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갑상선 종양세포 식별을 위한 염색질 텍스춰의 디지탈 화상해석에 관한 연구

        정상우,이재혁,범은경,김창원,Juhng, Sang-Woo,Lee, Jae-Hyuk,Bum, Eun-Kyung,Kim, Chang-Won 대한세포병리학회 1996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7 No.1

        Chromatin texture, which partly reflects nuclear organization, is evolving as an important parameter indicating cell activation or transformation. In this study, chromatin pattern was evaluated by image analysis of the electron micrographs of follicular and papillary carcinoma cells of the thyroid gland and tested for discrimination of the two neoplasms. Digital grey images were converted from the electron micrographs, nuclear images, excluding nucleolus and intranuclear cytoplasmic inclusions, were obtained by segmentation; grey levels were standardized; and grey level histograms were generated. The histograms in follicular carcinoma showed Gaussian or near-Gaussian distribution and had a single peak, whereas those in papillary carcinoma had two peaks(bimodal), one at the black zone and the other at the white zone. In papillary carcinoma, the peak in the black zone represented an increased amount of heterochromatin particles and that at the white zone represented decreased electron density of euchromatin or nuclear matrix.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nuclei of follicular and papillary carcinoma cells differ in their chromatin pattern and the difference may be due to decondensed chromatin and/or matrix substances.

      • KCI등재

        인권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관계 및 조화 방안 고찰

        정상우,강은영 한국법교육학회 2019 법교육연구 Vol.14 No.3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propose ways of harmonizing human rights education and democratic civic education by considering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develop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Based on this, this study proposed ways to harmo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education and democratic civic education through the redefinition of their relations. Human rights education and democratic civic education are common in the direction of fostering community citizenship, but human rights education is more value-oriented than democratic civil education. In terms of competence, human rights education focuses on fostering human rights and democratic citizenship. In terms of content, human rights education forms a key part of democratic civil education. In order for human rights education and democratic civil education to develop harmoniously, the following matters are needed.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education and democratic civil education is needed to be re-established. Democratic civic education should ban party affiliation and respect plurality, but not be blind. And it should set the limits of democratic values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Since human rights education is a key part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t can serve as an indicator for setting the direction and limit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Second, human rights education needs to be strengthened at the same time by revitalizing democratic civic education. Students can improve their human rights sensitivity while cultivating their citizenship. Human rights education and democratic civil education, as citizens, should aim to foster citizenship by fostering the human rights and improving the human rights quality Third, it is desirable for the government to lay the foundation of education,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rovide financial support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undermine the essence of education, but leave the actual operation of education to schools and civil society. Fourth, human rights education and democratic civil education in schools should be done through a complementary approach in practice. In school education, human rights education needs to be done through the creation of a democratic school culture in everyday life, including life guidance courses, as well as through the democratic participation of students. 이 연구에서는 인권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개념과 발전배경을 고찰하고 인권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관계 재정립을 통해 상호 보완을 통한 조화 방안을제안하고자 하였다. 인권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기본원칙 측면에서 인권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은 공동체의 시민성 함양을 공통으로 지향하지만, 인권교육은 민주시민교육보다 가치지향적이다. 역량 측면에서 인권교육은 인권감수성 함양에, 민주시민교육은 시민성 함양에 각각 주안점을 두고 있다. 내용 측면에서 인권교육은 민주시민교육의 중핵적 요소를 차지하면서 일부를 이루고 있다. 인권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이 조화를 이루며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첫째, 인권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관계재정립이 필요하다. 민주시민교육은 파당성을 금지하고 다원성을 존중하면서도, 맹목적이지 않아야 하고 민주주의적 가치와 인권존중의 한계를 지켜야 한다. 인권교육은 민주시민교육의 핵심적 일부이기 때문에 민주시민교육의 방향과 한계를 설정하는데 지표가 될 수 있다. 둘째,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통해 인권교육도 동시에 강화할 필요가 있다. 시민성의 획득은 인권보장 수준의 제고 과정으로, 인권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은 각각 시민성으로서 인권감수성의 함양, 인권감수성 향상을 위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 셋째, 민주시민교육으로서 인권교육 추진체계에서 정부는 교육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교육의 기반 마련, 교육환경 조성, 재정적 지원을 하되, 교육의 실제적 운영은 학교와 시민사회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학교교육에서 인권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은 실천적으로 상호 보완적인 접근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학교교육에서 인권교육은 학생들의 민주적 참여를 통해 교과수업뿐만 아니라 생활지도 과정을 포함한 일상에서 민주적인 학교문화 조성을 통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교육법적 관점에서

        정상우,강은영 대한교육법학회 2019 敎育 法學 硏究 Vol.31 No.3

        민주시민교육은 민주 국가에서 시행되는 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표이며,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은 헌법상 보장된 교육을 받을 권리의 필수 요소이다. 그러나 법제화 측면에서 민주시민교육 개념은 오랜 논의 끝에도 정립되거나 공식적으로 채택되지 못하였다. 학교교육에서 민주시민교육의 중핵교과인 <사회>교과의 본질이 다소 희미해졌고, 교육과정 고시에서는 범교과교육으로 머물러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법제화 또는 조례의 제정이 요구되어 왔던 것이다. 이 글에서는 민주시민교육 지원 법안 및 조례분석을 통해 민주시민교육의 규범적 의의를 살펴보고, 최근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활성화하려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노력 및 한계를 진단하였다. 이를 통해 민주시민교육이 본연의 목적에 따라 활성화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헌법개정에서 민주시민교육이 명시되고 교육권 조항에서 민주시민 양성을 중시해야 한다. 헌법을 인권과 민주주의의 제도화라고 한다면 이미 헌법은 민주시민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며, 헌법공동체의 구성원인 국민이 인권과 민주주의에 대해 교육받아야 하는 것은 권리이자 의무라고 할 수 있다. 헌법상 민주시민교육을 명시한다면,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규정과의 조화로운 해석이나 적극적인 해석이 가능하고,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입법 및 정책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민주시민교육지원법 제정이 필요하다.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법률로 규정하여 모든 학생이 지역에 따른 차등 없이 안정적으로 민주시민교육의 경험을 제공받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교육자치의 입장에서 중앙정부는 민주시민교육의 기반 마련과 간접적 지원에 치중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셋째, 조례를 통해 학교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민주시민교육은 과정 중심의 교육방법 및 평가 방식을 추구하기에 교원의 역량 강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원 역량 강화는 교사연수를 통한 방식 외에도 연수원이나 교육원 설치를 통한 지원 또한 필요하다. 법률 제정을 통해 지방자치단체 단위로 교육원의 설치 및 지원을 조례로 규정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학교 민주시민교육 과정에 모든 학생이 쉽게 접근하고 동등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학습 소외를 줄이고, 민주적 교실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교사의 역량 강화와 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하겠다. Democratic civic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goal of education in a democratic country. The ability as a democratic citizen i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constitutional right to education. In terms of legislation, however, the concept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or formally adopted in spite of the long argument. The essence of social studies, the core subject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has faded somewhat, and in the curriculum of national level, it remains a crosscurricula education. Legislation or enactment of ordinances have been requir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n this article, we examined the normative significance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laws and ordinances to support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recently considered the efforts and limitation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schools. Thus, it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its original purpose. First, it should be included in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and it should place importance on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 in the provision of education. If the Constitution is revised to specify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a harmonious or active interpretation of the provision of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can be made, and legislative and policy basis can be established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Second, legislation of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Support Act is needed. It is necessary for all students to be provided with the experience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a stable manner, without any regional differences, by stipulating in law wha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education of democratic citizens in schools systematically. However,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central government to focus on laying the foundation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providing indirect support. Third, support for the revitalization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schools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ordinances. In pursuit of a process-oriented education method and evaluation, it is essential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teachers. Reinforcement of teacher capacity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is necessary not only through teacher training, but also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raining centers and educational institutes.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the establishment and support of educational institutions on a local level as an ordinance through legislation. Fourth, it will be necessary to enhance teachers’ competence and improve the curriculum so that all students can easily access and participate in the school’s democratic civic education courses, reduce learning alienation according to stud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create a democratic classroom environment.

      • KCI등재

        낙동강 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 변화와 군집 특성

        정상우,김윤호,이재하,김동건,김민경,김현맥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6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iodiversity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in the Nakdong River with eight weirs, which was constructed as one of the Four Major River Restoration Projects from May to October 2020. The study also includes the analysis of changes in the major group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for about ten years, from 2010 to 2020. The surveys collected 97 speci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belonging to 83 genera, 52 families, 18 orders, five classes, three phyla, and 128.1 individuals/m2. Chironomidae sp. and Tubificidae spp., which are pollutant indicators, dominated throughout the sections. The community analysis result shows the average dominant index and the diversity index of 0.62±0.20 and 1.87±0.63, respectively, and indicated the most stability of the freshwater ecosystem in the upper stream of the Nakdong River. The survey showed dominance by Chironomidae sp. at the center of the Nakdong River weir and the most unstable community in Chilgok and Gangjeong Goryeong weirs. The results of the community stability analysis showed a high distribution of the characteristic group I with high resilience and resistance and small distribution of characteristic group III with low resistance and resilience, indicating a very unstable condition of communities in the Nakdong River weir section. Predators were relatively abundant among the functional feeding groups (FFGs), whereas shredders, gathering- collectors, and filtering-collectors were relatively lower. Among the habitat orientation groups (HOGs), burrowers and climbers were dominant, indicating a wide distribution of groups in ecosystems with low dissolved oxygen. An endangered species level II of Macromia daimoji was found in Sangju and Nakdan weirs. The analysis results for 10 years from 2010 showed that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s increased immediately after the dam construction but plummeted in 2016 and are now stabilizing. Chironomidae spp. has been dominant in all sections over the past 10 years, and they are currently maintained at a rate of about 50%. The EPT groups have decreased significantly since 2011, and the Plecoptera and Trichoptera of the group have not yet been restored. The population of Tubificidae spp. showed an increase after construction was completed in 2012 and drastically increased in 2015 and 2020. The species of Cristaria plicata, designated as endangered species level I, has not been observed since 2011 in Hapcheon Changnyeong weir. Moreover, Macromia daimoji was rarely observed in seven weirs until 2015,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urrent distribution habitat has decreased rapidly. 본 연구는 2020년 5월부터 10월까지 4대강 사업의 하나로 준공된 8개의 낙동강 보 구간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 추동물의 생물다양성 변화와 군집분석을 수행하였으며,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약 10년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주요 분류군에 대한 변화상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3문 5강 18목 52과 83속 97종 128.1개 체/m2가 출현하였으며, 오염지표생물인 깔따구류(Chironomidae sp.)와 실지렁이류(Tubificidae spp.)가 전체적으로 우점하였다. 군집분석결과 우점도지수는 평균 0.62±0.20이고 다양도지수는 1.87±0.63로 낙동강 보 상류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분석되었다. 낙동강 보 중앙부에서는 실지렁이가 우점하였으며, 칠곡보와 강정고령보에서 가장 불안한 군집구조가 나타났다. 군집안정성 분석결과 상대적 회복력과 저항력이 높은 특성군I이 높게 나타났으며, 저항력과 회복력이 낮은 특성군III이 소수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낙동강 보 구간의 군집은 매우 불안한 상태로 분석되었다. 섭식기능군에서는 잡아먹는무리가 비교적 높게 출현하였고, 썰어먹는무리, 모아먹는무리, 걸러먹는무리는 낮게 나타났 다. 서식기능군에서는 굴파는무리와 기어오르는무리가 우세하게 출현하여 대부분 용존산소가 낮은 정수생태계에서 출현하는 기능군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법적보호종으로는 상주보와 낙단보에서 멸종위기야생 생물 II급인 노란잔산잠자리(Macromia daimoji)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과거부터 10년간의 분석결과 종수와 개체수는 댐 공사 직후에는 증가하였지만, 2016년 이후부터 급감하면서 다시 안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으로는 깔따구류가 모든 지점에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약 50% 수준의 비율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PT 그룹은 2011년을 기점으로 대폭 감소하였으며, 이중 강도래목과 날도래목은 회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오염지표생물인 실지렁이류는 2012년 공사 완료 후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2015년과 2020년에 개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으로 지정된 귀이빨대칭이(Cristaria plicata)는 2011년 합천창 녕보에서 출현 후 관찰되지 않았으며,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노란잔산잠자리는 2015년까지 7개의 구간에서 드물게 확인되었으나 현재 분포 서식처가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무형문화재 보호의 기본원칙과 법적 과제

        정상우 한국법제연구원 2009 법제연구 Vol.- No.36

        The legal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the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licy in Korea, that has performed an important role in preserving the traditional culture into modern era. The legal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has gathered special attention internationally and has been received well. But the legal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fronted with many domestic problems and international changes of environmen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improve our legal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e betterment of legal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First, we review the laws related to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econd, we propose some suggestions about the legal principles f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t last, we suggest a new law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