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협동적 학교조직 문화형성에 관한 연구 : 특성과 요인 분석

        일환(鄭日煥) 한국정책과학학회 2003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7 No.1

        학교조직문화는 조직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가치, 신념, 기대, 규범, 가정, 행동, 의식, 상징, 의미 체제 및 구조를 말한다. 학교조직문화에 대한 이해는 학교개선을 위한 것으로, 효과적인 유형으로 최근에 많은 연구들은 협동적 학교조직문화를 지향할 것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협동적 학교조직문화의 특성과 요인이 무엇인가를 이론적ㆍ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주요 통계기법으로는 SPSS/PC+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등이 사용되었다. 특히, 협동적 학교조직문화를 측정하기 위해 선별된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협동적 학교조직문화 41문항에 대해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인의 theta(θ) 계수를 측정하여 신뢰도(.95)를 추정하였다. 국내외 관련 선행연구 검토와 관련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교원 733명) 및 심층면담을 통해 규명된 협동적 학교조직문화의 요인으로는 협동적 지도성, 교사협동, 전문성 개발, 목적의 일치성, 동료적 지원, 학습동반자 등의 여섯 가지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에 따르면, 각 변인의 초기 값과 주성분 분석에 의한 각 변인의 공통성은 .414에서 .718정도로 약 41%에서 72%정도 추출된 요인에 의해 협동적 학교조직문화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적ㆍ실증적으로 검증된 협동적 학교조직문화의 여섯 가지 요인은 바람직한 우리나라 초ㆍ중등학교의 문화를 정립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협동적 학교조직문화의 특성과 요인 규명은 향후 우리나라 일선 초ㆍ중등학교에서의 협동적 문화형성 정도를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또한, 학교관련 구성원들의 가치, 행태 및 학교조직운영, 그리고 구성원간의 심층적인 관계를 이해하고, 학교현장 교육활동의 활성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자율적 운영 제고를 위한 학교공동체의 활성화 방안

        일환(鄭日煥) 한국정책과학학회 2005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9 No.2

        본 연구는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실태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공동체적 관점에서 학교조직을 정립, 분석하여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자율성 제고를 위한 학교공동체의 활성화 방안을 탐색ㆍ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궁극적으로 학교관련 구성원들의 공동체 유대와 연계체제를 통하여 농어촌소규모 학교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농어촌 소규모 학교공동체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둘째, 경상북도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현장방문과 심층면담을 활용하여 소규모 초등학교 운영 실태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교공동체의 실제로 학교운영위원회가 농어촌소규모 학교에 도입ㆍ실시된 이후 자율적인 학교운영에 관한 관련집단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목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활용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설문지조사, 심층면담 등이었다. 연구분석 결과를 토대로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자율적 운영제고를 위한 학교공동체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경상북도 일반고의 교육역량 제고를 위한 기본방향과 성공적인 정착방안 탐색

        일환(Chung, Il-Hw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3

        본 연구는 고교 다양화 및 특성화고 육성 정책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고 있는 일반고의 교육역량 강화 필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일반고가 안고 있는 문제점 등을 진단하여 장ㆍ단기적인 관점에서 경상북도의 일반고 육성방안을 다각적으로 마련ㆍ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박근혜정부의 교육정책기조와 경상북도 교육정책 방향, 경북지역 일반고 교육현황,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방안의 주요 내용 등을 살펴보았다. 교육부의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방안에 기초하여 제시된 경상북도 일반고 교육역량 제고의 주요 추진과제로는 (1) 진로별 맞춤형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자율성 확대, (2) 일반고 학생을 위한 진로직업 교육 확대, (3) 위기학생 지원 프로그램 강화, (4) 일반고 High-up 프로그램 지원 강화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주요 추진과제들이 학교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정착ㆍ운영되기 위해서는 개별 일반고의 지역적 환경과 특성을 고려한 학교단위 책임경영제의 정착, 학교경영에 있어 총체적 질 관리 적용, 그리고 협동적 학교조직문화 형성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글로벌 민주시민 양성,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그리고 경상북도교육청에서 제시하고 있는 '새로운 생각과 참된 마음을 지닌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즉 경상북도 일반고 교육역량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과제와 전략들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me problems of general high school and provide some promotion ways of general high school in Gyeongsangbuk-do in long and short term perspective, considering necessity for consolidating educational capacity of general high school which is in disadvantage due to high school diversity and special high school promotion policy. For this, first, the study explores educational policy basis of Park Geun-hye's government, educational policy direction of Gyeongsangbuk-do, educational situation of general high school in Gyeongbuk area, and main contents of educational capacity consolidation way of general high school. Main tasks of Gyeongsangbuk-do general high school educational capacity reconsideration based on the educational capacity consolidation way of Ministry of Education are (1) enlargement of autonomy for formation and operation of focused curriculum by guidance, (2) enlargement of guidance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 (3) consolidation of support program for student at risk, and (4) consolidation of support for general high school High-up program. For these main tasks are fixed and operated in school successfully, the fixation of school responsible management system based on geological environment and trait of each general high school, the application of whole quality control in school management, and the formation of cooperativ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should be constructed. And specific practice tasks and strategies for Gyeongsangbuk-do general high school educational capacity reconsideration (the cultivation of grobal democratic citizen, human being image in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alented people with new thinking and genuine mind' of Gyeongsangbuk-do) are provided.

      • KCI등재

        미국의 학교자원경찰제도의 주요내용과 시사점

        일환(Chung, Il-Hwan),김영환(Kim, Young-Hw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3

        본 논문의 목적은 학교에서의 학교폭력 근절과 안전한 학교환경조성을 위하여 미국 학교자원경찰제도의 내용과 평가를 고찰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여 우리나라 학교경찰제도의 도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먼저, 학교폭력과 학교자원경찰제도의 의의, 학교자원경찰의 개념 규정, 역사적 배경 등을 살펴보고, 미국 학교자원경찰제도의 주요 내용으로 임용권자, 목적과 역할, 자격, 선발, 훈련, 감독, 재정 지원 확보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교자원경찰제도에 대한 평가는 학교폭력 및 비행의 감소, 학교의 안전성 확보 차원, 학교자원경찰에 대한 인식 차원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미국의 학교자원경찰제도가 학교폭력근절과 안전한 학교를 위한 측면에서 우리나라에서 제도화 할 경우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담당경찰의 자격과 능력을 명확히 하여야 한다. 둘째, 선발절차를 표준화하면서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유능한 학교담당경찰을 선발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셋째, 신규교육과 재직연수제도가 확립되어야 한다. 넷째, 학교와 경찰당국의 권한 조정과 학교담당경찰에 대한 감독 및 근무평가를 제도화하여야 한다. 다섯째, 운영에 필요한 안정적인 재원확보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som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introduction of Korean school police system, reviewing the contents and evaluation of American school resource officers and drawing some suggestions for school violence eradication and safe school environment. First of all, the significance of school violence and school resource officers and the concept, regulations,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school resource officers are reviewed, and as the main contents of officers, the employer, goal and role, qualification, selection, training, monitoring, and financial support are provided. Furthermore, for the evaluation of the officers, the decrease of school violence and juvenile delinquency, the level of ensuring school security, and the level of perceiving school resource officers are analyzed. Based on this, if American school resource officers are systemized in Korea for school violence eradication and school safet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vided. First, the qualification and ability of school police should be clarified. Second, the top priority could be the hiring competent school police based on diverse materials, standardizing selection procedure. Third, new education and on the job training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urth, the power of school and police should be coordinated and evaluation on school police are systemized. Fifth, the stable financial support needed for the operation of the officers.

      • KCI등재

        미국 소규모학교의 운영 정책과 사례 분석 및 시사점

        일환,주동범,박찬호 한국비교교육학회 2021 比較敎育硏究 Vol.3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policy and case of small-size school in the United State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Korea's small-size school policy through them.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various literature(research reports, internet sites, etc.) and journal articles related to small-size school in the United States were analyzed to review the concept of small-size school, operational policy and issues, and case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ize of small-size school is a problem. In the United States, very important factors in the concept of small-size school are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location of the school. In the United States, by continuously reviewing and analyzing this issue, several principles have been established to establish standards for the number of students and school locations in small-size school. Second, it is change in the policy direction for small-size school. Since the 1930s, policies on rural schools have been consolidation and abolishment according to economic logic, but since the 1980s, active investment plans for rural schools have been prepared and promoted. Third, it is the diversification of small-size school operation. Holy Spirit School in the United States operates regular curriculum, extra-curricular activity programs, STEAM community programs, Parents & Friends Association, etc. through kindergarten and elementary consolidation school.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analyze the appropriate size of small-size school in Korea more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and a policy direction to foster small-size school and develop and operate substantial educational programs rather than closing or consolidating it is necessary. And in order to persist and activate small-size schools, joint efforts of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are needed.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소규모학교의 운영 정책과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소규모학교 정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국의 소규모학교 개념, 운영 정책 및 쟁점, 사례 등을 검토하기 위해 미국 소규모학교와 관련된 각종 문헌(연구보고서, 인터넷사이트 등)과 학술지 논문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학교의 크기가 문제 시 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소규모학교의 개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는 학생 수 및 학교 위치이다. 미국에서는 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검토․분석하여 몇 가지 원칙을 세워 소규모학교의 학생 수 및 학교 위치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둘째, 소규모학교에 대한 정책의 방향 변화이다. 1930년대 이후 농촌 학교에 대한 정책은 경제적 논리에 따른 통폐합이었지만 1980년대 이후에는 농촌 학교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 방안을 마련하여 진흥시키고 있다. 셋째, 소규모학교 운영의 다양화이다. 미국 Holy Spirit School은 ‘유․초 통합학교’를 통해 정규 교육과정, 교과 외 활동 프로그램, STEAM 지역사회 프로그램, Parents & Friends Association 등을 운영하고 있다. [결론] 한국 소규모학교의 적정 규모에 대해 좀 더 체계적․과학적으로 검토․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소규모학교를 폐교 또는 통폐합하기보다는 육성하고 내실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운영의 정책 방향이 필요하다. 그리고 소규모학교를 존속․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학교 및 지역사회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한국 고등교육개혁의 성과와 전망

        일환(Chung Ilhw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4 比較敎育硏究 Vol.14 No.3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knowledge which generation of such knowledge is caused from university. Till now, Korean government has continuously propelled reform of higher education in order to enhance quality and competitiveness of higher education system.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of higher education and analyze accomplishment and prospect of reform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The paper explained the background logic for analyzing the accomplishment of higher education reform based on excellence, efficiency, responsibility and equity. Based on the above, the paper analyzed and presented accomplishment and prospect of Brain Korea 21 project, university accreditation evaluation system, and New University Regional Innovation project which are effective now for enhancing high quality and balancing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지식기반사회에서의 가장 핵심은 지식이며, 지식의 창출은 대학에서 나오며 대학의 교육력, 연구력이 바로 국가경쟁력과 직결된다. 그동안 우리나라 정부는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과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고등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는 바, 본 논문에서는 정부 및 대학에서 추진해온 대학교육 개혁사업 중 두뇌한국 21(Brain Korea 21)사업, 대학평가, 그리고 지방대학 혁신역량강화사업(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 NURI)을 중심으로 그 성과와 전망을 분석·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 한국의 고등교육개혁의 성과와 전망을 분석·제시하기 위하여 고등교육의 실태를 개괄적으로 진단하였으며, 고등교육개혁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배경논리를 효율성, 수월성, 책무성, 형평성 등의 이념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이를 토대로 당야한 고등교육개혁 사업 중에서 대학교육의 경쟁력 확보와 균형적 발전 차원에서 현재 추진 중인 두뇌한국 21사업, 대학평가, 그리고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을 중심으로 그 성과와 전망을 관련 선행연구와 자료를 토대로 분석·제시하였다.

      • KCI등재

        産業場 勤勞者의 傷病 및 醫療利用樣相

        鄭日煥,李京恩,朴宰用,甘信,千丙烈 대한보건협회 1992 대한보건연구 Vol.18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medical care utilization and morbidity state of industrial workers in Taegu area.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or 1,258 workers of 46 various types of local companies, mainly textile, in Taegu area from Aug. 1, 1991 to Oct. 31, 1991. The respondents consisted of 1,017(80.8%) blue collar workers and 241(19.2%) white collar workers, 700(55.6%) male, 558(44.4%) female. When workers were ill, 58.9% of them chose a particular medical facility for the reasons of convenient transport and geographical accessibility. To the contrary, in the case of choosing oriental medical clinics, perceived effectiveness of treatment(36.4%) was cited a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visits. During one year period, the number of workers who experienced hospitalization was 60 and chronic morbidity rate was 134 per 1,000 workers. Chronic illness consisted of respiratory disease(25.3%), gastrointestinal disease(24%) and musculoskeletal disease(18.7%). The most preferred medical facilities for chronic patients were hospitals(32.9%), followed by pharmacies(32.2%). The average losses of work days per chronic morbidity were 18.6 days. Acute morbidity during 15 days was 558 per 1000 workers on the average. 1.55 cases of morbidity occured per patient, and each morbidity case lasted for 4.13 days. 87.3% of the patients got medical treatments, and 3.66 days of medical care and 36,028 won medical care cost were required per treatment. The number of absent days per morbidity was 0.55 day and activity-restricted hour was 6.51 hrs. The most common illness experienced during 15 days was 39.8% of respiratory disease, followed by 25.8% of sign, symptom & ill-defined conditions and 19.5% of gastrointestinal disease. The most number of patients actually visited pharmacies(63.1%), followed by hospitals & clinics(16.9%). As many as 12.6% of patients didn't even pursue any medical treatments at all. For the reasons of seeking no treatment, patients cited unseriousness or mild illness(44.0%), busy or no free time(20.0%), doubtful of treatment effectiveness(16.0%) and hate to be bother (14.0%). Concluding from above results, medical care utilization of phamacies and morbidity rate of industrial workers turned out quite higher than those of other occupations or general population.

      • KCI등재

        단위학교의 통합적 책임경영모형 탐색

        영수(Jeong Young Soo),일환(Chung Ilhwa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1

        본 연구는 새로운 지식 정보화시대에 적합한 효율적인 학교경영 모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거버넌스, SBM, 교사 권한부여, TQM 등 다차원적 접근을 통하여 새로운 통합적 차원의 학교경영모형을 개발하고, 그 적용방안을 탐색?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경영환경 변화를 고려하고, 다차원적 접근을 통하여 새로운 학교경영모형을 개념모형과 실천모형으로 구분?제시하였다. 개념모형에는 기본가정, 이념과 목표, 학교조직관, 구조의 네 가지 차원, 핵심가치 등이 포함되었으며, 실천모형에는 공동체 통제형의 학교경영 조직운영, 의사결정기구, 교육과정 편성?운영, 인사, 교육 책무성 제도 마련 및 운영의 자율성, 재정 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새로운 학교경영 모형이 단위학교에 정착하기 위한 방향과 과제를 탐색?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new school management model(school-based integrative responsibility management model) and explore and present the way of its application through multi-dimensional approach such as governance, SBM, teacher empowerment, and TQM for effective school management in school organization which has diverse characteristics in new knowledge information era. The study divided new school management model into conceptual and practiccal model based on multi-dimensional approach, considering the changes of school education and school management environment in future society. The conceptual model includes basic assumption, ideology and objective, viewpoint of school organization, four dimensions of structure, core value, and so on. The practical model includes the school management organization operation of community control type, decision-making unit, the compilation and operation of curriculum, personnel, the preparation of educ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and the autonomy of it's operation, finance, and so on. The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and seven tasks for setting the new school management model in school. There are person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restrictive factors in order to apply the school-based integrative responsibility management model developed in the study to school. However, the school-based integrative responsibility management model and its application through multi-dimensional approach will contribute to enhance the competitive power of school education in new ear with the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The school-based integrative responsibility management model should be applied to each school, considering regional conditions and school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