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서비스품질, 전공만족, 취업준비스트레스, 취업준비행동의 영향관계 연구-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명희,이원화 동북아관광학회 2019 동북아관광연구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학과의 교육서비스품질, 전공만족, 취업스트레스, 취업준비행동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위한자료 수집은 대구, 경북지역의 4년제 대학 항공서비스관련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총 230부를 분석에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육서비스품질의 교수요인, 물리적 환경이 전공만족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직원요인은 관계만족을 제외한 전공만족의 모든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전공만족은취업준비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만족의교과만족, 관계만족은 정보탐색활동과 준비계획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보였다. 마지막으로 취업준비스트레스는 취업준비행동 요인 중 준비계획활동에 유의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통하여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교육서비스품질 향상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며학생들이 지각하는 취업준비스트레스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취업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on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s, major satisfaction, job-seeking stress,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Firs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professor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ll 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and staff factors have an impact on all 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except relationship. Second, it has been found that major satisfact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job-seeking stress. Third, the curriculum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the major satisfac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formation search activities and preparation planning activities. Finally, job-seeking stress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reparatory planning activities among the factors for job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this result, we are going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ing education service quality that can lead to th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and analyze the impact of job-seeking stress on job preparation behavior that students perceive as being late and use as basic data for effective job guidance.

      • KCI등재

        감성지능이 의사소통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명희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5

        본 연구에서는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성지능(자기감성이해, 감성활용, 감성조절, 타인감성이해), 의사소통능력(목표간파, 조리성, 집중력, 주장력, 반응력, 자기노출), 자아존중감(가정적 자아존중감, 개인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대구, 경북 소재 4년제 대학 항공서비스 관련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230부의 설문지를 확보하여 SPSS 22.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기감성이해는 집중력에, 감성활용은 조리성과 자기노출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감성조절은 조리성과 주장력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타인감성이해는 조리성, 집중력, 주장력, 반응력에는 정(+)의 영향을, 목표간파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노출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감성이해는 자아존중감의 세 개 하위요인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감성활용은 가정적 자아존중감, 개인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사회적 자아존중감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감성조절은 개인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가정적 자아존중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타인감성이해는 사회적 자아존중감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소통능력의 조리성, 집중력은 자아존중감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반응력은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노출은 개인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목표간파와 주장력은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감성지능을 높이기 위해 상담프로그램 강화와 관련 교양 교과목을 늘이고 인성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즉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과에서 교과목 선정 시 감성지능 향상을 위한 대인관계 훈련 프로그램, 인성 함양 프로그램 등이 교육내용에 포함 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steem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four-year aviation service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to conduct research and verification using the SPSS 22.0 for Windows Statistics program. First, the analysis show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s a partial effect on communication skills. Other sensi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factors except self-exposure and target interception, and others showed a negative effect on target liver wave. Emotional control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ssertiveness and cooking, and a positive influence on self-sensitivity.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has shown partial effects on self-esteem. Self-sensitivity ha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three sub-factors of self-esteem, and emotional utilization ha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ome self-esteem and personal self-esteem. Emotional control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rsonal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Third, communication skills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effect on self-esteem. Responsiveness has shown a negative effect on both the self-respecting sub-factor an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ll factors of self-esteem. Through this study, we have identified the need to strengthen counseling programs, increase related liberal arts courses and strengthen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In other words,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respect, it suggests that interpersonal training programs for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sonality-building programs for selecting subjects in departments need to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조선시대 불화와 의례공간

        정명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5 불교문예연구 Vol.0 No.6

        조선시대 신앙활동에 있어서 불교의식의 비중은 매우 증가하여, 건축, 불 상, 공예 등 불교미술 전반에서 의식문화의 영향이 광범위하게 확인된다. 본 고에서는 불교의례의 성행이 가져온 변화를 불교회화의 측면에서 살펴보았 다. 불화와 의례공간의 관련성은 주불전 내부의 의식과 야외 의식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조망할 수 있다. 예배 공간으로 인식되던 주불전(主佛殿)은 다양한 법회(法會)와 의례가 개 최되는 공간으로 활용되었고, 전각 내부에는 의식 수요에 부응하는 불화가 봉 안되었다. 불보살을 도량[道場]에 청해 공양을 권하는 권공(勸供)과 육도의 중 생을 청하여 음식을 베푸는 시식(施食) 의례는 특정 의식에 한정되지 않고 불 교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수륙재의 성행은 특히 삼단의례(三壇儀禮)라 는 형식을 통해 저변화되었다. 그 결과 주불전 안에 상단(上壇), 중단(中壇), 하단(下壇)의 삼단이 갖추어지고, 각 단을 상징하는 불화가 하나의 기본 조합 을 이루게 된다. 한편 야외 의식용 대형 불화인 괘불(掛佛)이 전국적으로 조성되는 현상은 전각 외부로까지 확장된 의식에서 불화의 쓰임과 기능 확대를 보여준다. 불 화는 의식단의 가설에 따른 수요로 혹은 전각 내부에서 외부로 의식단이 옮 겨짐으로써 이동하였다. 불화를 거는 절차의 핵심은 의식이 진행되는 곳으로 불보살의 강림(降臨)을 청하는 것이다. 불보살의 강림은 도량에 초청하고자 하는 불보살의 명호를 부르는 거불(擧佛) 절차를 통해 상징되었다. 또한 거불 의 대상이 의식용 불화의 주제로 그려짐으로써 구체적으로 시각화되었다. 의 식을 위해 불화를 꺼내 이동하고, 의식을 마치면 다시 원래의 자리에 가져다 두는 일련의 절차는 불보살의 현존을‘도량으로의 강림’이라는 극적인 방식 으로 전달하였다. 이들의 강림을 찬탄하고 도량에 내려온 불보살에게 공양을 올리는 절차는 의식의 신이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조선시대 불교회화는 전각에 봉안되어 불상의 뒤편에 놓여 불전이 상징하 는 불세계를 상징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의식의 성행이라는 신앙의 흐름에서 역동적으로 기능하였다. 전각 외부로 확장되는 의식과 의식을 전담하는 불 화로의 이행을 대표하는 것이 괘불이라면, 감로도(甘露圖)는 의식에 사용되 던 불화가 전각 내부의 불화로 고정되는 현상을 보여준다. 의식의 성행으로 의식 전용 불화가 생겨나는 동시에 특정한 의식에 사용되던 불화가 상설 불 화로 봉안되었다. 조선시대 불교회화는 의식 수요에 부응하는 과정에서 그 주제와 구성에서 다양한 변용을 보이며 전개되었다. 불화가 봉안된 공간과 그 공간에서 이루어졌던 의식 문화를 통해 조선시대 불화의 다각적인 기능 을 이해할 수 있다. In regard to religious activities of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a significant rise of Buddhist rituals, and the influence of ritual culture was widely observed across Buddhist art including architecture, statues, and crafts. This study explores the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prevalence of Buddhist rituals in the Buddhist paintings. The correlation between Buddhist paintings and ritual spaces is surveyed from two aspects-indoor rituals held in the main halls of temples and outdoor rituals. The main hall, which was perceived as a place for worship, was utilized as a space for holding diverse Buddhist services and rituals, and Buddhist paintings were enshrined inside the halls in order to fulfill ritual demands. The ritual of inviting Buddha and bodhisattvas to the temple and making offerings, and the ritual of inviting all sattva in the six paramitas and sharing food wer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ritual but had an influence on overall Buddhist culture. The growing prevalence of Suryukjae (the Water and Land ritual), a ceremony conducted for the salvation of all the souls of the dead on land and sea, occurred through the formality involving the threelevel altar ritual scheme. As a result, a three-level altar comprised of the upper, middle, and lower altar was formed within the main hall, with a Buddhist painting symbolic of each level comprising a single, basic composition. Meanwhile, the phenomenon of the production of large hanging Buddhist paintings for outdoor rites across the nation demonstrates the expansion in the use and function of Buddhist paintings in rites that have extended outside the halls. Buddhist paintings were moved according to demand of the installation of ritual altars or the relocation of the ritual alta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hall. The purpose of hanging Buddhist paintings is in requesting and inviting the advent of Buddha and the bodhisattvas to the place where the ritual is held. The advent of Buddha and bodhisattva was symbolized through the process of calling out the names of deities to be invited to the temple. Moreover, the subject of the name dictation was visualized as it was depicted in paintings for ritual use. The process of taking out and moving paintings for rituals and returning them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fter the rituals represents the “advent of Buddha and bodhisattva to the temple”in a dramatic way. The process of lauding the advent of Buddha and bodhisattva and making offerings to them greatly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mythical power of the rituals.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were enshrined and hung in a hall behind the statue of Buddha, not only symbolizing the Buddhist world but actively utilized in the time when rituals prevailed as well. If large hanging scrolls of Buddhist painting are to represent the expansion of rites outside the hall and special Buddhist paintings used for the outdoor rituals, then gamnodo (nectar ritual paintings) demonstrate the phenomenon of paintings for ritual use being fixed as paintings within the hall. With the prevalence of rituals, there was an emergence of paintings used exclusively for rituals, and simultaneously paintings that were used for particular rituals were enshrined as permanent paintings inside a hall. Buddhist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out the process of meeting the demands of rituals, were diversified in theme and composition. The multilateral function of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Joseon period is understood by examining the space in which the paintings were enshrined and the rituals carried out in the space.

      • KCI등재

        사회적지지가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부모효능감을 중심으로 -

        정명희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8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자녀양육에 있어 긍정적이고 효율적인 양육방식을 택하는데 사회적지지가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결혼이주여성의 양육방식과 사회적지지 간 그리고 부모효능감 간의 매개적인 경로와 인과관계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210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자료에 기초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지지는 자녀양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온정적인 자녀양육은 부모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지지를 받는 결혼이주여성들은 부모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양육에 있어 온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지지가 자녀양육에 긍정적이고 효율적인 양육태도를 보였으며, 자녀의 양육에서 부모효능감이 높게 나타나 자녀와의 상호교류가 잘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저출산 고령화의 한국적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세대 주역이 될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교육과 양육에 관한 정부의 지원책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Result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210 immigrant women perform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survey data, The result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of immigrant women,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hild-rearing.Second, compassionate parenting, parent 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Third ,marriage migrant women receiving social support, parenting parents showed higher efficacy, showed a compassionate attitude. Immigrant women's social support means that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howed a positive and effective parenting attitudes, and child throat-efficacy of parents in the rearing of the children show a higher mean what is the interaction of children and well done. Therefore, it suggested to be the protagonist for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society to solve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degree on parenting and education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need the government's suppor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 취업불안, 취업준비행동의 영향관계 연구

        정명희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2

        In this study, we wanted to understand the impact relationship of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employment anxiet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flight pattern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s. To meet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four-year aviation service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the research theory was verified using the SPSS 22.0 for Windows statistical program. First, the analysis showed that social self-esteem affects all 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Social self-esteem and personal self-esteem are shown to have an effect on recognition satisfaction, while home self-esteem does not affect major satisfaction.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class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s have an environmental concern, while employment anxiety is a personal concern. Third, although none of the 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affected the job consulting activities, curriculum satisfaction showed the impact of information search activity, recognition satisfaction, relationship and curriculum satisfaction on the readiness planning activities among the factors of the job-preparation flight. Finally, employment anxiety has been shown to affect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this study, it is seen that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they should seek ways to increase self-esteem and take educational approach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courses. It also suggests that students should positively manage their anxiety about employment through their major satisfaction, thus promoting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본 연구에서는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 취업불안, 취업준비행동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 경북 지역의 4년제 항공서비스관련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230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SPSS 22.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전공만족의 모든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만족에는 사회적 자아존중감, 개인적 자아존중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적 자아존중감은 전공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도 중 교과만족은 취업불안의 개인적 불안에, 수업만족과 관계만족은 환경적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만족요인 모두 취업상담활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전공만족 중 교과만족은 취업준비행동 요인 중 정보탐색활동에, 인식만족과 관계만족, 교과만족은 준비계획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취업불안은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전공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높일 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교육과정개발과 같은 교육적 접근도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또한 전공만족을 통해 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감을 긍정적으로 관리하여 취업준비행동을 촉진시켜야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1653년 <영수사 영산회 괘불탱>을 중심으로 살펴본 조선시대 야외의식과 괘불

        정명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0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s of gwaebul (large Buddhist hanging scrolls used for outdoor rituals) through a comparison of East Asian Buddhist culture. Set at the altar of an outdoor Buddhist ritual, a gwaebul not only serves as the pivot of the ritual, but provides the main image of the ritual. The first imagery modeled on the preaching Buddha as described in Buddhist scriptures is sandalwood sculpture. The production of such Buddhist sculptures has been considered to produce more merits compared to Buddhist paintings. Gwaebul paintings are significant in that Buddhist paintings that have functioned as aids to explain the Buddhist sculptures serve as the principal image. The paper also focuses on the composition and production background of the gwaebul at Yeongsusa Temple, which was created by the monk-painter Myeongok in 1653. The Yeongsusa gwaebul epically depicts Śākyamuni Buddha preaching in front of a mass of 12,000 people, including Buddhist monks, on the Vulture Peak in Rājgṛha, India, as describ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Lotus Sutra. This painting portraying around 140 figures differs from other gwaebul paintings of later dates which leave out the audience of Buddha’s sermon and simplify the composition. The preaching assembly is illustrated above a disciple Śāriputra, who is depicted larger than other figures, listening to Śākyamuni Buddha’s sermon. Below Śāriputra is the audience clustered into groups. The iconography of Śāriputra originated from an illustration in a woodblock-printed Lotus Sutra. Śāriputra was depicted as a listener with the appearance of a bodhisattva. In other woodblock-printed versions of Lotus Sutra published in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however, he was portrayed as a monk. The Yeongsusa gwaebul is the earliest known Buddhist painting to depict Śāriputra as a monk. In 1658, five years after the production of the Yeongsusa gwaebul, Myeongok created another gwaebul at Cheongnyongsa Temple.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the large Buddhist hanging scrolls of the Vulture Peak Assembly from the seventeenth century by comparing the sketches of the Yeongsusa and Cheongnyongsa gwaebul that share similarities in their preferred designs as well as interactions and depictions of figures. Depending on their commissioners, these paintings can differ in the use of painting tools and gold pigment, which leads to differences in styles. Among the three countries—Korea, China and Japan—in East Asia, only in Korea were exclusively furnished with facilities and required equipment for the production of large Buddhist hanging scrolls for outdoor rituals, and were observed to maintain the protocols and changes of performing rituals. Gwaebul paintings are invaluable treasures of Joseon Buddhism showing its utilization of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of temples from various angles and its cultivation of ritual culture. 본 연구는 영산재 도량 장엄의 핵심인 괘불탱(掛佛幀)의 의미를 동아시아 불교문화의 비교사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야외 의식단에서 괘불은 신앙 의례의 구심점인 동시에 의식의 주존을 상징한다. 경전에서 설하는 부처의 모습을 본 뜬 최초 상은 전단목(旃檀木)으로 조각한 불상이었으며 불상의 조성 공덕은 불화의 경우보다 컸다. 불상을 보조하며 서사적으로 설명하는 기능을 맡아온 불교회화가 주존불을 맡는다는 점은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또한 화승(畫僧) 명옥(明玉)이 그린 1653년 <영수사 영산회괘불탱>의 화면 구성과 제작 배경을 조명했다. 이 불화는 『법화경』 「서품」에 서술된 인도 왕사성(王舍城)의 기사굴산 가운데 큰 비구 대중 1만 2천인과 함께 계신 석가모니불의 설법회상을 서사적으로 재현했다. 17세기 중엽 이후에 조성된 괘불이 청중을 생략해 단순한 구성을 보여주는 점과는 달리 140명에 달하는 등장인물이 출현해 경전에 도해된 설법회상을 장대하게 표현했다. 명옥은 영수사 괘불을 제작한 5년 후에는 <청룡사 괘불탱>(1658년)을 조성했다. 본고에서는 유사한 초본(草本)을 바탕으로 제작되어 인물의 상호와 표현 기법, 선호 문양에 있어서 공유하는 점이 많은 두 작품의 비교를 통해 17세기 영산회 괘불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후원자에 따라 화구, 금니(金泥) 안료 등에 차이가 나며 양식적인 차이로도 연결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동아시아 삼국 중 야외의식을 전담하는 대형 불화와 설비, 의식 설행의 프로토콜과 그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불화의 사례는 없다. 괘불은 사찰의 내외 공간을 다각도로 활용하면서 의례 중심의 문화를 꽃피운 조선시대 불교의 특징을 대표하는 중요한 성보(聖寶)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