거를 이해하는 데에 보다 중요한 사안을 중심으로 교육해야 한다. 그렇다면 학계에서 중요시하는 과거는 무엇일까? 만일 연구자들이 어떠한 사건이나 현상이 과거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하다고 판단한다면 그 사건은 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더 빈번하게 연구될 수밖에 없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1958년 이래 한국 근현대사를 다룬 27,000편의 연구 논문의 제목에서 10회 이상 등장한 명사와 고유명사를 중심으로 중등학교 한국 근현대사 교육을 위한 내용 요소 290개를 선정해 보았다. 한편 150여년에 달하는 한국의 근현대사는 다른 시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음에도 불구하고 1970년대 이래 세 개의 시기로 구분되어 교육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짧다보니 하나의 사건이 여러 가지 사건과 연결되는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에서 구분되는 세 개의 시기 가운데 어느 한 시기를 넘어 2개 이상의 시기에 연결되기도 한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1차적으로 선정된 290개의 내용 요소들을 계속성을 고려하고, 이들 내용 요소들 사이의 연결 관계를 중심으로 구조화하여 계열화를 시도해 보았다. 분석의 결과가 기존의 내용 요소와 계열화 방식과 차이가 있겠지만 중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한국 근현대사 교육을 위한 내용 요소 선정과 계열화 방안을 모색함에 있어 학계와 교육계가 함께 논의해 나아가는 데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 KCI등재
      • KCI등재

        ‘이주아동’의 기본권 보장에 관한 연구

        정상우 한국법제연구원 2008 법제연구 Vol.- No.34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matters of the Fundamental Rights of ‘Immigrant Children’ in Korea. The number of foreigners residing here exceeded one million _ 2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_ for the first time. But this has also brought about an increase in related problems. The government has taken a passive role in immigration control, which has made the situation worse. Immigrant Children in Korea have difficulty in adjusting to Korean society due to cultural differences and language barriers. They also face severe discrimination and are alienated. We recognize that the rights of immigrant children are continuously violated without proper law system and the political will. But immigrant children's rights must be protected more than immigrant workers. And it must be based on the constitutional law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Thus in order to guarantee the rights of migrant children, the laws redefined migrant children as holders of rights. And we claim to legalize the status for all immigrant children and to endow them with the right of permanent residence, family unification and education.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matters of the Fundamental Rights of ‘Immigrant Children’ in Korea. The number of foreigners residing here exceeded one million _ 2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_ for the first time. But this has also brought about an increase in related problems. The government has taken a passive role in immigration control, which has made the situation worse. Immigrant Children in Korea have difficulty in adjusting to Korean society due to cultural differences and language barriers. They also face severe discrimination and are alienated. We recognize that the rights of immigrant children are continuously violated without proper law system and the political will. But immigrant children's rights must be protected more than immigrant workers. And it must be based on the constitutional law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Thus in order to guarantee the rights of migrant children, the laws redefined migrant children as holders of rights. And we claim to legalize the status for all immigrant children and to endow them with the right of permanent residence, family unification and education.

      • 갑상선 종양세포 식별을 위한 염색질 텍스춰의 디지탈 화상해석에 관한 연구

        정상우,이재혁,범은경,김창원,Juhng, Sang-Woo,Lee, Jae-Hyuk,Bum, Eun-Kyung,Kim, Chang-Won 대한세포병리학회 1996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7 No.1

        Chromatin texture, which partly reflects nuclear organization, is evolving as an important parameter indicating cell activation or transformation. In this study, chromatin pattern was evaluated by image analysis of the electron micrographs of follicular and papillary carcinoma cells of the thyroid gland and tested for discrimination of the two neoplasms. Digital grey images were converted from the electron micrographs, nuclear images, excluding nucleolus and intranuclear cytoplasmic inclusions, were obtained by segmentation; grey levels were standardized; and grey level histograms were generated. The histograms in follicular carcinoma showed Gaussian or near-Gaussian distribution and had a single peak, whereas those in papillary carcinoma had two peaks(bimodal), one at the black zone and the other at the white zone. In papillary carcinoma, the peak in the black zone represented an increased amount of heterochromatin particles and that at the white zone represented decreased electron density of euchromatin or nuclear matrix.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nuclei of follicular and papillary carcinoma cells differ in their chromatin pattern and the difference may be due to decondensed chromatin and/or matrix substances.

      • KCI등재

        해외입양동포 친족찾기 지원을 통한 인권 증진

        정상우,이민솔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3

        The studies started with a recognition that a support policy of searching for relatives of overseas adoptees is an important way to promote the adoptees’ human rights. Historically, roughly 200,000 children in Korea have been internationally adopted, and at the same time, their birth parents and the country have avoided responsibility for raising children and not promoted their human rights. These adoptees had grown up experiencing identity confusion, and for them, human right is about searching for relatives including their birth parents and exchanging with Korea. However, in Korea, the protection of the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of biological parents is still a priority, so the human rights of overseas adoptees are not fully guaranteed, and there are many obstacles to finding relatives. In the study, It will seek ways to promote human rights, including finding relatives of overseas adoptees. In order to present concrete measures to institutionalize this, the government will examine the reality and normative grounds of finding relatives of overseas adoption compatriots, analyze the progress and limitations of the policies to support finding relatives, and suggest alternatives. As an alternative, the establishment of the so-called gene bank, human material bank, was seen as an important means. In addition, this intended to propose support policies to enhance the human rights, rights and interests of overseas adoptees to confirm their identity and foster global citizenship.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human rights of overseas adoptees through such search for relatives and support for exchanges with their homeland. 이 연구는 해외입양동포 친족찾기 지원정책을 해외입양동포의 인권을 증진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그 동안 대략 20만 명의 아동이 해외로 입양되었는데, 입양아동의 복지 증진보다는 친생부모와 국가의 양육책임 회피 성격이 강하였다. 해외입양동포들은 정체성의 혼란을 겪으면서 성장하였고, 성장 이후 친생부모를 포함한 친족찾기와 한국과의 교류를 중요한 인권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친생부모의 사생활과 개인정보 보호가 우선시되어 해외입양동포들의 인권이 충분히 보장되지 못하였고 친족찾기 역시 여러 가지 장애 요소들이 많았다. 이 연구에서는 해외입양동포의 친족찾기를 포함한 인권증진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해외입양동포의 친족찾기 현실과 규범적 근거를 살펴보고, 그동안 진행되었던 친족찾기 지원정책의 경과와 한계를 분석한 후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대안으로서 이른바 유전자은행인 인체유래물은행 설립을 중요한 수단으로 보았다. 그 외에 해외입양동포의 권익을 증진함으로써 이들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세계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는 지원정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친족찾기와 모국과의 교류 지원을 통해 해외입양동포의 인권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전력$\cdot$열이용조사(호텔과 스포츠 클럽의 운전실적)

        정상우,수야굉도,Inoue, Uichi,Mizuno, Hiromichi 대한설비공학회 1989 설비저널 Vol.18 No.4

        열병합발전시스템은 엔진 또는 가스터빈구동의 열병합발전설비이며, 전력과 열을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높은 총합열효율이 기대되는 열원시스템이다. 그 경제성은 전력과 열의 수요가 년간을 통해서 안정하게 존재할 것이 필요조건으로 된다. 본보는 일년간의 운전기록을 사용하여 현재 가동하고 있는 시스템의 특성, 전력수요와 열부하의 실태를 분석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해석에 사용된 자료는 시간단위의 계획치, 적산치이며, 데이터입력후의 인산, 통계, 도표 작성등은 전부 전산기시스템으로써 처리하였다.

      • KCI등재

        First Record of Pseudochelonarium japonicum (Coleoptera: Byrrhoidea) in South Korea, with a Mitochondrial COI Sequence

        정상우,임창섭,Hiroyuki Yoshitomi 한국동물분류학회 2025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41 No.2

        The beetle family Chelonariidae contains 11 described species in the Palaearctic region, belonging to two genera (Chelonarium and Psedochelonarium). However, no members of this family have been found in South Korea. We collected a single female specimen of Pseudochelonarium japonicum (Nakane) near a mountain stream in northern South Korea. Illustrations of the habitus with related Japanese species, diagnostic characteristics, and mitochondrial DNA sequence for Pseudochelonarium japonicum are provided.

      • KCI등재

        식민지기 지방사 편찬을 통해 본 지방 구현과 식민주의 역사학의 전개 - 『평안북도사(平安北道史)』(1938)를 중심으로

        정상우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9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whose invasiveness have been highlighted, is simultaneously defined in two factors: One is Japan’s invasion to the continent. The other is the establishment and spread of modern historiography of Japan. In particular, academic organizations which was established by Japan in Joseon such like Keijo Imperial University(京城帝國大學), Society of Joseon History Compilation(朝鮮史編修會) and Cheonggu Association(靑丘學會), submitted their achievements in the 1930s. These, as well as continental invasions, were driving changes in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ts invasiveness and character as modern historiography at the same time. History of North Pyongan Province(『平安北道史』) commissioned and compiled by the North Pyongan Province Office(平安北道廳) to Inaba Iwakichi(稻葉岩吉) in 1938, is a booklet that intersects Japan’s invasion to the continent, History of Manchuria-Joseon(滿鮮史) which is one of the main discourses of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and academic institutions which is necessary for maintenance and spread of modern historiography. History of North Pyongan Province was a history book that summarized the history of North Pyongan Province in relation to the continent, and this historical story was supported by Joseon History compilated by Society of Joseon History Compilation in historical materials. In this sense, it can be seen that as the historical description of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fortifies its attributes as modern historiography, North Pyongan Province has degenerated into a local history that fades without considering the continent. 사관을 중심으로 침략적 속성이 조명되었던 식민주의 역사학은 일본의 대륙침략만이 아니라 근대 역사학의 성립·확산이라는 두 가지 요소에 동시적으로 규정된다. 특히 1930년대, 제국 일본이 조선에 설치한 근대 역사학의 전개에 필요한 학술기구들(경성제국대학, 공문서관으로서 조선사편수회, 청구학회 등의 학회)은 그 성과물들을 본격적으로 제출했다. 대륙침략만이 아니라 이러한 것들 역시 식민주의 역사학의 변화를 추동하는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식민주의 역사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지닌 침략성과 근대 역사학으로서의 성격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1938년 평안북도청에서 이나바 이와키치에게 의뢰하여 편찬한 『평안북도사』는 제국 일본의 대륙침략, 식민주의 역사학의 주요 담론 중 하나인 만선사, 근대 역사학과 그 유지·확산에 필요한 학술기구 등이 교차하는 책자이다. 『평안북도사』를 검토한 결과 이 책자는 평안북도의 역사를 대륙과의 관계 속에서 정리한 역사서였으며, 이러한 역사상은 식민지기 중앙의 역사편찬사업인 『조선사』에 의해 사료적으로 지지되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식민주의 역사학의 역사 서술이 근대 역사학으로서 속성을 더해갈수록 평안북도는 대륙을 고려하지 않으면 그 의미가 퇴색하는 지방의 역사로 전락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북방의 역사가 대륙사의 일부가 된다는 것은 한국사의 왜소화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